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장면'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정치가 '장면'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8.08.1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친일파에서 업적은 정치인 장면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질문할께요

 

장면이란 사람의 일대기와 장면이란 인물의 심리, 형편,도덕성, 역사적 잘못등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추가 내공도 드립니다 오늘까지요! ㅜ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읽었던 책중에 고려대학교 김호진 교수가 쓴 <한국의 대통령과 리더십>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역대 우리나라 대통령들의 리더십을 포함한 인품과 정치적 업적 등 다양한 방면으로 대통령을 탐구한데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도서라 할 것입니다. 역시 저 또한 답변하는데 있어서 이 도서를 참고해서 말씀드리도록 하죠.

 

책에 보면 장면 편에서 저자는 이렇게 평합니다. "인간 장면은 지성 있는 신사였고, 종교인 장면은 독실한 신자였다. 한편 정치인 장면은 불의를 거부하는 지사형이었다. 그러나 국가경영자 장면은 정권을 도난당한 무능력한 지도자였다." 이렇게 말하고 있지요.

 

저도 학생신분이고 특별하게 근대사에 관하여 깊이 있게 공부한 바가 없어서 역사적 배경이라든지 여타 상황을 짜임새 있게 설명하기는 좀 힘듭니다만 모르는 사람이니 모르는 사람에게 더 쉽게 알려줄 수 있을 거란 생각에 좀 써내려가 보겠습니다.

 

실제로 장면은 카톨릭 집안에서 태어났던 당시로서는 중산층 이상의 유복한 사람이라할 수 있습니다. 이승만처럼 맨해튼 카톨릭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땄던 엘리트였구요. 이후 교직에 진출했지만 곧 교직과는 전혀 풍토가 다른 정치계에 입문하기에 이릅니다. 이것은 가톨릭계에서 대표자 자격으로 어찌보면 징발되었다 이렇게 평하는 것이 옳을 텐데요. 말하자면 본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타의에 의한 정치입문이었던 겁니다.

 

이것은 이후 장면과 관련한 대소사와 모두 밀접한 연관관계를 지니는데요. 일반적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대부분의 위인들이 모종의 콤플렉스나 목숨을 걸만한 대의명분이나 계기를 통한 것과는 다르게 단순한 학자로서 운명적인 입문 때문에 정치적 신념이랄 수 있는 특별한 정체성이 없었고 단순히 현실 순응적인 태도로 일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일제 때 다마오카 쓰도무라 창씨개명했던 것이 대표적으로 그러한 그의 신념이나 인품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장면은 가톨릭을 배경으로 제헌의원이 되면서 종교인을 포괄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당한 정치적 입지를 지니게 됩니다. 무엇보다 영어가 능했고 미군정 때 입법의원을 지냈기 때문에 이승만처럼 흔하지 않은 미국통이었기때문에 그의 정치적 입지나 신망은 당시 미국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황에서 자연히 따를 수 밖에 없었다고 보여집니다.

 

이후 이승만 정권에서 부통령의 지위에 오르게 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승만과는 당적이 달랐었기 때문에 사실상 부통령이지만 아무런 정책결정권한이나 실권과는 거리가 먼 그야말로 빈자리에 앉아있는 허울뿐인 부통령임과 동시에 이승만의 눈엣가시로서 국정에서는 소외를 당하게 됩니다.

 

이후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에 대해서는 아시지요?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이승만이 대통령직에서 하야하도록 압박하는 과정에서 장면은 스스로 물러났고 어찌보면 정권을 승계했어야할 입장에서 국정은 완전히 파탄해버렸고 바야흐로 내각책임제로의 개헌(3차 개정헌법안)이 가결되면서 나라는 완전하게 뒤바뀝니다.

