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외부,내부 명칭좀알고싶어요

자동차 외부,내부 명칭좀알고싶어요

작성일 2009.11.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동차 외부,내부 각부위의 명칭좀....

 

ex) 컴퓨터본체 - 메모리카드 , 하드디스크, 메인보드 , CPU

                   

구체적으로 써주시면 감사해요

 

 

 

외부 ) 도어, 본네트, 휠, 타이어, 라이트, 등등...

내부) 체어, 풋브레이크, 기어, 핸들 등등..

 

더자세히알려주시면감사해요

 

내공 10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골든벨 출판사에 자동차 정비 사전이 좋습니다.

 

http://www.gbbook.co.kr/?page=dataroom/dictionary

 

[쌍용차 용어해설집]


1. 최고 출력/ 마력(ps/rpm)
   엔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 동력. 최대 마력이라고 하며 1분당 엔진 회전수(rpm)가 몇 회전을 하면 몇 마력의 최고 출력을

   얻 을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마력에 대한 표기는 영국식 마력(Horse Power)과 미터법으로 환산한 프랑스식 마력( Pferde

   Starke)이 있다. 1마력은 1초에 75kg을 1m 들어 올리는 힘을 말합니다.


2. 최대 토오크(kg · m / rpm)
   엔진회전력이 가장 강할때의 힘을 말하며 최대 토오크 부근의 엔진 회전수 일때 가장 주 행하기 쉽고, 토오크 범위가 넓을

   수록 쓰기 쉬운 엔진이다.


3. 배기량(cc)
   왕복 피스톤식 내연기관에서 피스톤이 상사점(上死點)에서 하사점(下死點)까지 움직이는 거리를 행정거리라고 하며,  1행정

   사이에 소비하는 부피를 행정부피라고 한다. 실린더가 1개일 때는 행정부피 자체가 배기량이 되지만, 실린더가 여러 개일

   때는 행정부피에 실린더 수를 합해야 총배기량이 된다.

4. 서스펜션(Suspension)


   차량이 주행할 때 차체의 상하 운동 및 선회시의 롤(Roll)을 최소로 하며, Tire와 노면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완충 작용을 제공하여 Tire가 도로사이의 요철과 만났을 때의 상하 운동 때문에 발생하는 도로의 충격이 차량 내의 승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노면에서 받은 충격을 완화하는 Coil Spring과 Coil Spring의 자유진동을 억제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져(Stabiliz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댐퍼 스트럿  전륜 서스펜션
   스프링과 쇽업소버를 분리하여 하중이 적절히 분산되며 쇼바와 스프링이 일체로 되어 있어 주행 및 코너링시 안정감과

   승차감이 우수합니다.(뉴체어맨 전륜에 적용)


6. 멀티링크 후륜 서스펜션(Multi Link RR Suspension)
   벤츠에서 최초로 개발된 모듈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강성이 높은 서브 프레임과 10개의 rod타입의 링크로 구성되며, 노면

   충격을 각 링크의 고무부싱 그리고 서브프레임의 고무 마운팅이 2단계로 흡수하여 바디로의 전달을 최소화합니다.

   (뉴체어맨, 로디우스 후륜에 적용)

7. 더블위시본 전륜 서스펜션(Double Wishbone FR Suspension)
   상하 한쌍의 컨트롤 암으로 차륜을 현가하는 타입의 서스펜션으로서, 바퀴를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불규칙한 노면에서도

   최대의 접지력을 발휘하여 좌우 흔들림을 잡아 줍니다.(뉴렉스턴, 로디우스, 무쏘, 코란도 전륜에 적용)

8. 5링크 코일스프링 서스펜션( 5 Link Coil spring Suspension)
   일체식 현가장치의 일종으로서 차축을 5개의 링크로 지지하여 주어 충격을 가장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어 충격 분산 효과가

   크며, 노면에 대한 접지력이 뛰어나고 우수한 조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뉴렉스턴, 무쏘, 코란도 후륜에 적용)

9. 시트벨트 프리텐셔너(안전 사양)
   충돌 초기에 벨트를 역으로 되감아주어 승객이 앞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줄여 상해를 최소화시켜주는 기능임

10. 시트벨트 텐션 리듀서(안전 사양)
   :벨트 착용시 승객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주는 기능으로 벨트가 감겨지는 힘을 적게 하는 장치임

11. 로드 리미터(편의 사양)
   :충돌후기 벨트의 압막에 의해 가해지는 2차 충격을 줄여주는 기능입니다. 프리텐셔너 작동으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켜 주는 기능입니다.

