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에 있는 추석과 설날의 음식 종류를 가르쳐 주세요. 알려 주세요.

연휴에 있는 추석과 설날의 음식 종류를 가르쳐 주세요. 알려 주세요.

작성일 2009.10.03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동그랑땡은 어디이고, 만두는 어디이며, 꿀떡과 갈비가 추석 음식 이고, 떡국이 설날 음식인가요?. 송편은 또 어디. 연휴마다 먹다가, 헷갈려서요. 만두도 빌던데. 까먹어서. ^-^. 위의 제목과 같이 연휴에 있는 추석과 설날의 음식 종류를 가르쳐 주세요. 알려 주세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구랑땡,갈비,꿀떡등은 추석이나 설날 모두 먹는 음식입니다.

 

추석음식

오려 송편

 올벼로 찧은 오려쌀로 만들어서 오려 송편이라고 한다. 쌀가루에 쑥, 송기, 치자로 맛과 색을 달리하여 끓는 물로 익반죽하여 오래도록 치대어 마르지 않게 젖은 보자기로 덮어 둔다. 송편소로 거피 팥, 햇녹두, 청대콩, 꿀이나 설탕과 소금으로 맛을 낸 깨 등이 있다. 송편 반죽을 밤톨 만하게 떼어 가운데 우묵하게 우물을 파서 소를 넣고 빚는다. 시루에 솔잎을 송편 사이사이에 두어 쪄낸다. 모양은 지방마다 달라 북쪽은 대체로 크고, 서울은 작게 빚는다. 조개 모양 또는 손자국을 내서 창해도, 강원도 지방은 소박하게 빚는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쑥 대신 모시잎을 뜯어 삶아 섞는다. 쌀 대신 감자 녹말, 고구마녹말로 빚기도 한다 송편을 쪄 내어 찬물에 재빨리 넣었다가 건져 참기름을 바르는데 오래 두었다 먹거나 멀리 가져갈 것은 물에 씻지 말고, 솔잎이 붙은 채 바구니에 담아둔다. 정초에 절편이나 흰떡을 하듯이 친 떡으로 송편을 빚으면 들것한 것이 맛나다.

 

토란탕

토란은 추석 절부터 나오기 시작하며 흙 속의 알이라 하여 토란(土卵)이라 하고, 연잎같이 잎이 퍼졌다 하여 토련(土蓮)이라 한다. 토란은 전분이 대부분이고 미끈거리기 때문에 조리할 때는 꼭 소금물이나 뜨물에 삶아 쓴다. 토란은 토란탕, 산적, 찜, 조림, 구이, 장아찌, 엿 등을 해먹는다. 토란탕은 국거리로 양지머리나 사태를 푹 곤다. 곱창과 양을 합하여 곰국을 끓여도 좋다. 흠씬 무른 고기를 절어 양념하여 넣고 무, 삶은 토란, 다시마를 넣어 폭 끓여 낸다. 산적이나 구이 등을 할 때는 갸름한 모양을 택한다.

 

닭찜

햇닭이 살이 올라 제일 맛이 있을 계절이므로, 채소를 합하여 찜을 하든가 북어와 다시마를 넣고 갖은 양념하여 찜을 하면 구수하다. 토막낸 닭에 칼집을 넣어 양념 간장과 생강, 고추 등을 넣어서 간이 어느 정도 배면 닭을 번철에 넣고 누릇이 지져 낸다. 이때 지져서 기름을 빼면 닭 특유의 냄새도 없이 매우 맛있다. 다 되면 계란 채 썬 것으로 고명을 얹어 낸다.

 

배숙

배수정과라 하여 곶감 대신 배를 넣은 것인데 예전에는 작고 단단한 문배를 사용하였다. 배를 통째로 삶아 꿀물이나 설탕물에 담근 것을 말한다. 생강을 편으로 썰어, 알맞은 매운 맛의 생강물을 만들어 둔다. 배는 여섯 쪽 또는 다시 반 나누어 삼각형으로 하여 가도련한 다음 속을 빼내고 등쪽에 통후추를 깊이 박는다. 생강물에 설탕으로 단맛을 내고, 배를 넣어 말갛게 익혀서 차게 식혀 그릇에 담고 잣을 띄운다. 익힌 배라 하여 이숙(梨熟)이라 한다.

 

햇밤

햇밤을 푹 삶아서 반으로 갈라 작은 숟가락으로 파내어 체에 쳐서 밤고물을 만든다. 여기에 꿀과 계핏가루를 넣어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으면 밤다식이고, 밤 모양으로 빚으면 율란이 된다 밤을 설탕물에 넣어 졸이다가 꿀로 볶아 내면 밤초가 된다. 잣가루를 묻혀 낸다. 차례상에는 좋은 밤만 골라 속껍질까지 예쁘게 생률을 쳐서 돌려 담아 올린다.

