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 내공검!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 내공검!

작성일 2006.06.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

에이포 용지 한바닥 채울수 있을만큼 아니면

아는거 까지 적어주셈 내공검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 #남북한 언어의 동질성 #남북한 언어의 동질성 예시 #남북한 언어의 공통점 #남북한 언어의 이질성 #남북한 언어의 이질성 극복 방안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문제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 사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남북 언어 차이 어떻게 극복할까
2003년 10월 7일

지난달 1일 대구 유니버시아드대회가 끝난 뒤 북한 응원단과 시민들이 작별의 아쉬움을 나누고 있다.


고구려·백제·신라 등 통일 이전 고대 삼국의 언어는 어땠을까?
『고구려 연구(제9집)』(고구려연구회·학연문화사)에 따르면 세 나라의 언어는 단순히 사투리적 차이만 있었을 뿐 단일어였다.  삼국 통일 이후 남북한 분단 이전까지 통일국가로 남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도 언어적 차이가 없었다는 점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언어는 사람들이 서로의 생각이나 느낌을 나눌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이다. 언어가 다르면 의사 소통이 자유롭지 못해 사상이나 문화 교류에 어려움을 겪는다.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는 2천5백∼3천5백개쯤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한국어는 남북한 등을 합쳐 7천만명 이상이 공용어로 사용하며, 사용 인구로 따지면 세계 20위권 안에 든다. 그런데 분단 반세기를 넘기면서 같은 한국어를 사용하지만 남한말과 북한말 간에 차이가 매우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적잖은 말들이 번역 없이는 뜻을 짐작할 수 없을 만큼 달라진 것이다. 남북이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가치관·생활양식 속에서 지내 그렇다.
 국회 교육위원회 이미경(민주당) 의원이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와 함께 북한의 초·중·고 교과서(7과목·9권)를 분석한 결과다(본지 9월 16일자 10면). 

남북한 언어 차이 비교

북한말

남한말

북한말

남한말

가마치

누른밥

삼촌어머님

작은어머님

가운데점

이등분점

솔솔이

물뿌리개

가을

수확

시누스

사인(sine)

간참하다

참견하다

시창

보고 부르기

강가강

갠지스강

아낙각

내각

게으름뱅이

나무늘보

약저울

분칭

골프스트림

북대서양해류

억이 막히다

기가 막히다

꼭두

정수리

에네르기

에너지

관성차

롤러코스터

옹근소리표

온음표

꽝포쟁이

허풍쟁이

우듬지

나무 꼭대기 줄기

내굴

연기

원주필

볼펜

너럭바위

반석

월프람

텅스텐

더부치

호주머니

이바퀴

톱니바퀴

동가슴

앙가슴

짜르다

짧다

된기윽

쌍기역

짝지다

떨어지다

드문가스

비활성기체

전등알

백열전구

드팀없다

흔들림이 없다

제형

사다리꼴

물고기자원

어업자원

주무랑마봉

에베레스트산

물매

경사도

지어

심지어

물참봉이 된

물에 흠뻑 젖은

철바람기후

계절풍기후

바른사각형

정사각형

파생계단

사이음

분수우물

찬정

피타다

애타다

뾰족각

예각

활등

호(弧)

사귀다

교차하다

활줄

현(弦)

사품치다

세차게 흐르다

휘거

피겨스케이팅


이에 따르면 맞춤법·문법·한자어·외래어·전문용어 등 거의 언어 전반에 걸쳐 이질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예컨대 전등알(백열전구)·세평방정리(피타고라스의 정리)·불타기반응(연소반응)·녀성고음(소프라노)·산줄기(산맥) 등으로 남한과 표현이 사뭇 달랐다. 주무랑마봉(에베레스트산)·탕겐스(탄젠트·tangent)·휘거(피겨스케이팅)·뽈스까(폴란드)·깔리만딴섬(보르네오섬)·마쟈르(헝가리) 등 외래어 표기법도 딴판이었다. 북한 체제의 특수성 때문에 우리말 용법을 왜곡한 사례도 보였다. 이를테면 존칭 조사인 ‘00께서는’을 복수에 사용할 때 남한에선 ‘A와 B께서는’처럼 뒷말에만 붙이면 된다. 하지만 북한에선 ‘수령님께서와 친애하는 지도자 선생님께서는’으로 표기했다. 수령을 호칭할 땐 항상 극존칭을 붙여야 하므로 어색해도 존칭 조사를 두번 쓴 것이다.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1857∼1913)는 “같은 말은 공통적인 민족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민족 통일을 이루는 데 무엇보다도 우선한다”고 말했다. 통일에 대비해 남북한이 어떻게 하면 언어의 이질성을 해소하고 우리말을 바르게 가꿔 나갈 수 있을까.


