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속안에는 어떤 성분이 있나요?

김치 속안에는 어떤 성분이 있나요?

작성일 2005.08.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김치 속안에는 어떤 성분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쉽게 그리고 너무 간단히 말고 좀 중간정도 써주기 바랍니다. 많이 써주시면 제가 요약해서 쓰겠습니다. 내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영양상의 균형을 유지해준다

김치의 영양성분과 역할은 그 원료에 따라 각각 다를 수밖에 없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1) 주 원료로 사용되는 채소에 함유된 칼슘, 구리, 인, 철분, 소금 등은 인체에 필요한 염분과 무기질을 함유하므로 체액을 알 칼리성으로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동물성 젓갈에서 아미노산을 얻어 쌀을 비롯한 곡물류에서 부족한 단백질을 보완할 수 있다. 김치가 익으면서 새우젓, 멸치젓, 황석어젓 등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며 뼈도 녹기 때문에 칼슘의 공급원이 된다.
(3)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B1(thiamin)의 흡수에 도움이 된다.
(4) 채소에 풍부한 섬유소를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 결장염 등의 질병을 억제한다.
(5) 다 익은 김치는 유기산, 알코올, 에스텔을 생산하여 유산균 발효 식품으로 식욕을 증진 시킨다.
(6) 익어감에 따라 번식된 유산균은 창자의 다른 유해균을 억제하여 이상 발효를 막는다.
(7) 각종 비타민을 공급하는데, 특히 비타민C가 많고 고수, 갓, 무우청, 파 같은 녹황색 채소가 많이 섞이면 비타민A가 많아진다.


 
무엇보다도 김치의 영양학적 가치는 김치 그 자체에 함유된 영양성분이외에 김치 특유의 풍미로 인한 식욕증진 효과에서도 찾을 수 있다. 별표의 영양 분석표에 의한 주요 김치원료의 영양성분에 비추어 보면 김치는 열량, 즉, 칼로리를 공급하는 영양 소화기 보다는 여러 종류의 비타민과 무기질인 칼슘 성분을 공급하는 식품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젓갈류에서 공급되는 아미노산과 김치의 발효, 숙성에 따른 유기산, 고추, 마늘, 생강 등 조미 채소류에 들어 있는 여러 종류의 특수 성분은 김치의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치의 항암효과
size=2>
김치가 항암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김치의 주재료로 이용되는 배추 등의 채소는 대장암을 예방해 주고, 김치의 재료로 꼭 들 어가는 마늘은 위암을 예방해 준다. 마늘은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음식의 양념으로 쓰이며, 특히 김치에서는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재료이다.
마늘은 김치의 종류에 따라 다지거나, 저미거나, 채를 썰어 넣는데 이렇게 생마늘을 그대로 썰거나 씹으면 강하고 매운 냄 새와 맛이 난다. 그래서 외국인들은 이런 맵고 강한 향 때문에 마늘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마늘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유용한 식품이다. 최근 들어 마늘의 항암효과가 발견되면서 마늘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들이 건강식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마늘의 항암효과는 주로 한의학계에서만 주장되어 왔는데, 햄스터에 꾸준히 마늘즙을 투입시켜 본 결과 그렇지 않은 햄스터 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암 발생률을 보여 서양의 학계에서도 그 과학성을 인정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치에는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폐암도 예방할 수 있으며,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은 엔돌핀을 비롯한 호르몬 유사물질의 분비를 촉진시켜 폐표면에 붙어 있는 니코틴을 제거해 준다.


풍부한 비타민과 신진대사 활성화


예컨대 고추는 비타민A 함량이 많고, 특히 비타민C는 사과(국광)보다 37배, 귤보다 7배나 많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마늘에 함유된 알리신(aillicin)은 강력한 살균효과와 더불어 비타민 B1의 흡수를 촉진하며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강장 강정의 효과가 있다.

유산균의 정장작용

이런 여러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김치에는 알리신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항생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살아있는 유산균이 많아 장내 미생물의 대사 활성에 영향을 주어 대장암의 예방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