 

실제로 이후 총선에서 장면이 속해있던 민주당이 압승하는데 그 과정에서 신파와 구파의 계파 대립이 심화되고 여러가지 갈등 끝에 장면은 다시한번 신파 몫의 총리로서 장면의 내각이 출범하게 됩니다. 한편, 구파 몫으로 윤보선이 대통령으로 추대되구요. [이것은 정치와 관련된 것인데 권력집단을 구성하고 나라를 운영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당시로서는 단순한 대통령제가 아니라 이원적이면서 내각제의 성격을 띠는 형태의 한국적인 특수한 통치형태를 지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문제는 장면은 특별한 준비가 없는 상황에서 이역시 계파간 갈등 상황에서 순전히 자리 싸움을 이기기 위한 출범이었기 때문에 매우 불안한 출범일 수 밖에 없었고 이것은 현실로 이루어져 나라를 소용돌이에 빠지도록 하는데 이릅니다.

 

뭐 여타 장면 정부는 이러한 출범 자체의 성격 뿐만 아니라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 말하자면 계파단 극렬한 갈등 속에서 통치력과 리더십 있는 국정 운영을 해나갈 수 없는 형국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김호진 교수의 저서에 따르면 장면을 또 이렇게 평가합니다. "민주주의를 지키지 못한 민주론자" 지극히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실제로 장면 정부내내 지금 보다 더 많은 시위와 집회 국민의 민주적인 발언권은 훨씬 더 높은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 보면 우스개 소리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진짜로 너무도 많은 시위가 일어나서 시위하지 말자는 시위가 있었을 정도였다고 하니까요. 그의 집권으로 잠시나마 자유와 민주라는 것을 맞볼 수 있게 했지만 한편으로는 통치력의 부재나 확고한 정국운영의 비전이 없었기에 힘겹게 잡은 민주화의 기회를 이후 수십년 이후로 놓쳐버렸다는 것은 쓰라린 결과였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장면에게는 실권자로서 컴플렉스나 강력한 동기가 없는 상황에서 우유부단한 군주로서 거듭날 수 밖에 없었고 곧 이것은 그를 파멸에 이르게하는 결정적인 요인이었던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899.8.28 서울 적선동에서 부 장기빈과 모 황루시아 사이에 3남 3녀 중 장남으로 출생

1906.8.04 인천성당부설 사립 박문학교에 입학, 한학 수학

 


   

1910
1912

1913. 03.25
1913. 04.01
1914. 03.
0000004.14
1916. 05.20
1917. 03.25
0000009.
1918. 04.

박문학교 보통과 졸업(최우등), 박문학교 고등과 진급
박문학교 고등과 졸업.
인천 공립 심상 소학교 6학년에 입학
인천 공립 심상 소학교 졸업
인천 공립 심상 소학교 고등과 진급
인천 공립 심상 소학교 고등과 1년 수료
수원농림학교 입학
서울 중림동 성당에서 김옥윤 여사와 결혼
수원농림학교 졸업
서울 중앙 기독교학관 영어과 입학(Y M C A)
용산 천주교 소신학교 강사로 취임
 

   
1920. 03.20
0000. 10.02
1921. 01.04

1921. 08.28
0000. 09.19
1925. 06.04
0000. 06.30
0000. 07.05
0000. 07.06
0000. 08.29
0000. 12.02
1927. 02.11
1928.
1929. 10
0000. 11
서울 중앙기독 청년학관 영어과 졸업(최우등)
유학차 도미
메리놀 전교회 예비신학교인 Venard School, Clarks Summit, Pa 에 도착하여 교장 Dr. Patricks J.Byrne 신부의 지도하에 반년간 영어와 기타과목 학습
聖프란치스코 第三會 입회 (뉴욕 St. John Baptist 성당)
뉴욕 맨하탄 칼리지 문과입학(교육학 전공)
뉴욕 맨하탄대학 졸업
이탈리아 도착
로마에서 개최된 "한국 79위 순교자 시복식"에 한국 신자 대표로 참석
교황알현
귀국
평안남도 소재 Marynoll Center House에 어학교수로 부임
평양성당 근무
평양천주교 청년회장
서포역전 평양교구 관리사무소 근무
영한교회용어집 The Summary of Religious Terms 탈고
 

