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복용법 질문좀요~

구기자 복용법 질문좀요~

작성일 2009.05.1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구기자를 못도 모르고 사버렷는데

문제는 티팩이 아닙니다 ㅎㅎ

이것을 먹을떄 그냥 커피 먹듯이 뜨거운물에 몇알씩 넣어서

석어 먹어도 이상업을까용


#구기자 복용법 #구기자 분말 복용법 #구기자 가루 복용법 #구기자 효능 복용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저는 한의학지식정보위원회 위원 한의사입니다.

늘상 많은 본초를 취급하는 사람이 답변을 하여야 더 정확도가 높으리라 여깁니다.

다만 가만히 보니 선답변인의 부정확한 정보 즉 구기자다 차다고 하는데 실제로 사용해보면 그렇게 심하게 차갑지 않습니다. 오히려 약간 溫한거 같더군요. 약에 대해서 얼마나 아는지는 모르나, 한의사도 아닌 분이 임상적인 경험이랑 동떨어진 소리만 하면 되겠습니까?

아래에 몇가지 내용을 옮겨서 보여드리면..

-----------------------------------------------------

구기자 나무는  가지과에 속하는데 해발  100∼700m되는 모든 지방의 집근처, 우물 근처, 또는 밭뚝 등지에서 자란다. 잎은 천정초(天精草)라 하여 하늘의 정기를 몽땅 갖고있다고 하는데, 이  잎을 차로 끓여 마시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가슴 속이 시원해진다고 알려져 내려 온다. 그러니까 초조, 불안, 우울, 신경쇠약, 가슴 답답함, 가슴의 열등에 효과적인 것이다.

열매는 구기자(枸杞子)라 한다. 가을에 열매를 익은 차례대로  따서 말려 약용하는데, 제아크산틴이라는 색소 때문에  어두운 붉은색을 띤 겉면에는 피살리엔이라는 물질이함유되어 있으며, 윤기가 돌고 주름이 잡혀 있다. 열매의속살은 두꺼우며, 달고,  비타민 A, B, , B2,  C를 비롯해서 칼슘, 인, 철, 코발트 및 알카로이드인 베타인, 배당체인 다우코스테린 등등이 들어 있어서, 이러한 영양 성분에 의하여 자양, 강장의 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옛날부터 "구기자는 늙지 않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고 알려진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2)구기자와 지골피의 효과와 응용
구기자는 첫째 몸이 허약한  사람의 보약으로 좋다. 영양실조증,  노쇠(老衰), 병후허약, 만성소모성 질환에  의한 쇠약 등에  응용할 수 있는데, 구기자 가루를 1회 4g씩 1일3∼4회 복용하거나, 의이인(意苡仁)·숙지황(熟地黃)·산사육(山査肉) 등의 약과  배합하여 조청을  만들어 꿀과 혼합해서 복용한다.  동물실험 결과  구기자만으로도 실험동물의체중을 증가시킴이 알려질 정도이므로, 몇 가지 약을 배합 한 이 처방은 금상첨화라 아니 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구기자는 간장 질환에 좋다. 간세포내의  지방 침 착을  억제하여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동물 실험  결과 총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燐脂質)의 증가(增加) 를 억제시킴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알카로이드인  베타인이 지방간을 예방하고 간기능을 비호(庇護)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간염, 간경화 등에는 보혈 하는 당귀·숙지황을, 자음제인 사삼·맥문동을, 간기능 을 원활케 하는  천련자(川련子) 등을 배합하여 끓여 먹으면 효과적이다. 이것이 바로 명방(名方)으로  동양삼국에서 회자하는  일관전(一貫煎)이라는 처방이다.

셋째,  구기자는 신허(腎虛)에 좋다. 즉 비뇨생식기 기능 허약이나 내분비 기능  허약에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아뭏든 신허하여 허리, 다리가 새큰거리고 힘이 없어 보행시에는 금방이라도 쓸어질 것만 같이  요퇴부가 무력한 경우, 또는 때 아니게 정액이 힘없이 저절로 흘러 내릴 경우, 또는여자로서 예전과 달리 갑자기 냉이 많아진 경우  등등에는숙지황, 두충, 여정자 등을  배합하여 끓여 복용한다.  그리고 신허하면서  기침이 심할 때는  숙지황, 오미자 등을 배합한다.

