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역대왕조를 시대순으로 정치, 경제,문화,사회등의 영역으로 정리하묜?...

중국역대왕조를 시대순으로 정치, 경제,문화,사회등의 영역으로 정리하묜?...

작성일 2003.02.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기 제발 부탁인데욘~~
이게 방학숙제인데...
낼까지 거듬요..
낼이 개학이라서..
다른건 다 했는데..
역사에 대해서 워낙 지식이 없어섬...
이 불쌍한 아이를 돌보아주세요...
중국역대왕조를 시대순으로 정치,경제,문화,사회의 영역으로 정리하는것좀 보내주세욤...
제발 부탁이예욘...
4시간 정도 인터넷을 다 뒤져봤는데도 없어서..ㅠ.ㅠ
제발 ...플리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중국 문명
① 황하(황하) 문명 ⇒ 신석기시대 황하 유역의 황토지대: 간석기 사용, 농경·목축 생활
전기―양사오 문화(채도 문화: BC.3000경):산서 후기―룽산 문화(흑도 문화: BC.2500): 산동
② 중국 최초의 국가 은(은): BC.16세기―11세기, 청동기 문화, 농경생활(은력과 간지)
은허의 발굴과 갑골문자의 발견⇒은의 실체를 확인
도시 국가, 형제 상속제→부자 상속제(왕권의 강화), 제정 일치 사회(국가 중대사를 갑골에 글자를 새겨 점을 쳐서 해결: 갑골문)
③ 주(주) 왕조와 봉건 제도
서쪽의 위수 분지에서 발전 → BC. 11세기에 은을 멸망, 호경(시안)에 도읍: 동서문화 교류와 군사적 중심지→ 진, 한, 당
종법 제도에 기초한 혈연적 봉건제도(지방 분권) 천명(천명) 사상 : 왕은 하늘로부터 명을 받아 백성을 통치―지배 이데올로기

1) 고대 중국의 형성
① 고대 중국 사회의 변화 ― BC. 6세기 철기 사용
군사적으로는 국민개병을 가져오고, 정복활동을 촉진함.
경제적으로 농업생산의 비약적 발전, 경작지의 전국적 확대 ⇒ 씨족공동체 해체와 소가족제 발달, 인구증가, 상공업 발달, 화폐경제 발달.
또한 개인의 능력 중시로 사인관료층(사인관료층)이 등장(제자백가)
② 춘추 전국 시대의 대세
춘추 시대(BC.770-403): 서북방 유목민의 침입으로 수도를 뤄양(낙양)으로 옮긴 이후, 존왕양이(존왕양이) 운동과 오패(오패) 등장.
전국 시대(BC.403-221): 주왕조 무시, 전국 칠웅(칠웅) ⇒ 영토국가로 발전, 중앙집권적 군현제의 출현, 관료제 출현
③ 제자백가(제자백가)와 중국 사상의 성립 ─ 현실주의 반영: 인간의 윤리 문제와 국가 발전을 최우선시.
배경 : 제후들의 부국 강병 추구 → 인재 본위의 관리등용 → 사인계층 등장
유가(유가) : 공자, 가족윤리의 사회 확대, 왕도 정치, 전통 중시하되 합리성 강조
도가(도가) : 노자, 인위적 도덕이나 제도 부정(무위자연), 장자가 계승, 작은 정부 지향
묵가(묵가) : 묵자, 차별없는 인류애(겸애설), 노동·근검·평등, 인재 등용 주장
법가(법가) : 한비자, 순자의 성악설(예사상)에 자극, 법질서 강조 ⇒ 전제 군주의 출현을 지지: 진(진)의 진시황

