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중 급발진 발생하면

운전중 급발진 발생하면

작성일 2023.06.05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기어 n단 변경하라고 들은적이 있는데요. 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달리는 도중에도 기어변속이 바로 되나요? 
변속기가 잠겨버리는 경우는 없는지요.
혹시 더 좋은 급발진 대처법이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운전 중 급발진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기어를 N단으로 바꾸는 것은 하나의 방법이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대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급발진 상황 대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급발진이 발생하면 먼저 긴장하지 말고 차량을 조작합니다.

2. 브레이크를 강하게 쭈욱 밟고 떼지마십시요. 급발진 발생 시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는상태가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속도가 줄어들고, 차량이 멈출 수 있습니다.

사이드 브레이크 수동식은 2~3회

나눠서 땡깁니다.

전자식도 무조건 작동시킵니다.

3. 기어를 N(중립)으로 바꾸십시오.

4. 시동을 끄세요.

5. 속도가 안줄면 근처 보도블럭이나 들이받을

곳을 찾고 부딪히면서 주행하시고 멈추려는

생각과 시도를 계속 하십시요.

5. 시동끄면 핸들이 잠길수도 있는데 일단은

급발진시에는 엔진정지가 우선입니다.

6.112,119나 고속도로 긴급연락처 1588-2504

연락하여 현재상황을 크게 얘기하십시요 도움을

요청하세요.

창문을 열고 크게 소리쳐 주변에 알리십시요

신고해주세요

7.긴박한 상황에 이모든게 힘든줄아는데요

블랙박스에 녹음.녹화되길 원하는것이고 블랙박스에 녹음이안되었다면 이후 증빙에 어려움이있을수도 있습니다

증인 등 이후 자료가 필요시 연락한곳들은

자료가 남아있기때문입니다.

8.동승한 사람이있다면 함께 위기를 대처하시고

브레이크.엑셀패달에 동영상 촬영등 당시 상황을

동영상으로 담아놓으면 좋습니다

안전이 확보될시 시도하십시요

참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같은 상황이 안오길 기원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변속기 레버가 기계식인 경우에는 무조건 중립으로 됩니다만, 변속이 전자식인 경우에는 신뢰할 수 없다는 말이 있긴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할수있는 모든 방법을 다 해야죠

기어변속 됩니다. N단에 놓으면 동력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제일 먼저 해줘야 할 일입니다.

그다음에는 브레이크는 나눠밟지 말고 한번에 풀브레이크 해주시고 그래도 속도가 안줄어지면 사이드브레이크 방식이면 3번 나눠서 올리시고 전자파킹방식이면 그냥 키시면 되고

이래도 안멈춘다 그러면 핸들돌려서 가드레일 박으면서 가는수 밖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자님 안녕하세요.

운전중 급발진 발생하면

기어 n단 변경하라고 들은적이 있는데요. 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달리는 도중에도 기어변속이 바로 되나요?

변속기가 잠겨버리는 경우는 없는지요.

혹시 더 좋은 급발진 대처법이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감스럽지만 변속기가 잠겨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급발진시 대처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차량이 운전자의 제어를 벗어나 의도하지 않은 가속을 하는 현상으로,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브레이크를 힘껏 밟기: 급발진 시에는 브레이크를 힘껏 밟아서 차량을 정지시켜야 합니다.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서 밟으면 오히려 브레이크 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한 번에 힘껏 밟아야 합니다. 두발로 밟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라고 합니다.

2. 기어를 중립(N)으로 변경: 차량이 멈추지 않을 경우, 기어를 중립(N)으로 변경하여 동력을 차단합니다.

사이드 브레이크 올리기: 사이드 브레이크를 올려 차량을 고정 시킵니다.

3. 시동 끄기: 차량이 완전히 멈추면, 시동을 끄고 다시 시동을 걸어봅니다.

4. 주변 상황 파악: 급발진 시에는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충돌 위험이 있는 물체나 사람을 피해야 합니다.

5. 위와 같은 방법을 했는데도 안되면 속도가 올라가기 전에 차량 우측을 ( 가드레일 or 벽을 ) 긁으면서가서 타이어를 터뜨리거나 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 보행자는 잘 피하셔야겠죠. (이전에 한블리에서 택시기사님께서 이렇게 차량을 정지시키더군요. )

6. 비상등 켜기: 비상등을 켜서 주변 차량에게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합니다.

7. 차량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안전 운전을 습관화하는 것도 좋습니다.

위의 대처 방법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대처 방법이며, 급발진 상황에서는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발진 블박 후기

https://link.coupang.com/a/blMwWM

글이 유익하셨다면 '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동차 급발진

... 실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운전중 시동 버튼을 두번 눌러 시동이 꺼진 뒤에도 핸들 조작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급발진은 일상에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급발진 사고 책임 누구한테 무나요?

... 이 사건은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던 중 급발진하여 앞차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법원은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급발진에 대하여

... 할아버지가 운전중 급발진 영상을 보고... 8V에 달하는 최대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때는 ECU는... 차종 배터리방전이 잦았으나 원인을 알 수가 없었는데 “VAD를...

차량 급발진

... 차량인데요 운전중 갑자기 브레이크를 잡아도 정지가 안되는 급발진으로 다행히... 급발진스러운 증상이 어느 부분으로 인해 발생한것인지 여부에 따라 유상인지...

자동차 급발진 대처 방법

... **비상등 켜기:** 급발진 중에는 주변 운전자들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주변 환경 확인:** 급발진발생했을 때는 주변 상황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주행 중인...

급발진사고...?

... 결함 주로 제조자가 합리적인 대체설계를 채용하였더라면 피해나 위험을... 때문에 급발진사고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사고 당시 운전자가 자동차를 통상의 용법에 따라...

자동차 급발진의 주행환경과...

... 가속 중인 상황: 자동차가 가속 중에 급발진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운전자가 악의적으로 혹은 운전 실수로 가속 페달을 갑자기 밟았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