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본상식 브레이크등등

자동차 기본상식 브레이크등등

작성일 2014.01.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름좀 알려주세요 자동차기본상식 ..
브레이크 ..엑셀등등 핸들 아무것도몰라서ㅠㅠ설명도좀


#자동차 기본상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저는 결혼정보회사를 운영하는데요.

 

'이건 그림이니까 감으로 알 수도 있어.' 남자친구가 정비업체에 전화하는 동안 찬찬히 계기판을 살펴보는 그녀. 하지만 영어보다 더 모르겠다. '저 윙크하는 판다 랑 물 위의 돛단배 는 뭐지?'


혼란스러워하는 그녀를 위해 계기판 안의 주요 경고등과 표시등을 설명해보겠다. 일단 지침이 있는 네 개의 미터를 살펴보자.

① 엔진회전계(타코미터)
엔진의 분당 회전수(RPM)를 나타낸다. 지침이 가리키는 숫자에 1000을 곱하면 실제 엔진회전수가 된다. 엔진회전계에는 '레드존'이라 칭하는 부분이 있는데 바늘이 레드존 안으로 향하게 되면 엔진이 과열되거나 과부하가 일어나므로 주의해서 보도록 하자.

② 냉각수 수온계
엔진 열을 내려주는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낸다. 수온계의 지침이 C(cold)와 H(Hot)사이의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③ 속도계
자동차의 시속 주행속도를 나타낸다. 보통 속도계 안에 자그마한 LCD화면이 있는데 적산거리와 구간거리가 ㎞ 단위로 표시된다. 적산거리는 총 주행거리를 나타내고, 구간거리는 운전자가 선택한 구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구간거리 대신 현재 연료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④ 연료계
연료 탱크 안에 남아있는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며 F(Full)와 E(Empty) 사이에서 바늘이 움직인다. 약 5L의 연료가 남았을 때 경고등이 점등되며 이는 보통 중형차로 30~40㎞ 정도를 달릴 수 있는 양이다.

네 개의 미터 주변에는 복잡할 정도로 많은 경고등이 자리잡고 있다. 처음에는 각 경고등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호기심을 갖다가도 운전 경험이 늘어날수록 익숙해지기 때문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경고등 하나하나에는 중요한 역할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 다음의 경고등을 눈 여겨 살펴보고 점등되었을 때의 적절한 대처법을 알아보자.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currentPlayer; var wT = document.title; function setCurrentPlayer(_id) { if (currentPlayer != undefined && currentPlayer != _id) { var player = nhn.FlashObject.find(currentPlayer); player.stopSound(); } currentPlayer = _id; document.title = wT; } function flashClick() { document.title = wT; } window.onload = function() { document.title = wT; } </SCRIPT>

① 오버헤드콘솔
보통 룸미러 앞에 자리 잡고 있다. 조명장치가 달려 있으며 눌러서 열면 선글라스나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나온다.

② 선바이저
운전석과 조수석 앞에 달려 있다. 빛을 막아 눈부심을 방지하며 한쪽 끝이 분리되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옆면에서 들어오는 빛 또한 가릴 수 있다. 보통 선바이저를 내리면 안에 작은 거울이 장착되어 있다.

③ 글로브박스
조수석에 앉은 사람의 무릎 높이쯤에 위치한 수납공간.

④ 센터페시아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 앞부분에 오디오와 에어컨 등 각종 버튼이 모여있는 공간.

⑤ 대시보드
운전석 앞쪽에 있는 계기판과 센터페시아, 글로브박스를 포함한 총칭이다.

⑥ 도어트림
차 문 안쪽을 도어트림이라고 한다. 작은 수납공간과 창문을 여닫는 버튼 등이 있다.

⑦ 도어포켓
도어트림에 있는 작은 수납공간을 말한다.

⑧ 콘솔박스(센터콘솔)
운전석과 조수석 의자 사이에 위치한 박스.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다.

⑨ 풋레스트
운전석에만 있는 발받이 공간이다. 주행 중 사용하지 않는 왼발을 이곳에 두어 몸을 균형감 있게 지탱한다.

