2학년 중간고사 기술가정요점정리좀 ㅠㅠ 40검

2학년 중간고사 기술가정요점정리좀 ㅠㅠ 40검

작성일 2006.04.26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기계의이해<---기술

가정은 앞쪽 옷에 대한곳인데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내공40검

 

어디사이트가라고 하지말고 올려주세요

기술<--중요합니다


#2학년 중간고사 #2학년 중간고사 과목 #2학년 중간고사 기출문제 #중학교 2학년 중간고사 #중학교 2학년 중간고사 기출문제 #중학교 2학년 중간고사 과목 #중학교 2학년 중간고사 범위 #중학교 2학년 중간고사 과학 #과학 2학년 중간고사 #고등학교 2학년 중간고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의복과 생활 : 우리들의 생활과 의복의 기능을 이해하여 자신의 신체 특성 및 기능에 맞는 옷을 선택할 수 있다.

 ⑴ 우리의 생활과 옷차림 [예지원] http://www.yejiwon.org

01. 의복의 기능

1) 신체 보호 및 활동 보조 기능

① 체온 조절 : 계절에 맞는 옷 - 더위나 추위(방한복)로부터 몸을 보호

② 신체 보호 : 자연 또는 작업 환경, 특수 환경 보호 - 실험복, 방화복, 소방복, 잠수복, 우주복

③ 피부 보호 : 속옷 - 체온 유지, 땀·피지 등의 분비물 흡수 - 청결 유지 - 쾌적감의 증진

④ 능률 향상 : 작업이나 활동에 알맞은 옷 - 피로를 줄이고 능률 향상 - 잠옷, 운동복, 작업복

       

2) 사회적 기능 및 개성 표현 기능

① 직업에 맞는 옷차림 :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의 표현(의복의 사회적 규범)

㉠ 제복 : 개인의 사회적 특성에 따라 - 교복, 군복, 경찰복, 간호사복, 의사가운, 운동 선수복

㉡ 특수 작업복 : 광부, 원자력 발전소 직원, X-선 촬영 기사 등이 입는 옷

② 개성과 아름다움의 표현

외모와 옷차림을 조화시켜 자신만의 개성과 미적으로 멋있는 옷차림을 하려는 욕구

유행 현상 : 다른 사람들과 비슷한 것을 추구하는 행동 때문에 유행 현상이 출현

생리적 욕구보다 심리적 욕구 충족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옷을 가지게 됨

③ 격식을 갖춘 차림 : 때와 장소에 어울리는 옷 - 예의를 지키고 좋은 인상을 줌

㉠ 신분에 맞는 옷차림 : 학생 신분과 청소년의 연령에 맞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림

* 어른의 생신, 명절 인사 : 공경심이나 예절이 잘 나타나도록 하는 정장 - 단정한 차림

* 결혼식 : 신랑(예복), 신부(웨딩 드레스, 혼례용 한복)  하객(화사한 차림의 정장)

* 장례식 : 검소하고 단정한 차림 - 상주(검은색 양복/흰색 한복),  문상객(검은 옷이나 안정감 있고 단정한 정장)

* 공적인 모임 : 사회적 규범에 맞게 옷 입기

* 사적인 모임 : 자신의 취향이나 개성에 맞게 옷 입기

* 학교 생활 : 학생 신분에 맞는 차림

* 병문안 : 환자에게 활기와 의지를 줄 수 있도록 밝은 옷차림

* 입학식, 졸업식 등 공식 석상 : 반드시 정장 차림을 하는 것이 좋음

02. 쾌적한 옷차림

1) 따뜻한 옷차림 : 보온성이 높은 옷감 : 양모, 아크릴 - 짙은 색(태양열을 잘 흡수)

① 디자인 : 목둘레, 손목, 허리가 몸에 맞는 것

두껍지 않은 옷을 여러 겹 입기 - 목도리, 모자, 후드 등으로 감싸기

2) 시원한 옷차림 : 흡습성이 높은 옷감(면섬유, 마섬유) - 흰색, 옅은 색(태양열을 반사)

① 통기성이 높게 짜여진 얇은 옷감으로 헐렁하게 입기

3) 위생적인 옷차림 : 내의, 잠옷 등은 흡수성이 좋은 면직물로 여유분을 둔 것

4) 활동적인 옷차림 : 신축성이 좋은 옷감, 활동에 불편 없는 디자인

03. 멋있는 옷차림

1) 조화로운 옷차림 : 잘 조화된 옷차림은 착용자의 높은 안목과 취향을 나타냄

재질(옷감의 질감뿐 아니라 용도와 관련된 느낌)과 색채(대비조화, 유사조화)의 공통점 유지

2) 개성을 표현하는 옷차림 : 자신의 성격과 체형에 맞고,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적합

 

 ⑵ 바른 옷차림 (격식에 맞는 옷차림) : [한국 복식] http://spnode10.knou.ac.kr/korea_costume/main.html

01. 여자 한복 차림(일습 - 치마, 저고리, 버선)

1) 속옷 : 속저고리, 속치마, 속바지

① 겉옷의 밖으로 보이지 않게 입어야하고, 속바지와 속치마는 치마를 부풀려 보이게 함

② 입는 순서 : 짧은 속바지→긴 속바지→속치마→속저고리

② 속치마 : 겉치마보다 길이가 2-3㎝ 짧게 하고, 허리를 5-6㎝길게 하여 속치마 허리로 가슴이 싸이도록 함

2) 치마 : 오른쪽 자락이 겉으로 놓이게 하여 등 너비의 1/3되는 곳까지 오도록 2/3 정도 겹쳐짐.

① 통치마 : 치마폭을 박아 통처럼 만들어 길이를 짧게 한 것

② 풀치마(자락치마) : 치마폭의 한 자락을 박지 않고 펼쳐지게 한 것으로 일반적인 치마

* 치마허리 : 통치마는 조끼허리를, 풀치마는 띠허리 사용

㉠ 띠허리 : 전통적인 방법으로 가슴이 죄고 흘러내림

㉡ 조끼허리 : 흘러내리지 않으나, 가슴이 나와 전통적인 한복의 선을 나타내기 어려움(요즈음은 풀치마에 많이 사용)

3) 저고리   [한국 복식] http://spnode10.knou.ac.kr/korea_costume/main.htm

① 종류

㉠ 계절별 : 홑저고리, 겹저고리, 솜저고리

㉡ 바느질 방법 : 박이겹저고리, 깨끼저고리, 적삼

㉢ 배색 방법 : 민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 색동저고리

* 삼회장저고리 : 곁마기, 끝동, 고름, (깃)을 배색한 저고리

* 반회장저고리 : 곁마기, 끝동, 고름, 깃 중 한두 군데만 배색한 저고리

② 입는 방식 - 요즈음은 서로 잘 어울리는 색끼리 배색하여 입음

㉠ 결혼 전 : 노란 회장저고리에 다홍치마

㉡ 결혼 후 : 남치마에 옥색 회장저고리를 입었고, 남색 끝동은 아들이 있는 여인이, 자주 고름은 남편이 있는 여인이 입음

③ 고름매기 : 안고름/스냅으로 앞자락을 고정→옷고름 매기(짧은 고름을 긴 고름의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당겨 맨 다음,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아 돌려 고와 매듭 사이로 빼기)→모양 다듬기(어깨솔과 겨드랑이 부분 정리하기)

㉠ 짧은 고름을 긴 고름 위에 얹고, 얹어진 짧은 고름을 아래에서 위로 당겨 한 번 매기

㉡ 밑에 있는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어 고를 왼쪽으로 보내고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기

㉢ 짧은 고름을 고와 처음 맨 매듭 사이로 빼내고 모양 다듬기

4) 두루마기 : 여자는 실내에서 두루마기를 벗는 것이 예의에 맞음

① 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 치마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 - 방한과 예의의 목적을 겸함

② 형태 : 저고리와 같으나 길이가 길고, 양쪽 겨드랑이 아래로 무를 대어 아래로 퍼짐

5) 방한용 덧옷

① 마고자 : 깃이 없고 앞섶을 마주 대어 입는 옷 - 저고리 위에 입음

② 배자 : 소매가 없는 조끼모양의 웃옷 - 장식용

6) 버선 : 수눅의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하고, 수눅이 약간 안쪽으로 기울도록 신음.

7) 신 : 고무신을 신어야 하나, 구두를 신을 때에는 치마를 길게 하여 구두를 감춤

* 수눅 : 발등의 솔기선

02. 남자 한복 입기(일습 - 바지, 저고리, 조끼, 두루마기)    [문화 관광부] http://www.mct.go.kr

1) 속옷 : 속고의, 속적삼이 있으나 요즈음은 내복으로 대신함

2) 바지

① 허리띠 매기 :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기→바지 허리 여분을 앞으로 모아 여분이 왼쪽으로 가도록 접기→허리띠를 둘러서 매기→허리띠로 다시 고를 만들어 매기

② 대님 매기 : 다리 안쪽 복사뼈 위에 사폭선 두기→여유분을 접어 뒤로 돌리기→대님을 2번 돌려 감기→다리안쪽에서 매듭을 짓고 긴 자락으로 고를 만들어 짧은 자락으로 묶기

         

         

3) 저고리 : 기본적인 형태와 입는 법은 여자와 같음

4) 조끼마고자 :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방한용)→두루마기 순으로 입기

5) 두루마기 : 예의를 갖추어야 할 때, 외출할 때는 반드시 입기 - 실내에서 벗지 않아도 됨

 

03. 평상복(양복) 차림

1) 속옷 : 흰색이나 연한 색 또는 겉옷과 같은 색이 적당

* 겉옷의 목둘레, 소매 부리, 스커트 단의 밑으로 속옷이 나오지 않도록 주의

* 체형의 보완과 겉옷의 맵시를 살림, 피부의 청결 유지와 보온을 위하여 자주 갈아입음

* 흡수성이 좋은 면 섬유로 된 신축성이 큰 편성물이 좋음 - 여름철에는 반드시 입도록

① 여성용 속옷

㉠ 언더 웨어류 : 피부의 청결과 보온용 속옷 - 흡습성이 큰 면제품이 적당-팬티, 런닝 셔츠

㉡ 파운데이션류 : 체형을 보완하거나 균형을 잡아 옷 모양을 좋게 - 브레지어, 코르셋

㉢ 속치마류(란제리류) : 겉옷의 실루엣을 아름답게 살려주거나 속옷감이 겉 옷감에 비치지 않게 하여 단정하게 보이게 하는 속옷 - 슬립 등

* 디자인 : 남성복에 비하여 훨씬 다양, 여성의 사회 참여가 많아지면서 정장 착용 증가

② 남성용 속옷 : 피부의 청결과 보온을 위한 것

㉠ 개성보다 사회적 역할, 신분 표현을 중요시, 사회적 규범이 강함

㉡ 넥타이 : 공적인 상황과 예의를 상징하므로 공적인 모임이나 어른을 찾아뵐 때는 넥타이를 매는 것이 바른 옷차림

㉢ 상 하의가 같은 옷감으로 된 것이 격식이 있으며, 다른 옷감으로 된 것은 활동적인 느낌.

