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실내공간을 잘 만들수 있는 특화된 기업인 이유는 뭔가요??

현대자동차가 실내공간을 잘 만들수 있는 특화된 기업인 이유는 뭔가요??

작성일 2022.02.0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현대자동차가 실내공간을 잘 만들수 있는 특화된 기업인 이유는 뭔가요??




안전하면 볼보, 럭셔리하면 롤스로이스, suv하면 랜드로버 등등 처럼
(기술이 좋다안좋다 따지는게 아니라, 메이커를 들었을 때 처음으로 생각나는 이미지를 말하는겁니다)






보통 현기라고 생각하면, 부정적인 이미지 말고는, 실내공간이 넓다라는 인식이 있는데, 해외매체에서도 그런 평가가 지배적인듯 보입니다

그런데, 전세계 수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있는데, 왜 유독 현기가 독보적으로 내부공간을 잘 뺄수 있었는건가요??


현대그룹에 현대중공업이나 현대제철이 있어서??? 물론 그런 기술들때문에 시너지를 얻을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치면 좀 비교하는게 안맞을수도 있겠으나) 삼성자동차는 파워트레인이이나 주행 이런건 덜 떨어져도, 

sm계열들의 차도 공간은 잘빼야했을겁니다. 삼성중공업에서도 철을 다루는 기술이 시너지를 이뤘을꺼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20대 중반에 대학생인데, 고등학생때 한참 현기차 급발진이나 안전문제 이슈가 화두가 될때였고, 

실내공간을 잘빼는 이유는 

1. 현대제철에서 강도가 포항제철보다는 떨어지는 강판을 받아서 만들고, 

2. 여기저기 눈에 안보이는곳(부품, 차대, 세시 등등)에서 원가절감 했을꺼라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니까, 

1. 강도가 더 떨어지는 강판을 가지고 차를 만들었다면, 동급대비 강도는 떨어져도 어느정도 하중을 받아도 안전하게 만들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거고, 

2. 유튜브에서 차체나 안쪽리뷰를 보면, 물론 안좋은곳도 있지만, 동급대비 그렇게 떨어지거나 하는 모습도 아니었습니다. 



한국사람들이 큰 실내공간과, 남에게 보여지는 모습이 중요하게 생각한다라는 마인드도..

"실내공간이 넓은 자동차를 만들겠어"라고 해도, 기술력이 있어야 가능한건데..











현기가 실내공간을 잘 빼는 이유는 뭔가요??

우리나라가 큰걸좋아하는 문화가 있어서 그렇다 등등 같은 답변 싫습니다

있는 사실에 근거해서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현대가 80년대말에 출시했던 전륜구동(FF) 승용차가 실내를 넓게 뽑아내는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후륜구동의 경우, 드라이브 샤프트가 가운데로 지나가서 실내 바닥이 튀어 올라와 있습니다. 이는 실내를 좁아보이게 하고, 엔진-트랜스미션-디퍼런셜로 전달되는 구동력 전달 구조로 인해 엔진룸에서부터 구동력의 최종 도착지인 뒷바퀴까지 거리도 길게 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전륜 구조로 설계를 하면서 저런 제약 조건이 없어지면서 내부 탑승객 공간이 넓게 설계할 수 있었고, 실제로 현기차는 동급 외산차와 비교할때 실점수간이 넓은 편입니다. 일례로 외형 크기가 비슷한 BMW5시리즈와 쏘나타를 비교해볼 때 내부 공간은 쏘나타가 훨씬 여유롭게 느껴집니다.

무게배분 등 주행 품질은 후륜이 우수한 것이 정설이지만, 실내 공간은 전륜이 유리합니다.

대형세단의 경우 대부분 후륜이지만, 전체적인 외형 크기가 커서 실점수간이 좁게 느껴지지는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현대차량의 경우 차체 내구성이 매우 취약합니다. 2010년 이후 생산된 차량은 개선이 되었지만

외국에서 도입되어 국내화한 차종과 국내 개발차종의 차체 내구성이 완전히 다름.

차량의 차체는 통기 구멍이 있고 이 통기 구멍으로 유입된 습기가 물방울이 되면 차체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더이상 습도를 유지하지 않아야 하는데 1990년대 국내 개발 차종에서는 이 습도와 습기 처리 방식이 미비해서

출고 후 4년에서 5년 지나면 차체에 관통구멍이 생기는 경우가 많음.

요즘 차량은 경량구조로 디자인 하고 강도가 필요한 구분은 강한 철판을 사용하는데 그 이외의 세이프티 존을 제외한 곳의 강도는 평균이하 입니다.

실내를 크게 디자인 하는 것이 평균 강도 이하의 철판을 사용했을때 승객이 더 안전합니다.

거주 공간이 커진 이유가 한 동안 후륜구동기반에서 전륜구동 기반의 미쓰비시 차량과 제휴하면서 부터 입니다.

전륜구동이 엔진과 변속기가 일체형으로 만들면서 승객존의 구성이 후륜구동 보다 더 자유스럽기 때문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국산차량들은 수입차량들에 비해 전륜구동(FF) 차량들이 많아 파워트레인,구동장치 등이 뒤로 연결되지 않아 공간이 비교적 넓은편입니다.

실점수간은 당연히 차종에 따라 상이합니다

말씀하신 브랜드 이미지는 현대,기아는 수입 차들에 비해 옵션질이 많습니다. 이로인해 실내에 수입차들보다 옵션이 많이 들어가서 실점수간을 잘 만든다는 이미지가 생긴것 입니다.

실내공간을 잘 만들수 있는 특화된...

현대자동차가 실내공간을 잘 만들수 있는 특화된 기업인 이유는 뭔가요?? 안전하면 볼보, 럭셔리하면 롤스로이스... 탑승객 공간이 넓게 설계할 있었고, 실제로 현기차는...

자동차의 종류

... 이유는 차폭 때문인데요. IQ의 차폭은 1,680mm인데 국내 경차 규정은 1,600mm를 넘을 없습니다. 사실 토요타 입장에선 IQ가 작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차폭을...

한옥과 서양의 전통가옥의 차이점이...

... 제주도 민가가 겹집구조의 형태를 띠는 이유는 공간의...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고 여름을 시원하게 날 수 있는... 의거 정비 되어 있습니다 미국은 자동차 구입보다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