 

핸들 옆 레버의 정체는 무엇?

 

운전석에 앉아 핸들을 바라봤을 때 왼쪽에 있는 레버는 깜박이와 안개등 같은 조명을 조절하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와이퍼를 작동시킨다. 작은 막대기 하나에 여러 기능이 붙어 있어 다소 복잡하기 때문에 운전에 집중하다 보면 조명을 켠다는 걸 와이퍼를 작동시키기도 한다. 꼭 필요한 기능이지만 미처 사용법을 익히지 못한 초보운전자들도 상당하다. 여기서 한번 자세히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 왼쪽 레버 - 조명과 방향지시등 작동
왼쪽 레버의 끝을 잡고 돌리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① Off : 모든 조명이 꺼진 상태.
② 미등 : 자동차의 미등, 차폭등, 번호판등, 계기판등이 조명된다.
③ 전조등 :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작동된다. 미등과 전조등이 모두 켜진다.
④ 전조등 상향등 : 레버를 계기판 방향으로 밀면 상향등이 켜지고 운전자 쪽으로 당기면 꺼진다. 상향등이 켜지면 계기판의 전조등 상향 표시등에 불이 들어온다.
⑤ 안개등 : 미등을 켠 상태에서 안개등 스위치를 돌리면 점등된다. 안개등을 끄려면 미등을 끄거나 안개등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린다.


일명 '깜박이'로 불리는 방향지시등 역시 왼쪽 레버를 이용해 점등한다. 우측을 표시하려면 조명스위치를 위로, 좌측을 표시하려면 아래로 움직인다.

▶ 오른쪽 레버 - 와이퍼와 워셔액 작동
오른쪽 레버를 잡고 위, 아래로 이동하며 와이퍼를 작동시킨다.


① Mist : 와이퍼가 한번 작동한다. 와이퍼 작동이 지속되지 않는다.
② Off : 와이퍼 작동이 정지한다.
③ Int : 와이퍼가 계속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을 두고 간헐적으로 움직인다.
④ Int 속도조절 : Int 스위치를 잡고 계기판 쪽으로 돌리면 와이퍼의 속도가 빨라지며, 반대로 운전자 쪽으로 돌리면 속도가 느려진다.
⑤ Lo : 와이퍼가 천천히 움직인다.
⑥ Hi : 와이퍼가 빠르게 움직인다.
⑦ 워셔액 : 레버를 운전자 쪽으로 당기면 앞유리의 워셔액이 분출되며 와이퍼가 일시적으로 작동한다.

 

아래에 소개하는 경고등은 불이 들어오면 즉시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냉각수 수온 경고등
냉각수의 온도가 120±3도 이상일 때 적색등이 켜진다. 냉각수 수온 경고등이 점등되면 엔진과열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자.

에어백 경고등
에어백에 이상이 있음을 알려준다.
경고등이 켜지면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ABS 경고등
자동차가 급제동할 때 차체는 여전히 움직이고 있으나 바퀴가 완전히 멈춰서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바퀴가 잠긴다'고 하는데 ABS는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된 특수 브레이크다. 이 브레이크에 이상이 감지되면 켜진다.

엔진오일 경고등
엔진오일 부족 등으로 유압이 낮아지면 경고등이 점등된다. 이 경고등이 켜지면 엔진오일 양을 점검하고 부족할 시 보충한다. 보충 후에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는다면 가까운 정비소를 찾아가도록 하자.

충전 경고등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충전장치가 고장 났을 때, 자동차 내부의 팬을 돌리는 팬벨트가 끊어졌을 때 알려주는 경고등이다.

엔진 경고등
엔진의 작동을 조절하는 엔진 전자제어장차나 배기가스 제어 관련 센서에 이상이 있을 때 점등된다.
주행 중 점등되면 가능한 빨리 정비소를 찾아가도록 하자.

TPMS 경고등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을 경우 점등된다.
경고등이 켜지면 즉시 정비소에서 타이어 점검을 받도록 하자.

VDC 경고등
차량 스스로 노면의 미끄러움을 감지해 바퀴 브레이크의 압력과 엔진출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VDC라고 하며, 이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 점등된다. 점등 시 즉시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도록 하자.

