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분이름이궁금해서요

화분이름이궁금해서요

작성일 2012.06.1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개업선물받았는데요
이름도모르고
특성도모르고
어케 키우는지도모르고
님들의 지식 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두릅나무과의 상록관목인 폴리스키아스 프루티코사 입니다.

학명 Polyscias filicifolia

원산지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의 도서지방

유통명 폴리시아스, 폴리샤스, 고사리아랄리아

 

이 식물은 환경에 민감하고 스트레스를 잘 받는 녀석이라 환경이 변하거나, 자리이동이 있거나

분갈이를 하고 난후, 과습인 경우, 통풍이 좋지 않은 경우, 건조할 경우는 잎을 떨구기 시작합니다.

다음 분갈이 때에는 마사토를 더 많이 섞어 주어 과습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세요.

참고로 마사토는 씻어서 진흙 성분을 없앤 것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화분은 딱 맞는 것을 사용하셔도 되구요, 가능하다면 토분을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최대한 통풍이 좋은 곳에 두어 과습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줄이시길 바랍니다.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리를 이동하지 마세요.

이 식물은 햇빛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햇빛이 전혀 없는 곳 보다는 밝은 반그늘 정도가 적당하더라구요.

최대한 통풍이 좋은 곳에 두어 과습으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줄이시길 바랍니다.

물주기는 화분의 흙이 마르고 난 뒤에 주시면 됩니다.

대략적인 물주기는 여름철에는 열흘에 한번 정도 겨울철에는 보름에 한번 정도만 주셔도 됩니다.

식물은 화분의 재질과 크기, 식물의 크기와 밀도, 흙의 배합상태, 배수상태, 통풍, 온습도, 일조시간....등에 따라 물을 주는 시기가 많이 달라진답니다.

물주기를 하는 법칙과 정해진 공식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날짜를 정해놓고 물주기를 하는 것은 바람직한 물주기가 아닙니다.

식물이 자라는 공간이 많이 건조할 경우에도 잎이 마릅니다.

건조에도 약하므로 특히 겨울철에는 잎에 저녁 무렵 분무를 부탁합니다.

겨울철에는 실내로 들여 13도 정도 이상 관리하여야합니다.

10℃ 이하의 장소에서 냉해를 입은 경우는 실내로 들여 주시고

누렇게 변한 잎과 잎자루는 떼어 주시기 바랍니다.

한동안 잎이 마르는 현상이 지속될 것입니다.

나뭇가지까지 동해 또는 냉해를 입은 것이 아니라면 다시 새순을 올릴 것입니다.

물주기는 다소 더 길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습일 경우는 뿌리가 상하여 잎이 누렇게 변하며 결국엔 떨어집니다.

잘 자라지 않는다고 비료를 용법과 용량을 지키지 않고 과하게 사용할 경우 잎이 마릅니다.

겨울철에는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봄에 분갈이후 한달이 지나면 비료를 주셔도 됩니다.

특징은 나무에서 한약냄새가 납니다.


 

 

2. 자금우과의 상록소교목인 산호수 입니다.

학명 Ardisia pusilla

원산지 대한민국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습니다.

밝은 그늘에 두면 되는데 통풍이 좋아야 합니다.

여름철을 제외한 오전정도의 약한 햇빛이 비치는 곳이면 좋습니다.

너무 어두운 곳과 통풍이 전혀 되지 않는 곳을 피하시고, 여름철 직사광은 피하여야 하고

겨울철 냉해, 동해를 피해 실내로 들여 관리하여야 합니다.

물을 절대 바짝 말리지 마시고, 공중습도를 좋아하므로 잎에는 저녁무렵쯤 가볍게 분무해 주세요.

산호수는 물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잘 구분하기 힘드시면 잎이 아래로 쳐지면 물을 주어야합니다.

보통은 일주일에 한번정도 물주기를 하시면 됩니다만

겨울철에는 여름철에 비해 물주는 기간을 늘려 주세요.

잎의 뒷면까지 자주 잘 살펴 병해충이 생기지 않도록 하세요.

기르시다 보면 자연스럽게 꽃이 피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봄이 되면 자라는 것이 확연히 달라질 것입니다.