   
1930. 08.21
1931. 03.18
0000. 04.01
0000. 09.15
1933. 06.10
1936. 11.19
1937. 04.01
1938. 05
1939. 01.13
0000. 04.
0000. 09.20
구도자의 길』 소책자 출간
평양교구 사무직 사임하고 서울 이사
동성 상업학교 교사로 취임
한국교구설정 백주년 기념 『조선천주공교회 약사』출간
시인 정지용 등과 함께 『가톨릭 청년』 창간호 발행
동성 상업학교 교장 취임
혜화유치원장 취임
학사 시찰차 3주간 일본 방문
김옥윤 여사 성프란치스꼬 삼회 서약식
계성 보통학교장 겸임
서울교구 천주교청년회연합회 회장에 피선
 

   
1942. 08.
1944. 06.04

1945. 08.15
0000. 09.26
0000. 12.08
1946. 02.14
0000. 12.07
1947. 01.15
1948. 04.01
0000. 05.10
0000. 08.11
0000. 08.15
0000. 09.09
0000. 11.13
0000. 12.07
0000. 12.08
0000. 12.12
0000. 12.14
0000. 12.16
0000. 12.22
0000. 12.27
0000. 12.29
1949. 01.01
0000. 01.04
0000. 01.05
0000. 01.20
0000. 03.01

0000. 03.18
0000. 03.21
0000. 03.25


0000. 06.14
0000. 07.13
0000. 08.30
0000.12.11
0000.12.17

계성학교 교장 사임
번역서 『교부들의 신앙』(Cardinal Gibbons, The Faith of Our Fathers)
초판 발행(3천부)
광복
순교복자축일을 기하여 명동성당에서 미군환영대회 개최
명동성당 강당에서 김구,김규식 등 임정요인 환영대회 및 축연
군정 자문기관인 民主議院 議員 취임(천주교 대표)
立法議院 議員
입법의원에서 반탁결의
국회의원 입후보
제헌국회의원(종로을구, 무소속)
UN총회 한국대표로 선임
대한민국 정부수립
제3차 UN총회파견 대한민국 대표단 수석대표 (차석:장기영, 고문:조병옥·김규 홍·김활란·정일형)
네덜란드 헤이그 이준열사 묘소 참배
파리 유엔총회 제1위원회에서 한국정부 승인을 요구하는 연설
유엔승인 획득
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이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역설. 한국의 유엔가입신청
바티칸교황청 파견 대통령특사
교황 PIUS XII세 단독 알현, 신생 대한민국에 대한 정신적 지원 요청
로마에서 예수회 총장 방문하고 한국에 예수회대학 창립 건의(1960년 4월 서강 대학 설립)
주미 대사 발령 (미국 체제중)
미국 맨하탄 대학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 수여
미국 트루만 대통령 한국정부 승인 성명
미 국무부 예방
한국 정부 특별 대표(Special Representative)로 임명되어 대사관 개설준비 착수
트루먼 대통령 취임식에 한국대표로 참석
정부대표로 미국에서 3·1절 기념 파티 개최
한미양국공관을 대사관으로 승격발표
주미대사로 미군 당국자에게 국군 10만명 증강 요청
미 국무 장관 방문, 대한 경제 원조 요청.
대한민국주미특명전권대사(초대), 트루먼 대통령에게 신임장 봉정. 공관을 colombian building에 공관개설
대한민국정부 개별승인을 설득코자 미국주재 각국공관을 연일 방문
30여개국 승인획득에 성공
미 국무장관 서리와 회담. 무기 원조를 요청
미국에서 조병옥과 함께 북한측이 제안한 총선거 반박 성명
미 대통령에게 긴급 무기 원조 요청
과로로 血塞病 발병, 반년간 휴식
교황청 방문

 

   

1950. 4.10
1950. 4.12
1950. 4.18
1950. 4.24


1950. 5.03
1950. 5.09
1950. 6.03
1950. 6.06


1950. 6.17
1950. 6.19
1950. 6.25

1950. 6.26
1950. 6.27

1950. 6.28

1950. 9.01
1950. 9.28
1950.10.04.
1950.11.23
1950.12.14
1951. 1.28
1951. 2.03
1951. 3.07
1951. 5.22
1951.10.09
1951.11.06
1952. 1.02
1951. 4.09
1951. 4.20
1951. 5.06
1951. 5.07
1951. 5.14
1951. 5.25
1951. 5.26
1951. 6.24
1955. 9.18
1956. 2.25
1951. 3.14
1951. 3.28
1951. 3.29
1951. 4.06
1951. 4.12
1951. 4.15
1951. 5.02
1951. 5.05
1951. 5.21


