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수동 기어 조작법

자동차 수동 기어 조작법

작성일 2007.03.29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좋은 하루입니다.

2005년식 중고 클릭 1.5 dohc 수동을 몰고 있습니다.

저는 운전만 할 지 알지 정비에 대해서는 잘은 모릅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는데 쉽게 잘 대답해 주신분께 내공 드릴께요~^^


1. 가끔 시동 걸고 후진기어 넣을려고 하면 잘 안 들어 갈 때가 있어요

   그럴 땐 크러치를 살짝 놓으면 기어가 쑥~ 들어가던데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요즘따라 그러네요. 노후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인가요? 아니면 정비를 해야 하나요!?


2. 다른 분들도 그러신지 모르겠는데, 2단으로 가다가 언덕 나오면

    왠만하면 1단으로 바꾸기 귀찮아서, 안 바꾸고 그냥 2단으로

   올라가고는 합니다.

   당연히 힘이 딸릴 때는 조금 덜덜덜 거리면서 올라갑니다.

   계속 이렇게 운전해도 차에는 무리가 없는지 모르겠네요!?


3. 위에 2번 질문과 연관해서 2단으로 언덕 올라갈 때 조금 높은 언덕은

   엑셀을 끝까지 밟아도 전혀 rpm이 올라가질 않아요.

   제가 알기로는 엑셀이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들었는데

   그럼 엑셀은 밟으면 밟는데로 연료가 많이 분사되어서 rpm 올라가야

   하는게 아닌가요!? 그 뭐냐 ECU가 하는 것이 연료량을 조절해서

   그런가요? 만약 그렇다면 ECU가 연료량을 조절하니까 위와 같은 경우

   엑셀을 끝가지 밝아도 rpm이 안 올라간다면 연료가 소모되지 않는

   건가요!? 그리고 다른 차들은(아반테 같은) 2단으로 무난히 언덕을

   올라가던데 제 차도 배기량이 1.5 인데 2단으로 엑셀 이빠이 밟아도

   덜덜덜 올라가다가 평지에서나 rpm이 오릅니다.


4. 고속도로나 국도에서 차들이 서행할 때요. 어떤 분들은 2단 넣고

   아이들링 하면서 가다가 멀어지면 엑셀 밝고 가까워지면 브레이크

   밟으라고 하던데...

   제 차만 그런지는 몰라도 제 차는 2단으로 엑셀 안 밟고 아이들링

   으로 가면 차가 덜덜 떨면서 힘들어 해요. 그럴때 엑셀 밟으니

   차가 덜컹덜컹하면서 전진하더라구요.

   1단으로 가기도 모하구 2단으로 가기도 모한 그 사이 속력 정도로

   서행할 때는 어쩌야 하나요!?

   그냥 1단으로 rpm 3000 까지 올려가면서 가야하나요. 2단으로

   번 크러치 해가면서 가야 하나요!?
 

5. 엔진 브레이크하면 연비에 도움이 된다길래 고속도로에서 100키로로

   가다가 톨게이트 만나면 브레이크 써가면서 5단 -> 3단 -> 정지

   또는 5단 -> 4단 -> 3단 -> 정지 식으로 하는데 이게 무난한 것가요!?

   그리고 엔진에 무리는 없는 건가요!?

   어쩔 때 5단 -> 3단 할때 rpm이 3000까지 치솟던데요...?


6. 냉각수 보충은 라디에이터 위에 뚜껑 열고 붙는게 맞나요?

   아니면 냉각수 저장통에 넣는게 맞나요? 자동차 매뉴얼 보니까

   라디에이터에 직접 넣는 걸로 나왔던데 제 형은 냉각수통에

   넣으라던데요!?


7. 네이버에서 보니까 운행시 엑셀을 밟았다 띠었다 하면 꾸준히
   밟고 가는 것보다 기름이 더 든다고 하던데,

   그럼 꾸준히 밟으라는 뜻이 엑셀만 완전히 띠지 않으면 된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엑셀 밟은체로 움직이지 말고 그대로

   유지하라는 뜻인가요!?


