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어] 점화시기, 전자제어엔진 압축압력점검 내공 35

[자동차용어] 점화시기, 전자제어엔진 압축압력점검 내공 35

작성일 2009.06.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동차공부하다가 모르는게있어서요

 

점화시기란무엇인가?

 

엔진의 압축압력점검으로 알수있는것은?

 

전자제어엔진이란?

 

점화시기에대해서 설명좀해주세요 간단하게말고

 

전자제어엔진도 설명좀해주세요 간단하게말고

 

엔진의 압축압력점검으로 알수있는것은 뭐가있을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점화시기는 엔진의 출력을 내기 위한 점화를 언제 해 주느냐의 문제입니다.

전자제어 엔진은 이 점화를 기계식으로 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컴퓨터장치를 가지고

출력과 배출가스 제어를 하는 것을 말하고

압축압력은 피스톤이 작용하면서 나오는 압력을 말합니다.

 

자동차 정비 기초 학습 MBT란 무엇인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자동차정비 오픈백과 내용 보러가기<--------------누르세요.

 

 

점화는 컴퓨터가 생각한 순간에 즉시 점화를 하여도

첫째 연소의 물리적 지연 둘째 전기적 지연(배터리 +에서 점화코일을 지나 TR에서

1차전류가 생성된후 차단된 다음 2차 전압이 생성되서  플러그까지)

셋째 기계적 지연(특히 포인트방식)의 인자가 있으므로 이것을 미리

계산하여 피스톤이 상사점에 오르기전 5‘도 즉 BTDC 5' 에 점화를 시작합니다.

단 전제조건이 하나 있는데 그 것은

기계적인 타이밍이 완벽한 상태일때입니다.

 

크랭크축과 캠축이 벨트를 통하여 정확히 셋팅된후

배전기 역시 타이밍 포인트를 정확히 하여 셋팅되었다는

전제하에 설계한대로 BTDC 5' 에 점화를 시작하여 상사점후 15‘ 부근에

최적의 출력을 이룹니다.


만약 크랭크축과 캠축 배전기 3가지중 하나라도 세팅이 흐트러지면 초기점화시기

전에 점화시기 자체가 틀어집니다.

 

하여튼 컴퓨터라는 것은 단순한 것이라서


배전기를 손으로 잡아 돌린 경우


점화시기나 CAS 신호가 이동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그저


입력된 대로 점화를 합니다.


그런다음 (배전기를 돌려 놓았으니 출력이 정상이지 않으니까) 엔진의 출력 상태를 보고


다시 점화시기를 맞추려고 아니 점화시기가 아니라 최적의 포인트를 맞추려고 점화시기를


움직이며 애쓰죠


하지만 다 소용없는  일이죠

컴퓨터가 알지 못하는 배전기를 틀어 놓았으니 .....


진각과 지각은 CAS의 논리레벨 즉 신호 입력을 가지고

BTDC5도인 1에서 정확히 0으로 떨어지는 점보다 파워 TR 1차 전류 통전을 빠르게

아니면 느리게 차단 하면서

배전기와는 무관하게 진,지각 시킵니다.


그계산은 컴퓨터에게는 아주 간단한 일이죠 



결론: 진지각 즉 점화시기는 컴퓨터 가 알아서 수행합니다.

      최근의 엔진의 경우 배전기 없이 CAS와 NO1 TDC센서의

      신호 입력을 받아 점화를 시작하고 점화한 후 폭발이 힘이

      엔진을 돌리면서 변화하는 CAS와 NO1 TDC센서의 신호를

        계속 읽고 계산하면서 스스로 보정 하며 점화시기를 변동합니다.

        하지만 절대 변하면 안되는 것은

        정확한 타이밍의 정열입니다. 

        왜냐면 정확한 타이밍이 정열된 상태의 엔진을 기준으로

        모든 것이 설계되었기 때문이죠.


참고로 최적의 점화시기를 ATDC 10'라고 하고 

공회전시 점화시기는 이렇게 산출됩니다.

