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1호선전체역명좀 가르쳐주세요. 음과 뜻을 꼭 같이요.

지하철1호선전체역명좀 가르쳐주세요. 음과 뜻을 꼭 같이요.

작성일 2004.01.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역번호] 한글역명 영어역명 한문역명
역명 유래 순서입니다(괄호 안은 부역명)

[110] 의정부북부 Uijeongbubukbu 議政府北部
의정부북부역은 정식역이 아닌 임시역으로, 의정부역 내부에 있는 역임

[111] 의정부 Uijeongbu 議政府
각 대신들이 이곳에서 정무를 논의하였다 하여 의정부라는 지명이 생성된데서 유래

[112] 회룡 Hoeryong 回龍
태조가 함흥에서 한양으로 환궁할 때 가마가 화룡사라는 절 부근에 이르러 움직이지 않아, 무학대사가 출원을 드리자 비로소 가마가 움직였으므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회룡사로 개칭함.

[113] 망월사(신흥대학) Mangwolsa(Shinheung College) 望月寺(信興大學)
인근에 하마다 정월 대보름에 만월을 보는 사찰이라 하여 망월사라 붙여진 절이 있어 명명.

[114] 도봉산 Dobongsan 道峰山
큰 바윗길이 산 전체를 이루고 있어 길(道) 봉우리(峰)라 지었다는 설에서 유래.

[115] 도봉 Dobong 道峰
북쪽에 명산인 도봉산이 있어서 지역 이름을 도봉동이라 한데서 유래

[116] 방학 Banghak 放鶴
도봉동에 있는 도봉서원의 창건과 관련하여 조선조 도봉서원을 정하기 위해 도봉산중턱에서 중다리를 내려다보니 학이 평화스럽게 많이 놀고 있어 이곳 방학골이라는 설과, 이곳 지형이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방학골이라는 설과, 곡식찧는 기구인 방아있는곳이라는 의미에서 우리말로 방앗골이라 불렀던 곳이 한자음이 비슷한 방학리로 되었다는 설이 있음.

[117] 창동 Chang-dong 倉洞
본래 이 지역 일대가 넓은 들판으로서, 조선시대에 임금님께 곡식을 진상하던 곡물창고가 있었던데서 유래

[118] 녹천 Nokcheon 鹿川
홍수로 인해 폐허가 된 마을 뒷산에서 사슴이 내려와 마을앞 중랑천에서 목욕을 하고 간 이후부터 농사가 잘 되고 마을 일도 순조로와져 녹천이라 불림

[119] 월계(인덕대학) Wolgye(Induk Institute of Technology) 月溪(仁德大學)
동쪽으로 중랑천이 흐르고 동북쪽에서 서쪽으로 북한산의 지맥이 이어진데다가 지형이 반달처럼 생겨 월계라는 지명이 생성.

[120] 성북(광운대앞) Seongbuk(Kwangwoon Univ.) 城北(光云大)
한양성의 북쪽에 있는 곳이라 하여 유래됨
[121] 석계 Seokgye 石溪
석계역은 석관동(石串洞)과 월계동(月溪洞)의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석관동의 첫글자인 石자와 월계동의 두 번째 글자인 溪자를 조합하여 제정

[122] 신이문 Sinimun 新里門
조선시대때 이문밖으로 도둑이 많아 포졸들의 방범초소를 이문에 설치한 이후로 미운이라는 지명이 됨.

[123] 외대앞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外大
당초 역명은 휘경으로, 휘경동이 인접해있어 부여하였으나 회기역과의 발음 혼동성 문제와 적작 회기역이 위치한 지역이 휘경동으로 승객들에게 지리적 혼란을 가중시켜 인근에 위치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이름을 따옴.

[124] 회기(경희대앞) Hoegi(Kyunghee Univ.) 回其(慶熙大)
산 5번지에 있는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묘소가 있는데에서 유래

[125]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청량 1동에 있는 사찰 청량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일찍부터 도성사람들의 성외피서 및 교외로 나가던 곳이며 이때부터 청량동으로 불리운데서 유래

[126] 제기동 Jegi-dong 祭其洞
조선 6대 왕인 성종이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이 마을에 친경대(親耕臺)를 만들고 왕이 친히 제사를 지냈던 자리라는데서 유래

[127] 신설동 Sinseol-dong 新設洞
조선중기 동부숭신방(성외)에 새로 설치된 마을이므로 신설계라 불렀던데서 유래

[128] 동대문 Dongdaemun 東大門
조선시대 말에 건축된 동대문-동방을 의미하는 "흥인지문"이 본명칭-이 인근에 있어 명명

[129] 종로 5가 Jongno 5(o)-ga 鐘路5街
조선초부터 시전(市廛)이 있던 번화가였으므로 일명 운종가(雲從街)로 칭한 서울의 상업중심가인데서 유래

