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출발시 시동 안 꺼뜨리기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출발시 시동 안 꺼뜨리기

작성일 2005.03.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곧 있으면 운전전문학원에서 도로주행 시험을 보는데요...
걱정이 좀 되네요..
배운 시간에 비해 실력이 딸린다는 소리도 좀 듣고...-.-
잘 몰랐는데, 네이버에서 알게 되었군요. 시험 볼 때
질문 사항도 있나요...그거 잘 못 대답하면 감점 정도에서 끝나겠죠..?

제일 불안한 게 역시 출발할 때 입니다.
정지하는 건 이제 좀 하겠습니다만
정지했다가 출발할 때
차가 요란한 소리를 내면서 덜커덩 거리거든요...

제 기억으로 기능 시험볼 때 철길 건널목에서 일시 정지 후
2단 넣고 기어변속구간으로 가잖아요?
그 때는 2단 출발 해도 덜커덩 거림이 없었는데...
제가 엑셀 사용을 잘 못해서 그럴까요?

오르막길 때도
연습하면서 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하고....
아직 감을 잘 못 잡겠네요...ㅠㅠ

그리고 신호등이요...
그게 진짜 애매하던데...
파란불이라도 우선은 서행을 해야하잖아요
근데 그게 참...
그래도 파란불이라 뒷차 생각하고 이모저모 따져서
가다보면 어느새 빨간불...
이 상황에서 멈추면 급정거가 되버리네요...ㅠㅠ
그렇다고 정지선을 넘을 수도 없고...

출발만 잘하면 그래도 대충은 하겠는데..ㅠㅠ

왜 2단으로 출발하는 거죠..ㅠㅠ
1단이 더 쉬울 것 같구만...

아 저는 1종 보통 시험을 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운전전문학원에서 학원 자체시험으로 면허증 취득하였습니다.

 

1종 보통이면 도로주행 15시간 교육인데 강사가 너무 많이 바뀌고, 초저녁 때 교육을

 

해서 컴컴하고 차가 막히는 상태에서 도로주행 교육을 했는데요.

 

마지막 2시간을 젊은 강사랑 했는데 저도 님처럼 마지막 시간인데도 불구하고

 

실력이 이 정도밖에 안되냐면서 주눅 들은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다음 날,

 

도로주행 시험 쳐서 87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일단 시험을 치면 차 안에서 기능검정원이

 

수신호를 물어보며, 등화장치 사용시기를 물어봅니다.

 

이에 대한 답변은 밑에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일단 처음 출발할 때는 반클러치만으로 천천히 도로로 나오세요.

 

그 다음부터 도로에서 정차하였다가 출발할 때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기어를 2단으로 넣고,

 

클러치 페달을 약간 뜁니다. 반클러치 되기 전까지 뗀 다음,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가속페달을 아주 약간만 일정하게 밟아준 뒤,

 

클러치 페달을 천천히 뗍니다. 그러면 차가 앞으로 가는데 5m 정도 간 다음

 

클러치 페달을 떼면서 동시에 가속페달을 2000RPM 전까지 밟아준 후

 

3단으로 변속하시면 됩니다.

 

기능 시험때는 빨리 가야 된다는 강박관념 없이 천천히 출발해도 되기에

 

반클러치 만으로 출발을 했기때문에 덜커덩 거리거나 시동이 꺼질려고 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저도 도로주행 교육할 때 시동도 2번 꺼먹고, 출발할 때 클러치 페달을

 

너무 빨리 다 떼어 버려서 차가 덜커덩 거리고, 짐 싣는 곳 뒤에 칸막이에서 나는

 

진동 소리도 나고, 변속을 RPM에 맞게 해주지 않아 차가 힘이 딸려

 

칸막이에서 덜커덩 소리나고 그랬습니다.

 

오르막길은 기능시험 배울 때 처음에 경사로 있죠?

 

그 때 경사로에 멈춰서 기어를 1단으로 바꿔준 뒤 클러치 페달을 차가 떨리거나

 

앞으로 툭하고 튀어 나갈려고 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앞으로 가잖아요.

 

그 때 브레이크 페달에서 가속페달로 발을 옮겨 넌지시 밟아주면 됩니다.

 

경사로에서는 1단으로 출발하세요. 클러치 페달만 뗄 떼 기능 때 처럼 하신다면

 

뒤로 안 밀립니다. 밀리더라도 조금만 밀립니다. 경사로는 원래 반클러치 출발입니다.

 

그리고 도로에서 파란불에 서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무조건 기어를 제 때 (200RPM 전) 변속해 주신 뒤 앞에 차와의 안전거리가

 

좀 멀다 싶으면 4단까지 변속하고 50~55KM 정도로 달리시면 됩니다.

