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와인이 어떤건지 아시는 분(내공30)

이 와인이 어떤건지 아시는 분(내공30)

작성일 2003.07.0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코르크 마개에

Jradition 이라고 쓰여 있는 거 같군요, 앞의 J는 하도 굴려써서 확실치 않습니다.

그 밑에 BLS라 써있고

9 099.C4 라고 밑에 쓰여 있습니다.

이거 제품명과 년도 좀 알수 있을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통 [ 傳統 , tradition ]입니다.

T를 필기체 대문자로 쓰면 J와 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죠.

BLS, B.L.S. Bureau of Labor Statistics 《미》 노동 통계국을 말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와인 라벨읽기


독일와인

1. The Vintage : 빈티지

2. The Winery/Estate : 포도주 양조장/사유지

3. 사용된 포도의 종류 : 독일에서 생산되는 포도의 종류는 다양한데, 가장 잘 알려진 포도품종은 리즐링(Riesling),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실바나(Silvaner) 정도이고 이 라벨에서는 리즐링(Riesling) 품종을 쓴 것을 알수있습니다.

4. 품질 등급 : 이곳에서 독일와인 라벨을 이해하는데 가장 어려운 부분이지만 이제는 정확하게 아시게 될 테니까 걱정마시기 바랍니다.

♣ 독일 와인의 품질 등급 ♣

독일 와인은 크게 일반적으로 타펠바인 (Tafelwein)이라는 보통 포도주로 일상적으로 독일내에서 생산이되고 소비가 되는 것이 있고 독일 란트바인(Landwein)이라고 하는 타펠바인은 생산지역에서 각기 특성 있는 포도주를 만들어서 국내에서 소비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특별히 정부에서 인정하는 고급 독일와인에 관한 표기를 설명하겠습니다.크게 고급 와인의 범주로 QbA(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가 있고 특정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별품질 표기가 된 QmP(Qualitatswein mit Pradikat) 가 있습니다.

① QbA (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과실 향미가 화사하게 풍기는 가벼운 맛의 와인이다. 13개 생산 지역중 상호 혼용 없이 소속되어 있는 지역의 포도만을 가지고 생산하며 비교적 성숙시간이 짧은 시기에 마실 수 있는 지역 전통적인 맛의 와인 들이다.

② QmP (Qualitatswein mit Pradikat)
특별 품질 표기의 고급 와인(Qualitatswein mit Pradikat)으로 독일 와인 중 최고의 품질을 엄선하여 표기되어 진다. 우아하며 고상하고 지속적인 맛을 주고있는데 라벨에 이러한 성숙도와 품질에 따라 6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카비넷 (Kabinett)
충분히 익은 포도에서 생산되는 우아한 와인이다. 세상에서 가장 경쾌한 와인이다. 알코올 함량이 낮다.

→슈페트레제 (Spaetlese)
문자 그대로는 늦은 추수를 뜻한다. 충분히 성숙한 포도의 강도를 가진 균형 있고 잘 성숙된 와인이다.

→아우스레제 (Auslese)
완숙한 송이만을 수확하여 별도로 즙을 내어 와인을 만들어 기품이 있고 아름다운 향기가 풍부한 와인이다.

→베렌 아우스레제 (Beerenauslese)
초과 숙성한 포도알 만을 골라서 포도주를 만드는 것이다. 완숙한 과실맛과 때로는 꿀맛과 같은 포도주 이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귀부 포도주이며 보트리티스(Botrytis) 균의 작용에서 생성되는 고귀한 포도주 이다.

→트로켄베렌 아우스레제 (Trockenbeerenauslese -TBA)
건포도가 될 정도로 마른 상태의 과립만을 골라서 만든 것으로 최고급의 맛과 향기가 있는 최고 걸작품이다.

→아이스 바인 (Eiswein)
베렌 아우스 레제급의 포도를 동결된 상태에서 수확하여 만들어진 와인이다. 과실의 산미와 고귀한 감미가 농축되어진 최고급 와인이다. 걸작품이다.


5. 재배된 포도원 : 재배가 되었던 포도원의 이름

6. 재배된 포도의 지방 : 많이 알려진 지역으로는 모젤-잘-루베어(Mosel-Saar-Ruwer), 라인가우(Rheingau), 팔즈(Pfalz), 라인헤센(Rheinhessen), 나헤(Nahe), 그리고 프란코니아 (Franconia) 가 있음.