[130] 종로 3가 Jongno 3(sam)-ga 鐘路3街
조선초부터 시전(市廛)이 있던 번화가였으므로 일명 운종가(雲從街)로 칭한 서울의 상업중심가인데서 유래

[131] 종각 Jonggak 鐘閣
종각(鐘閣)은 조선왕조 500년동안 밤에는 인정(人定), 세벽에는 파루를 쳐서 도성8문을 여닫게 하는 종루(鐘樓)가 있었는데, 보신각 이란 편액(扁額)을 달면서부터 유래

[132] 시청 City Hall 市廳
서울특별시청의 앞에 위치하였다 하여 명명

[133] 서울역 Seoul Station 서울驛
광무4년(1900년)에 남대문역으로 시작한 서울역의 앞에 있다 하여 명명

[134] 남영 Namyeong 南營
조선시대때 남산 밑으로 병영이 있었는데, 그 남쪽 병영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남영이라 했다는데서 유래

[135] 용산 Yongsan 龍山
산세가 용과 같다는 설과, 백제때 두 마리 용이 나타났다는 설에서 유래

[136] 노량진 Noryangjin 鷺梁津
한강이 접하고 있고 옛날에는 수양버들이 많이 우거져있어 각종 조류등이 모여들어 놀던 곳으로, 강북 지역으로 왕래하는 노량나루터가 있었던데서 유래

[137] 대방 Daebang 大方
조선시대 높은 절과 번댕이 두 마을로 이루어진 곳이었으나 일제시대때 번대방리라고 하다가 광복후 대방으로 개칭

[138] 신길 Singil 新吉
새로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지어졌다고 한데서 유래

[139] 영등포 Yeongdeungpo 永登浦
이 지역의 포구에서 선박이 출입하였기에 유래

[140] 신도림 Sindorim 新道林
인근의 신도림동에서 명명됨. 신도림동은 동이 새로 생기며 기존의 도림동이 있어 신도림동으로 명명됨

[141] 구로 Guro 九老
이곳에 장수한 아홉 노인이 살았다 하여 구로(九老)라는 지명이 유래

[142] 구일(동양공전앞) Guil(Dongyang Technical College) 九一(東洋工專)
구로1동에 역사가 위치하여 역명을 구일로 명명

[143] 개봉 Gaebong 開峰
인근 개웅산과 매봉재의 이름을 따 개봉동이라는 동명이 생긴데서 명명
[144] 오류동 Oryu-dong 誤柳洞
오동나무와 버드나무가 많이 있다는데서 유래

[145] 온수(성공회대입구) Onsu(Sungkonghoe Univ.) 溫水(聖公會大入口)
이곳 부평도호부 일대에서 더운물이 솟아나온 기록이 있어 온수골이라 칭한데서 유래

[146] 역곡(가톨릭대) Yeokgok(Catholic Univ.) 驛谷(가톨릭大)
옛날 고려말부터 조선 초엽까지 이곳에 설방(말을 관리하는 관청)이라 하는 일종의 역을 두었고, 이곳의 지형이 골짜기였기 때문에 두 의미를 합하여서 역곡이라 불리워진데서 유래

[147] 소사(서울신대) Sosa(Seoul Theological University) 素砂(서울神大)
1910년경 부평군때 옥사면 소사리라는 지역에서 유래

[148] 부천(부천대입구) Bucheon(Bucheon College) 富川(富川大入口)
부천은 부평과 인천의 가운데에 있다 하여 부천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전해짐

[149] 중동 Jung-dong 中洞
부천시의 가운데에 있다 하여 중동이라 명명

[150] 송내 Songnae 松內
이곳에 소나무 동산이 있어 송내골이라 불린데서 유래

[151] 부개 Bugae 富開
1924년 경기도 부천군 부내면 마분리로 편입된 이후, 1985년 인천시 조례에 의거, 부개동으로 개칭됨

[152] 부평 Bupyeong 富平
부평이란 이름은 고려 충선왕 2년(1310년)에 부평부라고 불려진데서 비롯된 이름으로, 원래 부평지역은 현 계산동이 그 중심이었으나 부평역이 생기면서 그 주변과 시장 지역을 부평이라 부르게 됨

[153] 백운 Baegun 白雲
이곳에 역을 만들 때 지역 주민들이 역이름을 공모하여 백운이라 지음

[154] 동암 Dongam 銅岩
지리적으로 이 지역에서 구리가 많이나와서 동암이라 불린데서 유래

[155] 간석 Ganseok 間石
구 인천부 주안면 석암리 간촌리였으며 그루 주안2리로 불리다가 1914년 3월 1일 부천군의 면 폐합에 따라 부천군 다주면 간석리로 불리우게 된데서 유래