넷째, 구기자는 눈병에도 좋다. 노인성 백내장 초기로눈이 어찔거리고, 눈앞에 꽃 같기도 하고 모기 같기도 한것이  어른어른 거리면서 시력이 날로 감퇴될 때는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이라는 처방에 구기자와 국화를 가미하여장복한다.  이 처방을  기국지황탕(杞菊地黃湯)이라 하는데, 신허하여 두통이 종종 있거나, 바람을 쏘이면 눈물이 나거나, 오후에 미열이 나거나, 잘 때 식은 땀이 나거나 다리에맥이 없거나 할 때에도 좋은 처방이다. 이때 파극, 육종용을 더 첨가하면 신장을 보강하는 효력이 증가한다.

 

<본초강목>에도 나온 것처럼 조그만 고추처럼 생긴 빨간 열매를 보통 구기자라고 하고 뿌리껍질은 지골피라고 한다.


구기자는 제아크산틴이라는 색소 때문에 겉면이 어두운 붉은 색이고 윤기가 돌며 주름이 잡혀 있다. 구기자의 속살은 두껍고 단맛이 난다.

이 열매를 가을에 익는 대로 따서 말려 약으로 쓰는데 여기에는 비타민 A, B1, B2, C를 비롯하여 칼슘, 인, 철, 코발트, 베타인, 다우코스텔린 등의 영양 성분이 들어 있어 자양, 강장작용을 하는 것이다.

구기자는 예로부터 그 약효를 인정받아 한방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무엇보다 허약한 사람, 즉 영양실조증, 노쇠, 병후 허약, 만성 질환으로 쇠약해진 사람에게 좋다. 하루에 구기자가루 4그램을 서너 번에 나누어 복용하거나, 의이인, 숙지황, 아가위열매인 산사육 등을 12그램씩 달여 복용하면 된다. 기력이 돌아오면서 몸무게까지 늘어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구기자는 간세포 안의 지방 침착을 억제하여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기 때문에 간장질환에 좋다. 동물 실험 결과구기자가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특히 구기자에 든 알칼로이드인 베타인이 지방간을 예방하고 간기능을 보호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청나라 때 나온 <유주의화>라는 의서에서는 약해진 간기능 때문에 어지러우며 귀가 울리고 식욕이 떨어지면서 굳은 대변을 볼 경우에 일관전이라는 처방을 한다고 했다. 이 처방은 구기자 18그램에 당귀, 사삼, 맥문동 각 9그램, 생지황 30그램, 천련자 6그램 등을 함께 끓여 놓고 수시로 나눠 마시는 것이다.

구기자는 비뇨생식기나 내분비기능이 허약해서 생기는 신허에 좋다. 허리, 다리가 시큰거리고 힘이 없어 걸을 때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 같거나, 때 아니게 정액이 힘없이 저절로 흘러내리거나, 갑자기 냉이 많아졌을 경우에 구기자 5그램, 황률 10그램, 대추 8그램을 함께 달여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수오연수단이라는 처방도 있다. 적하수오, 백하수오, 희첨(진득찰) , 금은화, 토사자, 두충, 우슬, 상엽, 여정자, 생지황 등을 가루 내 둔다. 이 가루를 오디, 검은 참깨, 금앵자, 한련초를 조청처럼 달인 물에 반죽한 뒤 알약으로 빚어 하루 두 번씩 빈속에 따뜻한 물로 복용하면 된다.

이 밖에 구기자는 눈병에도 좋다. 노인성 백내장 초기로 눈이 아찔하고 눈앞에 무엇인가 어른거리며 날이 갈수록 시력이 약해질 때는 숙지황, 산약, 산수유, 백복령, 목단피, 택사 등을 배합한 육미지황탕이 좋다.