7. VDP 로고 : 단지 QbA 와 QmP의 카테고리로 와인의 품질을 깨닿기가 힘들때가 있을 것이다. 이 독수리 모양의 VDP표시는 독일의 최고 엘리트 양조장의 멤버쉽을 상징하는 것으로 약 50,000 양조장 중에서 약 180 양조장이 이 VDP 멤버쉽 그룹에 속한다.

8. AP# (AP 식별번호)


프랑스 와인

♣ 프랑스 와인의 품질 등급 ♣

프랑스 와인 라벨을 보면 4 등급으로 분류가 됩니다.

1. AOC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

때로는 AC 라고 일컬어 지는데 프랑스 와인의 제일 높은 등급으로 생산 지역, 포도 품종, 단위 면적당 최대 수확량등의 엄격한 법규로 인해 그 품질이 항상 보장된다.

2. VDQS (Vin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AOC 포도주보다 낮은 범주에 속하나, 원산지 명칭 협회의 엄격한 규제와 감시아래 생산된다.

3. 뱅드 빼이(Vin de Pays)

질적으로 뱅드 따블 (Vin de Table) 보다 우수하다고 볼 수있다.

4. 뱅드 따블 (Vin de Table)

매일 마실수 있는 일상적인 와인으로 일반적으로 여러 지방의 포도주 원액을 혼합하여 생산함으로서 일정한 스타일을 유지한다.



1) 빈티지(Vintage : 포도수확연도)가 1984년임

(2) 생산명이자 제품명인 쎙떼밀리옹(Saint-Emilion)

(3) 보르도 지방의 Saint-Emilion지역에서 생산되sms A.O.C급 와인임을 증명하는 표시

(4) Bichot사에서 병입되었음을 뜻하는 말

(5) 네고시앙엘뵈르(Negociants-Eleveurs) :포도원에서 와인을 사들여 자신의 저장고에서 직접 숙성시켜 병입, 판매하는 상인


이탈리아 와인

모든 이태리 와인 라벨들은 와인의 상품명과 품질등급((Vino da tavola, Indicazione Geografica Tipica, DOC, DOCG), 생산자의 이름과 지역, 알코올 % 그리고 용량 등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DOCG 와 DOC 와인들에게는 빈티지 년도가 표기되어야 합니다. 예전부터 알려진 DOCG 등급으로 분류된 지역으로는 바바레스꼬(Barbaresco), 바롤로(Barolo),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몬테풀치아노(Vino Nobile di Montepulciano) 그리고 끼안띠(Chianti)가 있으며 주변에 20정도의 지역들이 더 있습니다.

♣이태리 와인 등급 피라미드♣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는 최고의 품질이 생산되는 와인 지역으로 인정 됩니다. 많은 상품에 제한을 주는 등 심사기준이 까다로운 편인데 부분적으로 두드러진 독자적인 우수한 와인들은(즉, "super Vini di Tavola"라고 하는 와인들) 모두 DOCG 품질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아래 품질 단계가 DOC 인데 이 와인들은 지속적으로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 와인들에게 부여 됩니다. 이러한 와인들은 와인의 품질에 따라 DOCG등급으로 상향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새롭게 나온 IGT (Indicazione Geografica Tipica)등급은 아직 까지는 잘 사용되고 있지 않아서 이러한 등급표기가 있는 와인을 찾기가 좀 힘듭니다.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 부분을 광범위하게 차지하는 VdT(Vino da Tavola) 와인들은 대부분이 아주 평범한 와인들로 광범위합니다. 무척 혼란스러운 것은, 이러한 등급의 와인들에도 슈퍼 스타급의 좋은 와인들이 있다는 것이죠.