12. EBD ABS(Electronic Brake-Force Distribution Anti-Lock Brake System)
   :브레이킹시 전자제어방식으로 4바퀴의 유압을 별도 조절하여 브레이크의 압력을 4바퀴에서 제어하고, 휠의 로킹을 방지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확보, 전방의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장치. 부가적인 효과는 마찰계수가 떨어진 노면(빗길, 빙판길)에서 브레이킹시 휠의 로킹으로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지거나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ABS장착차량은 방향 안정성을 유지 안정적인 제동을 할 수 있다.

13. SRS 에어백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충돌시에 설정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하며, 에어백이 팽창하여 프론트 시트 탑승자의 상반신을 보호하는 시스템. 임펙트 센서(G 센서)가 충돌시의 차체 G를 전기신호로서 검출하면 스티어링 휠(운전석)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조수석)내의 인플랙터 단자에 통전되어 질소가스 발생제에 점화되어 에어백을 부풀린다.
    SRS 이라는 것은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의 약자로서 보조 방어 시스템이라는 뜻이다. SRS 에어백은 시트 벨트의 보조 시스템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시트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만이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14. TCS(Traction Control System: 견인력 제어시스템)
   : 미끄러운 노면에서 가속할때 자동차의 slip(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결빙 노면에서의 자동차의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토록 하여 줍니다.(국내 만도 제품)

15. ABD(Automatic Brake Differential: TCS기능과 유사)
   : 보쉬사의 고유한 제품명으로 차륜 제어장치라고도 불리며 바퀴가 슬립할 경우 슬립하는 바퀴를 브레이킹하여 차량의 조향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16. LSD(Limited slip Differential, 차동 제한 장치)
   : 구동 바퀴의 한쪽 타이어가 진땅에 빠졌을 때 좌우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제한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Locking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기계장치입니다.

18. 파워 & 틸트 스티어링 휠
   :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의 유압으로 핸들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는 장치를 파워스티어링이라 하며, 스티어링 핸들의 각도를 자유로이 바꿀 수 있는 스티어링을 틸트스티어링이라 합니다.

19. 전동 틸트 &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휠
   : 가변 스티어링 휠의 일종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길이를 망원경(텔레스코프)과 같이 신축할 수 있는 형식 즉 운전자와 스티어링 핸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20. 컬랩서블 컬럼타입 스티어링 휠(강제 규정 사항)
   : collapsible colum type steering wheel의 약어로 충돌시 스티어링 휠이 안쪽으로 접히면서 몸이 핸들쪽에서 부딪히는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는 최첨단 장치로서 휘는것과 부러지는 것등 다양합니다.

21.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전자식 주행 안전 프로그램)
   :지난 95년 초부터 실용화된 ESP는 가속시, 제동시, 코너링시 극도의 불안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 또는 스키딩으로 인한 위험을 격감시켜주는 전자식 주행안정 프로그램이다. ESP는 제동력이 앞차축 또는 뒷차축에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덧붙여 ESP는 운전자의 실수까지도 보정해준다. 센서들은 휠 스피드, 제동 압력, 스티어링 휠의 각도, 측면 가속도 및 차체의 기울어짐 등을 파악해 그 정보들을 ESP 장치로 보내면 ESP는 이러한 정보들을 검색해 차의 스키딩 또는 미끄러짐 상태를 초기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전자장치들이 적절한 휠에 브레이크를 가해 주행중인 자동차에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만든다. 만약 차의 뒷부분이 오른쪽으로 쏠리면(오버스티어) ESP는 운전자가 느끼기도 전에 정확한 량의 제동압력을 좌측 앞바퀴에 공급해 차가 바른 위치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처럼 1개의 휠을 정확하게 제동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인 주행안정 제어 방법이며, 4개의 각각 다른 브레이크를 동시에 조작하는 것은 아무리 숙련된 운전자일지라도 불가능할 것이다.
    또한 ESP는 리어 액슬 스티어링 장치가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해 전자제어 장치의 설계가 보다 간단해졌다.

