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부작용... 소화불량, 매스꺼움.

당뇨약 부작용... 소화불량, 매스꺼움.

작성일 2021.03.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30대중반 남성입니다.

당뇨약 및 콜레스테롤, 간기능 약 복합적으로 처방받아 복용중에 있습니다.

약을 먹은 후 소화불량 매스꺼움 등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잠을 자다가도 속이 불편하여 일어나 오바이트도 하고....

이런증상이 있어 약을 보름정도 끊었더니 아무증상도 없었습니다.


병원 진료날이 되어 의사선생님께 소화불량 및 오바이트를 하였다고 말씀을 드리자

처방한 약은 약한거다라고 말씀하시며 또한 약을 안먹으면 인슐린 주사를 맞자고 하십니다.

인슐린 맞지 않고 다시 약을 먹겠다고 하니 두달뒤에 보자고 하십니다.

(그전에 의사선생님이 무서운 말을하셔서,,,, 40살에 혈관이 꽉막혀서 죽는다고....)


이렇게 약을 먹어도 소화불량이 심하고 오바이트를 하는데 계속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해도 되는 건가요???


#당뇨약 부작용 #당뇨약 부작용 설사 #당뇨약 부작용 종류 #당뇨약 부작용 디시 #당뇨약 부작용 저혈당 #당뇨약 부작용 변비 #당뇨약 부작용 메트포르민 #당뇨약 장기 복용 부작용 #당뇨약 다이어트 부작용 #먹는 당뇨약 부작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

점수50당뇨약 부작용... 소화불량, 매스꺼움.

30대중반 남성입니다.

당뇨약 및 콜레스테롤, 간기능 약 복합적으로 처방받아 복용중에 있습니다.

약을 먹은 후 소화불량 매스꺼움 등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잠을 자다가도 속이 불편하여 일어나 오바이트도 하고....

이런증상이 있어 약을 보름정도 끊었더니 아무증상도 없었습니다.

병원 진료날이 되어 의사선생님께 소화불량 및 오바이트를 하였다고 말씀을 드리자

처방한 약은 약한거다라고 말씀하시며 또한 약을 안먹으면 인슐린 주사를 맞자고 하십니다.

인슐린 맞지 않고 다시 약을 먹겠다고 하니 두달뒤에 보자고 하십니다.

(그전에 의사선생님이 무서운 말을하셔서,,,, 40살에 혈관이 꽉막혀서 죽는다고....)

이렇게 약을 먹어도 소화불량이 심하고 오바이트를 하는데 계속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해도 되는 건가요???

<답변>

​​

질문자님.. 복용하는 약이 많아서 질문내용과 같은 이상증상이 나타나는것 같은데요.

정확한 것은 병원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고요.

당뇨에 관해서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질문자님...당뇨에 관한 정확한 것은 병원 가셔서 전문의의 진료를 받도록 하시고요.

당뇨 치료와 예방에 관해서 다음 내용을 참고하도록 하세요.

당뇨병은 약만으로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약에만 의존하려 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식습관개선, 영양, 운동, 수면, 기혈순환 등이 반드시 함께 해야 합니다. 천대윤 박사님의 <활기혈단>(천대윤 지음) 책을 참고 하세요. 그 책은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 국공립 도서관에 가시면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뇨환자가 무리하게 운동하거나, 비만자가 무리하게 살을 빼려고 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절대로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므로 서서히 점차적으로 운동량을 늘려 가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상단계 공복(8시간금식)혈당은 70~100(또는 120)mg/dL 미만 (당화혈색소 4~5.9%)이고,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미만입니다.

당뇨병 1형, 당뇨병 2형, 당뇨 치료와 예방, 좋은 음식, 나쁜 음식 등에 관해서는 다음 내용을 참고하도록 하세요.

모든 당뇨병이 절대로 치료될 수 없는 성질의 것은 아닙니다.

당뇨병 성질에 따라 다릅니다.

혈당조절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 내용을 참고하세요.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 구분 :

당뇨병에는 제1형과 제2형이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 파괴손상으로 췌장에서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당뇨병이다. 이처럼 선천적 성질의 당뇨병을 제1형 당뇨병이라고 한다.

당뇨병 가운데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질환에 속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은 자가면역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면역계가 잘못 판단하여 정상적인 인체 화학물질이나 세포를 공격하여 발생하는 것입니다.

1형당뇨는 선천성적 성질의 자가면역질환인데 면역세포가 췌장의 베타세포를 손상, 파괴, 훼손시켜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30대 이전에 많이 발생합니다.

한편, 제2형 당뇨병은 비만, 운동부족, 고열량 식사 등으로 인한 인슐린저항 등에 대항할 인슐린 분비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당뇨병이다. 이처럼 후천적 성질의 당뇨병을 제2형 당뇨병이라고 한다.