8. 급출발 급가속이 연비에 좋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으로 저단에서 rpm을 빨리 올려서 신속히

   고단으로 기어를 바꿔서 운행하는 것이 연비에 더 도움이 되지

   않나 싶은데요!?


어디 자동차 매뉴얼이나 책자에도 없는 내용들이라 네이버에 올립니다.

번거러우시더라도 운전 경험 많은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자동차 수동 기어 #자동차 수동 자동 차이 #자동차 수동키 #자동차 수동 창문 #자동차 수동 모드 #자동차 수동에어컨 #자동차 수동 vs 자동 #자동차 수동 기어 조작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후진기어
요즘의 수동미션에는 싱크로매쉬 장치가 있어 기어가 부드럽게 들어가도록 해줍니다.


하지만 후진기어에는 그게 없습니다. 그래서 완전정지 상태에서 넣어야 되죠.


차종마다 그 차이가 있겠지만 클리기는 후진기어가 간혹 잘 안들어가더군요.


클러치를 한번 더 밟아주게되면 기어가 잘 들어갈 수 있는 각도로 돌아가서 쉽게 넣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거죠.

 

노후화때문은 아닙니다. 무책임한 말이지만 애초부터 그랬습니다.


05년식인데 벌써 노후라뇨? 수동미션의 내구성은 오토보다 훨씬 월등합니다.

 

2. 오르막
모든차가 그러하듯이 (저rpm, 고단기어)는 (고rpm, 저단기어)보다 힘이 부족합니다.

2단으로도 충분히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라면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힘이 딸려 rpm이 점점 떨어져 시동이 꺼져버리는 사태는 있어선 안되겠죠?

 

3. 오르막과 가속의 문제
오르막은 중력의 영향으로 차가 더 무거워지는 효과가 생깁니다.

그리고 차가 출발할때는 힘이 좋은 1단으로 하지요.(기어비가 크고 토크가 좋은 디젤 화물차들은 2단출발까지도 가능)

저도 산중턱에 있는 음식점을 가기위해 2단으로 계속 가려던 적이 있었는데 부들부들거리며 시동이 꺼질려고 하더군요.

이런 상황에선 엑셀을 아무리 밟아봐야 기름만 먹고 힘이 더 나진 않습니다.

 

시동이 꺼지는 시점은 차가 앞으로 못나가게 하는 저항(공기, 무게, 중력, 지면마찰등등)이
앞으로 나갈 수 있는 힘(엔진의 토크와 기어비조합)을 눌러 rpm이 떨어질때입니다.

 

엑셀을 밟으면 공기를 받아들이는 스로틀밸브가 더 많이 열려 연료분사량도 늘긴 하지만 그 힘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rpm이 더 못올라가는겁니다.


(rpm이 안오른다는걸 보면 클러치디스크 문제는 아닙니다. 디스크가 닳으면 rpm만 오르고 속력이 안나는 문제가 생김)

 

무작정 엑셀을 밟으면 계속 rpm이 오른다면 최고속도의 한계도 없겠죠.

 

클릭보다 무거운 아반떼가 잘 올라간다는것은 둘다 순정상태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네요.

아반떼가 더 힘이 좋은 튜닝을 했던지(흡배기및 터보, 기어비변경등)
클릭의 성능이 문제가 있던지 둘중 하나겠죠.

 

그게 아니면 평지에서부터 탄력을 붙여서 올라갔던지요.

 

4. 밀리는 도로에서 서행
수동운전을 하다보면 변속이 애매한 상황이 있는데요.


특히 서행시 1,2단. 저도 2단에서 쿨렁쿨렁 하는거 많이 느꼈습니다.


