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충돌증후군을 침이나 뜸, 봉침 등으로 치료할 수있는지요?

어깨 충돌증후군을 침이나 뜸, 봉침 등으로 치료할 수있는지요?

작성일 2006.09.2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어깨에 이상이 있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  운동 중에 이상이 생긴 것 같습니다.

 

극상건 쪽에 염증이 있었고, 지금은 염증은 어느 정도 사라진 상태입니다.

 

어떤  의사분들께서 견관절 충돌증후군 내지는 회전근개 손상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는데 이거 침이나 뜸, 봉침(벌침)으로 나을 수 있습니까?

 

특히 봉침이 효과 있을런지가 궁금합니다.   (손상이 아주 심각한 상태는 아닌 것 같습니

 

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십니까?

저는 정통 동양의학을 독학한 재야의학인입니다.

 

어깨에 이상이 있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  운동 중에 이상이 생긴 것 같습니다.

극상건 쪽에 염증이 있었고, 지금은 염증은 어느 정도 사라진 상태입니다.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3-4개월 해도 잔여증세가 남을 경우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은 안전하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은 신중하시기 바라고.

 

어깨충돌증후군 (Impingement Syndrome)

 

<!--mstheme-->

Definition

Introduction

Anatomy

Causes

Symptoms

Clinical features

Diagnosis

Treatment<!--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Definition(정의)

※ during humeral flexion, the supraspinatus tendon and bursa become entrapped between the anteroinferior corner of the acromion (and CA ligament) and the greater tuberosity

----- http://medmedia.com/oa3/107.htm

※ 견봉(acromion), 오구견봉인대(coracoacromial ligment), 견봉쇄골관절(AC joint), 오구돌기(coracoid process)와 점액낭(bursa), 이두근 건(biceps tendon), 회전근개(rotator cuff)가 충돌시에 어깨통증이 유발된다. 이들 구성물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염증이 있을 때 충돌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충돌증후군이 있는 경우, 회전근개 파열이 초래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근골골계 진단 및 치료의 핵심 (Essentials of Musculoskeletal Care) : 미국정형외과학회편

  <!--mstheme-->

<!--mstheme-->

http://medmedia.com/oa3/107.htm

Discussion:

1- impingement syndrome describes pain in subacromial space when the humerus is elevated or internally rotated

2- during humeral flexion, the supraspinatus tendon and bursa become entrapped between the anteroinferior corner of the acromion (and CA ligament) and the greater tuberosity

3- this syndrome is thought to precipitate attritional changes in the rotator cuff, leading to RTC tear(Rotator Cuff tear)

- once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tendon is disrupted there will often be further impingement and irritation which can lead to biceps tendonitis and subsequent rupture

단어--- entrap : 덫에 걸리게 하다, 함정에 빠뜨리다,

precipitation : 급격 낙하 화급 촉진 침적 강수

attritional : 마찰 마멸 감소

disrupt : 분쇄하다, 분열시키다, 파열하다

rupture : 단절<!--mstheme-->

 
<!--mstheme-->

Introduction(소개)

견관절은 큰 운동범위를 가지나 안정성은 그리 크지 않다. (great range of motion but not much stability)

견관절이 별문제 없이 잘 작동된다면 자유로이 통증없이 움직일 것이다.(move freely and painlessly)

견관절 손상(injury)이나 견관절의 일정부위가 닳아지거나 찢어지면(wear and tear) 견관절운동시 통증(pain)이나 강직(stiffness)를 야기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아마 활액낭염(bursitis)에 더 익숙할 것이다.

견관절에서 어떤 통증은 때때로 활액낭염(bursitis)으로써 잘못 언급된다. 활액낭염(bursitis)라는 용어는 실제로 활액낭(bursa)이라는 부위에 염증이 있을 때만을 의미한다.

활액낭염을 일으키는 많은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는데, impingement는 활액낭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들 중의 하나이다.

이제 견관절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무엇이 고장을 일으키는지를 알아보자.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Anatomy(해부)

※구성

뼈(bone) : 견갑골(scapula), 상완골(humerus), 쇄골(clavicle)로 구성된다.

근육(muscle) : rotator cuff : supraspinatus, infraspinatus, teres minor, subscapularis.

건(tendon)은 근육을 뼈에 부착시킨다. 근육은 이 건(tendon)을 당김으로써 뼈를 움직인다.

rotator cuff(회전근개)라 불리우는 이 커다란 건(tendon)은 상완골과 견갑골을 연결시켜 팔을 들어올리고(raise) 회전시킨다(rotat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 raise >

손을 들어올릴 때, 회전근개는 견갑골의 socket(glenoid)에 상완골(humerus)을 단단하게 유지한다. 견관절의 천정(roof)을 형성하는 견갑골의 부위는 acromion이다. acromion과 회전근개사이에는 활액낭(bursa)가 있다.