 

버섯 요리

8월에는 가지각색의 버섯이 나는 철로 옛날에는 첫째가 표고, 둘째가 송이, 셋째가 능이, 넷째가 느타리, 다섯째가 석이, 여섯째가 목이라 하였다. 그 밖의 것은 잡 버섯(싸리버섯, 밤버섯 등)이라 하고 못 먹는 것은 독버섯이라 했는데 표고가 흔치 않아 제일로 쳤다. 송이버섯은 원래 공기가 맑은 산중에서도 소나무나 잣나무 밑에서 자라 그 향과 모양이 고상하다. 조선시대 때는 남산에서 자란 것을 최고로 쳤고, 한때는 양주 망월사의 것을 최고로 쳤다. 송이로 맛나게 음식을 하려면, 양념을 되도록 적게 하고 슬쩍 익혀야 송이 특유의 향을 즐길 수 있다.

 

송이 산적

도톰하게 저며 절어서 쇠고기와 번갈아 때워 석쇠에 굽는다.

 

반월 송편

《동국세시기》에는 송편·시루떡·인절미·밤단자를 시절음식으로 꼽았는데, 송편은 대표적인 추석음식이다. 전하는 말로는 송편을 예쁘게 잘 빚어야 시집을 잘 간다고 하여, 여성들은 예쁜 손자욱을 내며 반월형의 송편에 꿀·밤·깨·콩 등을 넣어 맛있게 쪄냈으며 이 때 솔잎을 깔아 맛으로만 먹은 것이 아니고 후각적 향기와 시각적인 멋도 즐겼다. 추석전날 송편을 잘 빚어 놓고 추석 차례의 여러 제수를 장만한다. [사진]- 추석 절식인 송편과 토란탕. 그런데 참으로 신비로운 것은 온달[滿月]이 뜨는 추석날에 왜 반달[半月] 모양의 송편을 빚었을까 하는 일이다. 너하나 나하나 만들어 온달을 이루고자하는 공동체 의식의 발로인가 아님 그 모양새가 반달 송편이 더 예쁘기 때문인가 좀더 연구해볼 만 하다.

 

화양적

 꼬치에 갖은 재료를 꿰어서 화려하고, 영양 면에서 치우침이 없는 별식이다. 만드는 법은 쇠고기 산적에 통도라지, 당근, 표고, 오이, 달걀을 양념하여 볶고, 익혀서 길이를 5,6센티미터, 폭을 1센티 미 터 정도로 하여 꼬치에 색색이 꿴다. 각각을 익혀서 꽃은 것이니 접시에 둥글게 색동으로 돌려 담는다. 접시 가운데 비는 곳에는 간장에 졸여 녹말로 갈쭉하게 한 홍합초를 담는다. 화양적의 맛이 조금 담백하니 잣가루에 참기름, 소금, 후추로 잣집을 만들어 얹어 낸다. 또는 밀가루, 달걀을 씌워 지져 내면 누름적이 된다. 추석은 백로, 추분의 절기이니 채소를 갈무리하여 호박 오가리, 박오가리, 가지 오가리를 한다. 농가에서는 수수 이삭을 따고 황률도 말리고 물고추도 따서 말리고, 참깨, 들깨도 털고, 박은 켠 뒤 바가지를 만든다. 또한 산에 가서 머루, 다래도 따서 오니 농가에서는 수확의 재미가 큰 반면에 바쁘기 이를 데 없다. 그 밖에 8월 음식으로 무와 호박을 섞어 시루떡을 해먹고, 또 찹쌀가루를 쪄서 쳐서 알맞게 잘라서 깨나 콩가루를 입혀 인절미를 만든다. 진 찹쌀가루를 밤알 크기로 떼어 삶은 밤고물을 묻혀 밤단자 또는 대추 다진 것을 찹쌀가루에 섞어서 고물로는 밤, 대추, 석이채 합한 것을 묻혀서 대추 단자를 만든다. 또 같은 방법으로 토란 단자도 한다. 단자는 찹쌀에 물을 많이 주면 맛이 적어지나, 빨리 굳지는 않는다. 꿀을 손에 바르고 떼어야 잘 떼어지고 맛도 좋다.

