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머니마이비차이점

티머니마이비차이점

작성일 2014.09.2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티머니와마이비카드의차이점좀자세하게 알려주세요ㅠㅠ정확하게자세하게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티머니는 대중교통 수단과 편의점,외식업체 등등에서 결재가 다 가능합니다..

 

 마이비 카드도 편의점에서 결재 가능하다가 8월인가 부터 막혔습니다..

 

마이비 카드는 이제 대중교통 수단만 결재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하는 엔하위키 출원]


[티머니] : T-money
 한국스마트카드에서 발행하며, 회사는 2003년에 설립되었다. 최초의 교통카드 회사로 오해할 수 있으나, 이 회사는 2004년 7월 이명박 서울시장의 서울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생겨난 회사이다. 그 이전에는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의 버스카드(현 유패스)가 사용되었다. 사용하는 기술 표준은 KS X 6923과 ISO 14443 규격을 따르며, 카드 및 단말기 관련 기술표준은 해당 기술표준이 정해지기 이전에 만들어진 자체 규격으로 국내에서 운용되는 단말기는 해외 규격과는 호환되지 않는다는 듯. 수출용 단말기는 ISO 표준 규격에 맞추어서 수출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외에는 대전광역시와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서 정식 교통카드로 이용 중이다.
 카드 자체의 디자인은 썩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지만, 사설 업체에 커스텀 오더를 넣을 수 있다. 대부분의 오덕 상품으로 나오는 교통카드가 이런 방식. 그 외에 휴대폰 고리형이나 팔찌형 등의 상품도 내놓고 있다.
 USB 카드를 구매하면 집에서 인터넷 충전도 가능하다. 범용 RF 충전단말(T.P.O.P.)도 있었지만 1만원이라는 고가 때문에 판매량이 저조해 결국 단종.
 또한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카드를 등록시켜 놓으면 사용할 때마다 마일리지가 쌓인다. 이 마일리지로 충전도 가능하다. 다만 쥐꼬리만큼 쌓인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랄까… 그보다 더 큰 문제로, 호환 지역에서는 적립이 안 된다.(단, 인천과 경기도는 예외로, 티머니 마일리지가 적립된다.  사실 사용해서 쌓는 것보다는 제휴 포인트를 티머니 마일리지로 바꿔서 쓰는 게 이래저래 현명하다. POP카드를 쓰고 있으면 마일리지가 자동으로 GS&포인트로 전환되어서 더 유용하게 쓸 수 있으며, GS&포인트로 충전할 수 있다.
 티머니 상품권으로 티코인이라는게 있는데, 이 곳에 가면 여러 포인트를 티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한국스마트카드에서 모바일티머니 결제 할인 행사를 하면 보통은 할인금액을 티코인으로 캐시백해 준다. 바코드를 휴대폰으로 받거나 혹은 바코드 번호를 메모해서 가까운 세븐일레븐/지에스25에 가져가거나 모바일티머니 앱을 사용하면 티머니에 충전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세븐일레븐에서는 교통카드→T-COIN 충전, 지에스25에서는 서비스→티코인으로 충전 메뉴로 접속하면 된다.
 티머니와 호환되는 마이비 단말기에서는 인식 속도가 좀 느리다. 마이비나 후불교통카드는 단말기에 카드 대자마자 결제되는 반면, 티머니는 몇 초간 대고 있어야 결제된다. 스마트 티머니라도 아주 최근에 호환을 개시한 지역에서는 2004년이나 2005년경에 나온 스마트 티머니의 인식이 정말 느리거나, 아예 안 되기 때문에 안습이다.
 원래 충전은 현금/마일리지/티코인 3종류만 가능했으나, 2012년 10월부터는 우리BC카드로도 충전이 된다. 지에스25 및 우리은행 ATM에서 가능한데, 지에스25에서는 교육이 제대로 안 된 건지 여전히 현금으로만 충전되는줄 알고 있어서 간혹 난감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에는 티머니 충전 메뉴로 들어가서 우리카드로 충전을 선택하면 처리 가능하니 알바에게 잘 말해주자. 참고로 우리카드 충전분을 갖다가 함부로 환불처리하는 경우, 카드깡의 가능성이 다분하하다고 판단되면 환불이 막힐 수도 있다.
 전국호환교통카드 사업에 캐시비, 한페이, 탑패스, 코레일(레일플러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반면 티머니는 굉장히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다가 참여에 합의했다.
 2014년 6월 21일 티머니 전국호환 교통카드가 정식 출시됐으며, 서울메트로 관할 역들의 무인 자판기에서 단일권종형 전국호환 인증 시티패스 플러스 카드의 우선 판매가 개시됐다. 출시 전에 공개한 도안 4가지 중 3가지가 시티패스 플러스 단일권종 카드이며, 회색 도안은 일반형 단일권종 카드다. 동시에 팝티머니도 전국호환 인증 카드가 출시됐으며, 시티패스 플러스 팝카드도 전국호환형이 나왔다. 한국스마트카드 본사 1층 티머니타운에서도 신형 시티패스 플러스 카드와 일반형 카드를 판매 중이다.