이 subacromial bursa는 acromial arch 아래를 통과할 때 cushion역할과 잘 미끄러지게(lubricate)하는 fluid-filled sack 이다. 운동시 조직(tissue)간에 충돌없이 미끄러지게 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Causes(원인)

보통 팔을 들어올릴 때 건(tendon)이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acromion과 rotator cuff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있다. 그리고 acromion과 rotator cuff사이에는 활액낭(bursa)이 있다. 팔을 들어올릴 때마다 건(tendon)과 활액낭(bursa)사이에 약간의 마찰이 있다. 이 마찰(rubbing) 또는 pinching action ( pinch : 끼다. 좁게하다, 빡빡하게 죄다, 답답하게하다)를 impingement(충돌)라고 부른다.

어깨수준(shoulder level) 위로 팔을 사용하는 일상적인 일에서, impingement가 모든 사람에서 약간의 정도(some degree)로 일어난다.

① raising the arm (continuous overhead activity) → <!--mstheme-->

<!--mstheme-->

overuse (excessive wear and tear)

improper contioning

inadequate warm up before exercise<!--mstheme-->

 
<!--mstheme-->→bursitis, tendinitis

<!--mstheme-->
<!--mstheme-->

<우측그림>

continuously working with the arms raised overhead

repeated throwing activities

other repetitive actions of the arm<!--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견관절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든지, 회전근개와 이와 관련된 활액낭(특히 subacromial bursa)은 acromial arch 아래에서 쪼여지게된다(squeeze). 수년에 걸친 반복적인 마찰은(repetitive friction)은 건(tendon)을 닳아지게하고(wear down the tendon) 활액낭에 염증(inflammation)을 야기하며 때때로 회전근개를 찢어지게한다(tear).

과도한 닳아짐과 찢어짐(excessive wear and tear), 부적적할 조건(improper contioning), 운동전 부적절한 준비운동(inadequate warm up before exercise) 등은 활액낭에 염증(bursitis)이나 회전근개나 그 건(tendon)에서 염증(tendonitis)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석회화(calcification)은 만성 염증의 결과로서 회전근개의 건(rotator cuff tendons)이나 활액낭(bursa)에서 형성될 수 있다.

견관절의 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이라는 용어는 회전근개 건염(rotator cuff tendonitis) 또는 견봉하활액낭염(subacromial bursitis)을 묘사하기위해 사용되곤 한다. 회전근개건염과 견봉하활액낭염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고 때로는 불필요하다. 충돌증후군을 가진 환자는 shoulder, arm, hand and/or neck pain을 표현할 수도 있다.

<!--mstheme-->
<!--mstheme-->

그림) With overuse this can cause irritation and swelling of the bursa<!--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②degenerative (wear and tear) arthritis in the acromioclvicular joint due to aging and overuse

→ <!--mstheme-->

<!--mstheme-->

bone spur<!--mstheme-->

 
<!--mstheme-->→space between the acromion and the rotator cuff tendon가 decrease → impingement 악화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그림) Bone spurs can further reduce the space available for the bursa and tendons to move under the acromion.

<!--mstheme-->


 

③ <!--mstheme-->

<!--mstheme-->

abnormal type of acromion<!--mstheme-->

 
<!--mstheme-->→ acromion tilts too far down and reduces the space between the arcromion and the rotator cuff →bursitis, tendinitis

  <!--mstheme-->

<!--mstheme-->

정형외과학 5판--대한정형외과학회 371page

견봉의 형태가 충돌증후군의 한 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Bigliani는 견봉 전방 돌출부의 존재유무와 크기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제1형은 전방 돌출부가 편평(flat)한 경우

제2형은 완만한 휘어짐(curved)이 있는 경우

제3형은 분명한 휘어짐(hooked)이 있는 경우<!--mstheme-->

 
<!--mstheme-->

Symptoms(증상)

 

초기에 팔을 몸의 바깥쪽이나 앞쪽으로 들어올릴 때 견관절의 generalized aching를 느낄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통증 때문에 잠자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아픈 견관절위로 구를 때).

충돌증후군의 확실한 sign은 뒤 주머니에 팔을 가져갈 때 sharp pain 이 있다.

진행됨에 따라 불편감(discomfort)이 증가하고 관절이 뻣뻣해진다.