또 구기자와 국화를 넣고 달인 기국지황탕을 오랫동안 복용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구기자에 숙지황, 산수유, 백복령, 목단피, 택사, 감국 등이 들어가는 기국지황탕은 꿀에 반죽한 뒤 알약처럼 빚어 따뜻한 물, 또는 심심한 소금물로 복용하거나 그대로 끓인 다음 빈속에 복용하면 된다.

기국지황탕은 자주 두통에 시달리거나 바람을 쐬면 눈물이 나는 사람, 또는 오후에 미열이 있거나 잘 때 식은땀을 홀리는 증상이 있고 다리에 맥이 없다고 느끼는 사람에게도 좋은 처방이다.

또 혈압과 혈당을 떨어뜨리는 작용이 뚜렷하여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에게도 좋다. 여기에 파극(부조초의 뿌리로 기운을 북돋고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이 있다), 육종용 등을 4그램씩 함께 넣으면 신장을 보강하는 효력이 더욱 늘어난다.

구기주를 담가 두고 하루에 한두 잔 정도씩 마시는 것도 좋다. 다른 과실주나 약술과 마찬가지로 구기자 300그램에 설탕 적당량과 소주 1.8리터를 부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꼭 막은 뒤 서늘한 곳에서 한두 달 익힌 다음 마시면 되는데 이때 날마다 한 번씩 술이 담긴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이 좋다.

구기자는 잎이나 뿌리, 열매 어느 것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어 복용량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우리 약재 고르는 법]
중국산이 더 작고 물감을 들인 듯 선명한 분홍빛을 띠고 있어 금방 구별이 된다.

-----------------------------------------------------------------------------

위와 같은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외에 구기자는 간에 매우 유익한 약재라는 사실이 논문으로도 나오고 있습니다.

본인이 찾아본 바, 몇가지 논문을 들어보면....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 //한국식품과학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2006

구기자 전탕액의 고혈압 백서 혈장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생리학회지(pp.11-16) , 1998년

흰쥐에 있어서 구기자 알콜 추출물이 Oxygen Free Radical 및 Alcohol 대사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0

 

그리고 아래는 부록으로 사진과 수입및 국산 구기자의 구별법을 올려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사진출처 :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 http://www.dhu.ac.kr/new_home/rrc

 

우리 약초.약재 수입 약초.약재


원산지: 진도군
원산지: 중 국
ㅇ 크기가 크다
ㅇ 껍질은 어두운 적색이다
ㅇ 단맛이 약하며 주름이 굵고 뚜렷하다
ㅇ 굵기가 고르며 과육이 많다
( 상 )
ㅇ 크기가 작다
ㅇ 껍질은 밝은적색과 어두운적색이 혼합되어있다
ㅇ 단맛이 강하며 주름이 가늘고 촘촘하다
( 하 )
ㅇ 국산에 비해 크기가 작다
ㅇ 까맣게 변질된 낱알이 섞여 있다
ㅇ 굵기가 고르지 않으며 과육이 적다

 

정보 및 이미지 출처 : http://blog.paran.com/aha

 

결론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음용방법은 구기자 6~5g을 물 200cc되게 달여서 하루3번에 나누어 마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구기자를 먹어서는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현재 열병등을 앓고 있는 경우, 소화력이 약하여 설사를 자주하는 경우나 잘 체하는 경우에는 구기자를 씀에 신중하여야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오늘도 즐거운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구기자를 못도 모르고 사버렷는데

문제는 티팩이 아닙니다 ㅎㅎ

그러네요.ㅎㅎ

하지만 실수는 누구에게나 있는 것!

그러나 앞으로는 신중, 특히나 건강에 관한 것은 신중에 신중을 기하는 기회로 삼기로 하고 ㅎ

 

이것을 먹을떄 그냥 커피 먹듯이 뜨거운물에 몇알씩 넣어서

제 지식과는 무관하지만 아래에 비교적 괜찮은 방법, 주의 사항 등을 알려 드리겠고.

 

석어 먹어도 이상업을까용

구기자는 동의보감 목부(木部)에 아래와 같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우선 잘 읽어 보시기 바라고.

