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세동기 적응증,금기증에 대해서 아시는분 갈켜주세요

제세동기 적응증,금기증에 대해서 아시는분 갈켜주세요

작성일 2004.01.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그냥 아는분만 리플 부탁드려요,,,
(중요하다네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세동 (Defibrillation, Cardioversion)

빈맥성 심박동을 정상 심박동으로 돌리는 방법으로 약에 의한 방법(chemical cardioversion or defibrillation)과 전기적 충격기를 사용하는(electric cardioversion or defibrillation)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으로 보아, 약에 의한 방법은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제세동 이후 정상박동으로 회복하여도 이 방법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정상 박동 회복 후 장기적으로 항부정맥 약제의 사용과 원인질환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적응증(Indications)
1. 응급상황 : 빈맥이 발생하며, 혈압이 하강하고, 폐부종이 발생하며, 의식장애가 동반되는 경우로 즉각적인 정상박동으로의 회복이 요구되는 경우
1) 상심실성 빈맥 (reentrant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2)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3) 심방세동, 조동 (atrial fibrillation, flutter)
2. 비응급 상황 : 빈맥이 발생하였으나, 혈역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즉각적으로 생명에 지장이 없으나, 장기적으로 방치할 경우 심부전, 뇌색전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정상박동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1) 상심실성 빈맥 (reentrant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2)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3) 심방세동, 조동 (atrial fibrillation, flutter)

금기증
1) 디지탈리스(digitalis) 중독증에 의한 부정맥
2) 심장이외의 다른 질병에 의한 빈맥성 부정맥
3) 심방 또는 심실에 혈전(thrombus)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한 경우
1. 뇌색전증[cerebral embolism] 등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경우 : 이 경우 즉각적인 제세동은 심장내에 형성된 혈전이 떨어져서 뇌색전증등의 위험이 높으므로 생명이 위급한 응급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2-3주 항응고제를 처치하고 실시합니다. 그리고 제세동 이후에도 2-3 주간 항응고제를 사용합니다.
1) 과거 뇌졸증 또는 색전증의 경력이 있는 경우
2) 고혈압
3)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
4) 75세 이상
5) 류마치스성 판막질환 또는 인공판막
2. 다른 주의가 필요한 경우
1) 인공심박조율기 : 심박조율기에서 적어도 12cm 떨어진 부위에서 제세동을 시행

합병증 : 화상, 서맥(bradycardia), 방실전도장애(atrioventricular (AV) block), 심무수축 (asystole),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저혈압, 폐부종, 뇌색전증

심무수축 (asystole)에서의 제세동기 사용하는 경우 효과 여부는 아직 논란중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심폐 소생술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응급 심실빈맥 또는 심실세동에서 심실제세동은 부정맥 발생후 5분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 5분 이후부터는 효과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세동의 적응증 : 무맥성 심실빈맥, 심실세동
(제세동기의 적응증이 아닙니다.)

금기증 : 그 외의 모든 경우, 적응증에 해당할 경우 금기는 없다.

금기증에 대해서 아시는분 갈켜주세요

... 적응증(Indications) 1. 응급상황 : 빈맥이 발생하며... flutter) 금기증 1) 디지탈리스(digitalis) 중독증에... (asystole)에서의 제세동기 사용하는 경우 효과 여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