[자료] 농촌진흥청 농촌영양개선 연수원, 식품분석표

구분

배추

무청

양배추

부추

오이

열무

씀바귀

열량 kcal

14

30

49

29

27

8

24

26

42

48

수분 %

94.7

90.3

83.7

94.3

89.8

96.6

91.2

89.4

82.7

83.5

단백질 g

1.3

2.0

3.0

1.5

4.3

0.6

1.7

2.0

3.0

3.6

지질 g

0.2

0.1

0.5

0.6

0.4

0.1

0.4

0.6

0.6

0.5

당질 g

2.6

6.1

10.6

4.4

3.7

1.7

4.7

4.5

8.4

9.8

섬유질 g

0.7

0.9

0.9

0.7

1.2

0.6

1.4

0.9

1.7

2.2

회분 mg

0.5

0.6

1.3

0.5

0.6

0.4

0.6

2.6

3.6

1.4

칼슘 mg

70

62

229

18

34

26

110

15

76

259

인 mg

63

29

49

31

27

35

32

161

34

76

철 mg

0.3

0.9

5.8

0.7

2.9

-

1.0

1.7

3.7

2.5

Vit.A I.U

225

-

8.710

43

7.286

131

1.863

2.630

11.630

5.982

Vit.B1 mg

0.06

0.01

0.06

0.12

0.41

0.01

0.06

0.06

0.35

0.14

Vit.B2 mg

0.09

0.03

0.30

0.43

0.06

0.02

0.07

0.27

0.09

0.25

Niacin mg

0.4

3.9

10.0

0.2

0

0.4

1.8

0.5

0.1

13.0

Vit.C mg

28

44

50

27

40

9

25

46

8

16




김치의 기능

- 생체조절 : 소화촉진, 면역성강화
- 질병예방 : 항균성, 소염성, 항돌연변이성, 항암성
- 질병회복 : 상처치료성, 혈중콜레스테롤저하
- 생체리듬조절
- 노화억제

김치의 영양소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 무, 고추, 파, 마늘 등에는 상당량의 다양한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먹는 김치에는 각종 비타민군이 풍부합니다. 또한 김치는 당질이나 단백질, 지방같은 열량이 많은 영양소의 함량이 적은데 비해 칼슘과 무기질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입니다.
서양인들의 식단에서 나타나는 칼슘이나 인의 결핍이 우리에겐 전혀 문제되지 않는 것도 김치의 덕택이다. 뿐만 아니라, 김치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산균 발효유를 구지 마시지 않더라도 김치를 통해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우리가 주로 먹는 김치의 각 100g 에 함유된 주요 영양소의 수치를 나타냅니다.

영양소

열량
(㎉)

수분
(%)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회분
(g)

칼슘
(g)

비 타 민

A
(I.U.)

B₁
(㎎)

B₂
(㎎)

C
(㎎)

포기김치

14

94.7

1.3

0.2

2.6

0.5

70

225

0.06

0.09

28

총각김치

49

87.4

1.7

0.14

7.2

0.8

104

8,710

0.06

0.30

50

깍 두 기

30

90.3

2.0

0.1

6.1

0.6

62

-

0.01

0.03

44


김치재료의 기능

김치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모두가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김치가 발효하는 과정에서 유산균이 활성화 물질을 발생시켜 서로 복합적인 작용을 하게 되는데, 각 재료별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추

김치를 처음 먹어보는 외국인들이 느끼는 김치의 맛은 고통스러울 정도의 매운 맛이다. 한국인들은 유난히 매운 음식을 좋아 하는데 김치가 가장 대표적인 매운 음식에 속한다. 또한 한국인들은 기름지고 느끼한 음식을 먹을 때면 김치를 찾는데 무슨 이유가 있을까? 김치의 매운맛은 고추의 성분중 캡사이신(capsicine)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캡사이신은 대사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지방을 태워 없애기 때문에 체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캡사이신은 식욕을 촉진하기도 한다. 한국인들이 기름진 음식에 김치를 찾는 것은 고추의 이러한 작용에 입맛이 길들여져 왔기 때문이다. 또한 고추에는 상당량의 비타민이 들어있다.
비타민A가 7,405 I.U., B1이 0.3 mg, C가 220mg이다.

마늘

마늘은 예로부터 몸에 좋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다. 외국인들은 마늘의 독특한 냄새와 맛 때문에 마늘을 싫어하기도 하는데 최근 마늘의 항암효과가 알려지면서 관심이 늘고 있다. 한의학계에서만 주장되다가 최근 실험에 의해 과학적으로 마늘이 항암효과가 있음이 입증되면서 서양의학계에서도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다. 사실 마늘의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기 전에도 마늘은 우리 음식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양념이었지만 요즘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살균 작용이 있으며 항균성 물질의 하나인 알리신은 체내 비타민B1이 0.33mg, B2는 0.53mg, C는 7mg 정도이다.