 

구기자(枸杞子)

 

괴좃나모여름(조선시대 이름)性寒(一云平)味苦(一云甘)無毒補內傷大勞噓吸堅筋骨强陰療五勞七傷補益精氣易顔色變白明目安神令人長壽

성한미고(性寒 성질은 차고, 일전에는 평하다고도 함 味苦 맛은 씀, 일전에는 달다고도 함)하고, 무독(無毒 독은 없슴)한 약재로, 내상대로허흠(內傷大勞噓吸 내상으로 몹시 고단하여 숨을 들이쉬고 내쉬기 조차 힘이 듦)한 상태를 보(補)하고, 긴근골(堅筋骨 근골을 단단하게 함), 강음(强陰 음기를 강하게 함), 오로칠상(五勞七傷 오장이 허약하여 생기는 다섯 가지 허로와 허손증이 생기는 일곱가지 원인)을 치료하며, 익정기(益精氣 정기를 이롭게 함), 이안색변백(易顔色變白 얼굴색을 허여멀끔하게 변하게 함)하고, 명목안신(明目安神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킴)하게 하며, 장수(長壽 오래 살게 함)하게 한다.

 

○一名地仙一名仙人杖處處有之春夏採葉秋採莖實久服之皆輕身益氣

일명 지선(地仙), 일명,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하는데, 처처處處 아무 곳에나)에 서식하며, 춘하채엽(春夏採葉 봄과 여름에는 잎을 채취함)하고, 추채경실(秋採莖實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채취함)해서 쓰며, 구복(久服 오래 복용함)하면 경신익기(輕身益氣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함)하게 한다.

 

○嫩葉作羹茹食之甚佳色白無刺者良

눈엽(嫩葉 어리고 연한 이파리)으로 작갱(作羹 국을 끓임)하거나 여식(茹食 채소로 만듦)하여 먹어도 아주 좋은데, 색백무자(色白無刺 색깔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한 것이 좋다.

 

○莖名枸杞根名地骨枸杞當用梗皮地骨當用根皮枸杞子當用其紅實是一物有三用其梗皮寒根皮大寒子微寒性亦三等

경명(莖名 줄기 이름)은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枸杞)는  줄기의 껍질을 쓰고 지골(地骨)은 뿌리의 껍질을 쓰며, 구기자(枸杞子)는 당연히 붉게 익은 열매를 쓰는 즉, 이는  한 식물에서 쓰는 용도가 세가지라는 뜻이요, 줄기와 껍질은 성질이 차고, 뿌리의 껍질은 몹시 차가우며, 자(子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 성질 역시 세가지이다.

 

○陜西枸杞子如櫻桃全少核極有味(本草)

섬서(陝西 중국 지방명) 지방의 구기자는 앵도(櫻桃 앵두) 같아서 전반적으로 씨가  적고 맛도 매우 좋다(본초).

 

지골피(地骨皮)

구기 뿌리의 껍질

 

入足少陰經手少陽經治有汗骨蒸善解肌熱(湯液)

족소음경(足少陰經 비경)과 수소양경(手少陽經 삼초경)으로 들어가, 유한골증(有汗骨蒸 골증열로 땀이 남)을 치료하고, 선해기열(善解肌熱 피부의 열을 잘 풀어지게 함)한다(탕액).

 

위에서 구기의 열매인 자(子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라는 점에 유념하셔서 몸이 차가운 감이 들거나 하시면 주의를 하심이 좋겠고.

구기자차 닳이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 하시면 좋겠네요.

특히 요런 점 ㅎㅎ

복용시 주의가 필요하신분은 감기가 있거나 몸이 뜨거워서 추위를 타지 않는 사람이나 소화기관이 약해서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이라면 피하도록 한다

 

아래는 펌글

 

구기자차 끓이는 법

 

신선들이 마신다는 구기자차는 무병장수의 신선차로 알려져 있다.

잎과 열매를 말렸다 다려서 먹는 구기자차는 보간제로서 옛부터 강장제로 꼽았다. 