때때로 팔을 내릴 때 "catching" sensation 이 느껴진다. 팔의 weakness나 팔을 올릴 수 없음은 회전근개가 찢어진(torn) 것을 나타낸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 Clinical Features

Pain at rest or with activity

Can present as shoulder, arm hand or neck pain

Caused by "wear & tear"

Gradual or sudden onset

Limited shoulder motion

Diagnosis (진단)

 

impingement와 bursitis의 진단은 history와 physical examination 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진단 의사는 활동과 직업에 관심이 있는데, 이는 활동이나 직업이 continuous overhead activities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mstheme-->

<!--mstheme-->

X-ray<!--mstheme-->

<!--mstheme-->

① abnormal type of acromion

② bone spur<!--mstheme-->

<!--mstheme-->

MRI scan<!--mstheme-->

<!--mstheme-->

tear of rotator cuff<!--mstheme-->

<!--mstheme-->

arthrogram<!--mstheme-->

<!--mstheme-->

조영제가 세어나온 부위의 회전근개가 찢어짐을 암시<!--mstheme-->

<!--mstheme-->

injection

of a local anesthetic<!--mstheme-->

<!--mstheme-->

견관절주사로 통증이 원인이 목인지 견관절인지 분별<!--mstheme-->

 
<!--mstheme-->

MRI 와 arthrogram은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X-ray>

●plain radiographs of the shoulder : 대개 정상소견을 보인다.

●special angled view :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견봉밑의 골극을 보는데 유용하다.

정상적으로는 8mm정도 되는 상완골두(humeral head)와 견봉하면(undersurface of acromion)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완전한 회전근개의 파열을 시사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RI scan>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arthrogram (관절조영술)>

관절조영술은 오래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견관절내로 조영제를 주사하고 X-ray를 찍는 것이다. 조영제가 견관절 밖으로 세어 나간다면, 세어 나간 부위의 회전근개에서의 tear(찢어짐)을 암시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injection>

어떤 경우에 통증이 목(neck)으로부터 오는지, 견관절로부터 오는지를 알기 어려울 때가 있다. 국소마취제(예:novacaine)를 활액낭으로 주사한 후 통증이 즉시 사라지면 이것은 통증이 견관절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목에서 눌린 신경으로부터의 통증은 견관절에 주사함으로써 통증이 제거되지 않는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 진찰

● Neer impingement sign : 그림과 같이 견갑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팔을 머리위로 들어올릴 때 통증이 있으면, 충돌징후를 시사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Hawkins impingement sign : 그림과 같이 팔을 전방으로 30도 정도 구부리고 다시 내회전을 시킨다. 이 때 통증이 있으면 대결절(greater tuberosity)과 오구견봉인대(coracoacromial ligament)간의 충돌을 시사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이상의 진잘이 끝나면, 1% 국소마취제 10ml를 견봉하공간(subacromial space)에 주입을 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위의 검사들을 반복한다. 만일 통증이 없으면 충돌증후군을 더 강력히 시사한다.

●극상근건의 약화를 검사하기 위해서 양팔의 근력을 동시에 측정한다. 즉 환자에게 양팔을 전방으로 신전하도록 한 후에 엄지손은 땅바닥쪽으로 향하게 하고 검사자는 환자에게 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아래로 민다. 그리고 양쪽어깨의 근력을 비교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극상근 근력검사

<!--mstheme-->


 

●어깨의 꼭대기와 뒷부분의 근육위축은 대개 회전근개의 파열을 시사한다. 흔하지는 않지만 상견갑신경(suprascular nerve)의 포착이 극상근와 극하근 위축의 원인이 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감별진단

1. 견봉쇄골 관절염(견봉쇄골관절의 압통)

2. 유착성관 절낭염(frozen shoulder : 동결견) : 심한 운동소실

3. 견관절(glenohumeral) 관절염 : 운동시 통증, X-ray 이상소견)

4. 경추 추간판 탈출(목의 강직, 삼각근 약화, 이두근 건반사 소실, 감각소실 가능)

5. 회전근개 파열(rotator cuff tear)

6. 상견갑 신경포착 (suprascular nerve entrapment) : 극상근 및 극하근의 위축


Treatments(치료)

 

●원인이 되는 동작을 피하고 안정을 하면서 약 10-14일간 NSAID를 복용하면 대개 좋아진다.

