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배양 착상 시기 착상 유지 방법 궁금해요.

5일배양 착상 시기 착상 유지 방법 궁금해요.

작성일 2022.05.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두달전 화유를 하고 곧 다음 시험관이식을 앞두고 있는데요.

화유를 하고 나니 마음이 저도모르게 더 조급해지네요.

이번에도 잘 안되면 어떡하지 하는 생각도 많아지고..

난소기능저하도 있어서 5일배양배아가 나오기 힘들었는데 이번에 정말 어렵게 5일배양배아가 나와줘서 진짜 잘 됐음 하는 마음이 너무 큰데요..

이번이 마지막 시험관이식이라는 하는 마음가짐으로 준비해볼려고요.

그래서 5일배양배아인 경우 착상시기가 언제쯤인지. 그리고 착상을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등 조언부탁드립니다.



#5일배양 착상시기 #5일배양 착상혈 #5일배양 착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고지은 대표원장 | [프로필 보기]

# [병원 위치]

# [진료 예약하기]

# [병원 홈페이지]


——————————————-


안녕하세요, 닥톡- 상담한의사 고지은입니다.

곧 있을 시험관이식을 앞두시고 5일배양배아의 착상시기 및 착상을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문의 주셨습니다.

내용을 보니 현재 난소기능저하가 있으시고 이번에 5일배양배아가 어렵게 나왔다고 하셨는데요.

배아자체가 3일배양보다는 5일배양의 배아가 더 좋기 때문에 5일 배양을 이식했을 때 임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는 의사들도 있고 그런이유로 또 5일 배양만 이식해주는 병원들도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꼭 3일 배양이라고 해서 배아가 안 좋거나 5일 배양이라고 해서 더 배아가 좋다 말하기는 어렵지만 지금은 일단 5일 배양 배아로 이식 예정이니깐 5일 배양 배아가 잘 착상될 수 있게 착상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일배양배아 같은경우 착상시기는 1~2일 사이로 보통 24시간 전후로 보기도 하고 조금 늦어지는 경우 48시간 정도까지 보기도 합니다.

또 착상을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 주셨는데요

사실은 착상을 유지하는 부분이 아니라 시험관을 하는 경우에는 보통 처음 착상이 되는 자체부터 많이 어려움을 갖게 됩니다.

착상이라고 하는 부분을 살펴보자면 먼저 생리 기간을 총 28일이라고 본다면 그중 처음 14일까지는 증식기, 그다음 14일을 분비기 이렇게 나눠지게 되는데 이중 먼저 전반기에 해당하는 증식기 2주 동안에는 자궁내막이 서서히 두터워지면서 두께적으로도 두터워지는 시기가 됩니다.

이 증식기동안에는 세포들이 점점 크게 자라게 되고 점점 밀집도가 높아져야 되며 그 안에 혈관 부분도 상당히 많이 증가돼야 되는 부분들이 있어서 병원에서 몇mm인지 두께적인 부분을 재는 것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부분은 단순하게 얼마나 두꺼워졌는지에 대해서만 체크하는 것으로 보통 이식할 때 좋은 내막 두께는 8-10mm 정도 사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착상은 단순히 두께만 충족되었다고 착상이 되는 건 아니고 후반기인 분비기의 기능이 굉장히 중요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자궁내막에 증식기가 잘 진행되서 두께도 어느정도 잘 갖춰져 있는 경우라면 이제 후반기 분비기에 해당하는 기능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때 착상 유도 물질에 대한 분비가 원활하고 시기 적절하게 분비가 되어야 지나가던 수정란이 자궁내막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착상의 첫 과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자궁내막두께가 8m~10m정도로 잘 두꺼워졌는데도 불구하고 자궁내막이 질적으로 떨어진다거나, 자궁내막적으로 혈류가 잘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분비기능이 제대로 되기 않기 때문에 자궁내막 표면에서 착상유도물질 분비가 잘 안 되어서 착상에 번번이 실패하는 경우들을 보게 되는데요.

그래서 이런경우 한의학적으로 치료할때도 자궁내막을 질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게 됩니다.

침치료,약침치료로 골반 쪽으로 혈류가 잘 공급되면서 자궁내막에 증식기와 분비기에 각각 자기 자궁내막에 구조적인 부분과 형태적인 부분들 그리고 두께적인 부분들까지 다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자궁심부치료등 원내치료와 함께 착상에 관련된 한약 복용 등을 병행하게 되며 치료기간은 질문자님처럼 냉동 이식만 준비하는 경우에는 따로 채취는 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착상 준비만 한다면 보통 두달에서 세달정도 착상에 대해서 준비를 하라고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사실 난소는 난포의 크기만 크면 돼요.