1951. 5.22
1951. 5.24
1951. 5.25
1951. 8.15
1951. 8.16
1951. 8.18
1951. 8.19
1951. 9.01
1951. 9.02
1951. 9.16
1951. 9.28
1951.10.01
1951.10.04
1951.12.01
1951.12.18
1951.12.19
1957. 1.06
1951. 1.18
1951. 2.26
1951. 2.27
1951. 3.06
1951. 3.21
1951. 6.08
1951. 9.22
1951.11.01
1951.11.02
1951.12.03
1951.12.21
1958. 3.11
1951. 3.22
000003.27
000003.28
1951. 4.04
1951. 4.23
1951. 5.02
1951. 5.14.
1951.11.18
1951.11.23
1951.11.25
1951.12.19
1951.12.20
1951.12.22
1951.12.26
1959. 1.13
1951. 1.15
1951. 1.16
1951. 1.31
1951. 4.30
1951. 5.01
1951. 5.07
1951. 5.10
1951. 5.11
1951. 5.19
1951. 8.19
1951. 8.20
1951. 8.30
1951. 9.25
1951.10.01
1951.10.13
1951.11.26
1951.11.27

호주· 뉴질랜드·필리핀 파견 대통령 특사("태평양 동맹" 체결 의사 타진
황창하씨 동반하고 하와이 교포들에게 강연 (∼18일)
뉴질랜드 총독 및 수상을 예방하고 외상과 요담(∼23일)
호주 총독·수상·외상 등과 요담.
상업 회의소 방문
한국과의 무역 관계 협의, 이민상· 농상과 회담(∼5월 2일)
필리핀 대통령 예방
동경 경유 서울 도착
부인 신병 치료차 자녀 2인 동반 向美 출국
워싱턴 도착.
국무성 고관들을 만찬에 초대, John Foster· Dulles 미 국무성 고문에게
한국 군사력 강화의 긴박성을 강조
Dulles 고문 방한, 38선 시찰.
Dulles고문 미국회 국방위원회에서 한국 피침시 원조 약속 발언
한국전쟁 발발.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긴급회의 석상에서 북한의 침략을 불법행위
백악관으로 미대통령 트루먼 방문, 미군 파병 요청.
대전 천도
미국의 대북한 선전포고, UN군의 참전 결정
서울함락
Voice of America를 통해 유엔 결의 사항 등을 본국에 방송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에서 연설
서울 탈환
정온수녀(누님) 북한군에 나포
국무총리 인준, UN문제 처리 위해 귀국 보류
미국 Fordham 대학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 수여
무총리 취임차 귀국
제 2대 국무총리 취임
대구 순시
교황청 훈장(Knight Commander of the Order of St. Sylvester)수훈
제 6 차 UN총회 파견 수석대표 선임
장택상과 함께 파리로 출발
간염으로 입원치료(∼23일)
귀국후 입원
신병으로 국무총리 사임
장택상 국무총리 인준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
정부. 대통령 직선 및 양원제 개헌안 공고
계엄령 선포
부산정치 파동, 미군의 도움으로 미군 병원에 은신
부산 국제구락부사건
민주당창당, 최고위원 선출
민주당, 정·부통령 지명대회 구성문제 합의
민주당, 이승만 대통령 불출마 언명에 대한 반박성명
민주당, 이대통령 3선지지 데모 규탄 성명
민주당 부통령 후보자 지명대회에서 부통령후보자로 지명
중앙선위, 민주당 등록 공고
민주당 정·부통령 후보자 정견 발표 대회
민주당, 전국 유권자에게 공약과 당면 정책과제 발표
민주당, 한강 백사장서 선거 유세, 30만명 운집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별세
4대 부통령에 당선
첫 외신 기자회견.