구기자죽(구기자 가루와 꿀을 넣어 쑨 죽)은 보신제로 많이 쓰고 있다. 향긋한 향과 단맛을 지니고 있어 오랫동안 마실 수 있으며 부작용 또한 없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차이다.

 

* 동의보감(東醫寶監) : 내경편(內景篇) 약생약이항(養生藥餌項)의 구기자에 대한 기록을 보면 "뿌리인 지골피는 삼정환의 기본이고 구기는 구복(久服)하면 경신불노(輕身不老)하고 추위와 더위를 이기며 장수한다." 라고 되어 있다.

 

 

구기자는 오장의 사기(邪氣)를 없애고 소갈과 전신마비, 풍습(風濕)을 다스리며 오래 먹으면 근골이 튼튼해지고 몸이 가볍고 늙지 않으며 추위와 더위를 이긴다고 한다. 또 정기(精氣)를 보충해주고 안색을 좋게 하며 흰머리를 막고 눈도 맑게 하며 정신신경을 안정시켜 준다고 한다.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인체의 생리 작용을 원활하게 해주므로 장기간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열이 많은 사람보다는 몸이 차거나 손발이 냉한 사람에게 더욱 좋다.


또한 간세포의 지방 침착을 억제하고 해독작용을 하여 오래 마실수록 숙취에 강해지므로 남성이나 술을 즐겨먹는 비만 환자들에게 권할 만한 차이다. 또한 지구력을 높여 수험생이나 회사원들에게 집중력을 높여주고 피로를 줄여주는 데 효과가 있다.


신장기능을 좋게 하고, 폐와 호흡기 기능을 원활하게 해주며 정신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이 꾸준히 먹으면 윤기있는 피부와 정신적 여유를 되찾을 수다. 또 흰머리를 검게 하고 눈을 맑게하며, 장수하는데 도움이 된다.

 

복용시 주의가 필요하신분은 감기가 있거나 몸이 뜨거워서 추위를 타지 않는 사람이나 소화기관이 약해서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이라면 피하도록 한다

 

■  특성

  마을 주변에 야생성으로 생육하고 있는 낙엽활엽 관목이고 토심이 깊은 곳에 원줄기는 비스듬하게 기대며 끝이 밑으로 처져 잘자라며 종자등의 방법으로 쉽게 번식할 수 있다. 가지에 가시가 흔히 있고 외피는 회색이고 잎은 호생으로 총생하며 난형 또는 피침형이다.

  꽃은 여름에 계속하여 피고 열매는 가을에 붉은색 타원형으로 익는다. 잎은 식용.열매는 약용으로 이용하는데 부위별 명칭은 열매는 구기자, 잎은 구기엽, 뿌리의 껍질은 지골피(地骨皮) 라고 한다.

 

 ■  성분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신비의 약으로 알려져 열매에는 베타인, 과피에는 피살린, 잎에는 루틴이 들어 있다. 비타민 A가 많이 함유하고 있고 무기질의 인과 탄수화물, 단백질등의 성분이 고루 들어있다.

  잎에는 모세혈관등의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고 동맥경화를 막는 비타민 C가, 열매에는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효능

  구기자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잔병을 막아 몸을 튼튼하게 해주며 그중에서도 특히 고혈압 환자에게 좋다. 혈압을 강하제로 그리고 중풍도 예방할 수 있다

 

그밖에도 강장작용, 해열작용이 있어 허리가 허약하거나 가슴의 염증 갈증을 수반 하는 당뇨병, 술, 고기등을 많이 먹어서 간에 기름이 낀 지방간 환자에게 좋다. 특히 여성에게는 피부가 고와지고 기미도 없어지는데 이것은 예로부터 구기자나무의 뿌리, 줄기, 잎, 열매로 미용제로 사용해 왔다.

 

  눈이 침침해지고 현기증이나 피곤한 사람, 면역증강 물질의 생산, 조혈작용과 생장호르몬의 촉진작용에도 효과가 좋다.

  혈청과 간중의 인지질을 증가시키는 작용과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중추성 및 말초성의 부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다.