2) 진(진)·한(한) 통일 제국 : BC.221∼AD.220
① 최초의 통일제국 진(BC.221-206) ─ 시황제
정책 : 군현제 실시, 화폐·도량형·문자의 통일, 분서갱유, 흉노정벌(만리장성)
쇠망 : 무리한 외정, 급격한 개혁, 대토목 공사로 백성의 불만과 반란 → 진승과 오광의 난
② 한 제국의 성립과 발전 (전한:BC.206-AD.8)
건국 : 농민 출신의 한고조 유방이 건국, 군국제 실시, 덕치주의 채용(피폐해진 백성을 위무)
전개 : 제후세력의 억압 ⇒ 오초 칠국의 난(BC.154) ⇒ 평정 ⇒ 무제 때 강력한 황제권 확립, 군현제 실시
무제 : 흉노토벌 등 대외정복에 힘씀 ⇒ 재정부족 ⇒ 재정 확보 위해 균수법·평준법·염철전매를 실시⇒ 물가 상승과 사회적 불안 초래
유교 정치 이념 확립: 오경박사, 향거리선(향거리선). 장건을 파견 → 비단길 개척
③ 신(신 AD. 8-23: 왕망)
정책: 토지국유(정전제), 노비매매 금지―복고적 경향 결과: 호족의 반발, 경제 정책의 실패 ⇒ 적미적의 난
④ 후한(후한 AD. 25-220)
성립: 호족세력의 추대로 광무제 즉위, 유교정치 쇠망: 외척·환관·관료의 당쟁, 황건적의 난, 호족세력 발호
⑤ 한대의 사회와 경제
호족의 형성 배경: 가족 단위의 사회 형성, 대토지 소유, 향거리선제 실시
호족 견제책: 무제의 인재 등용, 한전법 실시⇒호족의 반발로 실효 없었음.
경제: 중농억상책에도 화폐가 유통되고, 상업이 발달
3) 중국 문화의 성립
① 한대 문화의 성격
중국 전통 문화의 기반 형성 ─ 고전 문화 정리, 황제지배체제, 유교의 국교화, 영토의 확대, 한자의 완성
유교 사회 성립 ─ 관학 일치 사회(유교적 지식을 갖춘 사인을 등용), 훈고학의 발달(정현, 마융)
민간 신앙: 태평도, 오두미도 불교의 전래(후한 초기, 비단길 통해 : 대승불교)
채륜의 제지법 발명 ⇒ 당나라때 이슬람 거쳐 유럽에 전파 (751년 탈라스 전투)
② 역사학의 발달 ― 유교적 세계관에 입각 ⇒ 사마천의 >, 반고의 >: 기전체 역사서

1) 중국의 분열과 남북조 시대의 변천 (귀족 사회)
① 삼국의 분립과 5호16국
삼국의 분립(3C초-4C초) : 후한의 붕괴로 위, 촉, 오로 분립 ⇒ 서진 통일(280)
5호 16국(4C초-439) : 5호 침입 → 화북에 16국, 서진의 강남피난(동진 건국)
② 남북조 시대(439-589: 수의 통일)
북조(북방 유목민족):북위의 화북 통일, 효문제―한화정책, 균전제 실시, 동·서위 분열 → 서위:북주로, 동위:북제로. 4조를 북조
남조(한족) : 동진 → 송 → 제 → 양 → 진, 4왕조를 남조. 건강에 도읍한 6왕조(오포함)를 6조라 함, 강남 개발
③ 남북조 시대의 사회와 경제
북조의 5호는 한문화에 동화되고, 남조는 한족의 강남이동으로 산업이 발달. 인구 증가
구품 관인법 : 목적― 호족의 관직 독점 방지, 인재 등용 결과― 호족의 문벌 귀족화 촉진
호족의 대토지 소유에 따른 억제 및 농민 구제책 : 둔전법(위), 점전제,과전법(서진), 균전제(북위)
④ 남북조 시대의 귀족 문화 (정치 이념은 여전히 유교)
북조 문화 : 유목문화가 중국문화에 동화, 국가 보호 아래 불교 발전
남조 문화 : 화려하고 귀족적인 문화, 귀족 중심 불교 발전, 노장사상·청담사상 발달
남북조의 예술: 석굴사원, 도연명의 시, 4·6변려체(형식을 강조하는 귀족적인 문체)