[156] 주안(인하대학교) Juan(Inha Univ.) 朱安
석바위 뒷산의 이름이 주안산이며, 이 산의 흙색이 붉고 산형태가 마치 기러기가 내려앉은 것 같다하여 주안산이 된데서 유래

[157] 도화 Dohwa 道禾
다소면 베말, 일명 쑥골, 도마다리라 불리우다가 1903년 8월 인천부가 동리명을 확정할 때 화동, 도마교리였던 것을 1946년 1월 1일 해방직후에 도화동으로 개칭한데서 유래

[158] 제물포(인천대앞) Jemulpo(Univ. of Incheon) 濟物浦
조선조 초때 이곳 인천 해안에 설치하였던 포구 이름이 제물포이며, 제물(祭物)이 제물(濟物)로 변함

[159] 도원 Dowon 桃源
옛날 복숭아나무가 많아서 복숭아골로 불려오다가 도산으로 변경뒤 1946년 도원동으로 명명

[160] 동인천 Dongincheon 東仁川
경인선 개통 이후 상인천역으로, 1955년 동인천역으로 역명 개칭

[161] 인천 Incheon 仁川
삼국시대때 미추홀이라 불렸으며, 고구려때 매소홀, 통일신라때 소성현, 고려때 경원군으로 불리다 조선시대 태종 13년에 인천이라는 지명을 사용한데서 유래

[K125]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청량 1동에 있는 사찰 청량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일찍부터 도성사람들의 성외피서 및 교외로 나가던 곳이며 이때부터 청량동으로 불리운데서 유래

[K126] 왕십리 Wangsimni 往十里
조선초에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러 이곳까지 왔다가 도선대사의 변신인 늙은 농부로부터 10리를 더 가라는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에 왕십리(往十里)라 한데서 유래

[K127] 응봉 Eungbong 應峰
도선시대 역대 왕들이 사냥을 자주하던 야산으로, 봉우리가 매처럼 생겼다 하여 처음에는 매봉이라 불리다가 광복후에 응봉이라 명함

[K128] 옥수 Oksu 玉水
이곳에 옥정수(玉井水)라는 우물이 유명하였기 때문에 붙여짐. 바위틈에서 나온 이 우물물은 그 맛이 뛰어나 왕에게 바치기도 했는데, 1960년대 도로공사때 매몰됨.

[K129] 한남(단국대앞) Hannam(Dankook Univ.) 漢南(檀國大)
조선시대때 한양천도 후 당한남진이라 불린데서 유래

[K130] 서빙고 Seobinggo 西氷庫
얼음을 저장하는 창고가 있던 곳이라 하여 서빙고라 한데서 유래

[K131] 이촌 Ichon 二村
옛날부터 중지도(中之島, 현 노들섬)와 강변에 살던 사람들이 큰 비만 오면 대피했기 때문에 이촌동(移村洞)으로 되었다고 한다. 또한 1914년에 신촌리, 사촌리(沙村里)의 두 마을을 합쳤기 때문에 이촌동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K132] 용산 Yongsan 龍山
산세가 용과 같다는 설과, 백제때 두 마리 용이 나타났다는 설에서 유래

[P142] 가리봉 Garibong 加里峰
이 마을의 작은 산봉우리가 이루어져 마을이 되었다고 한데서 붙여졌다는 유래와 고을과 같은 의미를 갖는 "갈"또는 갈라졌다는 뜻인 "가리"에서 유래

[P143] 독산(하안동입구) Doksan(Haan-dong) 禿山(下安洞入口)
마을 산봉우리에 나무가 없는 벌거숭이산이 있어 대머리 독(禿)자를 붙여 독산동이라 함.

[P144] 시흥 Siheung 始興
고구려시대때 잉벙로라는 지명으로 불렸으며, 고려사 지리지에 의하면 고려 6대 성종때 고을 별호를 시흥으로 했다는 데서 유래

[P145] 석수 Seoksu 石水
이 마을에 석공들이 많이 살아 석수동이라 한데서 유래

[P146] 관악 Gwanak 冠岳
주위에 관악산이 있어 유래. 관악산은 산의 형강이 관(冠)과 유사하다 해서 명명.

[P147] 안양 Anyang 安養
안양사라는 사찰이 있었다는데서 유래

[P148] 명학(성결대앞) Myeonghak 鳴鶴(聖潔大)
주변에 두루미가 많이 서식하여 두루미 울음소리가 크게 들려 이 이름을 따서 명학이라 함

[P149] 금정 Geumjeong 衿井
벌판에 자리잡은 마을이라 어느곳이라 파기만 하면 물이 잘 나와 물긷는 여인들의 옷을 적신다 하여 금정리(衿井里)라 한데서 유래

[P150] 군포(한세대앞) Gunpo(Hansei Univ.) 軍浦(韓世大)
임진왜란 당시 관군이 왜군에 패하여 후퇴하다 이 지역에 이르러 승려의병과 관군을 재정비하면서 굶주린 관군을 배불리 먹인 지역이라 하여 군포(軍浦)라는 지명이 유래
[P151] 부곡(철도대학) Bugok(Korea Railroad College) 富谷(鐵道大學)
조선 중엽, 남양부사가 변씨촌에 들려 대문, 울타리 등 없는 것이 12가지나 되는 빈골(貧谷)을 듣기 거북하니 부골(富谷)로 하는 것이 졸겠다 하여 이후부터 이 마을을 부곡리라 부르게 됨.