 

 

3.드라세나속 상록관목인 용혈수(龍血樹)입니다.

학명 Dracaena draco

원산지 카나리아제도

 

드라코, 드라곤이란 이름으로도 유통이 되고 있네요. 

통풍이 잘되며 햇빛이 직접 닿지 않는 밝은 곳이 좋습니다.

겨울철의 유리창을 통해 들어 오는 가벼운 오전 1~2시간 정도의 햇빛은 좋습니다.

이 식물의 진액이 붉어 피와 같아 보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자바 또는 유카와 잎이 흡사하게 생겨 햇갈리기 쉬운 식물입니다.

월동이 불가능하므로 실내로 들여 관리하시고 

추위에 강한 편이지만 7℃ 이상으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화분의 흙이 마르면 흠뻑 주도록 하세요.

내건성이 무척 강해 대략적으로 한달에 한번 정도만 물주기를 하여도 잘 견딥니다.

그러므로 다육식물처럼 생각하시고 과습도 피하도록 하세요.

통풍이 좋아야하고 물빠짐이 좋은 흙이어야 합니다.

공기정화 능력이 뛰어나다고 하며 멋스럽게 가지가 뻗어 관상용으로 좋습니다.

늦은 겨울부터 이른 봄 사이에 흰색의 통꽃이 피며 열매는 오렌지색으로 익습니다.

분갈이할 경우 화분의 높이가 좀 있는 것으로 심는 것이 좋습니다.

나무의 수명이 상당히 길다고 합니다. 

이미지 링크합니다.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ection=image&res_fr=0&res_to=0&sort=0&sm=tab_pge&query=%EC%9A%A9%ED%98%88%EC%88%98&start=106&viewtype=0&site=&ie=utf8&face=0&color=0&mcs=0&ccl=0&nso=so%3Ar%2Ca%3Aall%2Cp%3Aall&preview=0&pre_qtheme=&paged=35

 

 

4.황금죽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황금죽의 물주기는 흙이 마르고 난뒤에 흠뻑 주셔도 됩니다.

반음지에서 기르시면 됩니다.

햇빛에는 잎이 노랗게 탈 우려가 있으므로 햇빛이 직접 닿지 않는 밝은 곳에서 기르세요.

건조한 것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잎은 습하게 분무하세요.

화분에 심었을 경우의 물주기는 일조량, 흙의 배합상태, 배수상태, 온습도,

화분의 재질과 크기, 식물의 크기와 밀도, 놓여진 위치, 계절....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참고로 하세요.

물빠짐이 좋은 화분의 경우에는 7일 정도에 한번 정도로 줘 보세요. 

수경재배도 가능하나 대략 열흘~보름에 한번정도는 물을 갈아주세요.

여름철에는 자주 갈아 주시구요.

5월, 9월경에 액비도 주세요.

 

 

5.노박덩굴과의 상록 활엽 관목인 금사철입니다.

학명 Eunymus japonica for. aureo-variegata

 

사철나무의 원예종이며 미니사철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반양지 식물입니다.

우리나라 남해안이 자생지이며 정원수로도 인기가 좋고 울타리로 식재하기도 합니다.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이랍니다.

화분에 기를 경우는 햇빛이 좋은 곳에서 기르시고 부득이한 경우라도 가장 밝은 창가에서 기르세요.

물주기는 봄, 가을은 4~5일에 한번 정도로 하시면 되고 한여름에는 조금 더 자주 주세요.

겨울철 실내에서는 일주일~열흘에 한번 정도 주세요.

(물빠짐이 좋고 통풍이 잘되며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었을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물주기는 화분의 재질과 크기, 화초의 크기와 밀도, 일조량, 흙의 배합상태, 통풍, 온습도, 배수 등

식물의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날짜를 정해 놓고 물주기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다소 건조해도 잘견디는 식물이며 추위에도 강한편이어서 겨울철에는 베란다에서 월동을 합니다.

잎에는 분무를 해 주시면 좋습니다.

무난하게 잘 자라는 식물이니 물주기는 흙이 마르면 흠뻑 주시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랍니다.