⑤ 불교의 발달과 도교의 성립
불교의 발달 : 후한 초에 전래된 불교는 남북조 혼란기에 귀족 중심으로 성행
도교의 성립 : 북위의 구겸지, 청담 사상 유행(유유자적한 개인 생활 추구)

2) 수· 당 제국과 동아시아 문화권 (귀족 사회)
① 수의 중국 통일(589)
양견(문제) : 수를 세우고 남조의 진을 병합, 대흥(시안)에 도읍, 과거제 실시
양제: 대운하 건설→ 화북경제와 강남경제의 교류 활발, 강남 개발의 본격화. 지나친 토목 사업과 고구려원정 실패로 각지에서 반란 발생
② 당의 건국과 발전(618-907)
발전: 태종―정관의 치, 토번 ·돌궐·위구르 복속, 현종―개원의 치, 절도사 파견, 말년에 정치혼란
당의 해체 원인: 절도사의 대두― 안·사의 난(755)이 당 쇠망의 결정적 계기가 됨
율령체제의 붕괴― 균전제의 붕괴, 장원의 확대(지주전호제), 농민 몰락, 농민 반란(황소의 난), ⇒ 5대 10국
③ 당의 사회와 경제
율령체제 완성 : 3성6부제, 관리등용―과거제, 토지―균전제 군사―부병제, 조세―조·용·조
※ 안·사의 난 이후 : 균전제가 붕괴(농민의 토지 이탈로 부역제 해이) → 지주전호제, 부병제 → 모병제
조·용·조 → 양세법(토지의 소유 정도에 따라 여름,가을로 2회 납부)
경제: 운하 건설로 도시발달, 상업발달. 대외무역―육상(비단길), 해상무역(광저우,양저우→시박사)
④ 당 문화의 발전
특징 : 귀족적 문화, 국제적 문화 유학 : 훈고학의 집대성―공영달 '오경정의' 편찬
문학 : 시―이백, 두보, 백거이, 문장―한유, 유종원(한대이전의 고전 부흥 주장)
공예―당삼채 불교―선종, 정토종 도교―왕실의 보호 다양한 외래 종교(국제적 성격 반영)
⑤ 동아시아 문화권의 완성 : 통일신라, 베트남, 일본(다이카 개신:645), 발해
당 문화의 국제적, 개방적 성격으로 동아시아 세계는 문화 공동체를 형성
공통점 : 한자 사용, 유교와 불교의 신봉, 율령 국가 체제를 기반으로 민족문화 형성