◆ 생각 키우기

① 남한의 노래 가사를 북한말로 바꿔 불러보거나 남한의 동화 한편을 북한말로 각색해 연극을 해보세요. 북한 속담을 내용이 비슷한 우리 속담과 비교하고, 남한 신문기사를 북한말로 바꾸는 작업도 언어 차이를 인식하는 좋은 활동입니다. 특히 스포츠 기사는 용어 바꾸기를 많이 해야 합니다.
☞북한네트(nk.joins.com)나 한겨레 평화통일협회(www.hpua.or.kr),한성대 국문과 (my.netian.com/~hoting), 에듀넷 홈페이지 북한말 알아 맞추기 게임  (down.edunet4u.net/KEDLAA/06/A6/0/A60060121M.swf) 등 인터넷을 활용하세요.

② 남한말과 북한말의 차이가 커 뜻이 통하지 않는 단어를 일정 기간을 정해놓고 틈이 날 때마다 찾아 ‘통일 국어사전’을 만든 뒤 학급 대항 퀴즈대회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③ 남북한 언어 차이가 심화될 때 일어나는 문제점을 예상해보세요.
☞의사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민족을 정서적으로 멀게 한다/동족의식을 흐리게 해 민족 분열이 굳어진다 등.

④ 남북한 언어 차이를 해소하려면 이질화한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어떤 게 있을까요?
☞ 언어사회가 오랫동안 고립·분리된 상태로 있으면 자연스레 언어의 이질화가 나타나는데 방언이 생기는 것이 그 예입니다. 북한은 게다가 언어를 혁명과 건설의 힘있는 무기라고 생각하는 유물론(唯物論·영혼이나 정신 따위를 부정하고,우주만물의 실재는 물질뿐이라고 보는 이론)적 언어관을 바탕으로 김일성 주체사상에 들어맞는 방향으로 언어정책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공산당의 통제 아래 철자법 개혁,한자 폐지,말 다듬기 운동,문화어운동 등을 강력하게 펼쳤습니다.
 반면 남한에선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언어도 많이 변했기 때문에 남북한 언어는 달라질 수밖에 없었던 거지요. 결국 남북한의 언어관 차이를 언어 이질화의 핵심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정치적 문제로 남북한의 언어학자들의 학술 교류가 거의 없었고, 남북한 통일어를 만들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도 요인이랍니다.

⑤ 북한이 표준말로 삼는 평양 중심의 노동자 계층에서 쓰는 말을 문화어라고 합니다.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 문화어를 비교해 문법적 차이점들을 찾으세요.

㉠ 어휘면에서 고유어의 차이도 있지만 문화어는 러시아와 중국말의 영향을 받아 달라졌습니다. 끌끌하다(깨끗하다)·우람차다(씩씩하다)·남새(채소)·유보도(산책길)·물맞이칸(샤워실)·그루빠(그룹)·뜨락또르(트랙터) 등이 그 예입니다.
㉡ 한자어 표기에서 남한은 두음법칙을 지켜 한자어의 소리를 자리에 따라 다르게 적지만 북한에선 항상 한가지로 적습니다. 남한은 ‘노인(老人)·양심(良心)·여자(女子)·규율(規律)·선열(先烈)’로 적는데, 북한은 ‘로인·량심·녀자·규률·선렬’로 표기하지요.
㉢ 띄어쓰기의 경우 북한이 붙여쓰기를 많이 인정합니다. 하나의 개념을 가지고 하나의 대상으로 묶이는 덩이는 모두 붙여쓰며,의존명사와 보조용언도 대개 붙입니다. 무엇때문에,대문밖에,학교앞에,우리들 전체, 울듯말듯하다….
㉣ 단어의 뜻풀이도 차이가 있습니다. 남한에서 부자는 ‘살림이 넉넉한 사람’을 일컫지만 북한에선 ‘재산을 많이 가지고 호화롭게 진탕치며 살아가는 자’를 뜻합니다.
㉤ 문장의 억양과 단어에 된소리(경음)가 많은 것도 북한말의 특징입니다.