 

 

점등 시 운전자의 적절한 대처를 요하는 것들이다.

도어 열림 경고등
자동차의 문이 열려 있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에 켜진다.
모든 문이 완전히 닫히면 소등된다.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보통 운전자석에 앉은 사람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차를 출발시키는 경우에 점등되며 경고음이 울린다.

브레이크 경고등
사이드브레이크를 내리지 않고 주행을 시작하면 켜진다. 만약 브레이크를 내렸는데도 여전히 켜져 있다면 브레이크액이 부족하다는 신호이므로 보충하도록 하자. 모든 조치를 취했는데도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져 있다면 관련 부품이 마모되었을 확률이 높으니 즉시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도록 하자. 브레이크는 사고와 직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료부족 경고등
연료 탱크 안에 약 5L의 연료가 남았을 때 점등된다. 초보운전자의 경우 이 경고등이 점등되면 당황하여 급하게 운전을 하다가 사고를 내는 경우가 있는데 연료부족 경고등이 점등됐다 하더라도 가까운 주유소까지의 운행은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천천히 안전운전하도록 하자.

트렁크 열림 경고등
트렁크 문이 열려 있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점등된다.
문이 완전히 닫히면 소등된다.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이모빌라이저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각 키마다 고유의 암호를 부여해 이를 확인하고 시도을 제어하는 장치다. 스마트 키가 차 내에 없을 경우 경고등이 점등되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운전 시 유용한 표시등에 대해 살펴보겠다.

방향지시등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할 때 가고자 하는 방향의 램프를 켜는데 이때 계기판의 방향지시등 또한 함께 점등된다. 보통 센터페시아 가운데에 위치한 비상등을 누르면 두 개의 방향지시등이 동시에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한다.

전조등 상향 표시등
전조등은 차체 앞에 부착된 전등으로 야간 주행 시 앞을 환하게 비춰 준다. 전조등은 하향등이라고도 부르는데 핸들 옆에 달린 레버를 두 번 돌려 하향등을 켜고 그 상태에서 다시 레버를 바깥쪽으로 밀면 상향등이 켜진다. 전조등 상향 표시등은 상향등이 켜졌을 때 점등된다.

상향등은 마주 오는 차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가 될 만큼 밝아 보통의 경우 하향등만을 켠다. 단, 밤길 주행 중 보다 먼 곳을 봐야 하는 경우나 앞차나 맞은 편 차에게 비상신호를 보낼 때는 상향등을 켠다.

자동변속기 위치 표시등
자동변속기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기어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장치다. 운전상황에 맞추어 엔진의 동력을 잠시 끊거나 이어주는 클러치의 역활과 기어변속의 조작을 대신 해준다.

기어변속은 자동으로 가능하지만 자동차의 진행방향은 운전자가 변속레버의 조작 시 레버가 위치한 곳을 표시한다. 보통 P(Parking, 주차), R(Reverse, 후진), N(Neutral, 중립), D(Drive, 주행)로 표시된다.

출처: 지식백과

 