이 중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췌장의 베타세포 파괴손상된 상태의 당뇨병)은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당뇨병환자의 약 10% 정도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그렇지 않은, 당뇨병 환자의 약 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약복용, 식이요법, 운동 등으로 혈당조절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다고 의료계에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에 걸려서 약을 먹는 사람도 혈당이 정상수치로 돌아오고 혈당조절이 정상적으로 되면 당뇨치료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미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그리고 당뇨병환자에게 주의할 것은 당뇨병은 절대로 약만으로는 치료가 안된다는 것입니다.

약 복용, 식이요법, 운동이 함께 실천해야 합니다.

그리고 건강을 회복하여 약에서 해방되도록 해야 합니다.

천대윤 박사님의 <활기혈단>(천대윤 지음) 책을 참고하세요. 그 책은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 국공립 도서관에 가시면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커피가 전적으로 당뇨병 환자에게 나쁜 것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음을 참고로 하세요. 즉, 순수 블랙커피(설탕, 프림, 커피메이트 등을 넣지 않는 순수 블랙커피)는 하루 1~2잔은 당뇨병 전단계나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30~40% 감소시킬 수도 있다는 내용을 서울대학교 이정은 교수팀이 그 연구결과를 발표 하셨습니다(중앙일보, 2020. 09.10).

당뇨 치료와 예방에 관해 다음 내용을 참고하세요..

◆본 검색창에서 <<당뇨병 예방과 치료_젊은층 당뇨병 환자 사망 위험은 고령환자보다 더 높다_청년층,중장년층, 노년층 당뇨병 예방과 치료_천대윤 박사의 <활기혈단>(천대윤 지음)>> 제목을 입력하여 검색하여 그 내용을 참고하세요. 반드시 참고하세요.

▶당뇨에 좋은 음식 : 양파, 마늘, 밥, 콩, 우유, 사과, 배, 토마토, 생선구이, 채소(시금치, 브로콜리, 두릅 등 녹황색 채소), 미역국, 청국장, 둥글레차, 육류는 살코기 등

▶당뇨에 나쁜 음식 : 설탕, 꿀, 쥬스, 사이다, 콜라, 수박, 빵, 떡, 케이크, 도넛, 라면, 팝콘, 말린과일, 장아찌, 피클, 짠음식, 호박, 옥수수, 감자, 감자튀김, 튀긴음식, 인스턴트식품 등

그리고, 일반적으로 당뇨병 관련 혈당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뇨병 단계 8시간이상 공복혈당 126mg/dL 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

또는 식후혈당 200mg/dL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

당뇨병 전단계 공복혈당 100~125mg/dL

그러나, 110mg/dL이상이면 당뇨병으로 간주하고 적극적으로 혈당관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음

정상단계 공복혈당 70~100(또는 120)mg/dL 미만 (당화혈색소 4~5.9%)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미만

※ 저혈당은 일반적으로 혈당이 60(또는 70)mg/dL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저혈당(60~70mg/dL이하) 위험은 현기증, 식음땀, 불안정, 흥분, 가슴두근두근, 두통, 피로감, 오한, 배고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당뇨병환자가 아닌 일반 사람들도 초콜릿, 꿀, 딸기 등 단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저혈당 증상이 올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단 것을 많이 먹어서 체내 혈당이 높아지면 우리 몸은 그것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을 많이 분비하게 되고 저혈당으로 가게 되는 증상입니다. 그러므로 단 음식 너무 많이 섭취하지 마세요.

​또한, 당뇨병환자에게 저혈당(60~70mg/dL이하)증상은 식사를 규칙적으로 안하거나, 식사를 거르거나, 다이어트한다고 소식하거나, 소화가 안 되서 소식하거나, 공복상태에서 운동하거나, 운동이나 일의 양이 평소보다 많아서 과하거나, 약물을 과다하게 복용(혈당강화제 과다투여)하거나, 당뇨약복용시간을 지키지 않았거나, 소화가 안되어 구토하거나, 음주, 흡연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환자의 경우 혈당수치 목표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취침전 혈당수치 110~150mg/dL

아침 식사전 공복 혈당수치 90~130mg/dL.

