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냉장숙성시 완전밀폐? 아니면 공기통하게?

돼지고기 냉장숙성시 완전밀폐? 아니면 공기통하게?

작성일 2024.04.2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돼지고기 재울때 랩씌워서 냉장고에 넣는데
이때완전 밀폐해야 하는건지
아니면 구멍 뚫어 숨쉬게 해줘야하는건지 항상 헷갈려서요!
올바른 숙성 방법 알려주셔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축산의 미래를 선도하는 축산유통 전문기관 '축산물품질평가원' 입니다.

숙성 시에는 숙성방법(건식/습식)에 따라 포장방법도 달라질 수 있지만 웻에이징(습식숙성)은 대부분 진공포장 또는 일반포장을 한 상태에서 숙성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돼지고기도 진공포장으로 1주일 정도 숙성이 가능한데 비닐포장이나 랩포장일 경우에는 미생물의 오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숙성시간을 짧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가정에서 할 경우 일반냉장고보다는 김치냉장고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일반냉장고를 이용해야 한다면 문을 여닫을 때 온도변화가 적고 흔들림이 적은 곳에 보관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돼지고기를 드라이에이징(건식숙성)할 경우 주의할 부분은 미생물오염 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표면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숙성을 해야 하고 기간은 짧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각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만 돼지고기의 경우 전용 숙성실이나 숙성냉장고가 아니라면 드라이에이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이유는 소고기에 비해 위해미생물의 오염이 쉽고 쉽게 부패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숙성기간 산정 시 고려하셔야 할 사항은 먼저 도축일자를 확인하셔야 하고

숙성방법, 포장재의 종류, 숙성온도, 습도 등등을 고려하여 기간을 산정하셔야 합니다.

(이 때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 초기오염에 대한 부분인데요 식육의 경우 도축 및 포장처리 과정- 특히 도축과정-에서 위생적인 취급이 되지 못하면 같은 기간이어도 식육미생물에 의한 산패나 부패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숙성기간은 축종, 품종,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고기 보관 온도가 높으면 숙성이 빨리 진행되는데 반해 세균의 번식이 왕성해지게 되므로 보통 4℃ 내외의 온도에서 숙성을 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소나 돼지의 경우 사후강직이 완료되기까지 도축 후 1~2일 정도가 소요되는데 강직이 완료된 후 축종, 품종, 연령, 근육부위, 근내지방정도 등등 여러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4℃ 내외의 온도에서 쇠고기는 7~10일(7~14일), 돼지고기 3~5일, 닭고기 8~24시간 정도의 숙성기간을 권장합니다.

[숙성기간에 대한 의견들]

숙성기간에 대한 내용도 짧게는 1~2일, 2~3일, 3~5일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 한식조리기능사 시험에서는 소고기는 7~10일, 돼지고기는 3~5일, 닭고기는 2일

[원큐패스 한식조리기능사 필기 (공)저: 이현경, 김정여]

- 식육처리기능사 시험에서는 소고기 7~14일, 돼지고기 1~2일, 닭고기 24시간 이내

[축산물의 가공(식육이론과 처리기술) (공)저: 박승용 외)

- 식육 육제품의 과학과 기술(진구복)에서는 축산과학원의 자료인 "다른 가축에서는 강직 완료까지 1~2일 요하고, 해제는 돼지 및 말에서는 3~5일, 소에서는 7~10일을 요한다"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참고]

숙성이란?

고기는 도축 직후는 거의 살아있을 때의 근육, 즉 강직 전의 근육 상태에 있습니다. 그러나 도축 후 시간 경과에 따라 고기가 굳어지는 사후강직상태에 들어가게 되어 고기는 질긴 상태로 변화하게 됩니다.

사후 강직된 고기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강직이 풀려 연하게 되는데 이것을 사후강직 해제 또는 숙성(aging)이라고 합니다.