 

 ■  조제

  잎과 열매 모두 차를 끓여 마셔도 된다. 구기자 나무의 부드러운 줄기와 잎은 봄과 여름에 채취하고 열매는 성숙되면 따서 말려 보관해 둔다.

  잎은 음건 후 사용하고 열매는 살짝 볶아서 달이면 맛은 달고 향기가 더욱 좋다. 서서히 끓여 빨간색이 우러나올때까지 끓인 후 감미료를 첨가하여 마신다. 시중에서 완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 만드는 방법 : 구기자차는 잎과 열매와 뿌리를 이용할 수 있으며

- 잎을 이용할 경우 열탕 1잔당 3g을 넣어 우려내고

- 열매를 이용할 때는 600cc에 6~12g 정도를 넣고 약한 불에 서서히 달인다. 

- 뿌리를 이용할 때는 물 600cc에 6~10g 정도를 넣어 달인다. 미지근한 물에 구기자를 넣고 붉은 빛을 띨 정도로 30분 정도 달인다.

 

◆ 구기자차 만들기 
- 재료 : 구기자 ⅓컵, 물 7컵, 꿀이나 설탕 약간
- 만드는 법
1. 구기자 열매는 냉수에 얼른 씻어 건진다.
2. 주전자에 열매를 넣고 물을 부어 고운 빛이 우러날 때까지 끓인다.
3. 찻잔에 따르고 경우에 따라서 설탕이나 꿀을 타서 마신다.

 

|| 구기자 음용 방법 
● 은근한 차맛을 즐기고 싶을 때..
포트나 주전자에 넣고 물1000㎖에 3g을 넣고 5분간 끓이면 상큼하고 담백한 맛을 즐길수 있습니다.

 

● 시원한 보리차 대용으로 마시고 싶을 때
물 2000mℓ에 3g을 넣고 5-10분간 끓인 뒤 냉장고에 보관하여 차게 드시면 아주 좋은 음료수가 됩니다.

 

● 손님들과 차를 마실 때
다기나 주전자에 3g을 넣고 뜨거운 물 800㎖을 부어 2-3분 후 따라 드시면 그윽한 향과 맛을 느낄수 있습니다.

 

* 배합 가능한 약초 : 감국, 율무, 당귀, 오미자, 두충, 인삼

 

- 신경통 : 율무와 구기자를 넣고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복용한다.

- 위 암 : 율무와 구기자를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마시면 효과가 있다.

- 위 염 : 구기자를 응달에 말려 차처럼 달여서 3~4일 마시면 특효약이다.

- 심장쇠약 : 구기자차를 장기간 마시면 효험이 있다.

- 폐결핵 : 구기자나무 뿌리를 생식하거나 구기자 차를 달여 장기간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 구기자의 전설

 

하나>> 어떤 사람이 서하지방을 가는 도중 길가에서 나이 열대여섯 나 보이는 여자가 80~90살 됨즉한 늙은이를 때리는 것을 보고 이상하여 그 여자에게 이 늙은이가 누구인가고 물었더니 그 여자는 이 사람은 나의 증손자인데 때리는 것이 무엇이 이상한가? 좋은 약이 있는데 먹지 않아 이같이 늙어서 걸음도 잘 걷지 못하게 되었으므로 벌을 주는 것이다. 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그 사람이 나이 얼마인가고 물으니 그 여자는 내나이 372살 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또 그 약이 무었이며 몇 가지나 되는지 알려줄 수 없는가고 하니 그 여자의 말이 약은 단 한가지이고 이름은 5가지인데 봄에는 천정, 여름에는 구기, 가을에는 지골, 겨울에는 선인장 또는 서왕모장이다. 이것을 사철 채취해 먹으면 이렇게 장수한다고 하였다.  
   
    
둘>> 옛날 진도읍 북상리 마을이 큰 문제를 안고 있어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식량이 부족한데 사람이 늙어도 죽지 않고 보통 2백년 3백년을 살기 때문이었다. 작은 마을에 노인들이 가득하지만 어쩔 수 없어 마을 회의는 언제고 그 이유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나중에는 노인들이 오히려 관심을 더 갖고 이유를 찾던 중 마을 위쪽에 있는 샘을 관찰하게 되었다. 바로 옆에 한아름이나 되는 구기자 고목나무가 있는데 샘돌 사이마다 뿌리가 뻗쳐 있었다.