22. 속도 감응식 오토 도어록(Auto Door Lock)
   : 일정한 차량의 속도에 도달하면 평균 50~60Km/h 이상이 되면 승객의 안전을 위해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는 장치

23. 이머전시 언락(Emergency Unlock)
   : 에어백 모듈의 충돌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충돌시 비상탈출을 위해 자동으로 도어의 잠김이 해제되는 장치

24. 운전석 오버라이더(Overrider)
   : 운전석의 편의와 비상탈출등을 위해 운전석 측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조작(도어를 열면)함으로써 잠김을 해제하는 장치

25. 브레이크 타입(Brake Type)
     1) 드럼(drum)방식: 차륜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슈를 안쪽으로부터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방식임
     2)디스크(disk)방식: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에 마찰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패드로 양쪽으로부터 조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방식임. 디스크를 강하게 조이는 패드는 피스톤에 의하여 누르는데 패드와 피스톤을 수용하고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 부품을 캘리퍼라 한다. 디스크의 마찰면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냉각          이 양호하고, 고온이 되어도 드럼브레이크처럼 제동력이 떨어지거나 페달 반응이 변하는 일이 없다.
     3)벤틸레이티드(ventilated)디스크 방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더욱 개선한 것으로서 디스크의 마찰면 중간에 래디얼 방향의 구멍을 뚫어 냉각을 보다 좋게한 방식임. 열에 대한 높은 저항력으로 인해 안정된 브레이킹과 패드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26. 오토라이트 컨트롤시스템(Auto Light Control System)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운전자가 별도의 점등 조작없이 자동으로 미등과 전조등을 on/off해주는 첨단 기능입니다.

27. 배터리 세이버(Auto Light Control System)
   :운전자가 미등을 켠 상태로 하차시 자동으로 미등을 꺼주어 방전으로 인한 배터리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는 편의장치

28. 레인센싱 와이퍼(Rain Sensor wiper)
   :비가 내리면 비오는 양이나 속도를 감지해 와이퍼 속도를 조정해 주는 편의장치

29. LED
   : Light Emittion Diode의 약자로, 화합물 반도체의 일종으로 빛을 발산하는 물질. 일반 조명등과는 달리 거의 열을 내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100%에 가깝고 밝고 아름다운 빛을 내면서도 전력소모가 극히 적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임

30. LED 블랙페이스 계기판
  : 미려한 색상과 시인성이 우수한 LED타입의 계기판을 적용하여 품격과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기능입니다.

31. LED 방향지시등/ LED 리어 콤비 램프
  : 방향지시등을 LED타입으로 적용하였으며 시인성과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LED 정지등과 턴시그널 램프를
    적용하여 안전확보의 기능성과 미려한 점등으로 첨단 스타일을 보여줍니다.(체어맨)

32. 일반 히터(Heater)
   : 난방장치로서 승용차의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장치로 엔진이 가열되어 냉각수를 데워 뜨거운 바람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장치입니다.

33.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전기가열식 보조히터)
  : 히터 에어출구 앞에 별도의 전기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 차량의 난방성능을 향상시키는 보조히터 시스템(전기 헤어드라이어기의 작동원리와 동일)

34. FFH히터(Fuel Fired Heater: 고성능 연소식 히터)
  : 극히 소량의 연료를 연소시켜 히터로 유입되는 냉각수 온도를 신속히 높여 주는 급속 난방히터로서 냉각수 통로에 장착함

38. 4륜 구동시스템(4 Wheel Drive System)
   : 앞바퀴 또는 뒷바퀴 만의 구동이 아니라 4바퀴 모두 구동하는 자동차 시스템을 말한다.
  1) Part Time 4wd
      : 평상시에는 2륜으로 구동하다가 빗길, 눈길이나 미끄러운 길에서 간단한 구동전환 스위치 버튼 조작으로 4륜구동시스템을 작동합니다.
     * 오토록킹허브: 파트타임 방식의 4륜구동시스템에서 2wd에서 4wd로 전환시 4wd 전환 트랜서퍼가 오토록킹 허브입니다

  2) Full Time 4wd(항시 4륜구동 시스템)
      : 항시 4륜 구동시스템으로 평상시에는 거의 2wd에 가깝게 주행하다가 노면의 상황에 따라 회전차가 발생하면 4바퀴에 적절한 동력을 배분하여 최적의 구동력(50:50)을 유지케하는 4wd시스템입니다.(당사의 TOD시스템이나 경쟁사 ATT시스템이 항시 4륜구동 시스템입니다.)