부통령 당선 사례 성명 발표.
정·부통령 당선자 공표(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장면)
경무대로 이승만 대통령 예방
기자회견 (내각책임제 구현 천명)
4대 부통령 취임
외신 기자 회견 (정부의 위헌 행위 저지 언명)
UP기자 회견에서 국내 문제에 독자적 행동 불사 천명
국회, UP기자 회견 내용을 둘러싼 여야 공방전 가열
이 대통령, 내각책임제 개헌안 반대
민주당, 내각책임제 개헌안 심의
국회, 장 부통령 회견 발표 둘러싸고 여야 설전
민주당 전당 대회에서 권총 피격으로 왼쪽손 관통상 저격범 김상붕 체포
피격 사건 배후 인물로 최훈 구속
피격 사건 국회 특별 조사위 구성
피격 사건 첫 공판
피격 사건 공판서 저격범 김상붕 배후 폭로
국회, 장부통령 피격 사건 경찰 개입 여부 재조사 결정
이 대통령, 법무장관에 장부통령 피격 사건 철저 조사 특별 지시
이 대통령, 장 부통령 피격 사건에 따른 내무 장관 인책 거부 담화
장 부통령, 국내 각종 불상사 빈발에 고충 피력
자유당, 장 부통령 대중 선동하지 말라고 반박 성명
김종원 치안국장, 피격 사건 증언시 법정 모욕
피격 사건 피고인 이덕신·최훈·김상붕에 사형 언도
미국 Seton Hall 대학 명예 법학박사 학위 수여
고딘 디엠 월남 대통령과 회견 (명동성당)
피격 사건 최종 심리서 범인 이덕신, 최훈, 김상붕에 사형 확정
이 대통령에게 피격사건 관련 피고들에 대한 관용 요청
이덕신, 재심 청구
선거법 협상안 중 언론 제한 조항 삭제 강조하는 담화 발표
교황청 포교성 장관 Agagianian추기경 접견
민주당,총선 공천 대회
민주당, 총선 기본 정책 5개항 발표
자유당, 부통령 계승권 삭제를 위한 개헌 추진표명
공명 선거 실시 강조 담화 발표
이 대통령에게 공명 선거 보장을 요청하는 공한 전달
제 4대 민의원 선거
장 부통령, 5·2 총선 결과에 대한 담화 발표
국가 보안법 신안 국회 제출, 보안법 파동 시작
민주당, 신보안법 반대 성명
민주당, 보안법 개헌 반대 원내외 투쟁위 구성
보안법 반대 투위 소속 의원, 국회에서 농성
국회 농성 투위 방문, 보안법 대안 제출 요망 성명
국무위원, 장 부통령의 농성 국회 방문 비난
여당의 폭력적 처사에 항의
이 대통령에게 2·4 파동 문제로 면담 요청
이 대통령, 면담 요청 거절
야당 원내 연석 회의서 이 대통령 면담 추진
민주당 보안법 무효화와 수정 제안 병행 추진
경향신문 폐간
경향신문 폐간을 민주주의 역행이라고 규정된 담화 발표
무소속 의원들, 이 대통령·조병옥·장면 3자의 영수 회담을 추진
민주당 조병옥, 장면 대통령선거 출마 표명
경향 폐간 조치 비난 기자 회견
CBS기자와의 회견 석상에서 경향 폐간 조치를 인권 유린이라고 논평
대통령 후보의 당수겸임을 반대
민주당 양파, 당지도권 쟁탈전 확대
민주당 최고위원 조병옥과 장면, 신당 추진 움직임에 경고
영남 지방 수해 상황 시찰
민주당 신·구파, 경남도당 분규 사건으로 대립 격화
조병옥과 장면, 비밀 회담에서 당분규 수습 및 조병옥 최고위원의 대통령 후보 포기 성명 재고 등에 합의
민주당 정·부통령후보자 지명대회에서 부통령후보자로 지명
민주당 전당대의원대회에서 대표최고위원에 당선
 

   
1960. 1.12
1960. 1.25
1960. 2.7
1960. 2.15
1960. 2.17
1960. 3.5
1960. 3.14
1960. 3.15

1960. 3.17
1960. 3.20
1960. 4.13

1960. 4.19
1960. 4.21
1960. 4.23
1960. 4.28

1960. 6.4
1960. 6.15
1960. 6.19
1960. 6.20
1960. 7.12
1960. 7.29

1960. 8.8
1960. 8.12
1960. 8.13
1960. 8.19
1960. 8.21
1960. 8.22
1960. 8.23
1960. 8.24
1960. 8.27
1960. 9.2
1960. 9.12
1960. 9.20
1960.10.8
1960.10.11
1960.10.13

