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가 어디 아픈건가요?

물고기가 어디 아픈건가요?

작성일 2020.08.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친구가 "베타"라는 물고기를 키우는데 갑자기 물고기의 피부에 검은색(표시한 부분)이 생겨서 매우 걱정하고 있네요. 물고기에 대해 잘 몰라 지식인에 질문 드립니다.


물고기의 정상적인 반응인가요?

물고기가 괜찮을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반갑습니다. 저는 현재 어류갑각류 분야 랭킹 1위로 활동 중이며, 에서 관상어 분야 최초로 eXpert로 선정되어 가장 많은 상담을 도와드리고 있는 금이 입니다.

물고기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일때 멜라닌 색소 이상을 보이며 몸이 검게 변합니다.

수질문제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베타를 여과기 없이 환수에 의존하고 키우고 계신데 베타도 여과기가 설치된 어항이라야 오래 건강하게 키울 수 있습니다.

여과사이클과 물잡이를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물잡이에 대해서 그림과 함께 설명을 드려봅니다.

1) 여과 사이클

배설물이나 먹이 잔여물과 같은 질소화합물들은 부패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Ammonia, NH₃/NH₄+)로 바뀝니다. 이 암모니아는 사람을 포함해 모든 생물에게 굉장히 해롭습니다. 적은 농도에도 위험하죠.

암모니아는 여과 박테리아(질화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어서 아질산(Nitrite, NO₂-)으로 바뀝니다. 아질산은 암모니아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해롭다고 하지만 장시간 노출되면 역시 위험합니다.

아질산은 다시 보다 덜 위험한 질산염(Nitrarte, NO₃-)으로 분해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순환을 여과사이클이라고 부릅니다.

질산염이 암모니아와 아질산만큼은 위험한 성분은 아니지만 질산염도 고농도에서는 위험합니다. 어류는 질산염이 1,000~2,000mg/L 일때 96시간 반수치사 농도(96시간 동안 절반이 죽는 농도)라고 하고요. 새우는 200mg/L 이하로 질산염을 관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2) 물잡이

이렇게 여과사이클이 잡히는 것을 물잡이라고 부릅니다. 참고로 질산염은 수초로 조금 줄여나갈 수 있지만 부분환수가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많은 분들이 일주일에 한번 30% 환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요.

물잡이가 된 어항에서 물고기나 새우를 키우실 수 있는 것이고 물잡이에는 최소 한 달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① 물고기 어항 물잡이

물고기를 키우는 분들은 물잡이 시작단계부터 소수의 물고기를 투입한 채 시작합니다. 물이 잡힐 때까지는 생물의 체력으로 버티며 한 달간 물잡이를 하게 됩니다. 암모니아와 아질산 수치가 오르면서 중독에 의해 생물이 죽을 수도 있는데요. 생물 투입없이 물잡이를 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소일(소일속 유기물도 조금씩 분해되고 소일에도 박테리아가 안착하게 됩니다), 물, 물갈이제(염소제거 외에도 경도 상승 효과도 있음), 박테리아제를 넣고 여과기도 설치하고 사료를 곱게 갈아서 매일 조금씩 투입해 주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하지만 생물이 매일 조금씩 배설해주는게 더 좋긴 합니다.

② 새우 어항 물잡이

새우는 아무래도 물고기보다 민감한 편이라 물잡이 초기에 새우를 넣고 물잡이를 하면 새우가 죽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새우하시는 분들은 소일, 물, 물갈이제, 박테리아제, 여과기를 설치하고 1~2개월 가량 돌립니다. 그러면 그 사이에 백탁이 찾아오기도 하고 백탁이 안 찾아오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새우어항에서는 물잡이 하면서 pH(6.0~6.5)와 경도(40~150ppm)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3) 백탁, 비린내, 거품

새어항, 새여과기와 함께 생물을 넣고 물잡이를 시작하면 일주일내로 백탁, 비린내, 거품이 관찰 됩니다.

사료를 먹은 물고기가 배설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물속에 질소사이클의 질소공급원인 단백질이 투입이 됩니다. 여과 박테리아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단백질이 투입이 되면 수면에 거품이 잘 안터집니다.