# 1

1. 워셔액
: 요즘의 워셔액은 동계용이 따로 없습니다. 왜냐하면 과거 일반 워셔액과 동계용 워셔액의 차이로 인하여 많은 운전자들이 고생을 했거든요.. 그래서 워셔액 업체에서 요즘은 구분없이 사계절용으로 제작 판매합니다. 만일 구분이 있다면 운전자가 그업체의 제품은 꺼리겠죠....아무래도 신경을 써야 하니까....
2. 본넷..
: 운전석에 본넷 여는 스위치가 있을껍니다. 위치는 차종마다 다릅니다. 참고하시고
스위치 작동이 끝나면 차에서 내려 본넷 앞쪽의 중간의 벌어진 틈으로 손을 넣어 보시면 Lock 레버가 만져집니다. 레버를 위로 밀어올리면 본넷을 열수 있습니다. 그리고 닫을때는 너무 세게 내리지 말고 적당한 힘으로 눌러 내려주세요.. 너무 약하면 다시 닫아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주위의 운전자분들께 배우세요..창피한것 아닙니다.
3. 페인트
: 자동차 용품 전문점에 가시면 차량 색상별로 페인트를 판매합니다. 아마 스프레이식으로 판매가 될꺼구요.. 긁힌 부분을 칠하시려면 스프레이를 작은 용기나 작은 판등에 조금만 뿌려 면봉이나 저렴한 붓으로 살짝 묻힌후 긁힌 부분을 물감으로 칠하듯 발라주면 됩니다. 어렵진 않지만 자칫하면 보기 흉해지니까 주위 경험자분들께 의뢰하여 한번 보고 배우십시요...
4. 겨울철 차량관리
:*겨울이 오기전 Air Filter를 청소해 주십시요..필요하면 교체를...
*부동액이 충분히 있는지 확인하시고 절대 싸구려 부동액은 넣지 마십시요..
*날씨가 영하 15도 이하로 내려가면 가솔린 차량도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럴땐 무리하게 시동을 걸지 마시고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침에 서리가 내려 앞유리가 보이지 않는다고 뜨거운물 붓지 마세요..자칫 앞유리가 깨집니다. 주의 하시고 서리 제거용 스프레이가 있으니 그걸 이용하세요..아니면 카드나 서리 긁는 도구가 있으니 적극 활용하시고...
*겨울철 눈길,빗길 운전은 절대 삼가하시고 겨울이 오기전 반드시 스노우 체인을 준비해 두시고 사용법을 익혀두세요...눈길 미끄럼 방지 스프레이도 있습니다. 사두면 매우 용이하게 사용가능합니다. 단 스노우 체인이든 미끄럼 방지 스프레이든 효과는 있지만 맹신은 금물..일단 눈길에서 미끄러지면 아무것도 소용없습니다.
*날이 너무 추우면 차문이 열쇠로도 안열릴수 있습니다. 그럴땐 다른 교통수단을 이요하시고 점심때쯤 다시 열어 보십시요..
*겨울 한달에 한번은 차량 에어컨을 시험 가동 해 주세요.. 그래야 에어컨 배관이 청소 됩니다.
*차에 목장갑을 꼭 비치해 두세요..
*배터리 방전을 대비해서 반드시 점프선(5000~10000원)을 사서 차에 보관하십시요..(항시)
*초겨울~초봄까지 운전중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
-- 급제동 주의
-- 다리에서의 운전시 미끄럼 주의(급제동 절대 금지)
-- 그늘진 도로 주행시 브레이크 주의해서 밟을 것.(급제동 절대 금지)
-- 절재 차량 전용도로만 주행 할 것.
-- 빗길 운전은 절대 감속. 주의 운전할 것.(급제동 절대 금지)
-- 겨울철 야간 운전은 가급적 자제 요망.(서리가 내려 매우 미끄러움-눈길운전보다 사고 위험성이 2배 이상 많음.)-절대 자제(특히 비온 뒤)

*여름철에 가장 주의해야 할 문제-절대 차안에 라이터 두지 말 것.

 

# 2

본닛안엔 엔진이 있습니다. 90%가 엔진이죠. 엔진이 차의 동력을 전달합니다.

본닛밑의 부품들을 일일이 적자면 엄청 길어집니다.

차의 대해서 알고싶으시다면 책이나 인터넷에서 차근차근 읽어보시는게 좋습니다.

 

엔진의 마력이란 엔진의 힘을 뜻합니다.

엔진의 힘을 마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옛날의 차는 말들이였기에 말 마馬자와 힘 력力자를 붙여서 마력이라고 부릅니다.

마력과 km은 아주 다르죠...^^ 마력은 엔진의 힘을 말하는것이고 km는 길이를 뜻하는 것이죠. kw와 혼동하셨나보군요. kw는 킬로와트 kilowatt.를 뜻하는건데요. kw는 세계 공용으로 힘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1kw는 대략 1.34마력입니다.

 

# 3

기어변속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를 참조하세요.