이태리 와인 라벨읽기

1. 이태리 와인 등급

a.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최고의 품질이 생산되는 와인 지역으로 인정 됩니다. 많은 상품에 제한을 주는 등 심사기준이 까다로운 편인데 부분적으로 두드러진 독자적인 우수한 와인들은(즉, "super Vini di Tavola"라고 하는 와인들) 모두 DOCG 품질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b. DOC
이 와인들은 지속적으로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 와인들에게 부여 됩니다. 이러한 와인들은 와인의 품질에 따라 DOCG등급으로 상향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c. IGT (Indicazione Geografica Tipica)등급
아직 까지 잘 사용되고 있지 않아서 이러한 등급표기가 있는 와인을 찾기가 좀 힘듭니다.

d. VdT(Vino da Tavola)
이 등급의 와인들은 대부분이 아주 평범한 와인들로 광범위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등급의 와인들에도 슈퍼 스타급의 좋은 와인들이 있다.




이태리 와인 라벨읽기

(1) 포도원명

(2) 와인의 타입-키안티 클라시코 (Chianti Classico)는 Chianti에서도 최고 산지에서 생산된 와인

(3) 품질등급중 D.O.C. De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급임을 나타냄

(4) 포도원에서 생산 및 병입하였음을 나타냄

(5) 생산자의 이름과 주소

(6) 용량 750ml 임

(7) 알콜도수 13%

(8)포도의 수확 연도 (Vintage)


간단한 와인 라벨 읽기


와인의 라벨은 나라별로 각각 다른 기준을 가지고 표기되어 있으므로 약간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대체로 와인의 라벨에는 ①포도의 생산 연도 ②포도의 품종 ③포도 재배 나라와 지역 ④제품명 ⑤와인등급 ⑥와인생산회사가 표시되어 있다.


1.프랑스 와인 라벨



① 로고
② 빈티지(생산년도)
③ 상표 : 포도원의 명칭이나 회사 소유자, 생산자 이름이 주로 사용된다.
④ 등급 : 보르도 지방의 경우 AOC급 고급 와인이라 하더라도 세가지 카테고리로 나뉜다. AOC의 O자리에 Bordeaux 또는 Bordeaux Superieur가 표기되면 원료로 사용된 포도의 원산지가 보르도라는 의미이다. AOC급 중 가장 품질이 낮은 것으로 소유자 표시(Proprietary) 와인이라고 한다. O자리에 메독(Medoc)처럼 특정 지명이 명시되면 이보다 품질이 더 좋은 것이다. 최고급은 마고(Margaux)처럼 마을 이름이 표기된다.
⑤ 알콜 함유량
⑥ 용량
⑦ 병입지 : Mis en bouteille au chateau라고 인쇄되어 있으면 샤토에서 병입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급 와인에 해당한다.
⑧ 로트번호 : 금속 캡슐이나 뒷면 라벨에 표기되기도 한다.

2. 이탈리아 와인



① 상표 : 생산자 이름이나 포도원 명칭이 주로 사용된다.
② 포도 재배지역
③ 등급 : DOCG급은 이탈리아 와인 등급 중 최고급이며, 대중적인 와인은 비노 타볼라(Vino da Tavola)이다. DOC급보다는 DOCG급이 더 고급이다.
④ 숙성정도
⑤ 빈티지
⑥ 회사로고
⑦ 병입지
⑧ 생산회사의 이름 및 소재지
⑨ 알콜 함유량
⑩ 용량

3.독일 와인



① 포도 생산지역 : 독일에는 13개 와인 생산지역이 있다.
② 빈티지
③ 포도 재배자 또는 와인 생산업자
④ 포도 품종
⑤ 와인의 타입 : Trocken은 dry와 같은 의미로 단맛이 전혀 감지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용어다(잔당이 1ℓ에 9g을 넘지 않아야함). 아주 적은 양의 단맛이 감지될 때는 Halbtrocken이라고 표기한다(잔당이 1ℓ에 18g이하).
⑥ 등급 : 독일에서는 타펠바인(Tafelwein), 란트바인(Landwein)이 가장 대중적인 와인이며, 이보다 한 단계 높은 품질등급이 QbA급이다. 독일 와인의 69%가 여기에 해당된다. QbA보다 한단계 높은 품질 등급은 QmP급으로 최고급 와인이다.
⑦ 공식 품질 관리번호 : 타펠바인이나 란트바인에는 붙이지 않는다.
⑧ 에르제우게라프풀룽(Erzeugerabfullung)은 재배자 혹은 재배자조합이 와인의 품질을 보증한다는 뜻으로 보면된다