⑥ 외래어와 외국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남한의 언어 현실에 비춰 볼 때, 북한말을 통해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북한은 고유어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지만 순수 우리말을 지켜왔으며,상당수의 방언을 발굴하고 어휘를 풍부하게 한 것에 점수를 줄 수 있습니다.

⑦ ‘얼큰 뜨더국(수제비), 고운 살결물(스킨로션), 순자네 남비탕(찌개)’ 등  북한말 상표 신청이 늘고  있습니다(본지 9월 17일자 E3면). 남북 교류가 늘어나는데다 어감이 특이해 사람들의 눈길을 끌어서 그렇답니다. 나라면 어떤 북한말을 출원하고 싶은가요?
☞특허청 홈페이지(www.kipo.go.kr)에 들어가 출원된 북한말들을 알아보세요.출원 절차를 공부하는 것도 유익합니다.

⑧ 날다라미(하늘다람쥐)·번대수리(독수리)·갯두루미(흑두루미) 등 희귀 야생동물 이름 절반 이상이 남북한 간에 전혀 다르다고 합니다. 본지 7월 30일자 7면 관련 기사와 표를 참조해 야생동물 이름이 서로 어떻게 다르고, 이럴 경우 어떤 결과가 생기는지 알아봅시다.

⑨ 동서독은 통일 전 대중매체를 서류 자유롭게 접할 수 있도록 해 언어 차이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남북한의 언어 동질성을 회복하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생각해 보세요. 우리가 할 일과 정부가 할 일로 구분해도 좋아요. 그 다음 ‘남북한 언어 이질화 극복 방안’에 관해 1천자 안팎으로 논술해 보세요.

㉠ 우리가 할 일=탈북 이주민들을 초청해 북한 사회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기회 갖기/신문에서 낱말 찾아 통일 국어사전 만들기/북한말을 보여주는 TV 프로 시청 등.
㉡ 정부가 할 일=남북 학생 공동 글짓기 대회 개최/수업시간에 남북한 말 가르치기/남북한 공동 국어사전 만들기/공동 학술대회 정기 개최/남북한 주민의 자유 왕래와 서신 교환 등.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 에이포 용지 한바닥 채울수 있을만큼... 적어주셈 내공검 남북 언어 차이 어떻게 극복할까 2003년 10월 7일 지난달 1일 대구...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 까요?, ① 표준어와 문화어의 재사정 ② 말다듬기도 동질성을 전제로 함 ③ 남북한 통합 사전의 편찬 ④ 국어의...

남북한언어차이를 극복하기위한 방안

남북한언어차이를 극복하기위하 방안 부탁드립니다 내공냠냠 신고들어갑니다.대충말고요; 내공80걸어요. 남북한언어는 본래 한 뿌리를 가지고 있지만, 매우...

남북한 통일문제점 해결방안

... **남북한 통일문제점 해결방안** ## 1) 남북한언어차이로 인한 소통 문제 - 언어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어 교육 및...

있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기...

중학생이 실천할 수 있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좀 알려주세요!!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북한말에 익숙해져야 겠죠? 조금만 관심을 가져보시면 생각...

남북한언어차이방안

... 님께서 말씀하시는 질문이 남북한 언어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맞나요?? 맞다면 이질문에는 이것이 맞겠네요. 1. 표준어와 문화어의 재사정 2. 말다듬기도 동질성을...

남북한 언어 이질화

남북한 언어 이질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주장하는 글을 써야하는데요 남북한 언어 이질화 극복하는 해결방안에 대해 좀 알려주세요! ㅜㅜ (많이..) 통일이 되면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