숙성방법

- 숙성온도에 따라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숙성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5℃ 이상에서 숙성하는 고온숙성, 5℃이하에서 장기간 숙성하는 저온숙성으로 구분

- 고기표면의 건조여부에 따라 건식숙성(드라이에이징)과 습식숙성(웻에이징)으로 구분

(1) 고온숙성

- 장점 : 단기간에 숙성효과를 높일 수 있다

- 단점 : 고기가 초기오염이 심한 상태에서는 숙성 중 쉽게 부패할 수 있다

(2) 저온숙성

- 장점 : 풍미가 뛰어나다

- 단점 : 숙성기간이 길다

(3) 건식숙성

- 드라이에이징(Dry aging)은 말그대로 Dry(말리다)와 aging(숙성하다)의 합성어로 말리면서 숙성시키는 방법

- 필수조건 : 숙성기간은 최소10일~40일 사이이며, 저장온도는 1~3도 사이 / 습도는 70~80% 사이로 유지해야 하고, 바람의 세기는 2-5m/s 정도로 통풍이 잘되 고기가 골고루 말라야 함

- 장점 : 풍미가 뛰어나다

- 단점 : 건조에 따른 감량과 건조한 고기표면의 제거에 따른 감량이 심하다

※ 건식숙성으로 숙성된 고기는 겉이 딱딱해져 먹을 수 없는 부분을 제거해 속살을 먹는데 이 과정에서 제거되는 고기는 최대 50%정도가 되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됨

(4) 습식숙성

- 웻에이징(습식숙성 wet aging)은 대부분 진공포장 또는 일반포장을 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방법

- 장점 : 건식숙성에 비해 감량이 훨씬 적다

- 단점 : 건식숙성에 비해 숙성의 깊은 맛은 떨어짐

​축산물품질평가원(www.ekape.or.kr)이나 축산유통정보(www.ekapepia.com)를 방문하시면 축산관련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상기 답변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숙성 고기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 김태경, 팜커뮤니케이션/ /국립축산과학원

돼지고기 냉장숙성시 완전밀폐? 아니면...

저는 돼지고기 재울때 랩씌워서 냉장고에 넣는데 이때완전 밀폐해야 하는건지 아니면 구멍 뚫어 숨쉬게 해줘야하는건지 항상 헷갈려서요! 올바른 숙성 방법 알려주셔요...

돼지고기 보관

... 다음으로 고기 보관방법에 대한 부분인데요 고기를 한꺼번에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하는 방법 보다는 200g씩 3개로 나누어 진공팩이나 비닐팩에 담아 최대한 공기를...

돼지고기 냉장보관 법에 대해서

냉동 돼지 삼겹살을 찬물에 핏물빼고 완전해동후에 밀폐용기에 차가운 냉수에 잠기게 물을 담고 냉장 보관해도... 아니라 고기 내에 들어있는 육즙이 더 많이 손실되기...

냉동고기 해동 후 숙성

... 냉동된 고기는 먼저 냉장해동 후 냉장상태에서 숙성을... 성향인지 아니면 숙성육을 선호하는 성향인지, 고기의... 내부까지 공기가 접촉하게 되어 표면이 다공질이 되어...

냉동 돼지고기 냉장실 보관 기간

... 가열하여 완전히 익힌 후 밀봉해서 보관하면 4~5일... 두껍게 썬 (소, 돼지)고기 보관 - 냉장 보관시에는 : 구입... 섞어 고기에 바른 다음 랩으로 밀봉해서 다시 밀폐용기에...

진공포장된 돼지고기 재냉동해도될까요?

진공포장된 돼지고기가 영하18도에서 냉동된건데 택배로... 그리고 내동을 했다면 냉장해동을 할경우엔 괜찮을까요?... 내부까지 공기가 접촉하게 되어 표면이 다공질이 되어...

돼지고기 해동후 재냉동

인터넷에서 돼지고기를 주문해서 왓는데 일부분은 먹고... 냉장해동법 및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해동법을 들 수 있습니다. 상온해동법은 열전달매체가 정지된 공기이므로...

좋나요? 아니면 숙성후 먹는게 좋나요?

질문 그대로 양, 소, 돼지도축후 그날먹는것과 몇일 숙성후... 도축후 냉장상태에서 시간을 보낸후죠 숙성이란것도 사실 고기가 변질 되는 과정입니다 아시겠지만 도축시...

돼지고기 목심구이용 색깔 질문.....

... 공기 중에 노출시켜 두면 맨 위족에 잇는 고기처럼... 진하고 돼지는 중간, 백색근이 많은 닭이나 오리같은... 고기냉장 보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색이 변하는 현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