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콘크리트 무량판구조

철근 콘크리트 무량판구조

작성일 2023.08.02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파트 건축구조에 저렇게 써있으면 지금 이슈되는 무량판구조인건가요?

철근이 누락된건 안전진단을 받지 않는이상 알 밥법은 없는건가요?

LH아파트 살고 있는데 불안하네요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열팽창계수 #철근 콘크리트 공사 #철근 콘크리트 애니 #철근 콘크리트 장단점 #철근 콘크리트 영어로 #철근 콘크리트 수명 #철근 콘크리트 단위중량 #철근 콘크리트 건물 #철근 콘크리트 특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분류에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조로 나뉘구요.

철근 콘크리트 구조중 라멘조, 벽식구조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무량판 구조가 현재 이슈되고 있는 방식입니다.

철근 누락은 준공 이후엔 눈으로 보이지 않아

(도면 열람도 어렵고 하더라도 일반인들은 알기 어려워요.)

안전진단을 받아야 정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량판 구조가 원래는 불안전하다고 할 수 없으나

(외국에선 다양한 건축물에 잘 쓰이고 있습니다. 장점도 많이 있어요.)

현재는 제대로 시공이 되지 않아 문제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마도 주차장 부분이 무량판 구조로 적용 된듯 하구요.

세대에는 아직까지는 LH에서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진 않은것 같습니다.

문제시 되는 곳이 언론사를 통해 알려 졌으니 확인해 보시고 제외된 곳이라면 과도한 불안함은 안가지셔도 될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요즘 무량판 구조 관련해서 하루가 멀다하고 안 좋은 뉴스가 나고 있습니다.

저도 우리 아파트는 안전한가? 무량판 구조가 도대체 뭐길래? 철근 없이 아파트를 올리는 것이 가능한가? 같은 궁금증이 생겨서 관련 업계에 종사자로서 이것 저것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가 어떤 공법으로 지어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파트는 크게 벽식, 기둥식, 무량판식 3가지 공법으로 설계됩니다.

부동산 정보를 열람하거나, 부동산 등 포털에서 평면도 등의 확인으로 공법을 확인할 수 있지만

안전하게 제대로 시공이 되어느냐는 판단이 불가합니다.

무량판 공법은 세계적으로 널리 쓰일 정도로 안전한 공법이라고 합니다.

해당 공법을 사용했다고 해서 곧 무너질 아파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공법이든 시공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위험하지 않은 공법이 있을까요?

그래도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어떤 공법으로 지어졌는지 알고 있다면, 어떤 정책이나 아파트 내에서 진단을 시행하는지 철근 보강 공사를 하는지 보고 대응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래는 제 블로그에 무량판 공법 관련 아파트 구조 확인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하루 빨리 올바른 조치가 취해져서 기존 아파트 주민들도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타깝지만 철근의 경우 콘크리트 내부를 비파괴 검사를 통해서 확인하기 전까지는 철근누락 관련된 내용은 알 수 없습니다.

특히 아파트 건설 단계에서 구조계산 자체가 잘못되면 추후 붕괴위험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더 위험한 상황이죠.

일단 무량판 구조의 경우 층간소음 문제가 벽식 구조보다 월등하게 안전하고

기둥식구조보다 저렴하면서 보를 뺐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좋아져 추가 비용 없이도 같은 면적에서 더 넓고 높은 공간을 뽑아낼수 있습니다.

그래서 건설사들이 엄청나게 선호하는 공법인데

문제는 보를 뺀 만큼 건물의 하중을 버텨줘야 하는 바닥부분에 철근을 촘촘하게 넣고 기존 공법들보다 더 두껍게 해줘야만 온전히 건물의 하중을 버틸수 있다는데 있습니다.

뉴스에서 나오는것처럼 원래 무량판구조는 교량 건설에 사용되던 공법인데

언론에서 이미 30년 전부터 사용된 건설 공법이기때문에

공법에는 문제가 없고 안전한 공법이다 라고 물타기식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습니다.

제대로 구조계산을 하고 그것을 바탕을 철근누락, 정품콘크리트 사용등 부실시공을 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생길수 없긴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설 현장중 부실시공 아닌곳이 없다는게 문제죠.

특히 철근누락의경우 당장은 보강시공등으로 붕괴를 막는것처럼 보이겠지만

말 그대로 보강 시공의 경우에도 1년에 한 번 주기적 안정점검을 해서 문제가 생겼을때 다시 보강공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교량같은 사회간접자본의경우 정부에서 철저하게 매해 , 매 분기마다 점검을 하고 보강공사를 수시로 진행하지만 그래도 가끔 다리가 무너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사회간접자본도 아닌 아파트의 경우 누가 매년마다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건설사에서 보강공사를 할까요?

아마 분명 무량공법 부실시공 아파트중 어느 하나가 사람이 거주중인 상태에서 붕괴되어야만

전면재시공 또는 정부 법으로 주기적인 안전진단과 건설사의 책임론이 확실하게 부각될듯 합니다.

우선 지금 당장은 소비자 입장해서 할수 있는게 없어요.

어짜피 여론이란게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잠잠해 지기때문에 그 이후

되도록이면 무량판시공으로 지어진 아파트 말고 기둥식 구조의 아파트를 골라서

이사가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무량판의 방향성

... 그렇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지 답변 : 인건비가 계속 오르는현 시점에서는 자재비가 더 들더라도 무량판구로의 발전은 필수 입니다 앞으로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

무량판과 라멘조를 서류상 확인하는 방법

아이파크삼성이 무량판으로 지어졌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하지만, 건축물대장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라고만 보여집니다. 서울말고 지방에 있는 아파트 정보를 보려고하는데요...

무량판 구조인지 벽식인지...

... ㅠㅠ 안방쪽 벽 작은방쪽 벽 무량판구조 형태로 봅니다. 단, 일부 기둥벽과 천정이... 플랫슬래브구조라고도 한다. 슬래브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바닥을 말하는데...

무량판구조

... 무량판구조는 주로 철근콘크리트 건물에 적용되며 대표적인 건물은 1995년 붕괴된 삼풍백화점을 들수 있습니다. 플랫플레이트슬래브도 일종의 무량판구조로 볼수있습니다

무량판구조에 관한 질문입니다.

... 무량판구조에 대한 다른 지식도 부탁드립니다. 철근콘크리트조는 바닥,벽,기둥,보 로 구성되는 구조인데, 여기서 보를 없앤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인 구조로는...

철근콘크리트라멘조 정확하게 뭔지요?

... 등기부등본인지??) 여하튼 관련 서류를 보니 저희 집은 철근콘크리트라멘조 라고... 라멘조형식은 기둥과기둥사이에 보 가 있는구조입니다 무량판식은 보가 없는구조 입니다

건축 구조디자인에서...평판구조에...

... 철근콘크리트무량판구조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주요 구조부재는 기둥과 슬래브로 구성되고(보[Girder]가 없음) 건물자체 자중과 슬래브 고정하중과, 적재하중 모두 기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