샘물은 구기자 뿌리에 젖은 약수였던 것이다. 노인들은 혹시 그것 때문인가하고 고목나무를 잘라버렸다. 그랬더니 차츰 수명이 줄고, 결국 동네 사람들의 수명이 일반화 됐다는 이야기다. 요즘도 그 샘은 남아 있지만 마을 사람들은 거의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샘 바로 옆에 살고 있는 아씨 할머니 한분은 앞마당 지하수를 뚫어 그 물을 먹고 산다. 그래서인지 이씨 할머니는 90세가 되었어도 피부가 곱고 건강하다

 

 

 

 

답변을 뒤따라와 되지도 않는 비방을 하며 답변확정을 유도 방해하는 의견을 달면, 아래를 클릭해서 얼마나 일없는 자인가를 봐주시고^^

  ☜ 여기 클릭

 

구기자차 잘 끓여 맛있게 드세요.

저는 이만 총총^^

 

출처 : 천동단초방(天東單草房) 

구기자 복용법 질문좀요~

제가 구기자를 못도 모르고 사버렷는데 문제는 티팩이... 다만 가만히 보니 선답변인의 부정확한 정보 즉 구기자다... ----------------------------------------------------- 구기자 나무는...

지골피 복용법좀 알려주세요~

... 알고싶어 질문드립니다. 구기자 뿌리의 껍질만... 제대로 복용법은 많이 나와있지 않아서... 너무 궁금합니다... 아시는분들 알려주세요 ㅠㅠ... 지골피는 구기자...

수컷 거시기)의 복용법 알려주세요.

... 하나 여쭤볼 것이 있어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그리고 구기자도 커피잔 한컵정도의 양을 준비하시고 다음... 수컷 거시기)의 복용법 알려주세요.' - 네이버 지식iN)

지백지황탕+오자(구기자, 토사자,...)에...

... 오자(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차전차, 오미자)를... 우선 질문이 매우 수준이 높군요. 한의원 홍보성 질문이나... 복용법은 간신의 약은 식전에 복용하셔야 합니다. 본방제는...

영지버섯에대한 질문좀요. 답변좀...

... 복용법을 말씀드릴께요.. ★ 영지에 오미자와 대추를 넣고 끓인후 차처럼 복용하면... ★ 영지 몇조각 잘라넣고, 물많이 부으신다음, 감초나 구기자, 대추, 보리차등등을 넣어...

감기에 좋은 한약재~~(양과 복용법)

... 구기자 : 구기자 20g을 물 3컵을 넣고 반으로 줄때까지... ( 매워서 괴로울 겁니다만..^^) 2. 생강차 : 콧물이... 그리고 감기에 좋은 약재라는 식으로 질문을 하면 사실 감기도...

암사슴으로 만든 보약 질문이요

... 있으며 복용법은 어떻게 먹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꼭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2) 녹태, 구기자 각각 같은 양의 가루를 섞어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6-8g씩 하루 2-3번...

익모초는 아토피에 어떤 작용을 하나요?...

... 그리고 추가 질문으로, 익모초를 한의원에서... 3)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익모초는 항암작용도 상당한... 황련, 구기자 탱자 열매, 맨드라미 씨 등을 함께 가루 내어 꿀로...

머릿결과 탈모 방지를 위해서는 어떻게...

<엘라스틴> 지식iN 이벤트 질문입니다. 모근, 모발, 모끝의... 다른 검정콩 복용법 1.먼저 검정콩 한주먹을 깨끗이... 물, 구기자 우린물 이 좋으며, 지성 이라면 녹차 우린물 이나...

샴푸(케라시스, 펜틴, 엘라스틴 등)사용...

<엘라스틴> 지식iN 이벤트 질문입니다. 모근, 모발, 모끝의... 소개하여 더 탈모치료에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구기자잎 요법 남녀 불문하고 머리칼이 빠지게 되면 나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