2) 편의복(캐주얼 웨어) : 취미 생활과 일상 생활용 - 넥타이를 매지 않는 셔츠와 바지, 스커트, 니트 조끼, 스웨터, 스포츠 재킷 등을 갖추어 입는 것

편의복 착용시 주의점 >>

㉠ 깨끗한 속옷을 입기 - 흡습성이 큰 면제품 - 물세탁이 가능한 것

㉡ 셔츠, 바지, 재킷 등을 조화되게 선택 - 나다운 차림이 되도록 - 신발에도 관심

3) 정장(포말 웨어) : 예절을 지키기 위한 옷 - 활동성보다는 외모에 중점을 둠 - 교복

① 정장할 때 주의할점

㉠ 항상 깨끗하고 단정한 차림 - 셔츠와 블라우스, 타이 등의 청결, 수선/얼룩 제거는 즉시

㉡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기본형 차림(클래식 스타일) - 조끼, 스카프 - 부분적 품목의 변화

㉢ 학생의 경우 예의를 갖추는 장소에는 교복을 입는 것이 좋음

② 남자 : 재킷과 바지, 셔츠와 넥타이

③ 여자 : 슈트와 블라우스, 혹은 원피스 드레스, 블라우스와 스커트나 바지

 

04. 몸가짐       [예절 마당] http://www.ye365.or.kr/

1) 우리 옷차림의 몸가짐

① 선 자세

㉠ 두 손을 앞으로 모아(마주잡고) 포개어 허리 높이에 두고 팔꿈치를 모아 똑바로 선다.

㉡ 앞을 향해 얼굴을 들고 시선은 눈높이 정도로 둔다.

㉢ 한복은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서 조용하고 온화한 분위기에 어울리므로 몸가짐에 주의.

㉣ 웃어른께 인사를 드릴 때 어른 앞에 두 손을 마주 잡고, 바르게 서며, 바닥에 앉을 때도 벽에 기대지 말고 허리를 편안한 자세로 앉으며 의자에 앉을 때는 다리를 가지런히 모은다.

㉤ 어른 앞에서 물러날 때는 등을 바로 돌리지 말고, 두어 걸음 뒷걸음질하여 비스듬히 옆으로 돌아 나온다.

② 앉은 자세

- 여자

㉠ 한쪽 다리는 무릎을 세우고 다른 한 쪽은 굽혀 앉아 허리를 펴고, 두 손을 세운 무릎 위에 놓는다.

㉡ 손은 오른 손을 위로 포개어 세운 무릎 위에 놓는다.

㉢ 앉을 때 뒤의 치맛자락이 펴지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 남자

㉠ 어른 앞에 앉을 때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무릎 위에 가지런히 놓는다.

㉡ 어른 앞이 아닐 경우 책상다리를 하고 왼손이 위로 가도록 포개어 다리 위에 놓고 허리를 펴고 앉는다.

③ 걷는 자세

㉠ 실외에서는 손을 허리 높이로 마주 잡고 걷는다.

㉡ 실내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게 걸으며 문지방은 밟지 않는다.

㉢ 여자는 치마가 벌어지지 않도록 치맛자락을 잘 여며 잡고 발걸음을 작게 하여 걸어야한다.

2) 평상복(양복) 차림의 몸가짐   [평상복] http://www.england-tailor.com/wayc.htm

㉠ 선 자세 : 가슴과 허리를 펴고 어깨에 힘을 주지 말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다음 시선을 눈높이에 머물도록 앞을 보고 반듯하게 선다.

㉡ 의자에 앉을 때

* 의자 깊숙이 앉아 허리를 곧게 하고 양 무릎을 붙이고 손은 무릎 위에 가지런히 놓음

* 여자의 경우 의자가 낮을 때 다리를 모아 옆으로 비스듬히 눕힘

㉢ 바닥에 앉을 때

* 여자 : 무릎을 꿇거나 약간 옆으로 나란하게 비스듬히 놓아 앉음

* 남자 : 어른 앞에서는 무릎을 꿇고 보통은 책상다리를 함.

㉣ 양복은 때와 장소에 맞게 옷차림을 하고, 색깔이나 디자인을 조화시켜 입는 것이 중요

㉤ 단추가 떨어졌거나 지퍼가 상한 옷을 그대로 입거나 더러워진 옷을 입는 것은 단정치 못함

㉥ 신발의 뒤꿈치 부분을 꺾어 신거나 신발을 끌어가면서 걷는 모습은 좋지 못한 습관

㉦ 깨끗하고 단정하며, 활발한 모습을 갖도록

 

09. 한복의 보관

개키는 법 : 앞섶 바로 맞추기→저고리 고름 가지런히 포개기→보관 장소에 맞추어 편편하게 개키기

 

 

Ⅱ. 기계의 이해

 1. 기계 요소

⑴ 기계의 구성

* 기계의 뜻과 구성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기계에 대한 기초지식과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우리 생활 속에서 기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01. 기계 : 여러 부품으로 구성 - 외부에서 동력이나 에너지를 받아 일정한 상대운동에 의해 사람에게 유용한 일을 하는 장치.

1) 기계의 종류                              [기계산업 종합 정보망] http://www.msite.net

① 가정용 기계 : 선풍기, 냉장고, 세탁기, 카메라 등

② 생산 기계 : 물건을 만들어 내는 기계

㉠ 공작 기계 : 선박, 밀링 머신, 드릴링 머신, 프레스, 연삭기 등

㉡ 작업 기계 : 방적기, 방직기, 제분기 등

③ 수송 기계 :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버스, 트럭), 기차, 선박, 비행기, 엘리베이터 등

④ 작업 기계 : 기중기, 펌프, 컨베이어, 불도저, 탈곡기 등

⑤ 농업용 기계 : 경운기, 트랙터, 양수기, 콤바인 등

⑥ 사무용 기계 : 컴퓨터, 복사기, 전화기, 팩시밀리 등

⑦ 기타 기계 : 건설 기계, 제조용 기계, 의료용 기계 등

2) 기계를 구성하는 부분

① 동력이나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부분

②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

③ 동력을 이용하여 유용한 일을 하는 부분

④ 각 부분을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부분

 

⑵ 자전거의 구조와 기능

* 자전거의 각 부분의 구조와 명칭을 알고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자전거의 동력 전달 및 제동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01. 자전거의 구조                           [자전거 사랑 전국 연합회] http://www.bike.or.kr

1) 차체 부분 : 자전거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 - 핸들, 허브, 안장 등을 조립하는 파이프 부분

2) 힘과 운동의 전달 부분 : 자전거가 앞으로 가는 동안 힘이 전달되는 과정에 있는 부분

① 페달, 크랭크, 큰 스프로킷, 체인, 작은 스프로킷 [자전거 나라] http://www.ectop.co.kr

3) 조향 부분 :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부분 - 핸들, 앞 포크

4) 제동 부분 : 운동을 하던 자전거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하는데 필요한 부분

① 브레이크 레바, 와이어, 브레이크 등         [자전거 부품] http://www.biketaiwan.com

5) 차륜 부분 : 바퀴를 구성하는 부분 - 타이어, 림, 스포크(바퀴살)

6) 기타 : 안장, 스프링, 짐받이, 흙받이, 스탠드, 체인케이스

02. 동력 전달 과정 : 발→페달→크랭크(축)→큰 스프로킷→체인→작은 스프로킷→변속기→뒷바퀴

03. 제동 과정 : 브레이크 레버→와이어→앞·뒷 브레이크→앞·뒷 바퀴→정지

 

⑶ 자전거와 기계 요소

* 자전거를 구성하고 있는 기계 요소의 종류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기계 요소 : 여러 가지 기계에 기본적이며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계 부품

01. 결합용 기계 요소 : 기계 부품을 일시적이나 영구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나사, 핀, 키, 리벳 등

1) 나사 : 원통 면의 둘레를 따라 삼각이나 사각 단면의 홈을 내는 것 - 여러 부품의 결합, 위치 조정 또는 힘의 전달, 이동용 기계 기구로도 사용되는 기계 요소

* 나사산 : 나사 곡선에 따라 원통 또는 원뿔의 표면에 만들어진 단면의 일률적인 돌기 부분

① 나사의 명칭

㉠ 피치 : 나사산에서 다음 나사산까지의 거리 ( -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거리)

㉡ 리드 : 나사가 한 바퀴 돌 때 움직이는 거리(축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 크기 : 수나사의 바깥 지름(호칭 치수)으로 나사의 크기를 나타냄

② 나사의 종류

㉠ 죔 방법 : 오른나사, 왼나사(자전거 왼쪽 페달 고정 나사, 선풍기 날개 고정 나사)

㉡ 나사의 위치 : 수나사 : 둥근 쇠막대의 표면(볼트), 암나사 : 원통의 안쪽에 나사산(너트)

