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메트로와 서울 특별시 도시철도 공사

서울 메트로와 서울 특별시 도시철도 공사

작성일 2006.02.2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서울 메트로(舊 서울 특별시 지하철 공사)하고 서울 특별시 도시철도 공사는 왜 다른 건가요?

 

예를 들어서 서울 메트로같은 경우엔 개찰구(개표기)가 삼발이(?)형으로 되어있고 도시철도공사 같은 경우엔 개찰구가 센서 식으로 되어있고

 

또 지하철을 보면 서울 메트로는 VVVF제어와 뭐 쵸퍼제어(?)하고 둥글이 열차등을 사용 하는 것 같은데

도시철도 공사는 다 VVVF식의 지하철을 사용하더라고요.

그리고 도시철도 공사는 구동음(지하철 올때 오는 소리)이 꽤 씨끄러워요.

 

부산교통공사(舊 부산교통공단)같은 경우에도 서울 메트로처럼 삼발이형식의 개찰구를 사용하고...

인천도시철도공사, 대구도시철도공사, 광주, 대전등은 다 센서식으로 사용하더라고요.

 

이번엔 한국철도공사(舊 철도청)에 대해 질문합니다.

철도청은 달리 좌측통행을 사용하더라고요.

국철 1호선과 분당선으로 알고있는데요.

한국철도공사도 삼발이 형식의 개찰구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은데... 서울역이나 분당선 같은 경우엔 왜 센서식을 사용할까요? KOREA 한국철도공사 같은 회사인데...

 

한국철도공사가 서울 메트로, 도시철도 공사보다 더 빨리 만들어 졌나요?

 

한국철도공사, 서울 메트로, 서울 특별시도시철도공사, 그밖의 부산,대구등등의 개찰구, 지하철의 형식등이 다른 이유는 무엇입니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질문 내용이 많은 만큼, 답변도 길게 작성하게 될 듯 합니다.

 

1.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차이점.

=> 간단하게 말하자면, 시대의 차이(1기 지하철과 2기 지하철)입니다.

 

서울지하철(도시철도)은 크게 1기와 2기로 나눕니다.

1기 지하철은 1 / 2 / 3 / 4호선으로서, 1970년~1980년 대에 건설된 노선들입니다.

2기 지하철은 5 / 6 / 7 / 8호선으로서, 1990년~2000년 대에 건설된 노선들입니다.

 

덧붙여, 3기 지하철인 9 / 10 / 11 / 12호선도 있습니다.

그러나, 9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은 전면 백지화가 이루어져 현재는 9호선만 건설되고 있습니다.

 

1기와 2기의 운영기관도 다릅니다.

서울메트로는 1기 지하철인 1 / 2 / 3 / 4호선을 운영합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2기 지하철인 5 / 6 / 7 / 8호선을 운영합니다.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5 / 6 / 7 / 8호선까지 한꺼번에 운영하려면 상당히 벅찹니다.

따라서, 나머지 노선들의 효율적인 지하철 운영을 위해, 별도의 지하철을 운영하는 기관을 하나 더 세웁니다.

 

서울메트로의 전신인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는 이전에 서울특별시 지하철본부라고 하여, 1호선을 운영을 했다고 합니다.

 

초기 1호선이 서울역-청량리 구간을 서울시에서 직접 건설을 추진하게 됨으로 인해, 서울역-청량리 간을 운영하는 서울지하철이 탄생합니다.

이 때 지하철 건설을 위해 발족된 것이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이며, 흔히 1기 지하철 건설본부라고 합니다.

 

서울지하철건설본부는 1호선(서울역-청량리)을 1974년에 개통시켰으며, 서울시가 순환철도를 만들고자 하는 야심으로 2호선도 1978년에 착공하여, 1984년에 순환선 전구간을 개통시켰습니다. 또한 방사망 노선인 1985년 10월에는 4호선과 3호선을 동시 개통시킵니다.

 

서울지하철의 왠만한 기본 축은 건설되었습니다.

이들 노선의 건설이 완료되면서, 지하철건설본부는 잠정적으로 해체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지하철 수혜 지역에 교통혼잡이 악화지고, 그에 따라 또다시 지하철 건설이 계획됩니다.

 

이 것이 바로 2기 지하철이며,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를 재발족시켰습니다.

이 것이 흔히 2기 지하철 건설본부라고 하며, 현재도 3기 지하철 건설을 위해 존재합니다.

 

보통 2기 지하철은 5 / 6 / 7 / 8호선으로 이야기하지만...

포괄적으로 이야기하자면, 3호선 양재-수서 구간과 2호선 신도림-까치산 구간도 이 무렵에 연장된 구간으로서, 2기 지하철에 포함됩니다(2 / 3호선이므로 서울지하철공사에서 운영).

