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관중 주변장치인 점화기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제발염 ㅠ 빨리...

자동차 기관중 주변장치인 점화기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제발염 ㅠ 빨리...

작성일 2003.11.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동차 기관중 주변창치에 속하는 점화기관이 궁금합니다..

점화기관의 역활, 자석점화장치에서 1차코일에서 낮은 전압을 가하다

2차코일에서 10000V 이상의 전압을 가하는데 어떻게 10000V 가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또 점화 플러그의 중심 전극은 절연체로 되있다고 하는데

절연체란 무엇인가요??

마지막으로 점화장치는 어떤 것들로 구성되어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점화장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있죠.. 점화장치의 원리는 유도 전압을 이용 한 것인데요.
1차코일에 흐러던 전류를 끊어 버리면 2차 코일에 엄청난 유도전압이 형성 됩니다.
2차코일에 유도 되는 고전압은 1차코일의 권수비(구리선이 감겨있는 수)와 2차 코일의 권수비, 그리고 드월각에 의해서 결정 됩니다.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끊어주고 이어주는 역활을 하는 것이 흔히 말하는 배전기라는 곳에서 합니다.
요즘은 ecu에서 제어를 하는 것도 있습니다. 파워TR을 통해서 말입니다.
2차코일에 고전압이 유도 되는이유는 "유도전압" 을 공부하시면 금방 이해 되실껍니다.
그리고 절연체라고 하셨는데요 절연체는 전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 입니다.
스파크 플러그를 통과하는 고전압이 만약 절연체가 없으면 엔진헤드와 실린더 벽을 통해서 어스 되어 버리겠죠.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말이죠.
그걸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를 두어 전기의 누설을 막는 것입니다.
점화장치의 구정으로는요.
접점식 점화장치와, 트랜지스터 코일 점화장치, 전자식 점화장치, 전전자식 점화장치, 축전기 방전식 점화장치 등이 있는데요.
구성하는 것들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일일이 열거하기가 좀 힘드네요.^^
예를 들어 접점식 코일 점화장치의 구성부품은요 "점화코일, 점화.시동스위치, 벨러스트 저항, 단속기, 축전기, 배전기구, 원심식 진각기구, 진공식 진각기구, 스파크 플러그, 고압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꼭 답변해주셨으면 합니다 제발

... 안하는지 궁금합니다 마치 철근이나... 하셨는대 주변의 공간을 순식간에 일그러트려서 압축시킬정도로... 자동차의 기관(엔진내 폭발장치)에 대한 가설 수준이라고 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