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 한복에 대한 모든것(입는법,종류,..등)

우리나라 전통 한복에 대한 모든것(입는법,종류,..등)

작성일 2009.11.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리나라의 옷 한복에 대해서 알려고 합니다.

 

1.한복을 입는순서(남자,여자.. 따로)

 

2.한복의 종류(버선, 마고자, 치마, 조끼)

 

3.한복의 장점(여름에 시원하다,,,등.)

 

4.위 질문과 관련된 한복 사진

 

 

 

-----을 자세 하게 알려 주세요><-----------------------내공 많이 드릴께요!!__--------


#우리나라 전통음식 #우리나라 전통문화 #우리나라 전통놀이 종류 #우리나라 전통놀이 #우리나라 전통문양 #우리나라 전통악기 #우리나라 전통악기 종류 #우리나라 전통음식 역사 #우리나라 전통음식 사진 #우리나라 전통 관악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한복이란?

 

한복은 우리의 옷이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부족국

가시대를 거쳐 삼국시대에 이르면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저고리, 바지, 치마,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모자, 허리띠, 화 또는 이를 착용하는 고유의 식 양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 옷은 아 한대성 기후

로 삼한 사온이 계속되는 자연 조건과 북방 유목민 계통의 문화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속

옷부터 겉옷인 두루마기에 이르기까지 몸을 싸는 형식이다. 또 저고리와 바지가 떨어져있고, 앞이

트여 있는 활동적인 옷이다. 복식이란 사람의 몸위에 표현되는 것이다.

 

한복의 소재 -

 

우리 옛조상들은 봄과 가을, 여름, 겨울에 따라 소재를 달리하여 계절에 맞는 옷을 입어왔다. 제

철에 맞는 옷감 선택은 한복의 멋과 품위를 살리고, 전통소재들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는 점에서 중요하다.


 

1. 남자한복

1) 평상복

① 속옷 : 속적삼, 속고의
② 저고리 : 적삼, 겹저고리, 솜저고리
③ 바지 : 고의,잠방이,겹바지,솜바지
④ 조끼,마고자,두루마기

 

2) 예복

① 평례복 : 평상복위에 두루마기
② 혼례복 : 평상복위에 옥색 두루마기,관복,각대,사모,목화,포선
③ 상례복 : 바지 저고리에 베 중단,굴건제복

             

3) 전통혼례복

(1) 사모관대
신랑이 입는 옷은 보통 '사모관대'라 일컬어지는 관복 일습인데,
평민 양반의 구별 없이 사모,단령,흉배,각대,목화를 착용했습니다.
 
2) 사모
사모는 원래 직품을 가진 자가 평상복에 착용하던 것이나,

직품을 갖지 않은 자라도 혼례때에는 이를 쓰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재료는 검정색 실이며 뒤쪽에 붙은 양쪽 날개에는 구름 무늬를 넣었습니다.
 
 
3) 단령
단령은 관직자가 평상복으로 입던 옷으로,

작품에 따라 홍색,청색,흑색 등의 비단으로 만들었으며,

혼례 때에 입던 단령은 주로 청색계통이었습니다.
단령에는 흉배를 다는데, 보통 두 마리의 학이나 구름 등의 모양으로 수를 놓았습니다.
단령을 입은 뒤 허리에는 각대를, 신발로는 목화를 착용하였습니다.
 
 
4) 목화
목화는 원래 조선조 때 문무백관이 평상복에 신던 신발인데, 혼례 때에는 서민들이 신었습니다

 

2. 여자한복

1) 평상복

① 속옷 : 속저고리,속적삼, 다리속곳,속속곳,바지,단속곳
② 치마

 - 모양(통치마,풀치마,스란치마)
 - 안감의 유무(홑치마,겹치마)
③ 저고리

 - 봄·가을 (물겹저고리, 박이겹저고리)
 - 여름 (적삼, 깨끼저고리)
 - 겨울 (솜저고리)
④ 마고자,배자,두루마기,버선

 