 

횡단보도 앞에서는 그냥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페달에 발을 얹어 놓는다는 느낌으로

 

주행하시면 됩니다. 굳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아도 평지에서는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아도 점점 속도가 줄어들거든요.

 

만약, 저렇게 속도를 점점 높여서 파란불이나 주황색불에 통과가 안될 시에는

 

2단으로 출발했다가 3단까지만 변속해준 뒤 천천히 가세요.

 

그리고, 트럭은 1단으로 출발하면 속도가 엄청 느립니다. 그래서 2단으로 출발하라고

 

합니다. 물론 1단이 큰 힘을 낼 때 필요한 기어지만, 트럭은 디젤엔진이라

 

힘(토크)이 쎕니다. 그래서 평지에서는 2단으로 출발합니다.

 

제가 제시한 출발방법이 평지에서 잘 안되신다면, 반클러치 쓰세요.

 

2단으로 클러치만 천천히 떼서 5M 정도 전진한 뒤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서 가속페달을 밟아주시면 됩니다.

 

2단으로 출발하는데 차가 떨리거나 덜커덩 거린다면 클러치페달을 약간만

 

다시 밟아준 뒤 다시 천천히 떼보세요.

 

그리고 도로 옆에 주차되어 있는 차들 옆으로 지나갈 시에는

 

3단으로 30km 정도의 속도로 가십시요.

 

한적한 도로에서는

 

3단으로 40km까지 속도 내신 후, 4단으로 변속하셔서 60km를 넘지 마세요.

 

도로에서 정차하였다 출발할 때는 천천히 출발하여도 되니 너무 성급하게 하시다가

 

시동 꺼먹고 당황하게 됩니다.

 

차에는 도로주행용 이라고 써있기 때문에 뒤에 차들이 빵빵 안거릴겁니다.

 

그러니 천천히 하세요.

 

--------------------------------------------------------------------------------------------------------------------------------

 

출발하기 전에 경찰관이 수신호 (6가지) 및 등화 장치 사용시기를 물어봅니다.

 

*수신호

 

좌회전 - 왼팔을 차체밖으로 수평으로 편다.(손바닥은 땅바닥을 향함)

 

우회전 - 왼팔을 차체밖으로 수평으로 편 상태에서 손목을 비틀면서 수직으로 올려

                손바닥이  얼굴을 바라보고 있으면 된다.

 

정지 - 왼팔을 차체밖으로 45도 아래로 편다.(손바닥은 땅바닥을 향함)

 

서행 - 정지와 같은 동작에서 상하로 팔 전체를 흔든다.

 

후진 - 왼팔을 차체밖으로 45도 아래로 편 상태에서 손바닥을 뒤로 향하게 하고,

           팔 전체를 앞 뒤로 흔든다.

 

앞지르기 허용 - 왼팔을 차체밖으로 수평으로 내어 손등이 뒤로 향하게 하고,

                               팔은 가만히 있고, 손목으로 앞뒤로 흔든다.

 

※앞지르기 허용 때에만 손목을 사용하여 손을 흔들면 되고,

 

다른 수신호는 팔 전체를 흔들거나 펴기만 하면 됩니다.

 

헷갈릴 수도 있는데 좌회전, 우회전, 앞지르기 허용만 빼고 팔을 45도 아래로 굽혀야 함

 

경찰관이 주도면밀하게 봅니다.

 

 

 

*등화장치의 사용시기

 

스티어링 휠(핸들) 왼쪽에 방향지시등을 켜고 하는 등화장치 스위치가 있잖습니까?

 

거기에 OFF 라고도 적혀있고, 이상한 그림 문자같은 것이 있습니다.

 

방향 지시기를 켤 때 처럼 스위치 전체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끝 부분을 잡고 돌리시면 됩니다.

 

주간에는 OFF에 놓는데 그걸 위로 1칸만 올리면

 

미등, 차폭등, 번호판등이 점등이 되는데

 

사용시기는 일몰 후부터 일몰 전(해가 지고 난 뒤부터 해가 뜨기 전까지) 과

 

터널, 안개, 야간에 도로에서 주정차시에 켜시면 됩니다.

 

전조등은 OFF상태에서 2칸을 위로 올리면 앞에 전조등(하향등)켜집니다.

 

사용시기는

 

어두워서 안 보일 때, 짙은 안개(가시거리 100M이내 사물확인이 어려울 때)가

 

있을 때 켭니다.

 

전조등을 켜면 보통 하향등이 켜지는데 2칸 올린 상태에서

 

그 작동 장치를 앞으로(발쪽으로) 밀면 상향등이 켜집니다.