3) 송(송)의 통일과 서민 사회의 발전: 960∼1279
※ 당송 변혁(당송 변혁): 중세로부터 근세로의 전환
1. 3성 6부를 중심으로 한 귀족정치 ⇒ 문치주의와 과거제를 바탕으로 한 군주 독재 정치
2. 문벌 귀족 사회 ⇒ 사대부, 형세호(지주)의 사회 지배
3. 균전제 ⇒ 지주전호제 발달, 경제 중심의 강남 이동, 상업과 도시의 발달: 상업 혁명
4. 국제적. 개방적인 대외 관계 ⇒ 민족적, 국수적(화이 사상과 대의 명분을 강조하는 성리학 발달)
5. 귀족 중심의 시와 문장 발달(사륙변려체) ⇒ 고문부흥 운동, 구어체의 서민문학 발달(사, 희곡, 소설)
6.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 및 주도 ⇒ 주변 민족의 자각과 정복 왕조(요, 금, 원)의 등장
① 송의 건국과 문치주의
건국 : 후주 절도사 출신의 조광윤이 송을 세움(960년)
통치체제 : 중앙집권적 문치주의로 사회 안정, 황제가 과거에 직접 관여→ 황제독재 체제 성립
사대부(사대부) : 관료의 기반이 된 계층으로 '독서인 사대부'로 우대받음.
② 송의 대외관계
북방민족 : 당의 붕괴로 민족국가를 세움 → 요, 금, 원의 정복왕조 등장
북송: 요(요916- 1125) ― 발해 멸하고(926), 북송과 대립, 북송은 막대한 세폐를 주어 화친 도모
북송은 금과 동맹하여 요를 멸망시킴(1125)
남송: 금(금1115-1234) ― 화북지방 점령, 송은 강남에서 남송을 건국(정강의 변;1127)
③ 왕안석의 혁신정치(북송: 1069)
배경 : 문치주의→관료증가, 국방력 약화 → 모병제와 세폐로 국가 재정난 → 변법 실시
내용 : 부국책―청묘법, 균수법, 시역법, 모역법 강병책―보갑법, 보마법
결과 : 보수파 관료(사마광), 대상인, 대지주의 반대로 실패, 당쟁 유발(신법당 ↔ 구법당) ⇒ 북송 멸망의 원인이 됨.
④ 남송(남송1127-1279)
정강의 변(1127) : 금의 침입으로 화북을 빼앗기고 강남의 임안(항조우)에 도읍
주전파와 주화파의 대립 → 결국 회수를 경계로 평화 유지 → 몽고에 멸망(1279)
⑤ 송대의 사회와 경제
새로운 지배층 대두─사대부(신흥지주; 형세호)
산업과 경제 : 강남 경제가 화북 경제 추월
농업─장원 확대와 지주 전호제의 발달, 농업 발달,
상업─상업혁명시대, 전국적 시장권 성립, 상업도시, 수공업 발달
무역─해상 무역 발달 , 화폐 유통─교자(북송), 회자(남송)등 지폐
동업조합 형성─행(상인), 작(수공업자)
⑥ 송대 서민 문화의 발달
송대 문화의 특징 : 도시 중심의 서민문화 발달, 국수적·복고적·민족적 문화, 성리학 발달(민족적)
성리학의 성립(주희): 배경─훈고학에 대한 반발, 불교 선종의 영향, 내용─인간의 본성, 우주 근원 원리 탐구, 대의 명분 중시, 이기론
영향─정치, 사회 윤리로 발전 → 군주 독재 체제 지지, 가족 윤리 기반.
역사 : 사마광의 '자치통감' 문학 : 서민문학─ 사(사:구어체 소설)
자연과학 : 3대 발명― 인쇄술, 나침반, 화약

4) 북방 민족의 발전과 정복왕조(정복왕조)의 출현
① 정복 왕조의 출현과 동아시아 역사의 변화(10세기 중엽 이후)
당 제국 말기 10세기 초에 당의 기미정책의 속박을 탈피하여 민족의 통일을 이룬 후 통일 제국 수립
② 최초의 정복 왕조 요(거란: 916-1125): 발해 멸망시키고 화북 침입 → 연운 16주 점령(937)
2원적 지배체제 ― 부족제(거란족), 군현제(한족), 거란 문자 사용
③ 서하의 건국과 발전(1038-1227): 서하 문자 사용, 불교 보호, 중국의 유교정치 제도 도입, 중계무역으로 번영→송으로부터 세폐받음
④ 금의 건국과 발전(1115-1234): 여진문자 사용, 전진교 유행, 북송과 동맹하여 요를 멸망, 이후 북송도 멸하고 화북지방 차지(1127)
2원적 지배체제 : 여진족 ― 맹안·모극제, 한족 ― 군현제 ⇒ 점차 한족화함
⑤ 몽고의 세계 제국과 4한국
몽고제국 건설 : 칭기즈칸(태조) ― 중앙 아시아, 러시아 동쪽 정복→ 차가타이 한국 건설, 쿠빌라이(세조)―남송 멸망(중국통일;1279)
통치방식 : 본국(원)과 4한국으로 분할통치(킵차크, 일, 차가타이, 오고타이 한국) → 독립적
⑥ 원의 중국 지배: 1271∼1368
쿠빌라이의 한화 정책 통치정책 : 주현 제도를 기본으로 행성을 두어 행정·군사면을 장악
민족별 차별 신분제 (몽고인→색목인→한인→남인)
원 쇠망 이유 : 왕위 계승 내분, 지나친 라마교 행사로 재정 궁핍, 교초 남발과 과중한 세금징수, 한족의 반란(백련교도의 홍건적 난)
주원장이 명(명) 건국→몽고족 축출(1368)
⑦ 원대의 사회와 경제
사회 제도 : 신분제, 역전제, 본국과 한국의 2원 통치 체제, 교초에 의한 경제 정책
무역 : 육상 무역―대제국 건설과 치안 확보, 역참제도 확립, 텐산 남북로, 초원길. 해상 무역―시박사를 두어 관리(임안, 항조우, 등)
⑧ 원대의 문화
특징 : 여러나라의 문화 수용―송의 문화 계승, 서민적인 구어체 문학 발달
문학 : 희곡―원의 문학 대표, 서상기 비파기 소설―수호지, 삼국지연의의 원형 성립
문자 : 몽고 문자(파스파 문자), 공용어―몽고어, 공문서―위구르, 파스파 문자

