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20] 캔디의 어원이 아랍어로 '콴디'에서 기원한 이유

[내공20] 캔디의 어원이 아랍어로 '콴디'에서 기원한 이유

작성일 2022.06.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까 낮에 'BBC Earth'라는 채널을 틀어 보니까, "캔디"는 자막에 의하면 어원이 '콴디'라는 아랍어에서 기원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캔디는 어떻게 해서 아랍어인 '콴디'를 시초로 기원했나요?

그 이유가 무엇으로 볼 수 있는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에서 중동, 이슬람, 아랍어 관련 답변을 주로 달고 있는 swastika3입니다.

참고로 전 중동 지역학/아랍어 전공자이며 전공을 살려 중동/아랍 20개국에서 22년 이상

공관/대기업/개인 사업 경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점수20] 캔디의 어원이 아랍어로 '콴디'에서 기원한 이유

아까 낮에 'BBC Earth'라는 채널을 틀어 보니까, "캔디"는 자막에 의하면 어원이 '콴디'라는 아랍어에서 기원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캔디는 어떻게 해서 아랍어인 '콴디'를 시초로 기원했나요?

그 이유가 무엇으로 볼 수 있는지요?

-> 더 정확히 말씀드리면 질문자님이 보신 '캔디' 어원의 유래는 qandi입니다.

그리고 이는 아랍어보다 더 오래된 고대 페르시아 제국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7세기 이후에 사산조 고대 페르시아 제국이 아랍 무슬림들에 의해 복속되면서 이들이

쓰던 단어가 아랍어로 흡수가 된 것이고

어떤 학자들은 캔디의 어원이 되는 단어가 오래전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비문에

관련된 단어가 언급이 되었다 하여 고대 이집트를 기원으로 보기도 합니다.

또한 어떤 학자들은 이게 '조각'을 의미하는 'kanda'(칸다)라는 고대 인도 산스크리트어에서

비롯되었다고도 봅니다.

이것도 일리가 있는게 이란에 아리안인들이 코카서스 산맥을 넘어 일부가 이란에 정착하여 현재

이란이 된 것이고 일부는 인도로 넘어갔던 역사적인 사실도 있기에 이런 추론도 무리는 아닌 겁니다.

아랍어로도 '깐디'란 단어가 있고 설탕을 의미하는 동의어가 '숙카룬'

(sugar란 영단어가 여기서 비롯된 겁니다.)

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깐디란 건 오래전 중근동 고대 제국들에서 날씨가 덥다 보니

사탕수수를 증류해서 얻은 달달한 물질을(더운 날씨에 가장 에너지 보충이

잘되는게 설탕이나 단 것을 먹는 겁니다. 그래야 빨리 혈액에 에너지를

보충할 수 있기에 기력증진용으로 먹은 겁니다.) 의미했습니다.

سكرقندي

-> 이것이 아랍어로 쓴 '쑥카르 깐디'입니다.

즉 설탕 사탕 조각'이란 의미인데 13세기에는 아랍어에서 깐디는 달달한 후식류로 의미가

확대되어 할와(아랍 북아프리카 권에서 달달한 디저트류를 총칭하는 단어)에 속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단어가 15세기에 영미권으로 들어와서 정착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유는 유럽은 중세 암흑기를 거쳐 르네상스가 발발하게 된 이유가 아랍의 발달된 과학 및 기술 등에

의해 충격을 받고 이것들을 받아들여 더 발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습니다.

그래서 15세기 이후에 아랍권에서 쓰이던 단어들 중 '알'자가 들어가는 것들(알제브라, 알코올 등등)

이 영미권 단어에 정착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태국출신 한국인 에 대해서좀 알려주세요

... 내공 만이검니다 .. 메일로 보내주시고 글써주시면 제가... ‘디’, 아랍어에서는 ‘안따’라고 호칭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발음했을 개연성이 높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