●어깨의 후관절낭을 스트레칭시키는 운동을 하루4번씩 한다. 만일 이 운동을 해도 좋아지지 않으면 견봉 밑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고려한다.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비록 논란은 있지만, 급성시에는 스테로이드의 적절한 사용으로 통증경감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때 통증경감효과는 2달이상은 지속되어야 한다. 만일 통증이 주사후 2주내에 재발하면 다시 주사를 반복하지 않는다(반복주사시 회전근개의 파열위험때문에 3번이상 스테로이드 주사를 하지는 않는다). 만일 주사후 6주내에 증상호전이 없으면 어깨의 관절조영술을 고려한다.

①Rest(휴식):

견관절의 적절한 휴식을 위해 팔걸이(sling)를 하고 운동시에는 팔걸이를 제거한다. 이것이 견관절이 뻣뻣해지거나(stiff) 동결견(frozen shoulder)를 예방하는 최우선책이다.

②Ice

: cold packs, ice bags, or ice massage

아픈 부위의 혈관을 수축시켜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킨다.

③Medications

먼저 Anti-inflammatory medications (aspirin and ibuprofen)를 투약하고, 실패하면 활액낭안으로 cortisone을 주사한다. cortisone은 매우 강한 anti-inflammatory medication이고 활액낭과 회전근개의 건에서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④Physical Therapy : 운동과 물리치료

회전근개의 근육에서 strength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근육들은 견관절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는데,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은 실제로 충돌(impingement)를 감소시킨다.

오랜기간 충돌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overhead activity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업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posterior capsular stretching program 과 rotator cuff strengthening program은 강하고 유연하게 어깨를 유지하는 것을 도우며, 충돌(impingement)를 감소시킬 것이다.

⑤surgery

 

Surgery

방법1 --- bone spur의 제거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bone spur의 제거<!--mstheme-->

 
<!--mstheme-->



 

방법2 --- acromioclavicular(AC) joint에서의 degenerative(wear and tear) arthritis 인 경우

쇄골의 약 1 inch를 제거한 후, scar tissue가 쇄골과 견봉의 빈공간을 채워 false joint를 형성한다. 이것을 resection arthroplasty이라고 부른다. (resection:切除術 / arthroplasty:關節成形術)

<!--mstheme-->
<!--mstheme-->

<!--mstheme-->

 
<!--mstheme-->



 

참고문헌

근골골계 진단 및 치료의 핵심 (Essentials of Musculoskeletal Care) : 미국정형외과학회편

정형외과학 5판--대한정형외과학회 371page

 

어떤  의사분들께서 견관절 충돌증후군 내지는 회전근개 손상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는데 이거 침이나 뜸, 봉침(벌침)으로 나을 수 있습니까?

치료의 관건은 운동 제한과 인체가 지닌 자연복구력이 아닌가 하며, 그러기에 팔목걸이를 하든가 깁스를 해서 운동을 제한하고 침구 치료를 받으면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봉침이 효과 있을런지가 궁금합니다.   (손상이 아주 심각한 상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침구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할 때 고려해볼 사항으로, 우선은 정형외과 의사와 상의를 하시고 침구치료를 받는 것이 수순이 아닐까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어깨 충돌증후군이나 회전근개손상 모두 치료가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양방에서도 보존적치료가 원칙이고 해당부위의 염증을 제거한다..이정도지요.

염증이 심한 경우라면 스테로이드제제를 위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한의학적인 치료법으로는 침과 뜸이 위주로 되고,만성적인 손상인 경우나 손상정도가 심한경우라면 한약처방이 겸하게 됩니다.

역시 보존적인 처치가 가장 중요하기때문에 과도한 운동이나 관절의 사용은

아주 좋지 않습니다.

봉침은 대개 비증(근위축을 동반한 감각이상이나 통증)이나 심한 염증에 효과가 아주 뛰어납니다만,

손상정도가 아주 심하지 않거나 만성적이지 않다면 굳이 봉침까지 쓸필요도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관절이 안정화 되는데 어느정도의 시간을 요하므로

상태에 비해서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립니다.

회복중에 치료를 중단하면 저절로 낫기보다는 그 상태로 유지되거나 악화될 우려가 큽니다.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충분히 치료하는것이 중요하지요.

어깨충돌증후군 한방 치료는 어떻게...

... 어깨충돌증후군 한방치료도 받아보고 싶어서요. 한방에서는 어떤 치료를 하고... 이어질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한방에서는 침과 약침, 봉침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문제...

한방에서 어깨충돌 증후군 치료?

... 목 어깨 부위에 여드름이 갑자기 많아졌습니다. 스테로이드 부작용이 염려돼서.. 양방 치료는 더 못 하겠고... 한방에서 충돌증후군 치료를 마저 해서 완치할 수 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