1) 명의 건국과 한 문화의 부흥
① 명대 한족의 주권 회복
건국(1368): 주원장이 경제 중심지이자 반원의식이 강한 강남지방을 배경으로 한족 국가세움.
황제권 강화: 재상제 폐지, 율령 정비, 이갑제 실시, 부역황책(호적 대장)과 어린도책(토지대장) 편찬
전통문화 부흥: 6유의 제정과 보급, 과거제 부활(유교 사회 건설)
② 명의 발전
성조 영락제(1402-1424)의 업적: 북경 천도, 내각대학사제, 베트남 경략하여 조공체제 확립
정화의 원정(1405-1433): 7차원정, 동남아,아프리카 동부해안 진출 → 화교의 동남아시아 진출계기
③ 명의 쇠망
환관의 발호, 북로남왜의 침입, 임진왜란의 원조로 국력 소모 이자성의 난으로 멸망(1644)
④ 명대의 사회와 경제
사회지배층인 향신 계층 등장: 지방 실력자로 민중교화, 각종사업, 조세징수로 영향력 행사.
농업: 강남지방은 15세기후 쌀 대신 면화 등 상품작물과 외래작물 재배 → 새로운 곡창지로 내륙의 쓰촨, 후난지방, 광동성 지역이 발전
수공업: 16세기 이후 양쯔강 하류지역의 강남지방: 면직물, 견직물 등 직물공업이 발달 → 자본주의의 맹아 등장
상업의 발달: 지주의 도시이주 현상(강남), 상인 조합결성(행: 공소, 회관설치).
일조편법: 신항로 개척후 유럽에 들어온 은이 대량 중국으로 유입된 16C초부터 실시⇒복잡한 조세와 부역을 각각 일조를 묶어 은으로 납부
④ 명대의 문화
복고적이고 실용적인 한족문화 양명학: 성리학의 형식화와 획일화에 반대, 지행합일설 주장
실학: 성리학과 양명학 절충 문학: 서민 문학 발달, 삼국지연의, 서유기, 수호지, 금병매
미술: 원근법과 음영법 서양문화 전래: 예수회∼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지도'
2) 청조의 중국 지배와 문화
① 누르하치의 후금 건국(1616), 태종∼국호를 청으로 변경, 조선 침략, 세조: 이자성의 난을 틈타 북경 점령, 중국지배
② 청조의 중국 통치 정책
성조∼고종 3대 130년간(1661-1795) 전성기, 최대 영토 확보.
통치책: ▷강경책∼만주풍습 강요, 반청사상 탄압(문자의 옥). ▷회유책∼만·한병용책, 과거제
군사제도: 만주팔기(부족제와 군사제를 융합) 중심.
③ 청조의 사회와 경제
지배층: 향신층(명과 동일)
농업: 쌀생산지: 양쯔강 중류의 후난,쓰촨이 최대 생산지로 성장
▷양쯔강 하류 델타(강남지방): 상품작물 재배, 직물공업과 상업발달 → 회관, 공소설치
조세제도: 지정은제∼토지세인 지은과 인두세인 정은을 통합.
④ 청조의 문화
대규모의 편찬사업: , 완성
고증학의 발달: 정치적 문제 회피하고, 심학에 치우친 양명학에 대한 반발로서 실증적인 고전 연구∼고염무, 단옥제, 전대흔
청말의 공양학: 고증학에 대한 반동으로 현실 문제에 관심∼강유위(변법자강운동), 실학도 발달
⑤ 서양 문화의 유입
선교사에 의한 서양과학 전래, 중국문화 소개로 볼테르와 케네 등 계몽사상가에게 영향 줌
건륭제 때 전례문제로 포교 금지와 쇄국정책으로 세계의 대세에 뒤처짐