2) 예복

① 평례복

 - 젊은이(다홍 치마,노란색(연두색) 회장저고리)
 - 중년이후(남치마,옥색 회장저고리)
② 소례복 : 당의,화관(족두리)
③ 혼례복 : 원삼(활옷),한삼(흰수건),화관(족두리),용잠,도투락댕기
④ 상례복 : 깃 광목으로 지은 치마,저고리,흰 족두리,짚과 삼으로 엮은 띠,짚신
⑤ 기제사복 : 옥색 치마 저고리

 

3) 전통혼례복

1) 활옷
원래는 궁중에서 의식이 있을 때에 왕비가 입던 대례복이었으나,

후에는 서민의 혼례복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활옷은 홍색비단에 청색으로 안을 받쳐서 만들었는데

이는 청색(여성)과 홍색(남성)의 화합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2) 원삼

고려시대부터 대례복으로 궁중여인들과 신부의 웃옷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황후는 황색, 왕비는 홍색, 비빈은 자색, 공주나 옹주는 녹색원삼을 입었는데,
그 중에서 녹색원삼이 서민층의 혼례식에 사용되었습니다. 민간 원삼에는 금박을 하지 않았습니다

.

 

3) 대대
홍색 공단에 심을 넣어 만들어 금박무늬를 찍습니다.
활옷이나 원삼을 입은 뒤 앞가슴께에 대대의 중앙이 오도록 대고
양쪽으로 돌려 뒤에서 묶어 늘어뜨립니다.
 
4) 스란치마/대란치마
스란치마는 소례복에 입고, 대란치마는 대례복에 입던 치마입니다.
금박무늬가 찍힌 천을 덧댄 스란단을 한 층 뭍인 것이 스란치마리고, 두 층 붙인 것이 대란치마입

니다.
가례나 길례 때는 속에도 남색 스란치마를 입었습니다.
 
5) 족두리
원래 몽고에서 여인들이 외출할 때에 쓰던 일종의 모자였으나,
고려말 우리나라에 들어온 뒤로 모양이 왜소해져 머리장식품으로 변하였습니다.
영조 때의 가발금지령에 따라 왕비나 세자빈이 칠보족두리를 쓰면서부터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는

데,
궁중이나 양반집에서 의식용으로 소례복에 족두리를 썼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한복에 대한 모든것(입는...

우리나라의 옷 한복에 대해서 알려고 합니다. 1.한복입는순서(남자,여자.. 따로) 2.한복종류(버선, 마고자, 치마... 선택은 한복의 멋과 품위를 살리고, 전통소재들의...

우리나라 전통한복 종류

... 우리나라 전통한복 종류 저통한복 사진과 특징좀 올려주세요 답변 : 모든 사람들이 보는 사람마다 보는 인식이... 3) 전통혼례복 (1) 사모관대 신랑이 입는 옷은 보통...

한복우리나라 전통문화인 이유

... 광택에 대한 미적 의미도 있지만, 귀한 것에 대한 가치... 두루마기는 바지, 저고리 위에 덧입는 겉옷으로... [네이버 백과사전] 우리나라 전통 한복종류 1). 남자 의상 한복...

우리나라 전통음식, 전통 의상

... 1번 전통음식에 대해 예를 들어보자면 전통음식에 대한 특징... 우리나라전통의상 (한복) - 종류 - 입는 순서 - 변천사 - 명칭 - 기타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우리나라...

우리나라전통의상

... 광택에 대한 미적 의미도 있지만, 귀한 것에 대한 가치... 두루마기는 바지, 저고리 위에 덧입는 겉옷으로... [네이버 백과사전] 우리나라 전통 한복종류 1). 남자 의상 한복...

한복에 대한 모든것

전통한복에 대한대한 많은 정보를 원합니다. 저고리나... ◈ 한복모든 것한복이란? 한복우리의 옷이다.... 어린이가 입는 옷이다. 조끼 조끼는 우리나라 고유의...

한복에 대한 모든것을 알려주세요!

우리 한반도 역사의 모든 전통 의복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우리의옷한복-기본색, 구조, 입는법, 관리, 장신구,한복시장, 변천사 소개. http://home.nownuri.net/~eodrl/ 한복에 대한...

우리나라전통 혼례복

... 광택에 대한 미적 의미도 있지만, 귀한 것에 대한 가치... 두루마기는 바지, 저고리 위에 덧입는 겉옷으로... [네이버 백과사전] 우리나라 전통 한복종류 1). 남자 의상 한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