점심 및 저녁 식사 전 혈당수치 90~130mg/dL

식사 2시간 후 혈당수치 180mg/dL이하

당뇨병 환자에 어지럼증이 있는 경우엔 당뇨수치가 너무 높아서 그런 경우도 있지만 다음 원인들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식사시간을 규칙적으로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약 복용을 규칙적으로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과로, 피로한 경우

▶뇌졸중, 소뇌질환, 뇌간질환이 있는 경우

▶기립성저혈압

....등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 어지럼증이 자주 발생할 땐, 특히 뇌졸중, 소뇌질환, 뇌간질환등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임신자 임신성 당뇨 :

다음 기준치 중에서 2개 이상 해당되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함(※자료: 대한산부인과학회)

밤새 금식후 100g 당부하 검사, 혈중 당수치,

검사직전 105mg/dL 이상

1시간 후 190mg/dL 이상

2시간 후 165mg/dL 이상

3시간 후 145mg/dL 이상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목표 수치 (※자료: 대한산부인과학회)

공복혈당 95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120mg/dL 미만

당뇨병은 약으로만 치료되는 것이 아니고요. 식생활습관개선, 적정한 운동 등이 함께 해야 해요.

천대윤 박사님의 <활기혈단>(천대윤 지음) 책을 참고하세요. 그 책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국공립도서관에 가시면 무료료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당뇨병 환자가 한 번 저혈당 발생하면 재발할 가능성이 높고요,

빈번한 저혈당은 지능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고 이미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하였습니다.

당뇨가 있으시면 과로하시면 안 되고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해 주셔야 해요.

절대로 식사를 거르시면 안 됩니다.

당뇨병이 있으면 다음 사항을 지켜 주셔야 합니다 :

쌀밥이든 현미밥이든 잡곡밥이든 흑미밥이든 꼭꼭 씹어서 천천히 드시면 괜찮습니다.

그리고 식사하실 때 녹황색 채소와 함께 드셔야 합니다.

그리고 식사후에는 반드시 산책 하셔야 하고요.

오전에 햇볕이 비칠 때 30~50분 가볍게 운동해 주시고요.

​​

그리고 당섭취와 관련하여 : 일반적으로 액상과당이든 기타과당이든 포도당이든 설탕이든 모두 포함하여 하루 25g 이상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확한 것은 병원 전문의와 상담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환자의 몸 상태는 그 담당 전문의 선생님이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액상과당은 단맛이 나는 액체시럽이고요. 과당의 비중이 포도당과 설탕 보다도 더 높습니다. 포도당보다는 약 200%, 설탕보다는 약 100% 더 단맛을 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스크림, 콜라, 캔커피, 잼, 케찹, 아이스크림, 사탕 등 가공식품 전반에 액상과당이 높다고 해서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기타과당은 액상과당과 같은 종류이나 원재료가 액상과당이 아닌 경우에 기타과당으로 식품에 표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액상과당이든 기타과당이든 포도당이든 설탕이든 모두 포함하여 하루 25g 이상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몸과 마음의 각종 질병 치료와 예방,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 천대윤 박사님의 <활기혈단>(천대윤 지음) 책을 읽고 그 내용을 날마다 잘 실천하셔서 건강관리 잘 하시기를 권유합니다. 그 책은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 국공립 도서관에 가시면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변덕스러운 계절... 감기, 독감, 코로나19 조심하세요... 마스크 꼭 쓰시고요...

건강이 최고에요.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게 되어요... 평소에, 천대윤 박사님의 <활기혈단>(천대윤 지음) 책에 영양, 운동, 수면, 십이단전, 건강양생운동, 기혈지압마사지, 14경맥, 365경혈 등을 날마다 잘 실천하셔서 건강관리 잘 하시기를 권유합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당뇨는 생활습관병이라 말합니다

생활습관병은 말 그대로 생활 습관을 바꾸면 개선됩니다.

건강한 식생활로 바꾸어 주고

운동해 주면 혈당은 낮아집니다.

당뇨는 혈액이 탁해지고 모세혈관이 막히면서

세포가 당을 흡수할 수 없는 환경이 되기때문에

흡수되지 않은 당이 혈관에 남기 때문에 고혈당이 생깁니다.

피가 맑아지고 막힌 모세혈관들이 깨끗해지면

세포에 흡수되는 당이 높아지고 혈관에 남아있는 당이 줄어들게 됩니다.

피가 맑아지려면 식이섬유가 풍부한 야채 과일 해조류 등의 섭취가 도움이 되고

몸속에 남이있는 독소 노폐물 기름때 등을 없애주기 위해

인체정화, 혈액정화와 함께 적당한 운동이 필수입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koyoon2000/222289303842

당뇨약 부작용... 소화불량, 매스꺼움.

... 질문 내공50당뇨약 부작용... 소화불량, 매스꺼움. 30대중반 남성입니다. 당뇨약 및 콜레스테롤, 간기능 약 복합적으로 처방받아 복용중에 있습니다. 약을 먹은 후 소화불량...

슈가메트 당뇨약 질문이요

... 당뇨약 부작용중 하나일겁니다 약마다 부작용이 조금씩다르니까요 매스꺼움 설사 소화불량 어지러움등 여러가집니다 일주일에서 이주복용후에 차도가없으면 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