 

우선 3호선 연장구간이 완공되었으며, 5호선이 1996년 말에 제대로 된 노선을 갖추었으며, 2호선 신도림-까치산 구간도 비슷한 시기에 완공되었습니다.

 

서울시는 또다시 일부 지역의 교통혼잡 때문에 지하철을 더 건설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때 계획된 노선들이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입니다.

이 노선들은, 대부분의 노선들이 2001년 무렵을 완공목표로 두고 건설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IMF로 인해 지하철 건설에도 차질이 생깁니다.

우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은 계획을 전면 백지화로 돌렸고,

그나마 9호선만 일단 보류된 상태로서 향후에 건설하도록 추진되고 있습니다.

 

완공되지 못한 2기 지하철 6, 7, 8호선은 개통시기가 1998년으로 지연되었다가, 잦은 개통시기 지연으로 인해 2000년에 현재와 비슷하게 노선을 갖추게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2. 1기지하철 → 삼발이 / 2기지하철 → 센서

=> 이 것도 역시 건설된 시기의 차이입니다.

 

서울메트로와 부산교통공사 노선의 개찰구(개표기)가 삼발이 모양으로 되어있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및 대구, 인천, 광주, 대전도시철도가 전부 센서식 개찰구입니다.

 

이 것은 바로, 시대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삼발이 형은 개찰구의 봉 비슷한 것을 직접 밀어내야 하는 불편을 주는 반면,

센서식은 밀어내는 불편 없이 카드를 찍거나 표만 넣고 나오면 됩니다.

삼발이 형은 구형이고, 센서식이 한마디로 최신형입니다.

 

서울 1기지하철과 부산지하철(1호선은 1985년 첫 개통)은 한마디로 대부분 70~80년 대에 건설된 노선인 만큼, 구형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 외 1990년 대 이후에 모습을 갖춘 지방지하철들은 90년 대 중기부터 생겨난 노선으로서, 운영 방식은 도시철도공사와 다를 바 없습니다.


3. 차량 상의 차이

=> 1,2,3,4호선은 저항 / Chopper / VVVF 등이...

=> 5,6,7,8호선은 최신형 VVVF 차량이 운행 중입니다.

또한 차량 상의 차이도 말씀해 주셨습니다.

Seoul Metro에 운행되는 차량은 총 세가지입니다(폐차된 차량 제작 연도 기재 안 함).

 

저항제어 : 1호선(1989, 1999, 2004) / 2호선(1986년, 1993년)

Chopper 제어 : 2/3/4호선(1982~1986 / 1989~1995) [4호선에는 현재 없음]

VVVF 인버터 제어 : 4호선(1993~1995) / 1호선(1998~1999 / 2002) / 2호선(2005)

 

5,6,7,8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전부 VVVF 제어입니다.

5호선 : 1995~1997년 차량 도입

6호선 : 1999~2001년 차량 도입

7호선 : 1996년 차량 도입 / 1999~2001년 차량 도입

8호선 : 1996년 차량 도입 / 1999년 차량 도입

 

시대를 본다면, 저항제어는 1970년대(전량 폐차), 1980년 대에 주로 도입되었습니다.

1990년 대 이후에 도입된 차량은 기존 차량 한 편성의 수를 더 늘리기 위해 도입되었을 뿐입니다.

 

Chopper의 경우도 80년 대~90년 대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1990년 대 들어와서는 1기 지하철에 새 전동차가 많이 투입되어 더 이상 투입하기에도 한계가 있고, 90 년대 초기에 VVVF 열차가 4호선에 투입됨으로 인해, 1995년에 전면 단종됩니다.

 

VVVF제어의 경우도 두 부류로 나누는데, GTO와 IGBT 제어 방식으로 나눕니다.

 

GTO는 소음이 시끄럽고, IGBT는 이를 보완한 차량으로 소음이 적은 편이며...

도시철도공사 중 제일 먼저 모습을 갖춘 5호선과 그 무렵 일부 노선만 개통된 7,8호선의 경우, 5호선에는 전부, 7호선에는 일부 차량이, 8호선에는 절반 정도가 GTO차량입니다.

 

6,7,8호선은 나중에 개통된 노선으로서...

6호선은 차량 전부가, 7호선은 상당수의 차량이, 8호선은 절반 정도가 IGBT 차량입니다.

이 들 차량은 앞서 도입된 GTO에 비해 소음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런데에도 지하에서는 시끄러움이 많이 느껴집니다.

지하철은 지하구간에 밀폐된 철도여서, 소음이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크게 들리는 것입니다.