㉢ 나사산 줄 수 : 1줄 나사(가장 널리 사용), 2줄 나사(필기 도구, 치약 뚜껑), 3줄 나사,

㉣ 나사산 모양 : 삼각나사(일반 기계의 조립용 - 가장 널리 사용),

사각나사(큰 동력 전달용 - 프레스, 밸브), 사다리꼴 나사(나사산 각도 - 29°30°: 동력 전달용 - 선박의 리드 스크루, 스톱 밸브의 밸브대), 톱니나사(잭-jack)

둥근나사(넓은 접촉면적을 필요로 하는 전구나 먼지 등이 들어가기 쉬운 목공용 기계, 백열전구 등이 사용, 시멘트 믹서 기계), 볼 나사((공작 기계의 수치 제어용),

2) 볼트와 너트 : 육각이나 사각 등의 머리를 가진 둥근 막대에 나사를 낸 것(볼트)의 짝(너트)

주로 스패너를 이용하여 죄고 풀며 물체의 고정 - 관통 볼트, 탭 볼트, 스터트 볼트

 

3) 핀과 키

① 핀 : 큰 힘이 걸리지 않는 부품을 결합하거나 고정하는 데 사용

평행 핀 : 굵기가 일정한 둥근 막대 모양의 핀

테이퍼 핀 : 한쪽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핀(양쪽 끝단의 굵기가 서로 다른 경사진 핀)

분할 핀 : 핀을 끼우고 끝을 벌려서 진동이나 충격에도 핀이 빠지지 않게 만든 핀(연철)

: 축이 돌 때 회전체가 미끄럼 없이 돌도록 축과 회전체에 홈을 파고 그 사이에 끼워 넣는 일종의 쐐기

- 묻힘키, 반달키, 안장키, 평키, 접선키

리벳 : 보일러 탱크, 철골 구조물, 교량 등을 만들 때 철판이나 형강을 영구적으로 결합할 때 사용

-  (a) (b) (c) (d) (e)

02. 축용 기계 요소 : 동력을 전달할 때 주로 회전 부분에서 사용되는 요소-축, 베어링, 축 받침 등

1) : 회전체의 중심 쇠막대로 기어, 바퀴, 풀리 등을 끼워 회전시키며 보통 2개 이상의 베어링으로 지지

크랭크 축 : 축의 일부분이 중심으로부터 떨어져있는 형태의 축

- 직선 운동이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또는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축

② 전동 축 : 축과 회전체가 같이 고정되어 둘 모두 회전하는 축

차축 : 축은 고정되고 바퀴만 회전하는 축(주로 휨 하중을 받는 축) - 철도 차량, 자전거 허브 축에 사용

휨축 : 철사를 코일 모양으로 이중, 삼중으로 꼬아서 만든 유연성이 있는 축으로 동력 전달 방향을 악간 변환 가능

2) 베어링 : 회전축을 받쳐 마찰 저항(마찰, 소음)을 줄여 주는 기계 요소

① 미끄럼 베어링 : 베어링 메탈을 사용하는 베어링 - 축을 받치고 있는 부분이 매끈하게 가공

  - 접촉 면적이 커(면 접촉)마찰이 크므로 큰 힘을 받치는 곳이나 저속 회전을 하는 축에 사용

② 구름 베어링 : 회전체 사이에 점 접촉을 하는 볼 베어링과 선 접촉을 하는 롤러 베어링 삽입

㉠ 볼 베어링 : 외륜과 내륜 사이에 볼을 넣어 점 접촉을 함.

㉡ 롤러 베어링 : 외륜과 내륜 사이에 롤러를 넣어 선 접촉을 함

- 접촉 면적이 적어 마찰이 작으므로 작음 힘을 받치는 곳이나 고속 회전을 하는 축에 사용

03. 전동용 기계 요소 : 마찰차, 기어, 벨트와 벨트 풀리, 체인과 스프로킷 등 - 동력 전달용 요소

1) 마찰차 : 2개의 바퀴를 접촉시켜 구름 접촉하면서 마찰력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것

① 특징 : 미끄럼이 발생하여 확실한 회전 운동의 전동이나 큰 전동에 부적합

- 구름 접촉을 하면서 회전하므로 약간의 미끄럼이 발생함 [스프링] http://www.kwsp.co.kr

- 운전 중 접촉을 분리시키지 않고 마찰차의 이동이 가능함

② 용도 : 작은 힘을 전달하거나 정확한 회전 속도를 전달하지 않아도 되는 곳에 사용

- 마찰 계수를 크게 하기 위해 고무, 가죽, 섬유 등을 붙여 사용

③ 종류 : 평 마찰차, 원판 마찰차, 원추 마찰차, V홈 마찰차   [스프링] http://www.bearingmall.co.kr

2) 기어 :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마찰차 접촉면에 이(tooth)를 만들어 이가 서로 맞물려 미끄럼 없이 돌아갈 수 있도록 만든 기계 요소

① 특징                                     [기술 사랑 연구회] http://www.itechedu.com

㉠ 미끄럼 없이 정확한 동력 전달 가능 - 두 축 사이의 거리가 짧을 때 사용

㉡ 기어의 잇수를 바꿈으로서 회전 속도 조절 가능 - 정확한 속도비로 동력을 전달

② 기어의 종류와 용도 : 내접기어

종류

모양

축 관계 및 특징

용도

평기어

 

·두 축이 평행할 때 동력 전달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임

시계, 선반, 내연 기관 등

헬리컬 기어

 

·두축이 평행할 때

·물림이 원활하여 소음이 적음

공작 기계, 내연 기관 등

베벨 기어

 

·두 축이 서로 직각으로 만날 때

- 두 축이 평행/교차되지도 않음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바꿀 때

핸드 드릴,

자동차의 구동장치

웜과 웜기어

 

·두 축이 서로 직각으로 만날 때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음

감속 장치

래크와 피니언

 

·두 축이 평행할 때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거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꿀 때

선반, 드릴링 머신,

사진기 등의 이송 기구

③ 모듈(m) : 한 쌍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기 위한 조건으로 기어 지름(D)을 잇수(Z)로 나눈 값이 서로 같아야 함    m=D1/Z1=D2/Z2

3) 체인과 스프로킷 : 비교적 거리가 떨어진 축 사이의 동력 전달에 사용

① 장점 : 미끄럼이 없어 큰 동력 전달, 정확한 회전력 전달

② 단점 : 소음과 진동이 있어 고속 회전이나 정숙 운전에는 부적합

③ 종류 : 롤러 체인(자전거 체인), 사일런트 체인(소음이 적음)

4) 벨트와 벨트 풀리 : 감아 걸기 전동 장치 - 두 축 사이의 거리가 멀 때 사용 - 평벨트, V벨트

① 특징 : 미끄럼이 발생 - 정확한 회전을 필요로 하는 동력이나 큰 동력의 전달에는 부적합

② V벨트 : 평 벨트에 비하여 미끄럼이 적어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

5) 로프 : 풀리의 링에 로프를 걸어 동력을 전달 - 두 축사이의 거리가 멀 때 사용 - 큰 동력을 전달하는 곳과, 고속회전에 적합함

6) 캠 : 규칙적으로 정확하게 반복되는 운동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기계 요소 -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이나 왕복 운동으로 변환 - 재봉틀, 내연기관, 방직기 등에 사용

① 평면 캠(판 캠)과 입체 캠(원통 캠, 구면 캠)으로 구분 - 원뿔 캠, 정면 캠, 직선운동 캠, 반대 캠, 삼각 캠, 엔드캠, 빗판캠

7) 링크 장치 : 몇 개의 가늘고 긴 막대의 끝을 연결-주동절의 일정한 운동에 따라 종동절이 일정한 운동(재봉틀, 자동차의 엔진)

① 용도 : 발재봉틀의 크랭크 기구, 자동차 기관의 피스톤 직선 왕복 운동 장치, 자전거의 페달을 밟는 운동 등에 이용

원리1원리2

04. 관용 기계 요소 : 파이프, 관 이음쇠, 콕, 각종 밸브 등 - 물, 기름, 증기, 가스 등의 유체 수송 통로

1) 관의 재료 : 강관(금속), 구리관, 황동관, 비금속관(PVC관, 고무관, 콘트리트관)

2) 관의 용도 : 자전거의 프레임이나 구조물의 부재, 액체나 가스, 증기 등의 수송에 사용

3) 관이음쇠의 종류 : 엘보(L), 암수 엘보, 티(T), 암수 티(T), 90°와이(Y), 크로스, 밴드, 암수 소켓

- 관을 잇거나, 방향을 바꾸거나, 관의 수를 늘리기 역할

4) 밸브와 콕 : 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양이나 압력 조절 - 글로브 밸브, 앵글 밸브, 단속 밸브, 첵 밸브, 콕 등 포함

① 스톱 밸브 : 유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역할(상수도용에 사용)

② 첵 밸브 :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데 사용(화학 공장에서 주로 사용)

③ 콕 : 가정용 도시 가스관에 주로 사용

05. 그 밖의 기계 요소 : 스프링, 브레이크, 링크, 캠 등

1) 스프링 : 물체에 압력을 주었다가 없애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성질(탄성)을 이용하는 완충용 기계 요소 - 운동과 압력의 제거, 지동이나 충격의 완화, 에너지 축적 등에 사용

압축 코일 스프링 : 완충용 - 자전거 안장, 침대, 의자 등에 사용

인장 코일 스프링 : 자전거 받침대,나 용수철 저울 등에 사용

비틀림 코일 스프 : 자전거 앞·뒷바퀴 브레이크 핸들에 사용

판 스프링 : 자동차 앞·뒷바퀴에서 차체 충격 흡수용으로 사용

⑤ 스파이어럴 스프링 : 얇고 긴 띠 모양의 스프링 강을 맴돌이 모양으로 감은 것 - 시계의 태엽

2) 브레이크 : 기계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회전을 멈추기에 사용되는 제동용 기계 요소

블록(block) 브레이크 : 자전거 앞바퀴, 자동차 바퀴, 열차 바퀴에 사용

㉠ 브레이크 블록과 브레이크 드럼이나 림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바퀴를 제동

띠(bend) 브레이크 : 자전거 뒷바퀴, 자동차 핸드 브레이크, 공작 기계 등에 사용

㉠ 일반 기계, 선반, 밀링 머신 등 공작 기계에 사용

㉡ 마찰 면적이 커 블록 브레이크보다 제동력이 큼

㉢ 브레이크 드럼에 강으로 만든 띠를 감아서 제동

③ 디스크(disk-원판) 브레이크 : 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원판을 고정된 패드로 눌러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동 -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앞바퀴에 사용

 

⑷ 자전거의 점검 정비

* 자전거의 간단한 고장을 스스로 해결하고 점검 및 정비를 할 수 있다.