1) 중국 전통 사회의 동요
① 청조의 쇠퇴
원인: 만주팔기의 무기력화, 관료층의 부패, 민란, 18세기이후 폭발적 인구증가로 유민문제 심각
백련 교도의 난: 반청운동 19세기의 유럽열강의 침략에 대처능력 상실.
ⓐ 아편 전쟁(1840-1842)
배경: 영국이 청조의 중화주의에 입각한 공행체제 무역에 불만→아편을 중국에 수출→중국의 은이 유출→청경제에 타격
경과: 청의 강경대응, 영국의 도발→청의 패배로 난징 조약 체결
난징조약(1842): 5 항구 개방, 홍콩 할양, 공행 폐지, 영사 재판권 인정등 불평등 조약으로 개항
ⓑ 제2차 아편 전쟁(1856)
배경: 청의 저항, 영국과 프랑스는 무역 부진에 불만
애로우호 전쟁(1856): 애로우호 사건, 프랑스 선교사 처형→영,프 연합군 침략→청 패배
베이징 조약(1860): 영국에 주릉반도 할양, 텐진등 북부11항 개항, 외교관 북경주재, 기독교포교

2) 중국의 개혁과 혁명 운동
ⓒ 태평 천국 운동(1850-1864) ☞ 동학농민운동
배경: 아편전쟁후 정치와 경제 혼란, 화남의 반청 감정 격화
성립: 홍수전이 크리스트교적 성격을 띤 상제회를 조직 봉기 → 화남일대 점령, 태평천국 수립
개혁 정책: 남녀 평등, 토지 균분(천조전무제도: 동학의 주장과 동일), 청조타도 구호로 민중 지지 획득(동학은 기존정권 타도 주장 안함)
결과: 한인 지주와 관료층을 대표하는 증국번, 이홍장 등의 향용과 열강의 공격으로 진압됨.
ⓓ 양무 운동(동치중흥, 1861-1894) ☞ 광무개혁
배경: 한인 관료인 증국번과 이홍장 등이 서양 근대 기술을 도입하여 부국강병을 추진
내용: 군사력 강화, 인재양성, 경제기반 확립에 주력, 외교 전담 기구로서 총리기무아문 설치
사상: 중체서용론(중체서용 = 동도서기 = 구본신참)―중국의 전통적인 체제를 유지시키며 서양의 기술만 배우겠다는 주장.
결과: 서양기술의 피상적 모방에 그쳐 정치,사회적 모순은 해결치 못해 청일전쟁의 패배로 그 한계점을 드러냄.
ⓔ 변법 자강 운동(1898) ☞ 갑신정변과 독립협회, 일본의 메이지 유신
배경: 양무운동의 한계성에 대한 반성→근본적인 개혁 모색
경과: 강유위와 양계초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아 개혁을 단행(무술변법)
개혁 내용: 입헌 군주제 실시(우리나라의 갑신정변과 독립협회 주장, 일본의 메이지유신), 군제 개혁, 과거제의 폐지, 농·공·상업의 진흥
실패: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반격(무술정변)으로 100일만에 실패
ⓕ 의화단 운동(1899-1901)
배경: 열강의 경제침투와 크리스트교 포교에 대한 배외 감정 고조
경과: 의화단이 부청멸양(부청멸양)을 주장하며 배외운동 전개 → 서태후 등 보수파의 지원
결과: 8개국 연합군의 베이징 점령 → 신축조약(베이징 의정서)체결 → 중국의 반식민지화 심화
ⓖ 신해혁명(1911. 10. 10)
중국 혁명 동맹회(1905): 청조 타도를 위한 혁명 조직
손문의 삼민주의: 민족, 민권, 민생
혁명 발발: 청조의 철도 국유화령에 반대 → 사천성에서 폭동 → 신군의 혁명(우창봉기, 1911)
중화민국 수립(1912): 손문이 임시 대총통에 취임, 남경에 도읍 → 아시아 최초의 민주 공화정
군벌의 난립: 위안스카이는 청조를 붕괴시킨후 중화민국 총통 취임 → 혁명파 탄압, 황제즉위 기도 → 국민당을 중심으로 위안스카이 토벌 운동 전개 → 위안 스카이 사망후 군벌의 난립