2단이 힘이 없으니 어쩔수 없는 부분이긴 한데
엑셀을 반복조작하니 좀 덜 하더군요. 엑셀 밟을때 요동을 치면 뗐다가 다시 살짝살짝 밟아주는..

 

그냥 1단 고rpm으로 가도 됩니다. 다만 소음은 감수를 해야지요.


그리고 엔진브레이크가 강하기 때문에 엑셀페달 뗄때마다 앞뒤로 다소 요동이 심하죠.
이것도 미세한 엑셀조작으로 극복해야 됩니다.

 

5. 엔진 브레이크
ECU가 있는 전자제어방식의 차량(요즘은 거의 전부다)은 fuel cut 기능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연료차단.

한가지는 rpm이 오르도록 끝까지 밟았을때 엔진을 보호하기 위해 한계점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연료차단을 하는것이고
(sohc는 6200, dohc는 6700rpm에서 푸드득거립니다. 끝까지 조져도 엔진엔 해가 없다는 말씀)

 

또한가지는 연비에 도움이 되는 fuel cut.
rpm이 1500이상이고 주행하다가 모든페달에서 발을 뗐을때 연료가 차단됩니다.(엔진브레이크 상태죠)(브레이크도 밟으면 안됨)


속도가 서서히 줄어 1500rpm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연료가 투입되어 시동꺼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 구간을 이용하는 중에는 기름 한방울 쓰지않고 주행을 하게 됩니다.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중립 탄력 주행은 공회전 연료를 계속 소모하는 겁니다.)

 

고속도로에서 정지할때 그냥 5단상태에서 페달에 발을 떼고 있는것만 해도 엔진브레이크 상태이고 연료차단이 됩니다.


단지 고단기어는 브레이크효과가 적기 때문에 풋브레이크만으로 제동하기 힘들경우(특히 내리막)에 보다 강하게 걸기 위해 저단으로 내립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5단유지하세요.


저도 단계적으로 내려서 운행도 해보고 했지만 5단유지 하는것과 연비면에서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rpm기준만 되면 5단에서도 fuel cut이 되니까요.

 

기어변속을 자주하면 그만큼 클러치디스크가 닳아없어지는 횟수가 늘어나죠.
(어차피 소모품이긴 하지만..)

 

5단->3단시 rpm이 오르면서 웅~~ 하는 소리가 들리면 그게 제대로 엔진브레이크가 걸렸단 뜻입니다.


rpm이 6000을 넘어 레드존으로 가지 않는 이상 문제없습니다.

 

극단적인 예로 4단6000rpm으로 달리다가 3단을 넣어버리면 8000rpm..
엔진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레이싱에서나 이런일이 있겠죠. 일반운전에선 이렇게 고rpm을 안쓰니까요.)

 

6. 냉각수 보충
어느쪽으로 넣어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운행을 마치고 곧바로 라디에이터캡을 열면 안에
뜨거운 냉각수가 솟구쳐 나옵니다. 화상위험이 있죠.
그냥 보조통에다 보충하면 됩니다. 보충하면서 양도 체크할 수 있구요.

 

7. 정속주행 vs 탄력주행
어디선가 연비 비교를 본적이 있습니다.
한 차량은 시속 80에 맞춰 엑셀을 계속 밟고 가고 한 차량은 시속90에 도달하면 엑셀을 떼고 70까지 떨어질때까지 fuel cut주행을 한경우..

 

후자가 연비가 더 잘나온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운행시 엑셀을 뗐다밟았다를 반복합니다.
fuel cut도 살리고 이렇게 하면 가속도 더 잘됩니다.

(이론적인 근거는 모르겠지만 공감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중요한 요점은 가속으로 붙여논 힘을 브레이크로 빼지 말라는 겁니다.
가속한다고 기름먹고 브레이크하면서 기름먹고..