01. 자전거 점검에 필요한 공구 : 드라이버, 멍키 스패너, 플라이어, 소켓 렌치, T 렌치, 망치(쇠, 플라스틱) 등

02. 자전거의 주요 점검 부분

1) 주요 점검부 :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유격), 타이어 공기압의 고저, 핸들의 방향과 각도, 변속 장치의 작동 상태, 체인의 긴장도, 각 부의 고정 상태, 각 부의 급유 상태, 안장 높이 조절 등

2) 자전거의 점검 사항

① 핸들의 각도는 앞바퀴와 수직이 되어야 함

② 핸들의 각도는 육각 렌치나 박스 렌치로 풀고 고정

③ 타이어는 땅바닥과 10cm 정도 닿도록 압축 공기를 넣음

④ 체인의 장력은 중앙 지점에서 10-20mm 정도가 되도록 조정

⑤ 안장의 높이는 양발 끝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조정

⑥ 브레이크 부분에는 기름칠을 하지 않음

* 정비용 일반 공구 : 십(+)자 드라이버, 플라이어, 일(-)자 드라이버, 프라스틱 해머, 양구 렌치, 쇠솔, 멍키 스패너, 박스 렌치

3) 자전거 점검 및 정비시 유의 사항

① 장갑을 착용하고 평평한 곳에서 작업

② 분해한 부품은 순서대로 정리하고, 무리한 힘을 가하여 분해나 조립하지 않음

③ 부품이나 홈의 크기에 알맞은 공구를 사용하고, 윤활이 필요한 부분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기가 시험 잘보세요 ㅎㅎ 저희는 쉽게 나왔는데 긴장하지 마시고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의복과 생활

⸡ 우리의 생활과 옷차림(1)

(1) 신체를 보호하고 활동을 보조하는 기능

① 피부 보호 : 속옷은 땀과 피지를 흡수하여 청결을 유지시키고 겉옷은 외부의 오염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줌

② 체온 조절 : 계절에 맞는 옷을 입어 추위와 더위를 견디게 함

③ 신체 보호 : 자연 환경이나 작업 환경, 특수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 - 소방복, 실험복, 우주복, 잠수복 등

④ 능률 향상 : 작업이나 활동에 알맞은 옷은 피로를 줄이고 능률을 향상시킴 - 잠옷, 운동복, 작업복 등

(2) 사회적 기능 및 개성 표현의 기능

① 직업에 맞는 옷차림(신분 표현) : 옷차림으로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지위 등을 파악할 수 있음 - 군복, 경찰복, 의사 가운, 간호사복, 교복 등의 제복

→ 제복, 작업을 위한 특수복 등의 종류를 설명한다.

② 개성의 표현 : 외모와 옷차림을 조화시켜 자신의 인상을 가꿈

→ 자신의 인상을 결정하고 미적 감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써의 의복 착용 경험을 발표하게 한다.

→ 학생들의 개성 표현 욕구와 어른들의 시각을 절충할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해 본다.

③ 격식을 갖춘 차림 : 때와 장소에 어울리는 옷을 입음으로써 예의를 지키고 좋은 인상을 주게 됨

→ 예의와 격식에 맞는 의복 착용 방법을 설명한다.

⼗ 활동 과제 : 우리는 일류 디자이너

→ 실제 교복을 만들기 어려우므로 그림으로 대치하거나 기존 교복을 수선해 보는 정도로 진행한다.

→ 실물 화상기 등을 사용하여 여러 조들의 디자인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 바른 옷차림

(1) 여자 한복 차림 (일습 - 저고리, 치마, 버선)

① 속옷 : 겉옷의 밖으로 보이지 않게 입어야 하고 속바지와 속치마는 치마를 부풀려 보이게 하는 것임

→ 속옷의 종류와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② 치마 : 오른쪽 자락이 겉으로 놓이게 하여 등너비의 ⅔정도 겹쳐지게 입음

③ 저고리

·종류 :

- 계절별(홑저고리, 겹저고리, 솜저고리)

- 바느질 방법별(박이겹저고리, 깨끼저고리, 적삼)

- 배색 방법별(민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 색동저고리)

·입는 방법 : 안고름이나 스냅으로 앞자락 고정하기→옷고름 매기(짧은 고름을 긴 고름의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당겨 맨 다음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아 돌려 맨다)→어깨솔과 겨드랑이 부분 정리하기

→ 저고리와 치마의 부분별 명칭과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④ 버선 : 발등의 솔기선인 수눅의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게 하여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신음

⑤ 두루마기 : 저고리와 같은 방법으로 입는데 방한용 외출용이므로 실내에서는 벗어야 함

→ 옷차림의 완성을 위하여 버선이나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등에도 신경을 쓰도록 지도한다.

(2) 남자 한복 차림(일습 - 바지, 저고리, 조끼, 두루마기)

① 바지

·허리띠 매기 :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게 입고 바지 허리의 여유분이 왼쪽으로 가게 한 후 맴

·대님 매기 : 다리 안쪽 복사뼈 위에 사폭선 두기→여유분을 접어 뒤로 돌리기→대님을 2번 돌려 감기→다리 안쪽에서 매듭을 짓고 긴 자락으로 고를 만들어 짧은 자락으로 매기

② 두루마기 : 의례용이므로 실내에서도 격식을 차려야 할 경우 입어야 함

③ 입는 순서 :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방한용)→두루마기

→ 남자 한복의 입는 순서를 설명한다.

→ 옷의 부분별 명칭과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3) 평상복(양복) 차림

① 속옷 : 겉옷 색과 같거나 흰색, 연한 색이 적당하며 겉으로 보이지 않게 입어야 하고 자주 갈아입어야 함

② 편의복(캐주얼 웨어) : 셔츠와 바지, 스커트, 니트 조끼, 스웨터, 스포츠 재킷 등으로 활동성에 중점을 둠

③ 정장(포말 웨어) : 남자는 재킷과 바지, 여자는 슈트와 블라우스 등으로 예절을 지키기 위한 옷이므로 외모에 중점을 둠(교복 대체 가능)

→ 속옷의 기능을 설명하여 반드시 착용하도록 지도한다.

→ 깨끗하고 단정하며 예의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4) 몸가짐

⸁ 우리 옷차림의 몸가짐

·조용하고 온화한 분위기에 맞게 몸가짐을 주의 : 특히 여자는 치마가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

·인사드릴 때, 앉을 때, 설 때 모두 바른 자세를 유지

→ 평상복 차림과 비교하여 우리 옷차림에서 더욱 주의해야 할 점을 설명한다.

⼗ 해보기

→ 큰절과 평절을 직접 해보도록 하여 익힌다.

⸂ 평상복(양복) 차림의 몸가짐

·때와 장소에 맞게 옷차림을 하고, 색깔이나 디자인을 조화시켜 입는 것이 중요

·깨끗하고 단정한 모습이 되도록 함

→ 유행이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학생다운 차림이 되도록 지도한다.

·속옷의 종류 : 언더웨어류, 파운데이션류, 속치마(란제리)류

2. 의복 마련 계획과 구매

⸡ 의복 마련 계획

(1) 의복 마련 계획

① 정의 : 새로운 옷을 장만할 경우 어떤 옷을 어디에서, 어떻게 장만할 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

② 필요성

·의복 손질을 하게 되어 활용이 원활해진다.

·가지고 있는 옷의 파악으로 인해 옷을 조화시켜 입을 수 있다.

·충동 구매를 방지할 수 있다.

·의복비를 줄이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 의복 마련 계획의 장점을 설명하고 스스로 계획을 세워 보려는 마음을 갖도록 지도한다.

→ 특히 충동 구매를 막기 위하여 의복 마련 계획의 필요함을 강조한다.

(2) 의복비

① 정의 : 의복, 신발, 가방, 장신구 등의 마련과 세탁 및 수선에 드는 비용

② 특징 : 가계비 중 가장 신축성 있게 조절할 수 있는 품목

→ 의복비는 구입뿐만 아니라 수선 및 유지에 드는 비용까지 포함하므로 이를 주의하도록 한다.

→ 의복이 반드시 필요한 품목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3) 의복 마련 계획 세우기

① 내가 가지고 있는 옷을 조사한다. : 계절, 용도, 상태에 따라 분류하고 간단한 수선이나 손질 실시

② 가지고 있는 옷의 활용 방법을 구상한다.

→ 계절별, 용도별, 상태별로 나누어 의복을 조사하게 한다.

→ 색과 무늬의 조화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옷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의복 계획표를 만든다. : 시장 조사(구입 장소, 가격, 품목 등)→의복 계획표 작성(가지고 있는 옷과 필요로 하는 옷 등으로 구분하여 기록→구입 시기, 구입 장소, 예산 기록)

→ 경제적이면서도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계획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 해보기

→ 자신의 의복 계획표를 직접 작성하게 한다.