39. 타이어의 규격
   : 타이어를 보면 P225/65R 16타이어 86H로 기재되어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 타이어를 차종에 따라 승용(Passenger Car)과 소형트럭(Light Truck), 버스트럭(Bus &Truck)으로 분류하며 첫글자의 이니셜 따라 표기함
  2) 225: 타이어의 폭으로 단위는 mm 입니다.
  3) 65: 편평비를 표시하며 타이어의 단면폭에 대한 타이어의 높이를 말합니다
  4) R: 현재 거의 모든 타이어가 레이디얼 타이어입니다.
  5) 16: 타이어 림의 지름을 표기하며 단위는 인치(inch)를 사용합니다
  6) 86: 타이어가 하중을 견디는 능력을 수치로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86은 530kg까지 견딜수 있음 표시한 것입니다.
  7) H: 타이어의 속도 등급으로 H는 210km/h까지를 표시합니다.

40.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 키에 내장된 고유 번호와 엔진 컨트롤 유니트(ECU)에 동일한 암호가 입력되어 허용된 키외에는 시동을 걸 수 없도록 하는 최첨단 도난 방지 장치입니다.

41. 원터치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One Touch & Safety Power Window)
   : 파워윈도우를 ONE-TOUCH로 글라스를 올릴 때 글라스가 최상단에 도달하기 전에 윈도우틈 사이에 사람의 신체나 이물질이 낄 경우 윈도우 글라스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위치되거나 일정거리 하강하는 안전장치

42. 트렁크 비상 탈출 장치(Trunk Escape Lever)
   : 사람이 트렁크에 갖힐 경우 트렁크 내부에서 트렁크를 열 수 있는 비상 탈출용 레버를 적용하여 쉽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3. 후방장애물 감지시스템
   : Parking Aid System의 약어로 범퍼에 내장된 초음파 센서가 후진시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각지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안전장치입니다

44. 세이프티 후방 카메라(Safety Rear Camera)
   : 후방 운전의 위험이나 장애물을 카메라를 통해 액정화면으로 보여주어 더욱더 안전한 후방 주차를 도와줍니다

45. 후진연동 아웃사이드미러
   : 후진시 오른쪽 아웃사이드미러의 각도가 변하면서 후진에 따른 별도의 사이드미러 조정없이 안전하게 주정차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최고급 편의 장치입니다.

46. 윈드 쉴드글래스(Wind Shield Glass)
   : 본래는 윈드 쉴드 글래스를 말하는 것으로 흔히 Front Glass 또는 앞유리창이라고 한다. 쉴드는 차단한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윈드실드의 경사가 심했으나 공기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서최에는 경사가 아주 완만해졌어 며 특히 요즘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고품격 글래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47. 솔라콘트롤 글래스(Solar Control Glass)
    적외선이나 자외선 차단율이 일반 칼라유리보다 40%이상 높아 내장재의 변형,변색을 방지하고 실내온도를 낮추어 여름철 쿨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48. 프라이버시 글래스(Privacy Glass)
    솔라콘트롤 글래스 보다 적외선이나 자외선의 차단율이 95~99%까지 차단하여 주며 차의 품격과 개인의 사생활까지도 보호하여 줍니다.

49. 틴티드 글래스(Tinted Glass)
    틴트는 연한색을 칠한다는 말로, 착색된 유리를 말한다. 열선을 흡수하기 위하여 유리를 연한 청색으로 착색하거나 베이지색 계통의 실내색을 복돋우기 위하여 청동색으로 염색한 유리를 쓸 때도 있다.