[P152] 성균관대 Sungkyunkwan Univ. 成均館大
인근에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가 있어 명명

[P153] 화서 Hwaseo 華西
조선조 정조가 축성한 화성의 서쪽에 위치한 문의 이름이 화서문이었는데, 이곳 행정상의 동명도 이 문의 명칭을 따서 화서동이라 한데서 유래.

[P154] 수원 Suwon 水原
수성 또는 화성으로 불리웠으며, 1271년 원종 12년때 수원도호부가 설치되어 수원이라는 지명을 쓰게 됨.

[P155] 세류 Seryu 細柳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다 하여 '버드내'라고 불렸다 한데서 유래

[P156] 병점 Byeongjeom 餠店
옛부터 삼남으로 통하는 큰 길목이어서 고려시대 행인들이 쉬었다가 가는 길목으로 떡을 파는 떡장수들이 많았다고 한데서 유래

다 치니 A4용지 7장 정도 나오네요...
이정도쯤 하면 되나요??

다른 정보가 필요하시면 여기를 추천할께요...
지하철 종합 정보 사이트 MEIS(MEtro Information System)

그리고요 한문은 역명을 그대로 한문으로 바꿔 놓은 거구요... 한글로 복사 하신 후 조금 크게 하셔서 옥편을 찾아 보시거나 블럭을 잡으신 후 F9 누르면 다시 한글로 오니까요 참고하세요... 그럼 이만...

지하철1호선전체역명좀 가르쳐주세요....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번호] 한글역명... [114] 도봉산 Dobongsan 道峰山 큰 바윗길이 산 전체를... 지하철 종합 정보 사이트 MEIS(MEtro Information System) 그리고요...

지하철기본용어좀 알려주세요~~ 내공 100!!

... 막 여러가지줄 석인 거 에서 1호선이 잇어서 봣는데 인천이... 해봐서 지하철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가물가물하니까요.... 사진은 첨부해주세요 ㅎㅎ 답변입니다. 님의...

해결방안좀 가르쳐 주세요...오늘까지 ...

... 될수 있으면 자세하게 해주세요!!내공 5 걸읍니다!! 1.... 빨라져 전체 인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이 가파르게... 따라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여 그 개념을...

4자로된 고사성어100개좀 가르쳐주세요 !

4자로된 고사성어 100개 좀 가르쳐주시면 감사합니다... 사람은 같이 다니지 않는다.(무엇을 요구하거나 청을 한때는 혼자서 가는 것이 이롭다는 ) 黔驢之技(검려지기)...

사자성어 뜻과 용어좀

사자성어 아는 대로 많이 가르쳐 주세요 가장 많은분 내일... 사람은 같이 다니지 않는다.(무엇을 요구하거나 청을 한때는 혼자서 가는 것이 이롭다는 ) 黔驢之技(검려지기)...

서울에서 부산까지 [내공75+감사내공]

... 답변주세요~ ㅜ (감사내공드려요) 보통은 KTX를 타시는 게 좋습니다. 3시간 정도 소요되며.. 네명이 같이 타는... 부산의 지하철역은 걸어야하는데 부산역 건물안에서...

대구의 고장생활모습좀 알려 주세요~~

... 주세요 이거는 중요하기 때무네~ 알아야 해요 울... (2) 수리치떡 : 단옷날(음력 5월 5일) 쑥이나 취같이 짙은... 나라 전체에 널리 퍼 졌다. (3) 우리 나라 사람들은...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에대해 알려주세요

... 대신 내공 두둑히 드릴테니, 알려주세요. ▣ 고하도... 국도 1호선은 일제하에 1907년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무안읍지'와 '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것이 다같이 "당곶진...

예비고3 인강추천

... 시간이 걸리는데 비문학 잘하는법.. 가르쳐 주세요ㅠ...... 언어 비문학은 이투스 추경문 선생님 추천 ~ ...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시간이 좋습니다....

王 자 만들려고하는데요 ..

... 공부도 해야돼고 운동해서 살빼고 근육좀 만들으려는데 .. 최단시간안에 부탁드리고요 .. .. 뭐랄까 ....... 어떤운동해야하는지좀 가르쳐주세요 1.따뜻한 물을 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