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분이름과 벌레 방제 방법 부탁드립니다

화분이름과 벌레 방제 방법 부탁드립니다

작성일 2016.06.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회사내에서 화분을 키우고있습니다.


제가 직접산 화분이 아니라 이 식물의 이름을 모르겠습니다. 두가지가 같이 심어진건가요?

회사 높으신분 취임식에 들어온화분이고 죽이면 안된다고해서 물관리를 하고있었습니다.


임원실에 놓여있어서 환기를 자주못하고있어서 저런 벌레...애벌레(?)같은게 생기는것으로 보이고

제가 식물이르을 모르니....물도 좀 많이 자주 주고있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나무에 저렇게 솜털이 생긴지 1주조금넘은것 같습니다 지금 식물상태가 많이 안좋은건가요?



저런 솜털같은게 생긴거면 솜깍지벌레가 맞나요? 임원실에 있다보니 방제하기가 자유롭지 못한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살충제같은거 뿌리면 금방사라지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솜깍지벌레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건조와 통풍이 부족할 경우 잘 발생되는 개각충, 솜깍지벌레, 응애 등 병충해를 조심하세요.

이녀석들은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지만 새순이나 식물의 겨드랑이 같은 곳이나 잎의 뒷면에서 즙을 빨아 먹는 나쁜놈들입니다.

빨리 다른 식물과 격리하시기 바랍니다.

겨울철에는 건조로 인해 공중습도의 유지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 정도 공중습도가 유지 되도록 잎에 자주 가벼운 분무를 부탁합니다.

병충해의 예방에도 다소 도움이 됩니다.

병충해를 입으면 잎의 색깔이 변하거나 잎의 모양이 좋지를 않고 말라서 떨어지기도 합니다.

병충해를 입었을 경우는 살충제를 구입하여 주위에 있던 식물과 함께 방제하셔야 합니다.

화원에서 농약상에서 농약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상책이라고 봅니다. 

그렇지 않다면 하나하나 젖은 면봉이나 젖은 거즈 등으로 일일이 닦아 주어야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번져 수작업으로 제거하기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면

아래에 링크한 곳에 원하시는 좋은 정보가 한꺼번에 다 들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peltateandperson/360889

만약 농약이 싫어 사용을 하시지 않으시겠다면 집에서 난황유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난황유 만드는 방법은 참고하세요.

http://blog.naver.com/myy1214/220498889230


몇차례 방제후 분갈이하시길 권합니다.

분갈이 요령과 마사토 사용요령 올려 드립니다.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ocId=495439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ocId=515185 



자라는 환경이 서로 다르므로 되도록 따로 기르시기 바랍니다.


능소화과의 녹보수(Radermachera sinica) 입니다.

시중에는 해피트리, 행복나무, 행복수, 미니해피트리, 녹보수, 부귀수, 황산풍 등으로

혼동되어 유통되고 있습니다.

원산지는 중국의 남부지방을 비롯해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고 합니다.

화원에서 해피트리, 신종해피트리, 미니해피트리, 녹보수라 혼동하여 부르고 있습니다.

녹보수는 잎의 크기에 따라 소형은 중국명으로 채두수(Radermachera sinica),

큰 잎을 가진 녹보수를 해남채두수(Radermachera hainanensis) 라고 합니다.

녹보수는 Emerald Tree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녹색의 보석 같은 식물이라하여 녹색보석나무=녹보수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옅은 노란색의 꽃이 핍니다.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jum&ie=utf8&query=%EB%85%B9%EB%B3%B4%EC%88%98%EA%BD%83

https://www.google.co.kr/search?newwindow=1&q=%EB%85%B9%EB%B3%B4%EC%88%98%EA%BD%83&bav=on.2,or.&bvm=bv.53899372,d.dGI,pv.xjs.s.en_US.E_HR746bqA4.O&biw=1920&bih=855&dpr=1&wrapid=tlif138153735376511&um=1&ie=UTF-8&hl=ko&tbm=isch&source=og&sa=N&tab=wi&ei=ypVYUqv3NIfdkgWI4oCADw

따가운 직사광을 받으면 잎이 타기 때문에 간접광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햇빛이 직접 닿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밝은 곳에서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의 경우 유리창을 통해 들어 오는 햇빛은 좋습니다.

물은 화분의 흙이 완전히 말랐을 때 주십시오.

한번 줄때 화분 아래로 물이 흘러 내릴정도로 흠뻑 주어 갈증에 시달리지 않도록 하세요.

수돗물은 실내에 하루정도 받아 두었다가 잔류된 염소성분이 날아가고

식물이 자라고 있는 온도와 비슷해지면 사용하세요.