50. 운전석 파워시트
    운전석 시트에 리클라이닝 스위치 및 슬라이딩 & 높낮이 조절장치등이 전동식으로 조절이 가능한 시트로서 운전석 요추 받침 장치까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51. 뒷좌석 분할 파워시트
    2열 시트의 좌석 분할이 6:4 또는 5:5로 분리되면서 전동식으로 조절이 가능한 시트를 말함

52. 운전석 및 뒷좌석 이지억세스
    운전석 이지 억세스는 키를 뽑고 문을 열면 시트가 뒤로 이동하며 스티어링 컬럼(핸들)이 위쪽으로 올라 가며, 승차시에는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원되는 시스템입니다. 또한 뒷좌석 이지 억세스는 문을 열면 자동으로 시트가 뒤로 밀려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줍니다.

53. AQS(Air Quality Control System)
    외기 유해가스 제어장치로 외기의 유해성분 즉 일산화탄소, 탄화수소등의 유입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실내유입을 차단시켜 주는 공조 시스템입니다

54. 스티어링휠 리모콘(Steering Wheel Audio Remote Control System)
    오디오에 대한 조절장치를 스티어링 휠(핸들)에 부착하여 운전주행시 조작에 따른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하는 편의장치입니다.

55. 싱글암 와이퍼(Single Arm Wiper)
    벤츠 특허기술로서 전면유리에 하나의 와이퍼를 설치 작동함으로써 닦이는 면적(약 72%)을 증대시켜준 최첨단 체어맨만의 기술입니다. 듀얼암 와이퍼의 닦이는 면족이 60 ~ 65%임을 비교하면 싱글암 와이퍼의 성능을 알 수 있습니다.

56. 와이퍼 결빙방지 장치
    겨울철 와이퍼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 유리 하단부에 열선을 내장하여  결빙을 원천 방지함

57. 열선내장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미러   
    아웃사이드미러에 열선이 내장되어 겨울철 및 우기시 후방시야를 안전하게 확보해 주고 주차 및 좁은 골목길 통과시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사이드 미러를 전동식으로 접을 수 있는 편의 장치입니다.

58. ECM 룸미러/ ECM 아웃사이더 미러   
    야간운전중에 반사각 조절식 룸미러에는 주행시에 조절손잡이를 뒤쪽 방향으로(차량뒤쪽) 또는 반대방향으로 밀게되면 뒷차량 불빛의 눈부심이 줄어드는 장치로 설계되어 있다. 감광 룸미러(ECM)은 수동으로 레바를 조절하는 것이 아닌 뒤쪽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룸미러에 들어오는 빛을 센서로 자동으로 감지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자동으로 낮추어 운전자의 눈부심을 제거하는 장치 이다.

59. 글래스 안테나(Glass Antena)
    폴타입의 안테나 대신에 수신성능이 뛰어나며 글래스에 부착시킴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자랑합니다

60. 파킹 브레이크 워닝 시그널(Parking Brake Warning Signal)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고 출발시 계기판에 경고등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실수를 막아주는 편의장치입니다.

61. 발수기능 사이드 윈도우
    빗방울이 윈도우에 붙어있지 않고 흘러내리도록 특수 처리된 필름을 윈도우에 붙여 우천시에도 안전한 시야를 확보케 해 줍니다.

62. 폴딩타입 어시스트 그립(Folding Type Assist Grip)
    차를 몰 때 운전자는 핸들을 잡고 있어서 몸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지만, 다른 승객은 그렇지 못하다. 그 때문에 마련된 것이 어시스트 그립으로 손잡이의 하나이다. 대부분이 도어 위쪽에 잡을 수 있게붙어 있으나 뒷좌석 승객을 위해 앞좌석의 등에 붙어 있는 것도 있다.

63. 쇽업쇼바(Shock Absorber)
    자동차가 주행할 때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 한다.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상하 운동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방법에 따라 고체 마찰식과 유압식이 있으며 현제는 유압식을 거의 사용하며 고체 마찰식은 사용하지 않는다.