⸢ 의복 마련하기

(1) 여러 가지 의복 마련 방법

⸁ 만들어 입기 : 만드는 재미가 있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으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체형에 잘 맞는 옷 마련 가능

⸂ 수선하여 입기 : 새로운 느낌의 옷 마련 가능하고 의복비 절약 가능

⸃ 물려 입거나 교환하여 입기 : 의복비 및 자원 절약

⸄ 기성복 구입하기 : 의복비 부담이 있지만 즉시 구입이 가능하고 다양한 선택 가능

⸅ 맞춰 입기 : 체형에 잘 맞는 옷을 마련할 수 있으나, 비용이 비싸고 완성까지 시간 오래 걸림

⸆ 빌려 입기 : 평소에 잘 입지 않는 옷일 경우 가능

→ 스스로 만들기, 부분 수선하기, 물려 입거나 교환하기, 새 옷 구입하기, 빌려 입기 등 다양한 의복 마련 방법의 장, 단점을 비교, 설명한다.

(2) 기성복 구매 방법(요령)

① 기성복 구매할 때 주의할 점

·의복 계획표 준수

·여러 상점을 비교하여 선택

·의복비 계획을 초과하지 않게 구입

·우선 순위에 맞게 구입

·패드 스타일, 충동 구매 자제

·기성복 고를 때 살펴보기

→ 의복 계획표를 활용하여 이를 지킬 수 있도록 하고 충동 구매나 유행에 따르는 구매는 억제하도록 한다.

② 맞음새 : 옷과 치수 외에 체형 또는 신체 활동과의 적합성

→ 치수에 맞는 옷을 골라 입고 여러 가지 움직임을 해봐서 살펴봄

→ 계단 오르기나 허리 굽히기, 의자에 앉아 보기, 팔 들어올리기 등을 통해 맞음새를 점검하도록 지도한다.

③ 기성복의 품질 표시 : 기성복의 질을 향상시키고 소비자를 보호하며 소비자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치수 : 남녀별, 나이별, 의복 종류별 등으로 구분해서 규격이 정해짐

→ 각종 의복 구매에 필요한 치수를 설명하되, 기성복 구입시 가능한 한 입어보고 선택하게 하여 나중에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지도한다.

·취급 방법 : 세탁 방법, 탈수 및 건조 방법, 다림질 방법 등

·혼용률 : 옷감의 섬유 조성 비율로 겉감, 안감 등으로 나누어 섬유의 종류와 섞여 있는 비율을 퍼센트로 표시

·가공 방법 : 옷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처리한 가공의 종류 표시

·공인 기호 : 공공 단체에서 품질과 규격을 인정하는 기호를 표시하는 것

예) 순모, 모혼방, 순면, 견 100%, SF마크 등

→ 취급 방법, 혼용률, 가공 방법, 공인 기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 학생 신분에 적합한 의복의 조건과 연관지어 의복 구입시 품질 표시를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해보기

→ 누가 더 현명한 구매를 했는지 판단하고 그 근거를 들어본다.

3. 의복의 손질과 보관

⸡ 세탁

(1) 세탁 준비

의복의 취급 표시를 보고 물세탁이 가능한지, 드라이 클리닝을 해야 하는지를 구분하고, 물세탁이 가능한 세탁물은 취급 기호를 보고 세탁 방법을 선택한다.

→ 세탁물을 세탁 방법, 색상, 오염의 정도 등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① 섬유 제품 취급에 대한 기호

·물세탁 방법 : 손세탁 또는 세탁기 세탁 - 세제의 종류, 세탁 용수의 온도, 힘의 세기 등을 표시

·드라이 클리닝 : 드라이 클리닝 가능 여부와 용제 종류

·표백 : 표백제 사용 가능 여부와 표백제 종류

·다림질 방법 : 다림질 가능 여부와 다림질 온도, 간접 다림질 여부

·짜는 방법 : 짜기 여부(원심 탈수기 사용 여부)와 힘의 세기

·건조 방법 : 자연 건조 방법과 건조기 사용 여부

→ 각종 취급 기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 자신이 입고 있는 옷에서 취급 기호를 찾게 하여 각각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한다.

⼗ 해보기

→ 세탁을 잘못한 경우의 일화를 읽고 잘못된 점을 찾아 수정해 본다.

(2) 세제와 세탁

① 세제 : 비누와 합성세제로 구분

·비누 ┌ 성분 : 지방과 알칼리

└ 세탁하면 안 되는 섬유 : 비단, 양모, 흰색 나일론

·합성세제 ┌ 성분 : 계면활성제, 알칼리 조제, 효소, 표백제 등

└ 주의 : 환경 오염을 일으키므로 적당량만 사용

( 0.2∼0.3%정도의 농도가 적당 )

·효소 세제 : 효소 작용을 위해 2∼8시간 정도 미리 물에 풀어둔 후 사용

·농축 세제 : 보통 세제의 ½정도의 양만 사용

→ 비누와 합성 세제의 특징을 비교한다.

→ 같은 합성 세제라도 효소나 농축 세제의 경우 사용 방법이 달라짐을 강조한다.

② 물세탁 : 손빨래와 기계 세탁

준비→얼룩빼기→애벌빨래(면이나 마섬유)→본빨래(옷감의 종류에 따라 방법 선택)→헹구기→탈수→건조

→ 손 세탁과 기계 세탁의 비교한다.

→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③ 드라이 클리닝 : 유기 용제로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대상 : 견, 양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과 같이 물에 의해 줄거나 색이 변하는 섬유이거나 안감, 심감이 들어있는 겉옷

·특징 : 옷감이 덜 상하고 옷의 형체가 변하지 않음

지용성 오염은 제거가 쉬우나 수용성 오염은 제거가 어려움

→ 드라이 클리닝을 해야 하는 옷이나 옷감을 설명한다.

→ 드라이 클리닝의 특징을 설명한다.

(3) 다림질

① 정의 : 적당한 열, 수분, 압력을 주어 구김을 펴거나 의복의 형태를 바로 잡아 주는 것

② 다리미의 섬유별 온도

아세테이트, 아크릴 : 70∼100 ℃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 100∼120 ℃

레이온, 견 : 120∼140 ℃ 양모 : 140∼160 ℃

면 : 160∼180 ℃ 마 : 180∼200 ℃

→ 섬유별 다림질 온도와 다림질 요령을 설명한다.

⼗조사하기

→ 옷감과 취급 방법의 관계를 알아본다.

⸢ 옷감의 특성에 대한 이해

(1) 섬유의 종류

① 천연 섬유

·면 섬유

원료 : 목화씨에 붙어 있는 솜

특징 : 흡습성이 크고 물에 젖으면 강도가 커지며, 열과 알칼리에 강해 삶을 수 있으나 구김이 잘 생긴다.

용도 : 운동복, 작업복, 속옷, 아기 옷, 수건, 행주, 걸레 등

옷감 : 시어사커, 코듀로이, 데님, 타월, 우단 등

·마 섬유

원료 : 마식물 줄기의 껍질

특징 : 강도가 크고 빳빳하며 열 전도성이 작아 시원하고 흡습성과 통기성이 좋고 빨리 마르나 구김이 잘 생긴다.

용도 : 여름철 옷감, 식탁보 등

옷감 : 모시, 삼베, 아마 등

→ 식물성 섬유인 면과 마의 특징을 설명한다.

·모 섬유

원료 : 동물의 털 (면양의 털-양모)

특징 : 보온성과 흡습성이 좋고 가벼우며 구김이 적어 우수하지만, 축융성이 있고 강도가 작고 충해를 입기 쉽다.

용도 : 고급 옷감, 겨울용 옷감 등

옷감 : 플란넬, 개버딘, 파일 코트감 등

·견 섬유

원료 :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실

특징 : 광택이 아름답고 촉감이 부드럽지만 물에 젖으면 강도가 줄어들고 알칼리에 약하며 자외선에 누렇게 변한다.

용도 : 고급 한복감, 넥타이, 드레스, 블라우스, 스카프 등

옷감 : 공단, 양단, 갑사, 생고사 등

→ 동물성 섬유인 모와 견의 특징을 설명한다.

② 인조 섬유

재생 섬유 :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

- 원료 : 식물성 펄프나 면 린터

합성 섬유 :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등

- 원료 : 석탄이나 석유에서 나오는 물질

→ 인조 섬유를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설명한다.

·레이온

특징 :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좋으며 흡습성이 크고 정전기가 생기지 않지만 강도가 약하고 구김이 잘 생기며 물에 젖으면 강도가 줄어든다.

용도 : 안감, 속옷 등

→ 재생 섬유의 제작 방법과 그 특징을 설명한다.

·나일론

특징 : 질기고 탄력성이 좋으며 마찰에 강하나 흡습성이 적고 물에 잘 젖지 않으며 가볍다. 흰 나일론을 알칼리 세제로 세탁하거나 햇빛에 말리면 누렇게 변한다.

용도 : 스타킹, 우산, 수영복, 스키복 등

·폴리에스테르

특징 : 질기고 구김이 잘 생기지 않으며 열 가소성이 좋고 알칼리와 햇볕에 강하지만 촉감이 차고 흡습성이 낮다.

용도 : 천연 섬유와의 혼방 등

·아크릴

특징 : 가볍고 부드러우며 보온성과 탄력성이 좋고 햇빛과 약품에 강하다.

용도 : 양모 대용, 커튼, 카펫 등

·폴리우레탄

특징 : 신축성이 좋아 고무 대용으로 쓰이며 염색이 가능하다.

용도 : 여성용 속옷, 수영복 등

→ 합성 섬유의 제작 방법과 그 특징을 설명한다.

→ 여러 가지 합성 섬유의 특징과 용도를 비교한다.

(2) 실

① 꼬임이 강한 실로 짠 옷감 : 표면이 까슬까슬하고 시원함-여름철 옷감

② 꼬임이 적은 실로 짠 옷감 : 부드럽고 폭신함-겨울철 옷감

→ 섬유의 특징, 겹치는 가닥 수, 꼬임에 따라 실의 특성이 결정됨을 이해하게 한다.

(3) 옷감의 종류

① 직물 : 날실과 씨실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옷감. 날실과 씨실이 교차하는 방법을 직물의 조직이라고 함

·평직 : 날실과 씨실이 한 올씩 교차하여 짜여진 옷감으로 조직점이 많아 튼튼하며 빳빳하고 구김이 잘 생긴다.