 

8. 연비에 좋은 변속
가능한한 빨리 고단기어에 도달하는 겁니다.
1단이랑 5단이랑 똑같이 2000rpm을 써도 속도가 다릅니다.
똑같이 기름먹으면서 달리는 거리도 엄청나게 차이나죠.(물론 엑셀링 깊이에 따른 차이도 있지만)

급가속을 하여 rpm을 올리면 가속이 빨라서 좋긴 하겠지만 그동안에 기름소모가 많아지구요.
그것보단 2000rpm정도로 변속포인트를 낮게 잡고 가는것이 더 좋습니다.
(테스트 해본 결과 2000일때랑 2500일때랑 시내연비가 0.5~1정도 차이나더군요.)

다만 가속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차들의 압박을 무시할 점수이 필요하죠.

 

차에 관한 점수을 쌓는데는 동호회활동 만한게 없습니다.

www.clicknme.com 에 많이 물어보세요. 클릭동 중에 가장 활성화 된곳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점검 한번 받으세요

 

 

2 조금 무리는 갑니다 기름도 많이 먹구요 기어비가 가장적당하게 하는것이 차에는 좋습니다  15km 미만일때는 1단으로 변속하세요

 

 

3 2단에서 풀악셀해도 차가 안나간다면 분명 기름은 많이 먹구요 악셀을 많이 밟으면 ecu에서 기름을 최대한 퍼붓습니다 하지만 언덕 과 높은 기어비때문에 엔진회전수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힘도 떨어지구요  1단으로 변속하세요

 

 차량마다 기어비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차가 2단치고 올라간다고 내차도 2단치고 올라간다는법은 없습니다  힘 좋으면 3단으로도 올라가는것이지요

 

 

4 1단으로 3000까지 올려서 타시는게 낫습니다

 

 

5 별무리는 없습니다만 귀찮지 않나요? 그냥 브레이크 밟으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엔진브레이크는 연료를 아끼라고 있는것이 아니라 긴 내리막이나 브레이크 효과를 최대한으로 쓸때 풋브레이크와 같이 쓰라고 있는것입니다

엔진브레이크는 4000~5000까지 써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6 초보자가 차량이 열받았을때 라지에이터 뚜껑 열고 보충하려다가는 화상을 입을수 있습니다  그냥 뚜껑이 아니라 압력식뚜껑이라 주의해서 서서히 열지 않으면 뜨거운 냉각수가 분출하여 화상을 입을 확률이 상당히 높습니다    

안전하게 냉각수 보조탱크에 넣는것이 좋습니다 냉각수가 부족하면 보조탱크에 냉각수가 라지에이터로 빨려 들어갑니다

 

 

7 아주심하게 악셀을 밟았다가 떼었다가 (부웅 부웅 부웅)하지 않는 이상 연비에 큰 차이는 없을것 같습니다 서서히 밟고 서서히 떼고(부우웅~` 부우웅~) 그러면 연비가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악셀레다를 살짝 밟은 상태가 최적 연비를 자랑하죠 하지만 이렇게 운전하는건 뻥뚫린 고속도로나 가능하죠  알피엠은 대략 200~3000정도로 유지하는것이 경제적인 운전 방법입니다 

변속 시점은 2500~3000정도가 적당합니다

 

 

8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차량은 적당한 변속시점과 적당한 알피엠이 중요합니다

 

 낮은속도 20정도에 3단 변속하면  바퀴에 부담되는 힘이 2단 넣고 갈때보다 훨씬 많습니다

풀악셀하면 연료는 보통 악셀을 밟을때 보다 1회분시마다 훨씬 많은량의 연료를 분사합니다 

바퀴에 걸린힘은 크고 연료는 많이 분사되고 차는 안나가게되죠 결코 연료를 아낄수있는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고수는 아니지만 아는 선에서 성심껏 답변 드릴게요^^

 