먼저 분당회전수를 가지고 계산하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초당회전수로 알기 쉽게 환산해서

공전시  750rpm 이라면 나누기 60초는

750rpm/60sec = 12.5 rps 즉 공전 750rpm은 1분당 750회전을 엔진이 한것이고

초로 환산하면 1초에 12.5바퀴를 회전한것입니다.

다시말하면 공전750rpm의 엔진 1회전은 0.0013rpm이며 다시 12.5 rps의 엔진 1회전은

0.08ms (80/1.000초)입니다.


이렇게 공전시 엔진 1회전의 초당 시간이 구하여졌고 360도 회전을 한것이고


다음으로 엔진이 회전하는 것은 놔두고 점화시간을 구하면


점화지연시간 + 착화지연시간 + 화염전파 기간  인데


점화지연시간은 점화전류가 충전되어 불꽃이 튀기 까지의 시간으로 대략 0.00005 초의 지연

착화지연 즉 불꽃이 터지고 혼합기에 점화되기전으로 0.05초

화염전파기간 즉 불이 붙고 퍼지는 기간으로 약 2~3 ms(2~3/1.000 초)  이므로


대략 3ms 의 시간이 엔진 1회전시 점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이죠


이것이 처음 계산한 엔진 1회전 시간인 80ms에서  점화가 차지하는 3ms가 됩니다.


다시 초등학교 3학년 문제를 풀면

 3ms

-----    *  360 ' =   13.5도 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80ms



즉 컴퓨터가 점화를 시작하는 순간 13.5도가 지난 후에 폭발이 완료되죠


그러므로 ATDC10도 에 13.5도를 앞서 점화를 시작해야 하므로

점화시기는 

BTDC 3.5도가 됩니다.

전자제어엔진 압축압력점검 내공 35

자동차공부하다가 모르는게있어서요 점화시기란무엇인가? 엔진압축압력점검으로 알수있는것은? 전자제어엔진이란? 점화시기에대해서 설명좀해주세요 간단하게말고...

[자동차용어]점화시기,전자제어엔진...

자동차공부하다가 모르는게있어서요 점화시기란무엇인가? 엔진압축압력점검으로 알수있는것은? 전자제어엔진이란? 점화시기에대해서 설명좀해주세요 간단하게말고...

자동차기관용어에 대해서~ 내공 40

... 엔진압축압력점검으로 알수있는것은? 전자제어엔진이란? 공기유량센서 인젝터 점화시기 ECU 산소센서 이론공연비를 가지고 설명 설명좀해주세요 용어설명...

자동차용어 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ㅠ

... 포스트점화 - 점화시기가 지나서 점화되는 현상입니다.... 밸브의 압력차에 의해 재순환이 이루어 진다. <추가 내용은 자동차학습방의 "전자제어센서(1),(2)를...

자동차 전자제어 센서출력값에 대해 질문

... 점화시기를 말하는 것으로 기계식엔진이든 전자제어... 이 시간은 연료의 특성이나 압축압력에 따라... 얻기위한 점화시기를 결정할때 사용하는 용어 입니다. 노킹이...

전자제어기관

... 점화시기를 말하는 것으로 기계식엔진이든 전자제어... 이 시간은 연료의 특성이나 압축압력에 따라 달라지지만... 얻기위한 점화시기를 결정할때 사용하는 용어 입니다....

[자동차, 오토바이, 엔진] 공회전속도란...

... 상태에서 엔진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3. 자동차가... 이 스텝모터의 위치는 시중에 나와 있는 전자제어 엔진... 공회전속도 : 800±60rpm 점화시기 : BTDC 10°±2° 연료충전량...

자동차 상식 및 엔진 설명 부탁드립니다!

... 전자제어점화컨트롤) 배출가스 전처리와 후처리 장치를 사용해 유해배기가스를 저감합니다. 압축비는... * 엔진오일 첨가제 엔진오일 및 자동차용 윤활유에는 성능...

자동차 용어 노킹에 관한 모든것을.....

... 다만 노킹음의가장 큰 원인인 엔진 초기점화 시기는 1만㎞ 마다 점검하는 것이 좋다. 압축혼합기가 점화플러그에... □ 배기가스 감소 및 연비향상을 위해 전자제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