1960.10.19
1960.11.2
1960.11.3
1960.11.11
1960.11.12
1960.11.29
1960.11.30
1960.12.14
1960.12.20
1960.12.29
1961. 1.6
1960. 1.11
1960. 1.15
1960. 1.16
1960. 1.18
1960. 1.23
1960. 1.30
1960. 2.4
1960. 2.15
1960. 2.23
1960. 3.1
1960. 3.23
1960. 4.6
1960. 4.7
1960. 4.12
1960. 4.13
1960. 4.24
1960. 5.3
1960. 5.16

1960. 5.18
1960. 7.4
1960. 8.16
1960. 9.7
1960.11.10
1962. 3.30
1960. 4.15
1960. 7.1
1960. 8.10
1960. 8.28
1960. 9.27
1960.10.15
1960.10.20
1963. 2.11
1960.12.14
1964. 7.20
1965. 3.27
1966. 1.27
1960. 5.14
1960. 6.4
1960. 6.12
장면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 개헌 협상 반대성명
이 대통령 공한을 보내 정·부통령 선거의 5월 실시 요청
민주당 정·부통령 후보 등록
민주당 조병옥 후보 미국에서 서거
민주당, 정부에 선거 연기를 요청
서울 운동장에서 부통령 후보 정견 발표
정부의 협박과 회유에 속지 말 것을 전유권자에게 호소
정·부통령 선거
민주당, 3·15선거 무효 선언
부통령선거에서 낙선
민주당, 마산 사건 개요 발표
마산 사태 수습 위해 이 대통령 면담 요청
이 대통령, 장면 부통령 면담 요청 거절
4·19혁명
내외신 기자 회견에서 사태 수습은 재선거뿐이라고 언명
부통령 사임
허정 과도 내각 구성
자택에서 내각 책임제 개헌에 대한 내외신 기자 회견
민주당 신·구파간 공천 문제로 대립
국회 본회의에서 내각 책임제 개헌안 가결(총투표211표중 가208표, 부3표)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 방한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과 비공식 회담
장면 민주당 대표 최고 위원, 70만 대군을 40만으로 감군할 것을 언명
민·참의원 총선거, 민주당 압승
서울 용산 갑구에서 5대 민의원에 당선
제 2공화국 첫 국회 개원
윤보선씨 제 2공화국 초대 대통령 당선
윤보선 4대 대통령에 취임
민의원 본회의에서 국무총리 인준
윤대통령 방문해 구파 인사 입각 요청
신·구파, 조각 협상 결렬
장면 내각 성립
매카나기 주한 미 대사 장면 총리 방문
민의원에서 취임 인사 겸 시정 연설
구파의 원내 교섭 단체 등록은 사실상 분당 행위라고 비난
1차 개각
내한중인 미 국방성 팔머 해외 군원국장, 장면 내각 군사 정책을 비난
장면 박사 저격 배후 사건을 포함한 6대 사건 1심 판결
6대 사건 판결에 격분한 4·19부상학생 국회 난입 사건 발생
의사당 난입 사건에 정부의 책임을 통감한다는 담화 발표.
민주당 구파, 신민당 창당 선언
분당에 찬성
오스트리아식 통한론 배격 담화 발표
미 대통령 후보들에게 한국 중립화 거부 전문 발송
세라노 필리핀 외상과 동북 아시아 안전보장에 관한 공동 성명 발표
공무원 기강 확립을 위해 양담배 흡연 금지 등 4개 특별 지시 각부에 시달
3·15 부정 선거 관련자 처벌을 위한 소급입법을 규정한 개정 헌법 공포
기자 회견서 군통수권은 내각에 있다고 언명
국가 보안법 강화 또는 데모 규제법 제정은 필요하지 않다고 언명
여야 시국 간담회 개최, 격심한 대립으로 결렬
서울 시장 및 도지사 등 지방 장관 선거
연두기자 회견에서 중립화 통일 주장
평화선 고수 천명
개각 위한 여 협의체 구성 부인, 단독 내각으로 책임 정치구현 피력
곽상훈 민의원 의장과 정쟁 지양을 위한 회담
쌀값 억제책 공포
신민당, 장면 내각의 대일 외교노선에 반발, 범국민 운동 불사 성명
2차 개각
관훈 클럽 창립 4주년 기념식에서 '언론자유와 책임'이라는 제하의 연설
야당이 제의한 한미 행정 협정 수정안을 거부
서울 외신 기자 클럽에서 연설
국토 건설대 발대식
3·23회담
혁신계 집권과 거국 내각 반대 천명
제 5회 신문 주간 기념대회 참석, 언론의 중요성 강조
5월말에 일부 내각 및 기구 개편을 언급
유엔 총회 정치 위원회 결정에 대한 특별 담화 발표
민주당 총재로 선출
3차 개각
5·16 군사 쿠데타 발발
혜화동 갈멜 수녀원으로 피신
비상 계엄 추인과 총사퇴 결의
최고회의 공보실과 합동 수사 본부에서 민주당 정부의 용공 정책 진상 발표
나의 심경을 말한다' 인쇄물 배포
혁명 재판에서 증언
불기소 연금 해제
정정법 심사 대상자 1차로 이승만·장면·백낙준 등 2,907명 공고
정정법 해당자 4374명 확정
F.I. Remler 저 Why Must I Suffer? 를 번역한 『나는 왜 고통을 받아야 하
舊 이주당계 사건으로 불구속 입건 송치
법정 구속, 사형 구형
육본 보통 군법 회의, 징역 10년 선고
보석으로 출감
군재, 장면을 항소
구 이주당계 사건 항소심 판결, 3년 징역 5년 집유.
최고회의, 정정법 해당자 192명 추가 해제, 장면 등 74명은 미해제
M.V.Woodgate저 St.Vincent de Paul 을 번역한 『성 원선시오』를 출판
천주교 혜화동 교회 평의회 회장에 피선
지병 간염 악화로 성모병원에 입원
정정법 해제
명륜동 자택에서 향년 67세로 서거
국민장으로 장례식 거행