P(Parking) : 주차

R(Reverse) : 후진

N(Neutral) : 중립

D(Drive) : 주행

L(Low) : 저단기어 (차종에 따라 3 2 1 순으로 된 것도 있고, L 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 4

잘못된 자동차상식 10가지

잘못된 자동차 상식은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운행중 위험을 불러오기도 한다. 잘못된 자동차상식 10가지를 골라봤다.

1.추운 날엔 워밍업을 길게 해줄수록 좋고, 시간을 단축하려면 가속페달을 밟으면 된다
->필요이상의 공회전은 연료만 낭비하고 배기가스만 배출한다. 겨울철 2분, 여름엔 1분정도면 충분하다. 또 고속공회전은 엔진에 무리를 줘 차량수명을 단축시킨다.

2.고갯길을 내려갈 때 기어를 중립에 놓거나 시동을 끄면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대형사고를 낳을 수 있는 위험 천만한 일이다. 전자제어장치 등이 작동하지 않아 핸들조작이나 브레이크 작동이 안되기 때문이다.

3.새 차를 구입한 직후엔 고속주행해 엔진을 길들여야 한다.
->새 차는 실린더 안쪽 벽면과 트랜스미션 등에 아주 미세한 입자들이 남아있어 1천㎞ 주행까지는 고속주행을 삼가야 한다.


4.새차 구입 뒤 코팅광택을 하면 차량수명이 오래간다.
->광택은 날지 모르나, 사람의 피부를 벗기는 것과 같이 차량의 수명을 단축한다. 새차엔 세차 뒤 왁스칠이 가장 좋은 유지법이다.

5.겨울철엔 오버히트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오버히트는 기온이 높을 때만 일어나는 게 아니다. 냉각수가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농도가 낮을 때, 또 엔진내부가 동결돼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을 때도 오버히트 현상이 일어난다.

6.주차 때 항상 핸드 브레이크를 해놓는게 안전하다.
->수동변속기를 단 차량엔 맞는 말이다. 그러나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기어가 풀릴 염려가 없고, 특히 겨울철에는 브레이크 드럼과 패드가 얼어붙을 수 있어 언덕길 주차가 아니면 핸드 브레이크는 쓰지 않는 게 좋다.


7.운행하지 않을수록 차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도 적당한 운동은 필수적이다. 차량을 오랫동안 세워 두면 잔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장기간 차량을 세워놓아야 할 때는 주1회 이상 시동을 걸어 워밍업을 시켜주는 게 좋다.

8.지프형 승용차엔 파이프로 된 범퍼를 추가 장착하는 게 좋다.
->보기엔 좋을지 모르지만 충돌시 범퍼가 충격 완충작용을 하지 않아 범퍼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된다. 무게가 30∼50㎏에 이르러 차량연비에도 나쁜 영향을 끼친다.

9.코너링 도중에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노면이 미끄러운 곳에는 금물이다. 겨울철엔 코너에 진입하기 전에 속도를 줄이는 감속주행이 더욱 긴요하다.


10.출발은 언제나 1단으로 한다.
->눈 쌓인 평지나 언덕길에선 1단에서 출발하는 게 더 어렵다. 이 때는 2단이나 3단으로 출발하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5

1.엔진오일의 색깔은?

2.브레이크 오일의 색깔은?

3.배터리의 +극-극의 색깔은?

4.부동액의 색깔은?

5.파워스티어링 오일의 색깔은?

6.배터리창의 색깔별 성능은?

7.자동 변속기 오일의 색깔은?

8.캬브레터식 엔진의 장단점은?

10.자동변속기 기능

11.파워기능은?

12.원터기능은?

14.클리프 현상은?

15.운전시 연료를 절약하는 운전요령은?

16.카본캐니스터란?

17.자동차진동의 종류는?

18.자동변속기 차량의 자가진단방법은?

19.냉각수와 부동액의 비율은?

20.경고등의 종류는?

 

답변:

 

1.엔진오일의 색깔은 약한 노란색으로 볼수있습니다 오염되면 점점 검정으로 변하지요

2.브레이크 오일의 색깔은 투명입니다.