4. 한국철도공사 구간과 서울지하철(도시철도)의 통행방식

한국철도공사에 대해 답변합니다.

 

그 전에 있었던 철도청은 한국의 국가 행정 기관으로서...

한국에 있는 모든 철도를 운영합니다.

 

이 철도들은 대부분 일제시대에 건설된 노선들인데...

일본은 좌측통행 방식을 사용한 만큼, 좌측통행 방식이 그대로 적용되었습니다.

 

1호선의 경우, 세분화 하면 경인선(구로-인천), 경부선(서울역-수원-천안), 경원선(용산-청량리-의정부) 및 중앙선(청량리-의정부) 구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들 철도는 대부분 일제시대에 건설되었으니, 좌측통행을 유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노선들은 통근형 전동차가 다니게 개량하고, 전철화하여 그나마 수도권 전철이 운행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4호선에도 있습니다.

전 구간이 그런 것이 아니고 선바위-오이도 구간만 그런 것입니다.

 

전날 4호선의 상계-사당 구간이 1985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이 구간은 우리나라 도로 등지에서 쓰는 통행방식인 우측통행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반면, 금정-오이도 구간은 1호선으로 건설되었으며, 1호선과의 원활한 직결 운행을 위해 좌측통행 방식으로 건설되었습니다.

 

이 들 노선은 1기 신도시 개발 사업으로, 그에 따른 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평촌신도시와 산본신도시를 연결하는 과천선을 건설하게 되었으며, 4호선과 안산선을 연결하게 됩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우측통행과 좌측통행이 교차하려면, 평면교차(말 그대로 평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열차가 교차하는 것임)나 입체교차(꽈배기 굴 : 꽈배기 형태의 굴이며 이런 형태 굴에는 아리굴[똬리굴]은 잘못된 표현)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평면교차를 할 경우, 향후 수요 증가 되어도 열차 운행량에 제한을 받습니다.

따라서, 꽈배기굴로 건설하게 되는데, 꽈배기 형태가 상당히 굴곡이므로, 건설하기 상당히 힘듭니다. 이 건설로 인해 철도청과 서울시는 천문학 적인 자금이 손실되었습니다.

 

어쨌든 이 공사로 인해 서울시 구간(당고개-남태령)은 우측통행으로, 경기도 구간(선바위-오이도)은 좌측 통행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 외에도 향후 다른 철도와 직결될 예정인 분당선도 좌측통행 방식입니다.


5. 한국철도공사 수도권 전철 노선의 개찰구 형태

 

철도청 노선도 상당수가 1970~1980년 대에 만들어진 노선입니다.

따라서 개찰구는 삼발이 형태입니다.

 

그러나, 최근에 만들어진 노선의 경우는 다릅니다.

2005년에 개통된 수원-천안 2복선 전철 구간을 모든 역은 다 안 가봐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천안역은 확실히 센서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분당선의 수서-오리 구간은 잘 모르겠어도, 선릉-수서 구간은 2003년에 개통된 구간입니다. 이 구간은 최근에 만들어진 구간으로서 신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울역은 아마도 기차 역사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대부분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역들은 역사가 증축으로 인해, 그에 따라 신형 개찰구로 교체되었습니다.


이상 긴 답변 내용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년식의 차이와 예산등의 문제입니다

 

한국철도공사의 전신은 철도청으로.. 역사가 100년이 넘엇죠..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채용 필기 시험으로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영어... 일반상식을 보는곳은 서울메트로 입니다. 도시철도공사와는 다른 회사지요. 서울메트로는...

서울메트로vs서울도시철도공사 차이가???

서울 메트로 서울 도시 철도공사 차이가 뭐예요 서울메트로(구 서울지하철공사)와 서울도시철도서울특별시에서 전액 투자한 시 산하의 공기업입니다. 서울메트로 와...

코레일&서울메트로&한국도시철도공사

... 코레일/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운영 노선들은 질문자님이 알고계신게 맞고요. 코레일 운영노선 하나 더. [수인선]도 있습니다. 9호선 - (주) 서울메트로 - 베올리아...

서울메트로 도시철도공사 운영체제

... 그리하여 1기지하철과 2기 지하철로 불러지는 서울시 운영에서 2개지하철 공사로 구분하여 운영하게 되어서 1~4호선은 서울메트로, 5~8호선은 서울도시철도공사로 명칭을...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코레일

... 남태령~당고개(서울메트로) 5호선 : 전 구간 도시철도공사 6호선 : 전 구간 도시철도공사 7호선 : 전 구간 도시철도공사 8호선 : 전 구간 도시철도공사 9호선 : 전 구간 메트로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