질 좋은 성분으로 난포액이 어떻게 잘 갖춰졌는지도 물론 중요하지만 우선은 난포성장기능이 잘 갖춰져 있어야 20mm전후로 커졌을 때 채취할 수 있는 상황이 보여지며 이렇게 채취를 하게 돼서 난자가 정상이면 수정란까지 가는 데는 순조롭게 진행되는 경우들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착상은 단순히 크기 성장만 이루어진다고 절대 착상이 되지가 않기 때문에 난소보다 자궁 내막에 구조적인 부분에 대해서 잘 갖춰져 있는 착상 구조를 갖게 되는 부분이 훨씬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착상에 대한 준비를 조금 더 일찍부터 할 수 있도록 치료하면서도 많이 강조를 드리게 됩니다.

왜냐하면 채취를 할때는 난소에서 난포가 10mm -12mm-18mm 점점 자라나고 이렇게 난포가 성장하는 크기를 보고 채취나 또는 배란에 대해서 결정을 하게 되는데 이와 달리 착상은 단순히 그 부분이 아니라 내부에서 일어나야 되는 자궁내막의 변화들이 있습니다.

세포들이 점점 밀집도 높게 해라 그리고 혈관 분포가 몇 배가 돼라, 혈관의 모양이 꼬인 형태로 형태를 바꾸어라,또 자궁 내와 표면에서 이런 물질들이 분비되게끔 해라등 굉장히 다른 형식에 다른 양상의 업무들을 자궁내막은 매일 해야 되는 부분들이 다르게 됩니다

그리고 자궁내막에서는 생리일수에 따라 생리5일,7일,10일째에 각각 해야 되는 자궁내막의 변화들이 다르게 되는데 혹시 생리과정에서 생리 5일째 해야 되는 자궁내막의 변화를 잘 충족시키지 못하고 6일째로 넘어가버리게 된다면 이 부분은 구멍이 생기는 대로 7일째, 8일째, 9일째 각각 조금씩 이를 미진하게 밀린 업무가 생기게 되어 결국은 나머지 마지막에 도달했을 때는 자궁내막이 형성한 데서도 조금씩 부족한 날들이 계속 쌓이게 되어 결국에는 착상을 하기가 어려워지게 됩니다.

그렇기때문에 적어도 2-3개월 전부터는 착상에 적합한 자궁내막을 만들어내는 연습을 하는 게 실전에서도 착상이 잘 되는 비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하나 착상을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에 관해 여쭤보셨는데요.

임신과정을 보면 배아가 착상을 시도할때 접촉-결합-함입 이렇게 3단계를 거쳐 완전히 안정적으로 착상을 하고 임신유지가 가능하게 됩니다.

그 과정중 첫번째가 접촉으로 자궁내막 표면에서 수정란이 다가와서 첫 접촉을 하는 게 되는데 이점이 사실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식 후 피검사를 했더니 착상 수치가 0점대밖에 안 나와요 라고 하시는 분들이 보통 다 접촉 자체가 안 되는 분들이에요.

두번째 결합인데요

결합은 자궁내막 표면의 수정을 딱 안착하는 접촉 부분이 진행이 되면 그 다음에 결합의 과정으로 자궁내막의 혈류들이 증가하면서 혈관 분포가 더 좋아지고 자궁내막에 표면에 접촉된 수정란과 강하게 결합을 해야 됩니다.

결합과정도 사실은 어려운 부분을 겪으면 자꾸 화학적 유산으로 이어지는 경우들이 있는데 자궁내막이 질적으로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 착상 개선을 할 때 굉장히 중요한 치료 파트가 됩니다.

마지막 세번째 함입과정입니다.

두번째 과정인 결합과정을 잘 지나가면 자궁내막 안쪽으로 수정해 파고들면서 확 품을 수 있는 마지막단계인 함입의 단계가 됩니다.

접촉과 결합, 함입 이렇게 세가지 단계까지 순조롭게 이어진 경우에는 임신 유지가 잘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궁 내막에 수정란이 착상하는 초기 임신 상태에서 결합력을 강화하는 부분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 부분들이 나중에 임신 초기, 중기, 말기 때 유산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 이것을 위해서는 첫 단계, 생리 3일째 자궁내막이 생리로 인해서 탈락됨과 동시에 증식도 시작이 되는데 그 단계부터 잘 쌓아 올라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서 한의학적으로 착상 준비를 하면서 치료를 하게 되는 것이죠

한의학적으로 치료를 하게 된다면 골반 쪽으로 혈류가 잘 공급될 수 있도록 침치료를 하고, 약침치료로 착상 결합력 강화를 도우며 골반 혈류 개선과 자궁을 따뜻하게 도와주는 자궁심부치료등 원내치료를 주 1-2회 하게 됩니다.

또 필요한 경우에는 착상을 도와주는 한약 복용 등을 같이 병행을 하게 됩니다.

언제나 시험관이식때 간절한마음으로 임하시겠지만 어렵게 나온 5일배양배아라 간절한마음이 더 크신거 같은데요. 섭식 및 수면, 운동,스트레스관리등 생활관리들도 잘 계획하고 실행하시면서 필요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으셔서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