겨울철에 찬물을 그대로 주면 엽온과의 불균형으로 잎이 누렇게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이 필요하면 물달라고 잎을 축 늘어 뜨리고 있어서 금방 알수 있답니다.

잎이 축 처질때 바로 물주기를 하시면 됩니다.

되도록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시고 잎이 완전히 축 처지기 전에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략적인 물주기는 한여름의 경우에는 일주일~열흘에 한번 정도로 흠뻑 주시고

겨울철에는 보름 정도에 한번씩 주시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물주기는 화분의 재질과 크기, 식물의 크기와 밀도, 흙의 배합상태, 배수상태, 일조량,

통풍정도, 온습도 등에 따라 다소 빨라지거나 늦어질수 있으므로

위에서 말씀드린 물주는 날짜는 참고사항으로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물주기 기간에 대한 정해진 법칙이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그러므로 날짜를 정해 놓고 물주기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물주기가 잘 되었다 하더라도 화분의 물빠짐이 좋지 못하고 통풍이 좋지 않으면 과습으로 이어집니다.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시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날의 낮에는 자주 창문을 열어 주어 통풍시켜 주세요.

물주기만큼 통풍도 참 중요합니다.

겨울철에는 특히 더 건조하므로 가끔씩 잎에 분무하여 건조하지 않게 해 주세요.

동해(凍害), 냉해(冷害)를 입지 않도록 겨울철에는 10℃ 이상으로 관리해 주세요.

영양제, 비료는 겨울철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매일 잎에는 가벼운 분무를 부탁합니다.






자금우과 자금우속 상록소관목인 자금우 입니다.

학명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 Marberry

분포지역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유통명  천냥금 

봄~가을 까지는 베란다에서 오전 1~2시간 정도의 햇빛이 약간씩 드는 곳에서 기르세요,

겨울철에는 실내 밝은 곳에서 기르시면 됩니다.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관리하세요. 

여름철에는 강한 직사광을 많이 받으면 잎이 타므로 부분 차광하세요.

물을 좋아하며 화분의 흙이 마르면 물주기를 하시면 됩니다.

화분의 환경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배수가 잘 되는 보통의 경우 겨울철엔 7~10 일에 한번,

여름철엔 3~5 일에 한번 정도 흠뻑 주시면 됩니다. 

자금우는 물을 좋아하는 편이므로 화분의 흙이 완전히 마르기전에 물을 주세요.

물주기는 화분의 재질과 크기, 흙의 배합상태, 화초의 크기와 밀도, 일조량, 통풍정도, 배수 등의

화분의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의 경우 흙이 마르면 흠뻑 주시면 됩니다.

그래도 잘 모르시겠으면 물주기를 한후 평소보다 잎이 처지면 물주기를 하여야 할 적당한 시기입니다. 

물빠짐이 좋아야하며 배수가 잘 되지 않으면 뿌리가 썩어버립니다.

모든 식물은 날짜를 정해 놓고 물주기를하여서는 안되며 흙의 건조상태에 따라 물주기를 하여야합니다.

그래서 물주기는 정해진 법칙이나 공식이 없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화분의 환경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겨울철엔 실내로 들여 관리해 주시고 공중습도를 좋아하므로 잎에는 저녁무렵쯤 분무해 주세요.

개각충 등의 병충해가 생기기 쉬우므로 잎의 뒷면까지 잘 살펴 보세요.

 



뿌리에서 새순이 올라 오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번식을 합니다.



   무성해진 모습입니다. 


벌레 이름과 방제 방법

사진의 벌레 이름과 방제 방법 부탁드립니다. 장미허브를 죄다 뜯어 먹네요 나중에 집 짓고 번데기 되고 그럽니다 나방일종에요..... 발레치는 약 사다가 뿌리는거 말고는 .......

벌레 이름과 대처방법 부탁드립니다

... 만약 자주 유입되어 번식하는 경우는 적극적 으로 약품을 이용하여 방제작업을... com/pestseven777/221492154759 상단 블로그 링크에 바퀴벌레 퇴치법 / 예방법 / 퇴치약품...

벌레 이름이 뭘까용(바로채택!!)

화분 주변 창틀에 이런 벌레가 여러마리 생겼는데 뭘까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질문에 대해서... 톡톡 튀어다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종류가 무척...

토마토 화분 잎에 노란벌레

토마토 화분이 있는데요 잎 뒤에 노란벌레가 많아서요.... 벌레 이름과 제거 방법부탁드립니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유충입니다. 방제 방법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