설날 음식

설날 음식

분류

요리종류

 쌀밥, 오곡밥

 사골된장국, 사골우거지국, 떡국, 떡 만두국

 흰떡, 주악, 인절미, 수수 전병,떡찜, 떡볶기,

과정

 약식, 꽃약과,다식, 유과, 조과

편육

 편육, 족편

 버섯전, 녹두빈대떡

나물

 삼색나물

볶음

 떡잡채

 사태떡찜,

구이

 쇠고기찹쌀구이, 생치구이,전복초, 밤초, 대추초

김치

 동김치, 장김치

음료

 수정과, 식혜,

과일

 사과, 배, 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추석음식

1.송편

2.유과

3.동그랑땡

4.햇곡식

5.햇과일

6.한과

설날음식

1.만두

2.떡국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동그랑땡은 추석에 전부칠때 부칩니다/

그리고 꿀떡은 설날이고요 추석때도 먹긴 해요

그리고 만두는 설날이구

떡국은 당연히 설날음식이구

송편은 추석

갈비는 잘 모르겠어요

100% 정확한건 아니구

98%? 정도는 정확해요^^
안심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알고 먹는 우리 전래 한가위 음식
대한민국 정책포털  2008-09-10

농촌진흥청(청장 이수화)에서 우리나라의 추석 및 음식전통에 대해 도시·농촌주부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를 보면 97.8%가 추석명절을 지키고 있고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여러 가지 추석명절음식을 장만한다고 한다.

이 중 송편과 갖은 나물을 직접 만들어 먹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3/4이상으로 아직 우리 전통을 지키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잡채, 고기산적 및 갈비찜 같은 음식류는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만들어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유어, 빈대떡, 햇밤밥, 닭찜 등도 많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는 추석명절을 지키는 우리 전통이 살아 있음과 지역마다 전해져 내려오는 음식문화가 이어지고 있다는 희망적인 면도 보여주었으나, 몇몇 음식의 경우는 손이 많이 간다던지 하는 이유로 사라질 위험에 처해있다는 점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추석을 맞이하여 여러 가지 우리 전통음식의 조리법이 잊혀져 사양화 되는 일이 없도록 농촌진흥청에서 연구발간하였던 우리 전통음식의 백과사전격인 ‘전통향토음식대관’에서 특징적인 음식을 몇가지 선별하여 이번 추석에 가족과 함께 드시도록 재료 및 조리법을 공개하였다.

송 편
추석 때 제일 먼저 수확한 햅쌀로 떡을 만들고 햇곡식으로 속을 채워 빚는 송편은 한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 등에 바치던 명절떡이다.

  ※ 올벼(제철보다 일찍 익는 쌀)로 찧은 오려쌀(올벼에서 수확된 쌀)로 만들어서 오려 송편이라고 한다.

토란탕
토란은 추석절부터 나오기 시작하며 흙 속의 알이라 하여 토란이라 하고, 연잎같이 잎이 퍼졌다 하여 토련이라 한다.

토란은 토란탕, 산적, 찜, 조림, 구이, 장아찌, 엿 등을 해 먹는다. 토란탕은 국거리로 양지머리나 사태를 푹 곤다. 곱창과 양을 합하여 곰국을 끓여도 좋다. 흠씬 무른 고기를 썰어 양념하여 넣고 무, 삶은 토란, 다시마를 넣어 폭 끓여낸다.

닭 찜
햇닭이 살이 올라 제일 맛이 있을 계절이므로, 채소를 합하여 찜을 하든가 북어와 다시마를 넣고 갖은 양념하여 찜을 하면 구수하다.

토막 낸 닭에 칼집을 넣어 양념 간장과 생강, 고추 등을 넣어서 간이 어느 정도 배면 닭을 번철에 넣고 노릇하게 지져 낸다. 이때 지져서 기름을 빼면 닭 특유의 냄새가 없어져 매우 맛있다. 다 되면 계란 채 썬 것으로 고명을 얹어 낸다.

송이회
연한 생송이를 잘 씻어 얄팍하게 썰고 오이도 같은 크기로 썰어 참기름과 소금을 합한 곳에 넣어 가볍게 무쳐 낸다. 그대로 또는 초고추장이나 겨자를 찍어 먹는다.

송이산적은 송이를 도톰하게 저며 썰어서 쇠고기와 번갈아 꿰어 석쇠에 굽는다. 송이버섯탕은  끓는 맑은장국에 송이를 살짝 익혀 실파와 지단을 띄워낸다
  
배 숙
배수정과라 하여 곶감 대신 배를 넣은 것인데 예전에는 작고 단단한 문배를 사용하였다. 배를 통째로 삶아 꿀물이나 설탕물에 담근 것을 말한다. 생강을 편으로 썰어, 알맞은 매운 맛의 생강물을 만들어 둔다.

배는 여섯 쪽 또는 다시 반 나누어 삼각형으로 하여 가도련한 다음 속을 빼내고 등쪽에 통후추를 깊이 박는다.

누르미
누르미는 재료를 익혀 즙을 끼얹은 음식으로, 쇠고기와 어패류·파·도라지·버섯·달걀·두부 등의 재료를 꼬챙이에 꿰거나 또는 그냥 익힌 뒤 녹말·달걀을 씌워 번철에서 지져내 누름즙을 끼얹는 것이 특징이다.