정치가 '장면'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친일파에서 업적은 정치장면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잘못등에 대해 서술해주세요 추가 내공도 드립니다... 쉽게 알려줄 수 있을 거란 생각에 써내려가 보겠습니다. 실제로...

정치대해서 알려주세요

우리나라 좌파 우파 ,좌익 우익 ,진보 보수 이게 무엇인지 또 정치 기본적인 것들좀 알려주세요 정치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좌파와 우파 좌파는 진보적인...

팬덤 정치의 의미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어느 곳은 정치 팬덤이라고 하고;; 정확한 의미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십니까? 답변드려요. 팬덤 정치란 무엇인가요? 팬덤 정치는 다양한 의견과 해석이 존재하는 용어입니다....

정치대해서

이제 막 투표 가능한 나이인데요 여당 야당부터 정말 기본적인 정치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자기 정치색 드러내지 마시고 객관적으로 판단할수있게 어떤게 있고 각각...

16~18세기의 정치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 한 5~8줄이내 정도로 알려주실 있나요? 16-17세기: 전제왕정 혹은 절대왕정 중심 정치, , 의회파-왕당파 정파 제제 17세기 중반의 잉글랜드 연방 시기: 공화정 18세기: 조지...

정치좀 알려주세요

정치대해서 하나도 모르는데 좀 알려주실분 구합니다 저희 부모님은 이재명하고... 그리고 정치 기초좀 가르쳐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kRwvZihZmPg 정치를 이해할려면...

정치대해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 정책, 나라 상황 이런것에 대해서 객관적인 판단을 하고싶은데, 허구한 날 싸우고만... 제발 좀 알려주세요. 정치는 복잡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와 이익이 교차하는 분야입니다....

일본의 영향을 받은 현재 한국 정치

일본의 영향을 받은 한국 정치대해서 알려주세요 ㅠ 찾아도 마땅한게 안나와서요 !! 민감한 주제이긴 하지만 그래도.. 알려주세요 !! 한국 정치에서 일본의 영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