- 옷감 : 광목, 옥스퍼드, 모시, 모슬린 등

·능직 : 날실과 씨실이 2올 이상씩 건너서 교차하여 짜여진 옷감으로 교차점이 사선을 나타내며 매끄럽고 광택이 좋으며 구김이 덜 생긴다.

- 옷감 : 개버딘, 데님, 서지 등

→ 직물은 날실과 씨실의 교차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편성물(메리야스직) : 한 올의 실로 코를 연속적으로 만들어 짠 옷감

·장점 : 조직점이 없어 부드럽고 신축이 크며, 구김이 생기지 않아 세탁 후 다림질이 필요 없음

·단점 : 올이 치이거나 풀리기 쉽고, 마찰에 약함

·용도 : 내의, 스웨터, 양말, 운동복 등

→ 편성물은 부드럽고 신축성이 크며, 가볍고 보온성이 크며 다림질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 의복의 정리

① 정리 : 단추나 지퍼는 채워서 정리

·옷걸이 : 겉옷이나 구김이 잘 생기는 옷. 칼라 어깨가 구겨지지 않게 주의

·서랍 : 눌리기 쉬운 옷은 위에 두도록 함

→ 옷을 벗을 때는 함부로 벗지 않도록 지도한다.

→ 세탁할 옷은 세탁감통에 스스로 넣도록 한다.

→ 한번 입었던 옷은 옷걸이에 걸거나 잘 개켜서 보관하게 한다.

② 보관

·충해 방지 : 특히 동물성 섬유가 심하며, 보관 전 의복을 충분히 건조시키고 흡습·제습제와 방충제(장뇌, 나프탈렌 등)를 함께 보관

·곰팡이 방지 : 땀, 먼지, 풀기, 비눗기 등의 오염을 완전히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밀폐 용기에 흡습·제습제와 함께 낮은 온도에서 보관

·거풍 : 장마철이 지난 후, 건조하고 맑게 개인 날 오전 10시에서 오후 2∼3시 사이에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의복을 널어 바람을 쏘이게 하는 것

→ 철지난 옷을 보관할 경우 방충제나 방습제와 함께 보관하도록 한다.

→ 수납의 원리를 이해시켜 잘 입는 옷과 그렇지 않는 것을 구분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 해보기

→ 문제점과 예상되는 결과, 개선점을 연계하여 설명한다.

→ 자신의 잘못된 경험을 토대로 의복을 함부로 다루는 일이 없도록 지도한다.

4. 반바지 만들기와 수선하기

⸡ 반바지 만들기

(1) 디자인과 옷감의 선택

만들기 쉽고 활동하기 편리한 디자인으로, 튼튼하고 관리가 편하며 값이 싼 옷감을 선택한다.

→ 무릎 아래서 또는 무릎 위선 길이가 되는 반바지를 만들기로 한다.

→ 튼튼하고 물세탁 가능하며 다림질이 필요 없는 옷감이어야 한다.

→ 가지고 있는 옷과 조화를 고려하여 색을 선택한다.

(2) 치수 재기

① 도구 : 줄자, 고무줄, 기록용 도구

② 치수 재는 방법

·재이는 사람 : 시선을 눈 높이로 하고 팔을 가지런히 내린 채 바른 자세로 선 다음 허리 둘레선에 고무줄을 맨다

·재는 사람 : 줄자의 '0'을 왼손으로 잡고 치수를 잰 다음 눈금을 읽는다. 줄자가 수평이나 수직이 되도록 하고 너무 팽팽하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보조자 : 재는 방법이 잘 되고 있는 지 옆에서 살펴보면서 치수를 기록한다.

③ 치수 재기

·허리 둘레 (W): 허리의 가장 가는 부위를 수평으로 돌려 잰다

·엉덩이 둘레 (H): 엉덩이의 가장 굵은 곳을 수평으로 돌려 잰다.

·바지 길이 : 허리선에서 원하는 바지 길이를 옆에서 잰다.

·밑위 길이 : 의자에 바르게 앉아 허리선에서 의자 바닥까지 옆에서 잰다.

→ 옷 만들기에서 치수재기가 중요함을 강조한다.

(3) 옷본의 선택

→ 자신의 허리 둘레 치수와 유사한 사이즈 패턴을 선택하여 반바지를 만들도록 한다.

⼗ 해보기

→ 옷본의 앞 뒤 중심선이 곡선인 이유와 뒤 중심선이 더 긴 이유를 생각해 본다.

(4) 필요한 옷감과 도구 준비하기

① 필요한 옷감(140㎝ 폭인 경우) : 바지 길이+시접(20㎝ 정도)

→ 옷감의 날실 방향(식서 ↔)과 안팎을 구별한다.

② 그 밖의 도구 : 고무줄 70㎝ 정도, 재봉틀 바느질 실(60수 정도, 면사 또는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 시침핀과 핀꽂이, 재단 가위, 송곳, 초크, 다리미와 다리미대, 분무기, 방안자 등

→ 도구의 명칭과 용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5) 마름질하기

① 옷본 배치 : 옷감 반으로 접기→옷감에 기준선 긋기(바지 옆선에서 밑까지의 치수 + 3㎝ 정도의 여분을 더한 치수만큼의 위치)→핀으로 옷본 끼우기 (기준선에 바지 옆선을 맞추어 움직이지 않도록 핀으로 고정)→초크로 옷본 따라 그리기(방안자를 이용하여 시접 분량 표시)→주머니 그리기

② 시접 분량 : 허리선·부리단·주머니 입단 - 3㎝

앞 중심선, 뒤 중심선, 배래 등 - 1㎝

→ 마름질 도구를 바르게 사용하면서 옷본을 배치하고 초크로 완성선과 시접선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③ 자르고 표시하기 : 시접선 따라 자르기→허리선과 부리 자르기(단 분량을 접어 놓고 자른 후 뒤쪽에도 표시)→주머니 표시하기(송곳으로 위치 표시 후 초크로 십자 표시)→마름질 완성하기

→ 재단용 가위를 바르게 사용하여 옷감을 자르도록 한다.

→ 주머니를 표시하기 위해 송곳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6) 바느질

→ 재봉틀을 다룰 때 항상 조심해서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① 시접 처리 : 시접은 지그재그 재봉틀이나 오버록 재봉틀로 올풀림 방지한다.

→ 미리 옷감을 오버록 재봉틀로 올풀림 방지를 해오게 하거나, 재봉틀 중 지그재그 바느질이 되는 것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게 한다.

② 주머니 만들어 달기 : 주머니 입단 접어 다림질하기→주머니 둘레 시접 접어 다림질하기→입단 박기→바지의 주머니 위치에 핀으로 고정 후 박기

→ 주머니를 만들어 반바지 뒤에 달도록 한다.

③ 앞 뒤 중심선 박기 : 옷감 두 겹 잘 맞춰 앞 중심선과 뒤 중심선 두 번씩 박기

→ 반바지를 입는 경우 가장 잘 뜯어지는 부분이므로 두 번씩 박도록 한다.

④ 가랑이 안솔기 박기 : 양쪽 가랑이 안 솔기 이어 박기

→ 앞 뒤 중심선의 시접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여 가랑이 안솔기를 박는다.

⑤ 부리 단하기 : 부리 시접 1㎝ 접어 다리고 다시 2㎝ 접어 다린 후 박기

→ 안솔기의 시접은 각각 바지의 뒤를 향하게 하여 바지 가랑이 안쪽부터 단을 박는다.

⑥ 허리 단하기 : 부리단과 같이 시접 접은 후 앞쪽에 2㎝ 정도 남기고 박기(시작과 끝은 돌려 박기)→단 위쪽에 0.2㎝ 위치에 장식 박기

→ 앞 뒤 중심선의 시접 방향에 주의하여 허리 단을 완성하도록 한다.

→ 고무줄 끼울 위치에 주의하여 바느질하도록 한다.

⑦ 고무줄 끼우기 : 안전핀으로 고무줄 끼우고 양쪽 끝 1㎝정도 겹쳐 박기

⑧ 마무리하기 : 실밥 정리 및 고무줄 고르게 배치하기

→ 고무줄을 끼우고 난 후 끊어지지 않도록 두 번 이상 겹쳐 꿰매도록 한다.

(7) 평가하기

① 완성된 바지 입고 거울 앞에서 전체적인 모양 평가

② 각 부분 계획과 비교하여 평가

③ 걷기, 의자에 앉기 등 움직임을 통하여 편안한지 평가

→ 계획했던 반바지가 완성되었는지 직접 입어봐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전체적인 모습이나 행동에 편안한지 살핀다.

⼗ 해보기

→ 입지 않는 옷의 옷감으로 새로운 것을 계획하여 본다.

⸢ 바지 수선하기

(1) 길이가 짧아진 바지 덧단 붙이기

① 바지 단 뜯기 : 바지 단과 안 솔기를 약 10㎝ 정도 뜯고 다림질 해놓기

② 덧단 마름질하기 : 2장

가로 : (바지부리 너비×2)+시접 3㎝

세로 : (덧단 너비×2)+시접+(내는 길이×2)

③ 덧단 시접 접어 다리기

→ 날실 방향에 주의하여 마름질 할 수 있도록 한다.

→ 덧단 감의 안팎을 주의하여 마름질한다.

④ 바지 단에 덧단 붙이기 : 바지 겉쪽에 덧단의 겉을 마주 겹쳐 놓고 바지 단 박기

→ 덧단 감의 안팎에 주의하여 바지 단에 붙이도록 한다.