여름철 뜨거운 직사광은 잎을 마르게 하므로 피하시고 통풍이 좋은 곳에 두세요.

너무 어두운 곳에서 기르거나 햇빛을 받지 못하고 과습하면 잎의 색이 옅어지고 웃자라서 볼품도 없습니다.

너무 건조하거나 통풍이 잘 되지 않는 곳에서는 잎을 마구 떨구기 시작합니다.

햇빛을 잘 받으면 잎의 색깔이 더 선명해집니다.

삽목이나 물꽂이로도 번식을 잘 됩니다.


 

 

6.자금우과의 상록소관목인 자금우

학명  Ardisia japonica

분포지역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유통명  천냥금  

봄~가을 까지는 베란다에서 오전 1~2시간 정도의 햇빛이 약간씩 드는 곳,

겨울철에는 실내 밝은 곳에서 기르시면 됩니다.

생육적정온도는 13~25℃정도이며, 겨울철 월동온도는 5℃ 이상으로 관리하세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관리하세요. 

여름철에는 강한 직사광을 많이 받으면 잎이 타므로 부분 차광하세요.

물을 좋아하며 화분의 흙이 마르면 물주기를 하시면 됩니다.

화분의 환경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배수가 잘 되는 보통의 경우 겨울철엔 7~10 일에 한번,

여름철엔 3~5 일에 한번 정도 흠뻑 주시면 됩니다. 

자금우는 물을 좋아하는 편이므로 화분의 흙을 손가락 한마디정도 파 보아 완전히 마르기전에 주세요.

물주기는 화분의 재질과 크기, 식물의 크기와 밀도, 흙의 배합상태, 배수상태, 일조량, 통풍정도,

온습도, 계절, 놓여진 위치 등에 따라 다소 달라지며 정해진 법칙이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물주기를 하실 때는 한번에 흠뻑 주셔야합니다.

찔끔찔끔 물주기를하거나 갈증이 날 정도의 물주기는 좋지 않습니다.

봄~가을에는 묽은 액비를 주기적으로 주거나, 고형비료를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기본적인 햇빛은 필요합니다.

겨울철엔 실내로 들여 관리해 주시고 공중습도를 좋아하므로 잎에는 저녁무렵쯤 분무해 주세요.

개각충 등의 병충해가 생기기 쉬우므로 잎의 뒷면까지 잘 살펴 보세요.

통풍이 좋은 곳에서 기르시고 화분받침에 물이 고여 통기성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세요.

화분받침의 물은 바로바로 비워 주세요.

다음에 분갈이를 할 경우는 뿌리나 흙을 떼어내지 말고 그대로 뽑아 더 큰 화분으로 옮겨 주세요.

분갈이 흙은 물빠짐이 좋은 흙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열매는 관상용이므로 먹지는 못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번. 폴리시아스

2번. 산호수

3번. 드라세나드라코

4번. 황금죽

5번. 황금사철

6번. 천양금

화분이름이궁금해서요

개업선물받았는데요 이름도모르고 특성도모르고 어케 키우는지도모르고 님들의 지식... 화분은 딱 맞는 것을 사용하셔도 되구요, 가능하다면 토분을 권해 드리고...

사진)화분이름

교실에 잇었던는화분인데 이름이 궁금해서요 ㅎㅎ사진에 있는 화분이름 좀 알려주세요 비올라쉬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다육식물로...

화분이름

사진에서 큰화분 이름이궁금해서요 아무리찾아봐도 저종류는 나온게없네요 파초과의 상록다년초인 극락조화 입니다. 학명 Strelitzia reginae 원산지...

화분이름 알려주세요~

카페에서 유리컵에 담긴 화분을 봤는데 화분이름이 궁금해서요... 유리컵에 물을 담고 그 안에 뿌리를 담궈놨는데 뿌리는 잔뿌리가뭉쳐서 컵 안에 꽉 찰만큼이었고 입은...

화분에 버섯이 생겼어요

저녁에 퇴근해서 없애버릴 건데 그 전에 이름이 궁금해서요 이건 무슨 버섯일까요? 갈색중심버섯 인데요 식용은 아닙니다. 상황봐서 뽑아버리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