재료에 따라 쇠고기누르미·달걀누르미·굴누르미·생선누르미·개고기누르미 등이 있다.

누르미는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육류, 어패류, 채소류, 버섯류, 달걀, 두부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므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어 균형있는 영양식이다.

그리고 재료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대체해서 응용할 수 있다. 도라지 대신 인삼을 꿰기도 하고 고비가 없을 경우에는 고사리를 쓰기도 한다.  

밤다식(율란), 밤초
햇밤을 푹 삶아서 반으로 갈라 작은 숟가락으로 파내어 체에 쳐서 밤고물을 만든다. 여기에 꿀과 계핏가루를 넣어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으면 밤다식이고, 밤 모양으로 빚으면 율란이 된다.

밤을 설탕물에 넣어 졸이다가 꿀로 볶아 내면 밤초가 된다. 차례상에는 좋은 밤만 골라 속껍질까지 예쁘게 쳐서 돌려 담아 올린다.

위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koreafood.rda.go.kr 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우리 향토음식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정도면 충분하시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알고 먹는 우리 전래 한가위 음식
대한민국 정책포털  2008-09-10

농촌진흥청(청장 이수화)에서 우리나라의 추석 및 음식전통에 대해 도시·농촌주부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를 보면 97.8%가 추석명절을 지키고 있고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여러 가지 추석명절음식을 장만한다고 한다.

이 중 송편과 갖은 나물을 직접 만들어 먹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3/4이상으로 아직 우리 전통을 지키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잡채, 고기산적 및 갈비찜 같은 음식류는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만들어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유어, 빈대떡, 햇밤밥, 닭찜 등도 많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는 추석명절을 지키는 우리 전통이 살아 있음과 지역마다 전해져 내려오는 음식문화가 이어지고 있다는 희망적인 면도 보여주었으나, 몇몇 음식의 경우는 손이 많이 간다던지 하는 이유로 사라질 위험에 처해있다는 점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추석을 맞이하여 여러 가지 우리 전통음식의 조리법이 잊혀져 사양화 되는 일이 없도록 농촌진흥청에서 연구발간하였던 우리 전통음식의 백과사전격인 ‘전통향토음식대관’에서 특징적인 음식을 몇가지 선별하여 이번 추석에 가족과 함께 드시도록 재료 및 조리법을 공개하였다.

송 편
추석 때 제일 먼저 수확한 햅쌀로 떡을 만들고 햇곡식으로 속을 채워 빚는 송편은 한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 등에 바치던 명절떡이다.

  ※ 올벼(제철보다 일찍 익는 쌀)로 찧은 오려쌀(올벼에서 수확된 쌀)로 만들어서 오려 송편이라고 한다.

추석음식종류,가격,유통경로좀 알려주세...

추석음식종류,가격,유통경로좀 알려주세요(이왕이면 9개이상 올려주세여) 추석날... 주, 과, 포, 탕, 적, 혜, 나물, 침채(김치), 청장을 정해진 굽이 있는 제기에 담고, 위치는...

우라나라 전통음식(종류,유래)알려주세요.

... 전통음식 종류와 유래좀 알려주세요 한국 요리...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특히 설날에 주로 먹는다. 양념의 관점에서 보면, 이남이나...

추석의 차례음식알려주세요.ㅠㅠ

추석차례음식알려주세요~ 채택제발좀 추석이란?...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가위"라는 말은... 풍습 추석은 옛날부터 설날과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추석에대한 놀이와 음식알려주세요

추석에대한 놀이와 음식알려주세요. 아주아주 급하니까... 모시고 있는 종가에 모여 고조까지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 지내는 절차가 설날과 다른 것은 흰떡국 대신 메[밥]를...

내공 @40@추석음식방향좀 알려주세요

... 하는데요 추석음식 올리는 방향좀 알려주세요 예를 들면... 말이 있는데, 이 말을 뒤집어 놓으면 집안마다 음식을... - 제물의 갯수(생선 마리수, 과일 수, 나물의 종류, 탕의...

추석의 의의,유래,음식,놀이알려주세요!

추석의 의의,유래,음식,놀이좀 알려주실분 구함!! 3분안에좀... 모시고 있는 종가에 모여 고조까지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 지내는 절차가 설날과 다른 것은 흰떡국 대신 메[밥]를...

추석,설날,단오에대해알려주세요(꼭꼭)

... 추석,단오,설날알아오기숙제가나왔어요. 좀알려주세요... 또 신라의 독자적인 명절이라 할 수 있는 가위나...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 ☞설날 차례 정월 초하룻날 아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