⑤ 바지와 덧단의 안 솔기 이어 박기 : 바지를 뒤집어서 뜯어 놓은 안 솔기부터 덧단 끝까지 박기

→ 바지 통의 크기가 줄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덧단 너비 반으로 접기 : 덧단 너비의 반을 접어 시접을 안으로 접고 단 박은 선에 시침하기

→ 시침핀은 완성선에 수직 방향이 되도록 꽂는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적어도  출판사정도는 가르켜주셔야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간단한 기계와 기계 요소

1. 자전거의 구조와 작동

(1) 기계의 구성과 종류

① 기계의 구성

㉠ 동력을 받아들이는 부분 

㉡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

㉢ 동력을 이용하여 일을 하는 부분

㉣ 각 부분을 고정, 지탱하는 부분

기계의 기본 구성 요소 : 지렛대, 수레바퀴, 도르래, 빗면, 나사

③ 기계의 종류 : 동력 기계, 작업 기계

(2) 자전거의 구조

① 차체 부분 : 포크, 파이프 등

② 동력 전달 부분 : 페달, 크랭크, 스프로킷, 체인 등

③ 제동 부분 : 브레이크, 브레이크 레버 등

④ 조향 부분 : 핸들, 핸들 포스트, 손잡이 등

⑤ 차륜 부분 : 바퀴, 스포크, 림 등

⑥ 기타 부분 : 경음기, 안장, 짐받이, 반사재 등


(3) 동력의 전달과 제동

① 동력 전달 과정 : 페달 → 크랭크 → 크랭크축 → 큰 스프로킷 → 체인 → 작은 스프로킷 → 뒤허브 → 뒷바퀴

② 제동 과정 : 브레이크 레버 → 와이어 → 앞/ 뒤 브레이크 → 앞 / 뒷바퀴


2. 자전거의 기계 요소

(1) 자전거를 구성하는 기계 요소

① 차체 부분 : 나사, 볼트, 너트 등 → 핸들, 안장, 허브 등을 조립

②행어 부분 : 크랭크, 크랭크축, 볼 베어링 → 파이프, 체인 지지대 등을 연결

③ 허브 부분 : 축과 볼 베어링이 있다.

④전동 부분 : 크랭크축, 큰 스프로킷, 체인, 작은 스프로킷, 뒤허브 등

⑤기타 부분 : 코일 스프링 → 안장 밑에 설치, 브레이크 → 바퀴에 장착

(2) 기계 요소의 뜻과 분류

① 기계 요소 : 여러 가지 기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계 부품

② 기계 요소의 분류

구분

기계 요소

결합용 기계 요소

축용 기계 요소

전동용 기계 요소

관용 기계 요소

기타 기계 요소

 나사, 볼트, 너트, 핀, 키, 리벳 등

 축, 베어링, 클러치, 커플링 등

 마찰차, 기어, 캠, 링크, 풀리, 체인, 로프 등

 파이프, 파이프 이음, 밸브 등

 스프링, 브레이크 등

3. 결합용 기계 요소

(1) 나사

① 나사의 원리 : 나사선에 따라 일정한 단면의 홈을 만든 것

② 피치와 리드

㉠ 피치 : 나사산(골)에서 바로 그 다음 나사산(골)까지의 거리

㉡ 리드 : 나사가 한 바퀴 돌 때 축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

나사의 크기 : 수나사의 바깥지름으로 나타내며, 호칭 치수라 한다.

나사의 규격화 : 나사산의 모양, 지름, 피치 등을 한국 산업 규격으로 정해 놓고 있다.

⑤ 볼트와 너트

㉠ 볼트 : 머리 달린 둥근 막대의 바깥 표면에 수나사로 깎은 것

㉡ 너트 : 두꺼운 강편의 안쪽에 암나사로 깎은 것

⑥ 나사의 종류

㉠ 나사 위치에 따라 

  - 수나사 : 둥근 막대의 바깥둘레에 나사산이 있는 나사

  - 암나사 : 원통의 안쪽둘레에 나사산이 있는 나사

㉡ 죔 방향에 따라 

  - 오른 나사 : 오른쪽으로 돌렸을 때 죄어짐

  - 왼나사 : 왼쪽으로 돌렸을 때 죄어짐

㉢ 나사산 줄 수에 따라

  - 한줄나사 : 1 개의 나사산 줄을 가지는 나사

  - 다줄나사 : 2 개 이상의 나사산 줄을 가지는 나사


(2) 핀과 키

① 핀 : 큰 힘이 걸리지 않는 부품을 고정하거나,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데 쓰인다.

㉠ 평행 핀

㉡ 테이퍼 핀

㉢ 분할 핀

② 키 : 기어, 벨트 풀리, 핸들 등의 회전체를 축에 고정시켜 미끄럼 없이 회전을 전달시킬 때에 사용한다.

㉠ 키의 설치 : 축에는 키 홈을 만들고, 회전체에는 키 자리를 마련한다.

㉡ 키의 종류 : 안장 키, 평 키, 묻힘 키, 평행 키, 테이퍼 키 등

 

 

 


      

           ▲ 핀의 종류               ▲ 키의 구조


4. 축용 및 관용 기계 요소

(1) 축용 기계 요소

①축 : 기계에서 회전 운동으로 동력을 전달시키는 회전체의 중심 막대로서, 기어․벨트 풀리․스프로킷 등을 끼워 회전시킨다.

㉠ 차축         ㉡ 전동축          ㉢ 크랭크축

② 축이음 : 축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기계 요소이다.

㉠ 커플링       ㉡ 클러치

베어링 : 축을 받쳐 주는 기계 요소로, 축이 회전할 때 마찰 저항을 적게 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 미끄럼 베어링

 

㉡ 구름 베어링

  축과 베어링 사이에 볼이나 롤러를 넣어 구름 접촉을 하는 베어링으로, 롤러 베어링은 볼 베어링보다 접촉면이 넓어서 마찰이 크다.


(2) 관용 기계 요소

①관 : 구조물의 부재로도 쓰이나, 주로 유체를 수송하는 통로로 쓰인다.

․종류 : 강관, 주철관, 구리관, 고무관, 합성 수지관, 콘크리트관 등

②관이음 재료 : 관을 이어 길이를 길게 하거나, 관의 방향을 바꿀 때 쓰인다.

․종류 : 엘보, 티, 크로스, 유니언, 와이(Y), 암수 소켓 등

③밸브 : 관 속에 흐르는 유체의 양이나 압력 및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는 데 쓰인다.

․종류 : 스톱 밸브(글로브 밸브, 앵글 밸브), 단속 밸브, 체크 밸브, 콕 등


5. 그 밖의 기계 요소

(1) 스프링

물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에너지를 축적하는 기계 요소이다.

① 모양에 따른 종류

㉠ 코일 스프링(인장, 압축, 비틀림 스프링)

㉡ 판 스프링

㉢ 태엽 스프링

②재료에 따른 종류 : 금속 스프링, 비금속 스프링(고무, 플라스틱, 유체 스프링)

(2)브레이크

기계의 운동 에너지를 마찰력에 의하여 그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게 하는 기계 요소이다.

① 마찰 브레이크

㉠ 띠 브레이크      ㉡ 블록 브레이크     ㉢ 원판 브레이크

② 전자 브레이크 :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서 제동


6. 자전거의 점검과 정비

(1) 자전거의 점검

①작업 전 점검 방법 : 눈으로 이상 유무 확인, 각 부의 고정 상태 확인, 소리나 작동 상태 확인

② 점검 사항

㉠ 핸들 부분 : 핸들의 높이와 방향, 나사의 풀림 등

㉡ 안장 부분 : 안장의 높이 등

㉢ 브레이크 부분 : 브레이크의 제동 상태

㉣ 바퀴 부분 : 타이어의 공기압 및 파손 여부

㉤ 동력 전달 부분 : 체인의 장력, 페달 나사의 조임 상태 등

㉥ 기타 부분 : 전조등의 점등 및 고정 상태

(2) 자전거의 정비 및 급유

① 핸들 부분

㉠ 핸들의 높이 : 나사와 높이 조절 너트를 풀어서 조정한다.

㉡ 핸들의 방향 : 핸들 바와 자전거의 방향을 일치시킨다.

② 안장의 높이 : 안장에 앉았을 때 양 발 끝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조정한다.

③ 브레이크 부분

㉠ 브레이크의 간극 : 블록과 림의 간격을 1~2㎜ 정도로 조정한다.

㉡ 브레이크의 작동 :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볼트와 너트를 죈다.

④ 바퀴 부분

㉠ 타이어의 공기압 : 승차 시 타이어와 지면과의 접촉 길이가 5~10cm가 되면 적당하다.

㉡ 바퀴살의 장력 : 늘어진 바퀴살은 림의 고장을 잡아가며 늘린다.

⑤체인의 장력 : 체인의 중앙부를 위 아래로 눌렀을 때의 차가 10~20mm 정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⑥ 기타 부분

㉠ 전조등 : 빛무리가 10m 전방에서 형성되도록 한다.

㉡ 경보벨 : 소리가 30m 밖에서도 들릴 수 있도록 뚜껑과 대 사이를 조정한다.

(3) 정비용 공구

①일반 공구 : 드라이버, 플라이어, 플라스틱 해머, 조정 렌치, 양구 렌치, 박스 렌치 등

②전용 공구 : 니플 돌리개, 프리 휠 돌리개, 페달 돌리개, 세갈래 렌치, 페달용 스패너, 체인 죔 박스 렌치


7. 회전 운동 전달 장치

(1) 마찰자 전동

두 개의 바퀴를 직접 접촉시켜, 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두 축 사이에 동력을 전달한다.

① 용도 : 두 축 사이의 동력을 자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쓰인다.

② 마찰차 표면 : 고무, 가죽, 섬유 등을 붙여서 사용한다.

③ 종류

평 마찰차                 ㉡ 원판 마찰차

㉢원추 마찰차              ㉣ V홈 마찰차

④ 마찰차 전동의 이용 : 자전거의 발전기, 재봉틀의 북실감기 등

(2) 기어 전동

원통의 둘레에 이를 만들어 놓은 한 쌍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동력을 전달한다.

② 용도

㉠ 두 축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쓰인다.

㉡정확한 속도비를 얻을 수 있어 전동 장치, 변속 장치 등에 널리 쓰인다.