64. 요추 받침 장치(Lumbar Support)
    자동차를 장기간 주행시 올 수 있는 허리부분의 요통을 막기위해 시트내 허리부분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허리를 지지하여 주는 장치를 요추 받침 장치라 함

65. 속도 감응식 스티어링 휠(Speed Sensing Power Steering)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력이 변화는 방식의 파워 스티어링. 정지 상태나 저속 주행  시에는 작은 힘으로 핸들 조작이 가능하지만 고속 주행 시에는 핸들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하다. 저속 주행 시의 운전 편의성을 높이면서 고속 주행에서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66. 급출발 방지 장치(BTSi: 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
    운전자가 P단에서 R, N, D 등 다른 단으로 변속을 할 때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만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갑작스런 급발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67. IECS(Intelligent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무단전자제어 서스펜션은 기존 대비 첨단 센서를 추가하고 전자제어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최신의 스카이 훅 무단전자 제어 방식을 도입하여 주행중 차량운동 상태를 더욱 세밀하게 감지함으로써 차량자세 및 승차감을 보다 섬세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차량의 진동이나 쏠림현상 같은 승차감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스티어링휠, 브레이크,차체,현가등의 각 센서가 감지하여 현가의 무단 제어를 통한 최적의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68. BAS(Brake Asist System)
    브레이크 보조장치는 비상시에 운전자의 갑작스러운 제동장치 작동을 보정해 준다. 이 장의 개발은 운전자들이 급제동을 하더라도 브레이크 페달 약하게 밟는 경향이 많다는 것에서 착안, 차의 상태가 비상제동임을 파악하면 브레이크 부스터의 모든 동력을 모아서 즉시 페달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실험을 통해 브레이크 보조장치는 100km/h로 주행중 급제동시 제동거리를 73m에서 43m로 줄일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 벤츠의 모든 승용모델에는 BAS가 기본으로 장착된다.

69. DVD 시스템
    일반 CD크기의 디스크 1장에 CD의 7배인 4.7기가바이트의 정보를 담을수 있는 차세대 기록매체를 말한다. DVD는 초창기에 MPEG2 표준에 따라 고화질고음질의 영화를 한 장의 작은 디스크에 담음으로써 비디오 CD보다 월등한 성능을 가지도록 한차원 높은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Digital Video Disc)의 의미로 알려졌었지만, 현재는 다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다기능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의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DVD는 용도에 따라 DVD-Video, DVD-ROM, DVD-audio, DVD-R(쓰기 가능), DVD-RAM(고쳐쓰기 가능) 등으로 사용된다

70. 공기저항 계수
    차의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고, 차를 뒤로 미는 힘. 이론상으로는 CD=1.00이 최대 값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CD를 10% 적게 하면, 연비는 2% 좋아진다고 한다.

71.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보디 외관의 미관을 만들기 위한 장식품으로 몰딩과 비교하여 형상이 복잡한 것을 말한다.

72. 이중구조 풀라이휠(DMF: DUAL MASS FLYWHEEL)
    엔진 및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시스템과 연결되는 플라이휠을 이중구조로 설치하여 변속 및 가속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 차량의 정숙성을 확보하고 부드러운 가,감속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킵니다.

73. 셀프레벨라이저
    차량의 우축과 좌측의 현가장치를 연결하는 금속제 봉 또는 관으로 차량이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74. 타코미터
    엔진회전 수를 나타내는 계기. 기어 움직임과 가속의 정도를 재는 기준이 된다. 엔진에 무리가 갈 정도로 회전 수가 올라가는 것을 막기위해 노란색의 옐로 존과 빨간색의 레드 존을 두  고 있다. 옐로 존은 엔진회전 수를 더 이상 올리지 말라는 경고 표시이고, 레드 존은 위험 표시이다.

75. 센터페시아 & 센터 콘솔
    인스트루먼트 판넬중 에어컨 및 오디오있는 부분을 센터페시아라 하며 그 곳 주위에 간단한 필기도구나 책자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을 센터콘솔이라 한다

76. 무릎보호대(Knee Bolster)
    충돌시 엔진이 실내로 유입되어 무릎쪽으로 가해지는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릎이 닿는 부분의 재질을 우레탄으로 처리하여 충돌시 무릎에 가해지는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입니다.

77. 프로젝션 헤드램프(Projection head lamp)
    후면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램프 전면부의 구면렌즈에서 다시한번 집광시켜 기존 할로 겐형 헤드램프 대비 조사거리및 조사폭이 확대되어 야간이나 악천후 운전시 명확한 시계확가 용이하여 안전한 운전을 도와줍니다. 할로겐형 대비 조사거리 60m, 조사폭 20m 우세함

78. 오버 헤드 콘솔(Over Head Console)
    머리 위에 필기도구 및 선글라스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납함을 천정에 부착한 것이 오버헤드 콘솔입니다.