4.미국 와인



① 상표 : 소유주의 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포도원 명칭을 사용한다.
② 빈티지 : 빈티지가 표기되면 포도의 95% 이상이 명시된 해에 재배된 것을 의미한다.
③ 생산지 : 캘리포니아를 상표에 명시하기 위해서는 포도 100%가 캘리포니아에서 수확되어야 한다. 연방정부에서 지정한 포도재배지역(AVA) 명칭을 사용하려면 포도의 89%가 그 지역에서 수확되어야 한다.
④ 포도품종 : 그 포도품종이 75% 이상 와인 생산에 사용되어야 한다.
⑤ 특징
⑥ 제조업체 : 제조업체명과 그 지명이 명시되어야 한다.
⑦ 알콜 함유량



도움이 되셨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프랑스풍백포도주 아닌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것만 가지고는 제품을 알수가 없습니다.

물론 코르크마다 그 제품명이나 제조자의 이름을 명시하는데요.
지금 가니고 계신 코르크의 정보만으로는 그 와인의 출처를 해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Tradition
Tradition이란 말은 물론 상표명일 수도 있지만 그런 상표명은 본적이 없구요. 아마 있지도
않을 겁니다. 단지 생각 할 수 있는건 그 와인을 제조한 제조자가 와인 양조과정이나 혹은
와인의 스타일에서 전통적인 방법을 고수 했거나 전통적인 스타일의 와인일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와인의 브랜딩이나 양조과정의 차이를 표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문장으로 몇가지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캘리포니아, 호주, 칠레등의 이른바 신세계와인일 가능성
보다는 이태리나 프랑스등의 구세계 와인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둘째, BLS
아마 제조사의 이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조사의 이름이 표시되기도 합니다.

셋째 9 099.c4
이것은 단순한 제조번호 입니다.
관리를 위하여 표시한 나름대로의 숫자인 것이지요. 따라서 이 숫자로는 별다른 정보를 얻어낼 수
없습니다.

전세계와인의 숫자를 정확히 셀수도 없이 많이 있습니다. 아마 지구상의 와인을 다 마셔본 사람은
과거에도 없었고 현재에도 없구 미래에도 없을 겁니다. 단지 지역과 생산자등의 정보를 가지고 판단
하는 것이지요.
위에 써있는 정보로는 제품명이라든지 생산년도, 생산자등의 어떤 내용도 알아낼 수 없습니다.
좀더 정보가 있으면 좋은 답변을 해드릴 수 있었을 것인데...
단지 그리 좋은 와인은 아닌듯 싶네요....

도움이 되셨길...

이 와인이 어떤건지 아시는 분(내공30)

... 그 아래 품질 단계가 DOC 인데 이 와인들은 지속적으로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 와인들에게 부여 됩니다. 이러한 와인들은 와인의 품질에 따라 DOCG등급으로...

와인 에 대해서 잘아시는분... (내공30)

... 중요한건 품종의 향이랑 맛이 어떤지가 중요하고요... 역사는 필요없어요.. 다음은 화이트와인 1. 샤도네이... 부탁드려요...와인아시는분들... 정말 답변...

이시계 어떤건지 아시는분...

... 잘산건지 가격 비교해볼려고했는데 이제품에대해서 인터넷에는 없던데.. 세이코... 세이코시계 잘 아시는 고수분 답변 부탁드려요..^^ 일단 면세점에서 구매하셨다면...

어떤 와인인가요? 비싼건가요? ^^

한 지인에게 선물받은 와인입니다. 제가 문외한이라... 나쁜건지 알 수가 없어서요. 검색해봐도 녀석들은 안나오네요. 아시는 고수님 좀 알려주세요. 내공 30...

자전거 잘 아시는분!!!!! 내공 30

... 브레이크는 어떤건지 모르겠네요 잘 아시는 분 브레이크랑 제품 사양 어떤건지 쓸만은 한건지 조언좀 부탁드려요 그다지 좋은...

[내공30]경찰서에서 문자왔어요. 검찰로...

... 흠 정확히 알고 계신분 써주세요^^ 저 문자가 뭘 의미하는지 어떤건지.. p.s.... 내공30 대충답변 내공냠냠 이상한답변 사양합니다. 음 사기죄로 고소한 것이 1건 있다는 뜻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