③기어 전동의 이용 : 시계, 자동차, 핸드 드릴, 공작 기계, 내연 기관 등

(3) 체인 전동

체인을 스프로킷의 이에 하나씩 물리게 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① 특징

㉠ 미끄럼이 없고, 큰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기 쉬워 고속 회전이나 정숙 운전에는 부적합하다.

②용도 : 두 축 사이의 거리가 멀고, 확실한 동력 전달이 필요한 곳에 쓰인다.

③체인의 종류 : 롤러 체인과 사일런트 체인 등이 있다.

④체인 전동의 이용 : 자전거, 오토바이, 농업 기계 등의 동력 전달 장치 등

(4) 벨트 전동

벨트와 벨트 풀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①특징 : 미끄럼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회전비를 필요로 하는 동력이나 큰 동력의 전달에는  적합하지 않다.

② 벨트를 거는 방법 : ㉠ 바로걸기     ㉡엇걸기

③ 벨트의 종류 : 평벨트, V벨트 등

④벨트 전동의 이용 : 세탁기, 재봉틀, 탁상 드릴링 머신, 자동차의 냉각팬 등의 전동 장치

(5) 로프 전동

   풀리의 링에 로프를 걸어감아 힘과 운동을 전달한다.

① 특징 : 큰 동력을 전달하는 곳과 고속 회전에 적합하다.

② 용도 : 두 축 사이가 멀 때 사용한다.

③ 로프의 재질 : 와이어, 가죽, 섬유 등

④ 로프 전동의 이용 : 케이블카, 엘리베이터, 크레인 등

8. 운동 변화 장치

(1) 전동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이나 요동 운동 등으로 바꾸어 전달한다.

① 캠의 종류

㉠ 평면 캠 : 접촉 부분이 평면 운동. 판 캠, 직동 캠 등

㉡ 입체 캠 : 접촉 부분이 입체적 운동. 원통 캠, 구면 캠 등

② 캠 전동의 이용 : 장난감, 재봉틀, 방직기, 내연 기관 등

(2)링크 장치

몇 개의 가늘고 긴 막대를 핀으로 결합시킨 기계 요소로, 원동절의 일정한 운동을 거쳐 종동절이 다른 운동을 한다.

① 링크 장치의 종류 : 3절 링크, 4절 링크, 5절 링크 등

② 링크 장치의 이용

㉠ 자전거            ㉡ 발재봉틀          ㉢ 내연 기관


 운동 물체 만들기

1. 운동 물체의 구상과 설계

(1) 운동 물체의 이해

①운동 물체와 에너지 : 운동 물체는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일정한 운동을 한다.

②운동 물체의 운동 : 회전 운동, 직선 왕복 운동, 흔들이 운동 등을 한다.

③기구의 종류 : 직선 운동 기구, 왕복 운동 기구, 회전 운동 기구, 진자 운동 기구 등

(2) 운동 물체의 구상

① 구상 : 설계하기 전에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모양과 크기, 구조, 재료 등을 머리 속에 생각하는 과정

② 제품 구상 시 고려할 사항 : 기능성과 구조, 재료, 심미성, 경제성, 창의성 등

③ 구상과 설계 과정 : 모형의 선택 → 전동 장치의 결정 → 동력의 결정 → 구상도와 제작도 그리기 → 재료 선정, 가공 방법 등의 결정

(3) 구상도와 제작도 그리기

① 구상도 그리기 : 등각 투상도나 사투상도로 그린다.

②제작도 그리기 : 제 3각법에 의한 정투상도로 그리며, 도면과 함께 시방서, 표제란, 겨냥도 등을 나타낸다.

2. 운동 물체 만들기의 실제

(1) 작업의 준비

①부품도 그리기           ②재료표 작성

③공구 준비               ④공정표 작성

⑤작업 순서 : 작업 준비 → 마름질하기 → 가공하기 → 조립하기 → 검사하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대기권 


(1) 대기권은 지표를 둘러싸고 있는 약 1000km 두께의 공기층이다.


(2) 대기권의 분포 : 전체 대기의 약 99% 가 고도 약 32km이내에 분포한다..


(위로 올라갈수록 중력이 약해지므로 공기가 희박하다.)



2.대기권의 구조


∴분류기준 :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




3.대기권의 높이,기온,특징


→대류권(0KM ~ 10KM) 올라갈수록 기온이 내려감,  대류현상과 기상현상일어남



→성층권(10KM ~ 50KM) 올라갈수록 기온이 올라감,오존층이자외선을 흡수하고 비행기항로로이용됨


→중간권(50KM ~ 80KM) 올라갈수록 기온이 내려감, 대류현상은 일어나지만 수증기가 거의없기 때문에 기상현상은 일어나지않음 , 기온이 가장낮은구간



→열권 (80KM ~) 오로라가 일어남 , 밤낮기온차가 큼 ,


 

-----------지구의 내부-----------



1.지진  

① 지구 내부의 진동이 지표에 전달되어 땅이 흔들리는 현상


② 진원 : 지진파가 발생한 지구 내부의 지점


③ 진앙 : 진원에서 가장 가까운 지표면의 지점




2.지진파


(1) 지구 내부의 조사 방법


①직접적인 방법 : 시추법 , 화산 분출물 분석


②간접적인 방법 : 지구 내부를 통과한 지진파의 분석


(2) 지진파



①지진파 : 지진이 발생할 때 땅의 흔들림이 사방으로 전파되는 파동


②지진파의 종류



3.구분,속도, 통과물질



→P파(종파)= 빠르다(7~8km/s)= 모든물질을통과함(기체,고체,액체)


→S파(횡파)= 느리다(3~4km/s)= 고체만통과함



진동 방향


→P파(종파) = 진행 방향과 평행


→S파(횡파) = 진행 방향과 수직


진동폭 , 피해정도


→P파(종파) = 작다 = 작다


→S파(횡파) = 크다 = 크다




지진파요약!!


P파는 수직으로나가는 종파이기 때문에 진동폭이 작고 진동폭이 작으니 피해정도도 작다


S파는 횡파로 진동폭이 크니 피해전도도 크다.





-------- 지진 내부의 층상 구조 ----------




1. 지각


·암석으로 되어 있는 지구의 겉부분


·대륙 지각과 해양지각으로 구성


① 대륙지각


·대륙 아래의 지각


·화강암질 암석


·두께 : 약 35km


② 해양지각


·바다 아래의 지각


·현무암질 암석


·두께 : 약 5km


·밀도 비교 : 해양지각 > 대륙지각


③ 모호로비치치불연속면(모호면)


·지각과 맨틀의 경계면


·지진파의 속도가 갑자기 빨라짐


2.맨틀


①모호면부터 지하 약2900km 까지의 고체 상태의 암석층


②지구 내부 부피의 약 80%를 차지


③지각보다 무거운 암석으로 구성 (감람암질 암석)


3. 핵


①외핵


·지하 약 2900km~5100km까리


·S파가 통과하지 못함 → 액체 상태로 추정


②내핵


·지하 약 5100km 에서 지구 중심까지


·P파의 속력이 갑자기 증가 →고체 상태로 추정

중간고사 기술가정요점정리좀 ㅠㅠ 40...

기계의이해<---기술 가정은 앞쪽 옷에 대한곳인데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내공40검 어디사이트가라고 하지말고 올려주세요 기술<--중요합니다 1. 의복과 생활 : 우리들의 생활과...

중1 중간고사 요점정리@@@@@내공 40

ㅠㅠ 중1 중간고사 요점정리좀요 내공40검 과학] 대기권의 구조 1. 대기권 (1) 지구의... (세상에서 가장 천하고 악한 도둑질도 기술보다 스스로의 지혜가 있어야 하듯이 학문...

중학교2학년중간고사요점정리내공100검!!!

제가 요점정리를 잘못해서그러는데9과목요점정리좀해주세요 국어:1,2단원,생활국어2-1 3단원 수학:134~186쪽 사회:사회80~115쪽 국사:79~96 영어:7,8과 기술.가정:기술:106~123,143...

중1기말고사기술가정 요점정리

... ㅜㅜ 중간고사 성적도 형편없는데다가 기말고사까지... 기말고사 기술가정요점정리좀 해주세요 ㅠㅠㅠ 내공!... 100∼40 18∼15 10∼8 10∼5 2 혈액의 순환 1. 체순환 좌심실에서...

6학년 2학기 중간고사 요점정리좀요.....

... 그래서 6학년 2학기 중간고사 요점정리를 부탁드리려고...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물론 내공 걸었습니다. 사회랑... - 우주선 : 과학 기술의 발달로 우주 여행이 가능해졌다....

중3 2학기 중간고사 40점......

... 이번 중간고사에서 수학 50, 영어 40, 역사 70, 사회 60, 과학 60 국어 60 정도 맞았는데요... 제가 2학년 때는 진짜... 있을까요...?ㅠㅠ 그럴려면 공부시간을 얼마만큼해야하고...

중학교2학년중간고사

안녕하세요 전중2학년입니다 5월2일이중간고사시작인데... 평균90점넘을수잇을까요ㅠㅠ 수학,영어,과학은... 저는 2학년 기술가정 상당히 힘들었습니다. 플라스틱부터 금속...

2학년2학기 도덕 정리좀요!(중간고사)

... 2학년 2학기 도덕 정리좀 부탁드려요`~ 빨리좀요ㅠㅠ... 새로운 기술 개발과 생산 투자 ③ 올바른 제도의 운영과... 업적 40) ① 과학적 지식과 재능을 발휘 : 한강의...

중2 중간고사 대비 방법좀 내공40검...

... 2006에 맞아서 4월 후반쯤에 중간고사 시험을봅니다. 이번에 저 성적못올리면... 있도록 정리해 두세요. 지금 1-2학년이라면 복수전공, 부전공 선택하거나 가산점을 미리미리...

2학년 2학기 중간고사(아편전쟁~제 1차...

저는 현재 오륜중 2학년 입니다. 저희 셤범위가 아편전쟁... 근대 기술 수용, 부국강병 개혁 추진 중심인물... 죄송해요 ㅠㅠ 시간이 없어서 이렇게 정리 해드릴게요 정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