1. 삼발이 디스크가 많이 닳아서 그렇습니다. 제 차도 수동인데 시동건 직후 기어가 안들가 서 죽겠습니다.ㅠ 정비소 가셔서 점검받으세요^^


2. 가장 중요한 엔진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자전거로 예를 들면 보통 언덕을 올라갈 때, 앞 기어는 제일 아래로 뒷 기어는 제일 위로 올립니다. 그런데, 언덕을 올라갈 때, 뒷 기어를 한칸이라도 내리면 다리가 많이 아프면서 무리가 갑니다. 이런 이치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3. 이 질문은 어려운데요, 제 경험으로는 고속도로에서 5단 넣고 달리거나 언덕에서 탄력을 못 받   올라갈 때, 액셀레이터를 끝까지 밟아도 속도가 더 나지도 않고 RPM도 별로 올라가지 않더라고요, 그 때, 클러치를 살짝 밟아보세요, 일명 반클러치.. ㅋ RPM 마구 올라갑니다. 그런데 평소에는 끝까지 액셀레이터를 밟아도 RPM이 안 올라가더라고요.. 이유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죄송합니다. ㅠ


4. 제 차는 경유차라 쓰로틀 조절 하는것이 있습니다. 그걸 만져서 RPM을 올리기도 하고, 내리기도 할 수가 있습니다.. 저는 1단에 넣고 그걸로 조절하긴 하는데요, 차에 무리가 많이 간다고 해서 저는 짜증나도 1단과 2단을 반복해서 변속합니다. 그래야 차에 무리가 가지 않거든요..

 

5. 고속도로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연비랑은 관계가 없습니다 오히려 RPM이 올라가니 연비가 나뻐지겠지요. 그리고 5단에서 3단으로 급격한 변속은 엔진과 기어에 무리가 많이 가기 때문에 5단 → 4단 → 3단 이런식으로 단계적으로 변속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사실 엔진브레이크는 긴 내리막길이나 미끄러운 도로에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긴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계속 사용하다보면 열이 많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액의 온도가 올라가 브레이크액이 증발 되어 제동이 되지 않는 베이퍼록(Vaper lock) 현상이나,  브레이크 성능이 저하되는 페이드(fade)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6. 냉각수 보충은 라디에이터 캡을 열어 보충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 때, 엔진의 열이 높은상태에서 열면 증기와 함께 냉각수가 빠져나와 화상을 입을 수가 있으니 엔진을 반드시 식힌 후, 보충하세요. 엔진의 열을 식히셨더라도 증기가 남아있을 수 있으니, 캡을 조금만 열어 증기를 뺀 후, 그 다음에 캡을 완전히 열어 보충하세요. 전용냉각수가 없을때는 강물이나 시냇물이나 수돗물을 사용하시고 바닷물이나, 지하수, 먹는생수는 절대로 넣으시면 안됩니다.


7. 밟았다 띄었다 하지 않고, 계속밟으라는 얘기입니다. 어느 정도 RPM 유지를 하는 것이지요.


8. 급출발은 RPM이 많이 올라가니까 연료의 소모가 커서 연비가 나뻐지겠지요. 그래서, RPM을 필요이상으로 올려 기어를 변속하면서 출발하면 더욱 많은 연료가 소모됩니다. 그러니 적정하게 RPM을 올려 변속하세요.


답변하면서 저의 부족한 답변들이 많았습니다. 그래도 궁금증 해결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혹시 제가 답변한거에 궁금한점이나 해결이 안되는 점이 있다면 바로 메일이나 쪽지로 질문해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가끔 시동 걸고 후진기어 넣을려고 하면 잘 안 들어 갈 때가 있어요

   그럴 땐 크러치를 살짝 놓으면 기어가 쑥~ 들어가던데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요즘따라 그러네요. 노후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인가요? 아니면 정비를 해야 하나요!?

 

  노후화로인한 자연스러운 고장입니다... 일단 점검을 받으셔야 하겠습니다... 클러치가 실린더의 터짐으로인한 클러치조작 불량또는 디스크마모로인한 로트거리멀어짐같네여...