백탁과 비린내가 찾아왔다고 절대 전체환수하시면 안됩니다. 전체환수하면 지금까지 형성되던 여과사이클이 다시 깨져버려서 더 오래 걸립니다. 백탁과 비린내가 찾아오면 먹이 급여를 하루이틀 중단해보시거나 매우 소량 급이하시며 부분환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세팅 후 보름이면 물이 쨍하고 맑아지기도 하고 물고기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해서 물이 잡혔다고 착각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아직은 아질산 수치가 높은 시기입니다. 아질산 수치까지 낮아지려면 세팅 후 약 한달이 지나야합니다. 한 달 간은 먹이를 매우 소량 급이한다고 생각하시며 사육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4) 수질검사, 박테리아제

백탁과 비린내가 사라지고 좋은 흙냄새가 나고 물이 쨍하고 맑으면 물이 잡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지만 수질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좀더 건강하게 사육하고 싶어하시는 분들은 수질검사할 수 있는 제품들도 구비하곤 합니다. 수질검사 제품은 검사지 타입, 시약 타입 등 다양하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 검사지 타입 : JBL EasyTest

https://m.blog.naver.com/dart007/221029578878

▼ 시약 타입 : API Aquarium Test Kit

https://m.blog.naver.com/dart007/220051521000

물잡이에 박테리아 제품을 사용하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제 경우는 박테리아 제품을 사용하며 45센치급 자반어항을 상면여과기와 스펀지여과기로 물잡이를 했는데 딱 한달째 되던때에 암모니아와 아질산이 0ppm으로 나오며 물이 잡히더군요.

물잡이할때 환수주기와 비율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어항크기, 여과기종류, 생물종류, 개체크기, 개체수, 먹이급여량과 횟수 등 다양한 요소가 있어서 이렇게 하면 된다는 절대적인 답안이 없는 것이죠.

여과기의 종류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가 도움이 되실 겁니다.

▼ 어항 속 여과기의 종류와 특징

https://m.blog.naver.com/dart007/221951434057

[추가 질문/상담]

추가 질문이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엑스퍼트 상담 신청하기를 눌러주시고요.

▼엑스퍼트 상담 신청하기 링크

http://naver.me/Fh6JOTL6

현재 매월 엑스퍼트에서 쿠폰 이벤트가 진행중입니다. 전 분야 5,000원 쿠폰, 펫 관리 5,000원 쿠폰 이렇게 지급되고 있고요. 이 쿠폰을 이용하시면 무료로 상담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점수]

추가 점수을 거신 경우 질문 게시와 동시에 질문자의 점수이 자동 차감되고요.

질문자께서 답변을 답변확정하실 경우, 질문자는 추가 점수의 50%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500점까지)

답변확정이 아닌 답변 마감 시, 질문자에게 점수이 환급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점수은 금전적 가치가 1원도 없습니다. 오로지 내에서 등급에 필요한 점수 이지요. 점수을 많이 거시더라도 답변자에게 금전적 이득은 1원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답변확정 시 해피빈 기부]

답변이 답변확정될 때마다, 답변자에게는 해피빈 콩 1개가 적립됩니다. 해피빈 역시 점수처럼 답변자가 현금화 할 수 없는 적립금인데요. 해피빈은 오로지 기부만 가능합니다. 기한이 만료되면 자동으로 소멸되어 기부조차할 수 없게 되는 금액이지요. 저에게 적립된 해피빈 콩은 해피빈 사이트를 통해 사회적 단체에 기부하고 있으며 블로그를 통해 기부사실을 남기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으로 마무리 부탁드리고요. 답변확정이 기부로도 이어진다는 점도 참고해주세요~! 엑스퍼트 플랫폼에서도 뵙겠습니다. ^^

▼엑스퍼트 상담 신청하기 링크

http://naver.me/Fh6JOTL6

저희 물고기 어디 아픈건가요?

자꾸 저기 구석에만 있고 요즘 밥을 안먹어요 갑자기 저쪽으로 도망?가요ㅠㅠㅠ 어디 아픈거가요? 겨울 날씨에는 원래 물고기 활동이 뜸하게됩니다~ 휴식의 하나 라고...

물고기가 어디 아픈건가요?

친구가 "베타"라는 물고기를 키우는데 갑자기 물고기의 피부에 검은색(표시한 부분)이 생겨서 매우 걱정하고 있네요. 물고기에 대해 잘 몰라 지식인에 질문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