 

하향등보다 비추는 각도가 상향이 되어 야간에 마주오는 차에게 눈부심을 주기 때문에

 

보통은 하향등을 사용하지만, 야간에 자동차들의 주행이 드문 커브길 등에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사용합니다. 마주오고 있는 차가 있으면 바로

 

하향등으로 바꿔야 됩니다.

 

비상점멸등은 짙은 안개, 자동차 고장시, 긴급한 상황, 급정시에 점멸합니다.

  

 1.탑승

   복장을 확인하고 핸드폰은  진동이나 끈다.

   차문을 열 때 좌우를 확인하고 먼저 10 센티를 연다음 뒤를 확인하고 문을 열고

   차에 오른다.

2.타면 일단 옆에 타고 있는 검정원에게 인사를 한다.

   안녕하십니까? 정도의 가벼운 인사면 적당 하겠다.

    그리고 의자를 조절하는 척하고 의자조절시에는 페달을 두발로 밟은 상태에서

   맞추는 것이 정상이다.

   의자 조절이 끝나면 안전벨트를 메고.시동이 꺼져 있다면 시동을 건다.

   이때 기어를  중립상태에서 시동을 건다는 걸 잊지 말자.

   차에 타면 기어는 1단으로 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중립으로 한다.

    오토는 P 로 한다.

3.이렇게 준비를 하면 검정원의 구두질문이 이어진다.

   구두질문 10 가지는 채점기준에 적어 두었으니 미리 외우고 가야 한다.

    구두질문이 끝나면 출발하라고 지시한다.

4.보통 앞의 수험생이 내리면서 우측 깜박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브레이크 걸려 있고.

   따라서 먼저 핸드브레이크 해제하고,깜박이를 좌측 으로 바꾼다.

   안전확인은 10 점에 해당하는 데

    차의 내부와 외부를 확인해야 한다.

    차의 내부에 뒤 수험생이나 검정원이 출발해도 이상없는 상태인가.

    출발시에 떨어질 물건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수험생의 몫이다.

    그 다음

    좌우 백미러를 고개를 돌려서 한번씩 보고 눈만 굴려서 확인하면

    검정원이 수험생이 확인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르모 감점처리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안전확인시에는 고개를 돌려서 확인해야 한다.

    시험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함이니 수험생들은 불만없이 따라주어야 합니다.

    좌우백미러 고개를 돌려서 본후 좌측은 고개를 뒤로 돌려서 백미러 사각지대를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합니다.

    백미러 사각지대란 백미러로 보이지 않는 지점 즉

    백미러 후방 5미터 정도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건 중요한 항목으로서 이 사각지대를 모르는 운전자들로 인해

    해마다 많은 사고가 일어 나고 있습니다.

    출발하면서도 좌측은 주의해서 한두 번 고개를 돌려서 추가 확인해야 합니다.

    차는 속도가 빨라 언제 갑자기 나타날지 모르므로.

    도로에 진입이 되면 깜박이를 끄고 코스를 따라 진행하면 된다.

5.교차로 통과

    교차로른 서행해야 하는 지점이다.

     파란신호일지라도 엑셀을 한번쯤 떼어 속도를 줄이면서 좌우를 확인하고

     진행해야 한다.

      그 냥 엑셀을 밟고 진행하면 서행위반과  안전미확인으로 감점된다.

    좌회전시는 신호를 따르면 되고,깜박이는 최소한 30 미터전에 넣어야 한다.

    황색신호는 정지신호이므로 황색신호에 정지선을 넘으면 신호위반으로

    10 점이 감점된다. 추가로 정지선위반도 감점이 될 수 있다.

    우회전시에는 미리 우측가장자리로 차로를 변경한후 30 미터전에 우측깜박이를 넣는다.

    그리고

     커브가 급할 경우는 기어를 저단으로 변경한다.

     교차로 보행자 신호등 옆에 보면 동그란 기둥신호가 있다.

      보행자 신호는 네모로 생겼고 이기둥신호는 동그랗다.

       우회전 차량은 이 기둥신호를 따라야 하는데,이 기둥신호가 없는 교차로도 있다.

     없는 경우는 다른 교통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천천히 우회전 하면 된다.

     기둥 신호가 적색이면

     보행등 신호가 켜진 상태이므로 정지하고 대기 하다가 신호가 바뀌면 진행해야 한다.

6.진로변경

     지금도 상당수 많은 분들이 차로변경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 교통법에는 차로변경이란 말이 삭제된지 이미 3년이 지났다.

     진로변경은 도로주행시험과제중하나이다.

     반드시 한번 해야 한다.

     진로변경시 먼저 깜박이를 30 미터전에 넣고,

     후방을 확인한다.

     후방교통을 확인하고 진로변경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진로를 변경한다.

     진로변경시

     들어가는 각도가 세면 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다. 차가 비틀거린다는 말이다.