2. 다른 분들도 그러신지 모르겠는데, 2단으로 가다가 언덕 나오면

    왠만하면 1단으로 바꾸기 귀찮아서, 안 바꾸고 그냥 2단으로

   올라가고는 합니다.

   당연히 힘이 딸릴 때는 조금 덜덜덜 거리면서 올라갑니다.

   계속 이렇게 운전해도 차에는 무리가 없는지 모르겠네요!?

 

 그렇케갈때 엔진에서 구슬떄리는 끄르륵소리 안나던가여?? 지속적으로 그렇케 운행하시면 피스톤링과 벨브 타이밍벨트들에게 매우 안좋습니다..


3. 위에 2번 질문과 연관해서 2단으로 언덕 올라갈 때 조금 높은 언덕은

   엑셀을 끝까지 밟아도 전혀 rpm이 올라가질 않아요.

   제가 알기로는 엑셀이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들었는데

   그럼 엑셀은 밟으면 밟는데로 연료가 많이 분사되어서 rpm 올라가야

   하는게 아닌가요!? 그 뭐냐 ECU가 하는 것이 연료량을 조절해서

   그런가요? 만약 그렇다면 ECU가 연료량을 조절하니까 위와 같은 경우

   엑셀을 끝가지 밝아도 rpm이 안 올라간다면 연료가 소모되지 않는

   건가요!? 그리고 다른 차들은(아반테 같은) 2단으로 무난히 언덕을

   올라가던데 제 차도 배기량이 1.5 인데 2단으로 엑셀 이빠이 밟아도

   덜덜덜 올라가다가 평지에서나 rpm이 오릅니다.

 

 출력이 많이 딸리신것 같습니다... 아반떼급 차량이랑 비교해볼때 월등히 떨어진다면 엔진출력에 관련된 것이 불량한것 같습니다... 그리고 악셀끝까지 밟으면 당연히 연료는 많이 들겠죠~~ 악셀을 이빠이밟으면 트로틀위치센서와 흡입공기량을 검출하는 센서에서  ECU로 신호를 보내고... 가장 적합한 양의 연료를 분사하게끔 되있씁니다...

4. 고속도로나 국도에서 차들이 서행할 때요. 어떤 분들은 2단 넣고

   아이들링 하면서 가다가 멀어지면 엑셀 밝고 가까워지면 브레이크

   밟으라고 하던데...

   제 차만 그런지는 몰라도 제 차는 2단으로 엑셀 안 밟고 아이들링

   으로 가면 차가 덜덜 떨면서 힘들어 해요. 그럴때 엑셀 밟으니

   차가 덜컹덜컹하면서 전진하더라구요.

   1단으로 가기도 모하구 2단으로 가기도 모한 그 사이 속력 정도로

   서행할 때는 어쩌야 하나요!? 1단으로 바꿀때 차가 꿀렁거리는것(느닷없는 엔진브레이크같은)은 엔진자체에도 매우 않좋은 일이며 엔진벨브타이밍에도 엄청난 무리를 줍니다... 엔진을 붙잡고있는 미미에도 많은 무리가 오구여...

 2단으로 버겁게 반클러치로갈시에는 클러치에만 무리가 오구여...

  

 그냥 1단으로 rpm 3000 까지 올려가면서 가야하나요. 2단으로

   번 크러치 해가면서 가야 하나요!?
 1단에서 3000 rpm정도라면 2단으로 1500rpm정도로 주행하실수 있는 속도입니다...

 

5. 엔진 브레이크하면 연비에 도움이 된다길래 고속도로에서 100키로로

   가다가 톨게이트 만나면 브레이크 써가면서 5단 -> 3단 -> 정지

   또는 5단 -> 4단 -> 3단 -> 정지 식으로 하는데 이게 무난한 것가요!?

