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후 밧데리 경고등만 켜집니다~!

시동후 밧데리 경고등만 켜집니다~!

작성일 2010.10.1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지식 In을 계속 보다가 질문 드립니다.

일단 현상을 아래와 같이 정리 하였습니다.

 

1일차

출근후 업무 마치고 퇴근하는길에 시동을 키려 하니 전조등이 희미해지면서

시동이 걸릴라 하다가 안걸림.

다시한번 시동을 걸려고 하니 시동이 걸리지 않음.

휴즈 확인결과 육안상 단선된 휴즈는 보이지 않음.

 

2일차

점프선을 이용해서 시동을 거니깐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림.

시동이 걸리고 점프선을 떼자마자 바로 시동이 커짐.

다시 점프선 연결후 시동을 키니깐 시동은 걸리는데 밧데리 경고등이 점등됨.오디오도 전원이 들어오지않음

기타 전조등및 와이퍼 등은 정상적임.

점프선 해체하면 역시나 바로 시동 커짐.

 

3일차

밧데리나 제네레타 문제일 가능성이 있으나 우선 밧데리부터 구매하여 자체적으로 교체함.

밧데리 교체후 시동은 정상적으로 걸림.

그러나 밧데리 경고등만 ON되어있고[시동은 약5분간 켜둠]오디오전원도 안들어옴.

디지털 테스터기로 시동 On상태에서 전조등 키고 밧데리전압Check결과 13.8V ~ 14V나옴.

악셀밟으면 전압이 더 올라감.

상기 전압Voltage로 보면 제네레타 문제일 가능성은 희박해 보임.

 

질문사항

여기저기 봤을땐 휴즈,배선 쇼트,제네레타 문제일 가능성이 있는데 제네레타는 전압값으로 볼때 가능성이

희박해 보입니다.

오디오 전원이 안나오는것으로 봐서 휴즈나 기타 다른부분이 의심되는데요..

여러 고수님들의 고귀한 답변 애타게 기다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자동차 전기 이해하기

시동전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가 자동차를 기동시키는데 필요한 전기 근원입니다.

그 다음 시동이 걸리고 나면 배터리는 다음 시동을 대비하여 소모된 량만큼 충전만 하고 아무 역할을 하지않습니다.

이는 자동차 전기를 보는 절대적인 기준(전기 성질상)이므로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이런 기준에서 진단을드리면

 1. 2일차 

   - 점프선을 이용해서 시동을 거니깐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림

   -  시동이 걸리고 점프선을 떼자마자 바로 시동이 꺼짐

   - 다시 점프선 연결후 시동을 키니깐 시동은 걸리는데 밧데리 경고등이 점등됨

   -  점프선 해체하면 역시나 바로 시동 꺼짐.

 

여기까지의 진단은 배터리 불량입니다.

 

2. 3일차

  -  밧데리부터 구매하여 자체적으로 교체하니 시동은 정상적으로 걸림.

  - 밧데리 경고등만 ON되어 있고[시동은 약5분간 켜둠]

 

여기 내용으로는 알터네이터가 불량으로 보입니다.

이유는 2일차에 보면 점프선 연결후 시동을 키니깐 시동은 걸리는데 밧데리 경고등이 점등됨이라고 했는데

2일차에서 배터리 교체후 시동문제는 해결이 됬는데 역시 경고등 문제는  남아 있으므로 결국 충전이 안된다는 증거입니다.

 

** 참고로 알터네이터가 고장 또는 불량이라도 배터리가 정상이면 당분간은 운행에 지장이 없습니다.

 

3. 알터네이터 진단 요령

   가. 엔진이 돌아가야 전기가 만들어 짐(절대 기준)

   나. 엔진이 잘 돌아가야 양질의 전기(전압이 흔들리지 않는 전압)가 만들어짐

그러므로 알터네이터 문제냐 아니냐는 엔진과 연관된 진단이 중요한 판단요소가 되기도 하므로 분석시 유의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님의 경우 처럼 일때   알터네이터를 교체하여도 해결이 안된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엔진과의연동성을 잘 몰라서 단순 진단을 하였기 때문에 일어나는 오진때문입니다.

 

4. 결론

   가. 배터리를 교체하여 시동이 해결되었으므로 배터리불량이 맞습니다.

       - 배터리수명은 보통 2~3년이지만 충방전 상태에 따라 단축 또는 연장이 됨  

   나. 알터네이터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므로 배터리전압 보다 높아야 하고 충전이 안되면 경고등이 들어옴

       - 알터네이터 전압은 보통 시동이 걸린후 배터리단자 전압이 13.5V~14.5V으로  나와야 함

       - 이때 에어켠과 라이트를 켜고 측정하여도 배터리단자 전압이 13V이하로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배터리충전이 잘안됨(알터네이터 교체 필요)

  단 악셀밟으면 전압이 더 올라간다면 엔진힘과 연관이 있기때문입니다.

이 때는 차 전체 동작을 교정하는 방식(VAD제품으로)으로 정비를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궁금하시면 가장 쉬운 방법으로 우선 알터네이터를 교체 해보십시요.

그러면 엔진과의 연동성 문제도 자연 구분이 가능합니다.

기타 오디오 와이퍼 등은 전기가 해결된 후에 점검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압값이 13.8V ~ 14V라고해서 제네레타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단 램프가 계속 점등상태인 점으로 볼때..

제네레타 안에 ic레규레타라고 있는데 이놈의 어딘가에 문제가 있을시.. 님에 증상이 나타날수도 잇어요

근데...글세요.. 그냥 제 생각입니다..ㅎㅎ

물론 어스불량 쇼트 뭐 이런것도 생각할 수도 있고요

 

시동후 밧데리 경고등만 켜집니다~!

... 다시 점프선 연결후 시동을 키니깐 시동은 걸리는데 밧데리 경고등이 점등됨.오디오도 전원이 들어오지않음 기타 전조등및 와이퍼 등은 정상적임. 점프선 해체하면 역시나...

밧데리와 시동꺼짐!!! 답변부탁드립니다.

... 각종 경고등만 켜집니다. 바빠서 출근했다가 토요일에 보험사불러서 점프로... 밧데리 갈았지요.. 전압측정하니 시동전 정상, 시동후 1.5정도 수치가 더올라간다고 발전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