79. 이지잭
    타이어 교환수리 및 정비가 용이하도록 특수 잭을 적용하여 작업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보장한 장치

80. 도어 커티시램프(Door Courtesy Lamp)
    도어 하단부에 붙어있는 램프로 두 가지 형태의 Lamp가 사용되기도 한다. 적색의 경고등과 흰색의 조명용 등을 사용하며 Dash 하단부에 실내조명 겸용으로 장착되는 경우도 있다.

81. 도어 스커프(Door  Scuff)
    도어 하단부에 승하차시 이물질 오염 및 마모를 방지해주는 스커프를 적용함

82. 전동 안마기 & 레그 서포터(Leg Supporter)
    체어맨에 장착된 전동마사지기는 5개의 롤러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몸의 피로감을 덜어주며, vip석 하단에 다리를 얹을 수 있는 레그서포터가 장착되어 편안하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  공하며 전동식 작동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83. 동반석 접이식 헤드레스트(Head Rest)
    헤드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 접음으로써 뒷좌석에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끔 한 장치 입니다.

84. 리어와이퍼 & 와셔(Rear Wiper & Washer)
    후면 유리에 부착된 전동식 리어와이퍼와 와셔가 포함되어 보다 깨끗한 후방시야를 확보케 하여 줍니다.

85. 센터페시아 & 센터 콘솔(Center Fascia & Console)
    인스트루먼트 판넬중 에어컨 및 오디오있는 부분을 센터페시아라 하며, 일반적으로 운전석 우측 하단부에 팔걸이 겸  사물함이 있는데 간단한 필기도구나 책자, CD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을 센터콘솔이라 합니다.

86. 파워 아울렛(Power Outlet)
    자동차내에서 전기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끔 전원을 보급하는 장치를 파워아웃렛이라 함

87. 전동식 파워 트렁크(Power Trunk)
    다기능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트렁크를 조작할 수 있으며 anti trap 기능을 적용하여 단단한 물체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게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open 방법: 운전석트렁크 스위치, 트렁크리드의 앰블렘스위치, 다기능 리모콘키 오픈버튼)

88. 티트로닉(T-TRONIC)벤츠 5단 A/T
    TOUCH, TOUCHABLE - ELECTRONIC 5단 자동변속기로 전진 5단, 후진 2단의 세계 최고의 명차에만 장착하는 오토트랜스미션입니다.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실현함으로써 언제나 최적의 주행성능과 운전자의 의지나 주행조건대로 실현되어 최상의 승차감을 보장합니다
   또한 수동변속기의 다이내믹한 주행감을 느낄 수 있으며 동력전달 극대화 및 연비 향상을 위해 3~5단의 넓은 영역에서 정속주행시 엔진과 변속기를 직접 연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89. 언더 스티어(UNDER STEER)
    일정한 조향각으로 선회하여 속도를 높였을 때 선회반경이 커지는 것으로 스티어링 조작에 대한 자동차의 반응으로 앞 바퀴의 슬립 각이 뒷바퀴의 슬립 각보다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90. 3D 네비게이션
    경로 유도 시스템. 비행기나 배의 항로 유도 시스템의 명칭을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에 지도와 함께 현재 위치, 진행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등을 표시하는 것.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 의해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추측항법과 통신 설비와 조합하여 자동차 외부로부터 정보를 이용하는 전파 항법이 있다.

91. 클러치 디스크/라이닝( Clutch Disc & Lining)
    플라이휠과 프레셔 플레이트 사이에 있어 플레이트를 밀었을때 마찰로 힘을 전하는 마찰원 판. 양면에 라이닝이라고불리는 마찰제가 붙어 있다.

92. 동반석 네트포켓( Net Pocket)
    동반석 사이드, 즉 왼쪽에 그물모양의 주머니를 만들어 지도나 간단한 서류등을 꽂아 보관 할 수 있도록 만든 편의사양입니다

93. 틸팅헤드레스트(Tilting Head Rest)
    장기간 주행시 탑승자가 편안하고 쾌적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는 틸팅(각도 조절)기능의 헤드레스트를 말합니다

94. 시트언더트레이(Seat Under Tray)
    우산이나 간단한 소지품등을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시트 아래에 tray(수납함)을 설치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한층 강화한 것을 말합니다.