3.배터리의 +극-극의 색깔은 +극은 빨강 -는 검정입니다

4.부동액의 색깔은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녹색,요즘은 빨간색도 있습니다 흰색도 있고요

5.파워스티어링 오일의 색깔은 빨간색입니다

6.배터리창의 색깔별 성능은;;; 밧데리에 있는 녹색,흰색,빨간색을 말씀하시는지 잘;;;

7.자동 변속기 오일의 색깔은 분홍색입니다

8.캬브레터식 엔진의 장단점은? 잘....선생님께 질문...

10.자동변속기 기능은 오토미션 자동으로 기어가 변속하는거지요 단 N,P,R 은 수동으로 교환하셔야함

11.파워기능은 핸들이 부드럽게 돌아갈수 있게 해줍니다.

12.원터기능은... 원터가 아니고 윈터 입니다 윈터모드는 겨울에 눈길이나 빙판길 출발시에 쓰는 것입니다.

14.클리프 현상은 'D'레인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차량이 앞으로 진행하는 현상입니다.

15.운전시 연료를 절약하는 운전요령은 급출발,급가속,브레이크 밟는 횟수를 최대한 줄입니다.

또한 뭐... 휠얼라이먼트와 타이어 공기압도 연비에 좋습니다.

16.카본캐니스터란 연료 탱크의 통풍라인 끝에 활동성 목탄 필터를 설치해 증발되는 가스를 흡수함으로써 공기만 대기 중으로 배출시킵니다.

17.자동차진동의 종류는 연소불안정 , 얼라이먼트 , 타이어 공기압(휠벨런스) ,쇼바,엔진떨림,차량밀림진동, 엔진부조진동, 미미파열로 등등..;;;

18.자동변속기 차량의 자가진단방법은 흠... 이건 좀 일반인이 보기엔 힘들듯한데요...선생님에게 질문해야할듯;

19.냉각수와 부동액의 비율은 5:5입니다

20.경고등의 종류는 냉각수, 오일, 밧데리,핸드브레이크(브레이크오일경고등)에어백,abs,등...

알아두어야 할 자동차 기본상식

... 하는데 자동차 기본상식 시험을 본다고 해서 시험에... 주행시 브레이크 주의해서 밟을 것.(급제동 절대 금지)... 미미파열로 등등..;;; 18.자동변속기 차량의 자가진단방법은...

자동차 기본 관리및 점검 기초상식에...

... 기본적으로 차를 타고다니면서 점검해야할것들 좀... 주행시 브레이크 주의해서 밟을 것.(급제동 절대 금지)... 잘못된 자동차상식 10가지 잘못된 자동차 상식은 차량의...

자동차 기본상식문제 풀어주삼....

... 2.브레이크 오일의 색깔은? 3.배터리의 +극-극의 색깔은?... 17.자동차진동의 종류는? 18.자동변속기 차량의... 미미파열로 등등..;;; 18.자동변속기 차량의 자가진단방법은 흠....

자동차 브레이크 고장

... 엔진 등등 전부다 괜찮아서 봐줄 게 없다는 말만 들었는데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요 자동차 좋아하고 잘 아시는 분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브레이크 계통 고장 진단법...

자동차 기본상식

제가 초보라 차에 기초상식이 없어서요.. 고수님들 좀... 그래서 자동차가 좀 벗겨졌는데요.. 이거 물감같이 제가... 주행시 브레이크 주의해서 밟을 것.(급제동 절대 금지)...

자동차상식

... 자동차기본 상식을 좀 알려드릴게요. 참고해 보세요... 주행시 브레이크 주의해서 밟을 것.(급제동 절대 금지)... 미미파열로 등등..;;; 18.자동변속기 차량의...

자동차기본상식

... 넣고 브레이크를 밟아 20이하 표지판 전에 20이하로 속도를 떨어트리시면 됩니다. 3.그리고 자동차 운전면허시험볼때 체점을 해야하는데 뭐눌러야 작동이 되는데...

스마트키 자동차 사이드브레이크 중에...

... 바로 브레이크 라이링 같이 확인하시면 될듯 일단 연기 발생을 했다면 점검은 당연하죠!! 자동차는 님이 하찬게... 이정도의 기본 상식을 알려주셔야 어느분이든 자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