     핸들을 조금만 밀면 된다. 10 센티 범위내에서 밀어야 한다.

     15 센티 정도 감는 다면 차가 휘청일 것이다.

     서서히 10 센티만 밀어서 감는 다. 그러면 충분히 진로가 변경이 되고

     사고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진로변경후에는 깜박이를 꺼준다.

     차량통행이 많을 경우는 진로변경이 초보자에겐 어려운 과정이다.

     내가 초보때 진로변경을 못해서

      올림픽공원을 안쪽 도로로 네바퀴나 돌았으니까.

      진로변경을 못해서 애꿎게 계속 우회전만 해댔다 이말이에요.

7.속도

     시험시에 속도규정은 도로의 표지판을 따른다.

     대개 2차로면  최고속도가 60 이고

     4차로는 80 이라는 건 알고 있을 것이다.

     특별한 곳은 속도제한 표지판이 별도로 되어 있으니 그 표지판을 잘 봐두기 바란다.

     도로주행시험시에도

      검정원의 지정속도 구간이 있다.

      검정원이 지시하는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기어와 속도의 관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RPM 이란 것도 추가로.

       정상주행시에 RPM 2가 표 준이다.

       1단은 10

       2단은 20

       3단     30

       4단은  40

       5단은   50 이상

     편의상 이렇게 알고 있으면 초보자에겐 기억하기 쉽다.

     숙달 되면 감각으로도 충분히 알 수가 있다.

8.종료시

     종료지점 30 미터 전에 우측 깜박이를 넣고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 정지한다.

     차가 완전히 정지하면 시동을 끄고

      기어를 1단으로 한다

     그다음 핸드브레이크를 건다.

      오토는 기어를 P로 한다.

      그러면 검정원의 평가가 있을 것이다. 합격이냐 불합격이냐....

      혹 불합격시에는 불합격을 이유를 꼭 확인한다.

 

처음 왼쪽 방향 지시등을 켜고 출발할려고 할 때는 반클러치로 서서히 출발하세요.

 

그리고 길 가장자리에서 나왔다 시프면 클러치를 다 떼고 가속페달을 지긋히

 

밟고, RPM 2000에 못 미치게 속도를 내고 변속을 합니다.

 

그리고 신호에 걸려 정차하였다 출발할 때는 반클러치를 사용 하지 않고,

 

가속 페달을 지긋히 밟아준 뒤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천천히 떼십시요.

 

차가 조금 앞으로 나간다고 하여 클러치 페달을 다 뛰시면 시동이 꺼질려고 하기 때문에

 

아주 천천히 떼세요. 다만 변속할 때는 출발할 때 보다는 빨리 페달을 떼셔도 됩니다.

 

마지막 관문이니 만큼 한 번에 합격하여 면허증 취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출발시 시동 안...

... 저도 운전전문학원에서 학원 자체시험으로 면허증 취득하였습니다. 1종 보통이면 도로주행 15시간 교육인데... 저도 도로주행 교육할 때 시동도 2번 꺼먹고, 출발할 때...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이의제기

... 부분은 도로주행 모두 마치고 들어와서 시동까지... 69점으로 시험에서 떨어졌습니다. 학원 채점기준표에 출발... 제발 도와주세요ㅜㅜ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이의제기...

주신자동자운전면허학원 도로주행 시험...

... 클러치 브레이크 시동켜기 5. 비상등 끄고 주차 브레이크 내리기 6. 좌측 깜빡이 키고 출발 대충 이렇게 기억 하고... 주신자동자운전면허학원 도로주행 시험 질문이요 제가...

운전 면허 도로주행시

... 2종 보통 오토 면허 시험 중, 양발 운전은 채점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도로주행시험운전 자세와 법규... 등으로 출발이 20초 이상 늦어진 경우 채점 10초 내 미시동(6)...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을 앞두고 있는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을 앞두고 있는중 차가 달리고... (시동이 꺼지나..?) Q1. 브레이크로 속도 줄이고 브레이크... : 양발이 함께 밟고 있는 것이 혼동되시면, 출발을 상상해...

금요일에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이...

... 있는데 도로주행할때 유의할 점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저도 운전면허 시험 1번 떨어지고 2번쨰에 합격했던 사람으로써 조언 드립니다 1, 차량 시동걸때 주의...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감점요인좀...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감점요인좀 알려주세요~ ㅄ 같은... 또는 운전장치 조작 차체의 불균형 상태가 발생한... 미시동( ), 출발 중 정지( ). 주변 교통방해( ), 신호안함( )...

운전면허 도로주행시험

운전면허학원에서 비용도 80만원이 넘는데 정확하게 알려주는게없어서 후회했습니다. 시험비도 55,000원입니다. 도로주행시험을 볼 때 코스를 다 돌고 들어와서 합격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