젓갈

예전에는 김치에 젓갈을 넣어 먹는 집이 거의 없었으나 요즘은 김치에 젓갈을 넣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젓갈은 김치와 매우 이상적인 만남이다. 젓갈은 이미 발효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김치의 숙성을 촉진 시키면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준다. 젓갈은 김치의 맛을 더욱 좋게 하면서 영양도 더욱 풍부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배추

배추에 들어있는 캐로틴이라는 성분이 체내에서 비타민A로 작용을 한다. 비타민C도 다량 함유 되어 있으며 특히 대장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량은 겨우 100g에 17Kcal밖에 못내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도 조금밖에 들어있지 않아 영양 식품이라고 특별히 내세울 수는 없지만 자칫 비타 민류가 결핍되기 쉬운 겨울철에 비타민 A 와 C 의 공급원으로서의 배추의 가치는 과소 평가할 수 없다. 더욱이 배추 속에 농축되어 있는 비타민 C는 소금에 절여 오랫동안 두어도 상당한 양이 그대로 남아 있다. 또 적은 양이긴 하지만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우수해 영양 학적으로 높이 평가 받고 있고 , 칼슘도 70mg 이나 들어있다.

비타민 A는 없지만 비타민 C는 44mg이나 들어있으며 칼슘이 62mg, 인이 29mg 들어있다. 또한 배추, 무우 등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무우청은 영양가가 매우 높아 단백질의 약 60%는 순 단백질로서 라이신 함유량이 높은 우량 단백질이다

배추와 마찬가지로 비타민A 와 C가 많고 철분도 많다. 파는 비타민B1을 활성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살균, 살충의 효가 있으며 유기산, 유기염 등의 효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100g 당 칼슘이 73mg, 인이 46mg이나 들어있고 비타민은 푸른 잎에 A가 408I.U., B2가 0.15mg, C가 16mg정도 있다. 또한 마늘처럼 알리신이 있어 체 내 비타민 B1의 흡수를 도와준다.

소금

배추를 절일때 쓰는 소금은 해로운 미생물의 침입과 번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배추를 절이게 되면 배추의 부피가 크게 줄어드는데(숨이 죽었다는 표현을 쓴다.) 이것은 소금을 넣으면 배추 세포내의 농도보다 바깥의 농도가 더 높아져 삼투압의 원리에 의해 배추 세포내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 나오기 때문이다. 이 삼투압 때문에 세포간 물질교류를 활발해지고 효소의 작용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조직감이 좋아지고 젓산이 잘 발효될 수 있도록 한다.




김치는 숙성이 되면서 점점 더 많은 비타민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 함량이 숙성초기에는 약간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꾸준히 증가하여 완숙기인 2~3 주째 정도에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신체에서 비타민A로 작용하는 캐로틴의 함량은 김치를 처음 담궜을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습니다.

김치는 숙성초기나 완숙기에나 영양의 측면에선 전혀 손실이 없는 셈이라고 할 수 있겠죠. 김치가 가지는 여러가지 기능이 현대인들의 식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여러가지 면역기능을 활성화하여 면역성을 강화하고 젓산 발효 채소로서 소화를 촉진합니다. 또한 대장암, 동맥경화, 빈혈 같은 성인병 예방에도 탁월한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생체리듬조절이나 질병회복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치 속안에는 어떤 성분이 있나요?

김치 속안에는 어떤 성분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쉽게 그리고 너무 간단히 말고 좀 중간정도 써주기 바랍니다. 많이 써주시면 제가 요약해서 쓰겠습니다. 내공은...

김치성분 (신김치와 생김치 각각의...

... 신김치와 생김치성분 (유산균이라들지) 적어도 다섯 개... 김치가 가열된 후에 변하는 게 있나요? (화학적, 생물학적) 있다면, 어떤 점이 변하는지.. 설명해 주세요 예)...

분비되는 기관이 어떤기관이 있나요??

이전 질문에서 꽁치를 먹었을때 설사증상이 있었는데 꽁치를 먹고 사과식초를 먹거나 김치를 먹었을때는 설사증상이 없었고 이에대한 원인이 사과식초와 김치의 신 성분이...

속안좋고 어지러움

... 어떤 이유 때문인지, 진료를 위해선 어떤 병원으로... 황화아릴 성분이 들어있어 소화효소분비를 촉진하는... 갈치김치조림, 표고버석계란찜, 쇠고기 장조림 1개월만 잘...

김치라면:김치가 들어간 라면은 왜...

... 작용이 있나요? 어떤관점이던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치에는 소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우선 김치 자체가 발효식품으로, 유산균이 다량...

김치이야기! 얼른

... 김치에는 어떤 영양 성분이 있나요? 김치는 어떻게 소화를 도와주나요? 김치의 질병예방효능 에대하여 설명해보세요 그 외 어떤 장점이 있나요? 한문제 만이라도 김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