[마이비] : MYbi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선불 교통카드. 2009년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현재는 롯데그룹의 자회사이다. 마이비와 티머니가 사용호환 협정을 맺기 전부터 경기권 이외의 지역에서 사용 가능했고, 현재는 티머니와 사용호환 협정을 맺어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다.
 소득공제 신청란에서 카드 고유 번호를 등록해 두면 연말정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인터넷에서 충전 가능하고 usb로도 활용가능한 인터넷마이비도 나왔었다.
 한때 자신만의 디자인을 가진 카드를 만들 수 있었지만, 2012년 6월 8일 부로 종료. 다만, 자신이 나온 직접 촬영한 사진만 가능했다. 애니메이션, 게임 로고 등의 이미지는 사용불가. 저작권 문제 때문인 듯.
롯데 자이언츠 공식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면 사직 야구장 흑백 배경에 자이언츠 로고가 찍혀있는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 카드를 받을 수 있었지만, eB 기반으로 교체하면서 기존 마이비 대신 2012년 3월 19일부터 캐시비로 발급해 준다.
 캐시비가 나오기 전에는 롯데멤버스 기능이 달린 유일한 일반 마이비카드였다. 또한 자유석에 한해 사직 야구장의 마이비/캐시비 전용 입구에서 표를 구매할 필요 없이 바로 카드 찍고 입장료를 내서 입장할 수 있다.
 코레일 멤버십 카드도 한때 마이비카드를 내장하여 교통카드로 발행되기도 했었다. 2009년 이후에는 삭제되어 발행되지 않았으며, 2014년 9월 코레일에서 전국호환교통카드 중 하나인 레일플러스 카드를 출시할 예정.

티머니마이비차이점

티머니마이비카드의차이점좀자세하게 알려주세요ㅠㅠ정확하게자세하게알려주세요 티머니는 대중교통 수단과 편의점,외식업체 등등에서 결재가 다 가능합니다.. 마이비...

티머니마이비

... 티머니마이비차이점은? 또, 티머니마이비중 어느것을 사는게 더 좋을지 답변부탁드립니다. 1. T-money 사용 가능 지역은 상당히 넓습니다. 현재 한국스마트카드사...

김해 마이비카드 더이상 사용불가???

... 그리고 티머니와 캐시비의 차이점이 뭔지 알고싶습니다 마이비카드는 eb카드와 통합이 되어 캐시비카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을 뿐 기존의 마이비카드는 캐시비카드로 자동...

티머니. 마이미카드. 이비카드의 차이점...

... 이비카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티머니는 바이더웨이 세븐일레븐 GS25 등에서... kr 가셔서 청소년 요금으로 카드등록을해야 돼여 마이비 카드는 인터넷으로 등록하는...

동방신기마이비(25걸어요^^)

... 티머니마이비 카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 차이점은 없습니다. 단지 사용 가능 지역만 다를 뿐입니다. 둘 다 교통 기능 외에 소액 결제 등의 수단으로...

포항에 티머니카드

... 탑 티머니와 스마트 티머니차이점은뭐죠? 2. 대구은행에 판다는 교통카드는... 2.대구은행에 판다는 교통카드는 뭔가요?:대경교통카드(마이비)입니다. 3.스마트 티머니...

교통카드의 차이점

... 티머니. 마이비 4개의 차이점이 뭐예요? 캐시비,마이비는 별 차이가 없어요.... 다만 서로간 마이비는 원래는 부산,경남지역에서만 사용하다가 서울,경기지역에서만 사용...

교통카드 차이점

... ㅋㅋ 티머니는 100% 교통카드 자본(한국교통카드(주))으로 설립된 회사이구요... 캐시비는 롯데그룹+마이비+이비카드 이렇게 세개가 합쳐서 만들어진 교통카드이구요.....

동방신기 교통카드요..

... 티머니마이비 카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10. 그리고 티머니를 인터넷으로도 충전할수 있다고 하던데, 집에서 USB코드(?) 있으면 할수 있는가요?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