95. 러기지룸 풀플렛장치(Luggage Room Full Flat)
    2열 및 3열시트 뒷면에 보드를 설치하여 2열 및 3열 폴딩시 화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틈을 없애 넓고 편평한 화물공간의 확보 뿐만 아니라 시트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해 주는 편의장치입 니다.(렉스턴 적용)

96. 플립업글래스(Flip-up glass)
    트렁크 테일게이트와는 별도로 열리는 플립업 그라스는 화물이나 소화물, 쇼핑백등 간단한 짐을 수납시 트렁크 테일게이트 전체를 열지 않고 유리 부분만을 오픈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입 니다.(렉스턴 적용)

97. DPS 리어와이퍼
    Depressed parking system은 플립업 글라스 장착 차량에서 글래스를 여닫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와이퍼가 글래스 아랫쪽에 파킹되는 시스템이며 글래스가 열려 있을때에는 전기적인 장치에 의해 와이퍼가 작동하지 않습니다.(렉스턴 적용)

98. 다기능 양방향 시동 리모콘키(RES: Remote Engine Starting)
    리모콘을 이용하여 차랴의 시동, 도어잠금, 열림등을 수행하며 차량동작후 수행결과를 리모콘으로 다시 전송해주어 차량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됨. 또한 키 두께 증대 및 형상 변경으로 복제가 어려워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강제로 도어나 후드를 열었을때 사이렌과 함께 방향지시등 뿐만 아니라 사이드리피터까지 깜빡거리게 하였습니다. 이 기능 이외에 PANIC 기능, ESCORT기능, 자기차량 확인 램프기능 등이 추가로 적용되었습니다.

99. 리모콘키(REKES: Remote Key System)
    리모콘을 이용하여 도난방지/도어잠금, 열림/자기차량 확인램프 기능등을 수행함.

100. ECS(Electronic Control System)
     자동차 각부에서 설치된 센서에서 감지한 자동차의 주행조건 노면 상태, 운전자의 스위치 선택 등을 종합하여 E.C.U가 작동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높이와 현가장치가 자동조정되어 주행 중 승차감 향상, 조향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켜 안전하고 안락한 운행이 되도록 한 안전장치임

자동차 외부,내부 명칭좀알고싶어요

자동차 외부,내부 각부위의 명칭좀.... ex) 컴퓨터본체 - 메모리카드 , 하드디스크, 메인보드 , CPU 구체적으로 써주시면 감사해요 외부 ) 도어, 본네트, 휠, 타이어...

엔진룸 내부 구조 부위별 명칭 좀...

자동차 구조 부위 명칭알고싶어요 마티즈2인데 예를들면 어디에 써모스텟이 있고 파워오일 엔진오일 슈즈박스 워터펌프 모 이런식으로 어디에있고 명칭도 알려주실분...

고정익 항공기의 외부 명칭의 기능

... 명칭을 질문하셨는지 잘 몰라서 그냥 두개 다 해드립니다. 그리고 외부장치에 한해서 질문하셨기 때문에 내부장치... 있습니다.자동차와 거의 비슷하지요? 하지만 더...

자동차내부용어

... 자동차 내부에 있는 예를들어 전조등 와이퍼 뭐 등등 그런것좀 용어(명칭)하고 그의 뜻도 알려주세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은 곳에 장착되어 있고, 그림의 예로서는...

자동차 통신속도를 알고싶어요 쉽게 알

자동차 통신속도를 알고싶어요 쉽게 알려주세요~~ㅠㅠ 자동차 내부에 사용되는... 사용하여 외부로 부터 노이즈게 강합니다. 좀더 구체적인 내용은 구글등에서...

자동차 내부방음을 싸게 하는 곳을 알고...

승용차 내부 방음을 할려구 하는데요.. 차량은 스쿠프이구요....싸게 하는 부산에있는... *^^* 저는 대구에서했습니다 오래된거 같은데 카*넷이라고 특정명칭은 좀그래서 자동차방...

자동차 계기판의 그림과 각 부분의 명칭...

자동차 계기판의 그림과 각 부분의 명칭좀 찾아주세요ㅠ 그리고 각각 하는 일에... 차량 내부외부의 온도차이때문에 유리창에 서리가 끼게되는데 이걸 열이나 바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