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 후 바늘찔림

Ast 후 바늘찔림

작성일 2024.05.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Ast로 혈관은 아예 건드리지않고 빼다가 살짝 찔렸는데 혈액매개감염 가능성 있을까요?


#ast gnn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하이닥- 상담의 김경남 입니다.

#요약

1. 바이러스는 소량으로도 감염이 될 수 있으니

2. 환자의 감염력 (B형간염, C형 간염, 매독, 에이즈)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3. 그리고 본인의 B형간염 항체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4. 필요시 혈액검사 여부를 고민해 봐야 합니다.

HBsAg 양성인 환자의 혈액에 노출되더라도(주사바늘 찔림 등),

자신이 B형간염 항체(anti-HBs)를 보유하고 있으면

감염 예방이 되므로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습니다.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전파 가능성은 3~10% 입니다.

다른 혈액매개질환에 비하여 노출시 감염전파의 가능성은 낮아서,

HIV 양성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바늘에 찔렸을 경우 전파가능성은 0.3% 정도입니다.

건승하세요.

Ast 후 바늘찔림

Ast로 혈관은 아예 건드리지않고 빼다가 살짝 찔렸는데 혈액매개감염 가능성... HBsAg 양성인 환자의 혈액에 노출되더라도(주사바늘 찔림 등), 자신이 B형간염 항체(anti-HBs)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