 후자쪽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엔진에 무리는 없는 건가요!? 급회전이 아니라면 큰 무리는 없습니다.. 오히려 연비가 좋아집니다...

   어쩔 때 5단 -> 3단 할때 rpm이 3000까지 치솟던데요...? 그럴때 잘못하면 타이밍아작나는 겁니다...


6. 냉각수 보충은 라디에이터 위에 뚜껑 열고 붙는게 맞나요?

   아니면 냉각수 저장통에 넣는게 맞나요? 자동차 매뉴얼 보니까

   라디에이터에 직접 넣는 걸로 나왔던데 제 형은 냉각수통에

   넣으라던데요!?

 차가 열이 받지 안은상태에서 라디에이터에 바로 부으시고 열이받아있다면 보조통에 부으세여... 만약 긴급상황으로 라디에이터에 직접부셔야 할경우는 수건등으로 충분히 둘러싸고 조심조심 여시기 바랍니다...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은 엄청납니다...

7. 에서 보니까 운행시 엑셀을 밟았다 띠었다 하면 꾸준히
   밟고 가는 것보다 기름이 더 든다고 하던데,

   그럼 꾸준히 밟으라는 뜻이 엑셀만 완전히 띠지 않으면 된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엑셀 밟은체로 움직이지 말고 그대로

   유지하라는 뜻인가요!?

 촉새마냥 밟아따 땠따 하지 말라는것입니다... 지극히 밟고 다니는것이 가장좋습니다...


8. 급출발 급가속이 연비에 좋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으로 저단에서 rpm을 빨리 올려서 신속히

   고단으로 기어를 바꿔서 운행하는 것이 연비에 더 도움이 되지

   않나 싶은데요!?

  지긋히 올려서 지긋히 가는것이 연비에도 좋으며 차량에도 좋습니다...

자동차 수동 기어 조작법

... 자동차 매뉴얼 보니까 라디에이터에 직접 넣는 걸로 나왔던데 제 형은 냉각수통에... 후진기어 요즘의 수동미션에는 싱크로매쉬 장치가 있어 기어가 부드럽게...

자동차 수동기어 조작법좀 가르쳐주세요..

오늘 1톤트럭(수동) 아버지차 타다가 사고 날뻔했습니다..... 수동면허 따고고 오토만 몰다보니까 하나도 모르겠습니... 수동차량은 브레이크 놓으면...아무 저항 없이 기냥 뒤로...

자동차 수동 조작법과 원리

... 1.수동차의 기본적인 조작법 RPM(+속도..?)에 따라 적절한 기어를 찾는것이 포인트인가요? 클러치조작은 어떻게 하는거죠..? 대충 알기론 클러치 페달을 밟을때 액셀을...

자동차 수동기어 조작법..

... 그렇습니다 승용차는 1단으로 출발합니다 1단 출발하자마자 탄력이 발생하면 동시에2단으로 기어를 변속합니다 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그렇게 숙달하시면 됩니다 도움...

자동차 수동모드 조작법

... 마찬가지로 기어수동으로 변경하는것도 운행상태에서 변속하셔도 무리가지않습니다 밋션안에 오토클러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수동처럼 운전한다고 내리막에서...

자동차 수동기어 조작방법

수동기어 조작법에대해 질문합니다 2단에서 3단으로 변속을할때 1단과 2단 사이로 올라갔다가 다시 중립으로 옮긴다음에 3단을 넣는건가요? 아니면 2단에서 대각선으로...

[자동차] 경사진 도로에서 오토기어 조작법

... 오토차량의 경사면 운전시 기어조작법에 관한건데요.... 일반적으로 주행 기어가 D-2... 기어변속할때, 악셀에서 발을 띄우는거는 옛날 수동 운전할때, 변속할때 클러치를...

자동차 수동 기어변속

승용차 수동미션 조작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만약 80km/h 정도 속력으로 달리다가 정체가 있어서 멈출거 같아서 기어를 중립(N)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