① 중국의 민족 운동
신문화 운동(1915∼): 천두슈, 후스 중심, 발행, 백화 문학
5·4 운동(1919): 베이징 대학생을 중심으로 일본의 21개조 요구 철폐, 베르사유 조약 거부, 매국노 처단 요구
거족적인 반군벌,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확산.
②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의 성립
국민혁명의 진전: 손문은 중국 국민당을 결성, 공산당 흡수→제1차국공합작(1924):반군벌,반제국주의→장제스의 북벌,중국통일(1928)
중국 공산당: 장제스가 북벌 중 공산당 숙청(1927)→소비에트 임시정부 수립(1931)→대장정(1935)→제2차 국공합작(1937):항일투쟁

중국 공산 정권의 수립과 변화
① 중국 대륙의 공산화
공산정권의 수립: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 패배─마오쩌둥의 공산 정권 수립(1949)
공산주의 정책 실시: 토지개혁과 산업의 국유화, 대약진 운동(인민공사: 1958) 실패.
문화 대혁명: 1966년부터 공산주의의 순수성을 내세우며 전개했으나 현대화에 큰 차질을 초래
② 등소평 개방정책: 모택동의 사망(1976)후, 1978부터 자본주의적 요소를 가미한 현대화 추진, 자유진영과 관계개선→세계 강대국으로 부상
경제발전: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새로운 사회 문제 발생(빈부차, 환경문제 등)
※ 홍콩반환: ①1국2체제를 통한 대만과의 통일 시도 ② 대중화 경제권 형성 ③ 남중국해 패권 장악

----------------------------------------------------------------
흠냐...-_-;; 번호는 약간 안맞을것이오..
세계사자료에서 중국것만 발췌해왔기땜시... 번호는 약간 수정해가세요..
그리고 뒷부분은 근,현대사이니까 안해가도 될듯.. 청왕조까지만 해가도 웬만한 점수는 받을것이오..

중국역대왕조를 시대순으로 정치, 경제...

... 중국역대왕조를 시대순으로 정치,경제,문화,사회영역으로 정리하는것좀 보내주세욤... 제발 부탁이예욘...... 흉노토벌 대외정복에 힘씀 ⇒ 재정부족 ⇒ 재정 확보...

역사 명나라 사회,문화,정치,경제적 특색...

역사 명나라 사회,문화,정치,경제적 특색 알려주세요ㅜㅜ... 건국한 중국왕조입니다. 명나라는 1644년 청나라에... 명나라의 문화는 도자기, 금속 제품, 종이, 의복, 음식 ...

중국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

중국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전반적인 내용 정리 해 주세요. 중국을 이해 할 수... 군사적으로 한반도에 성립하였던 고구려, 백제, 신라는 거의 중원왕조와 한 차례...

중국의 주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중국의 주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발전좀 알려주세요... (殷) 중국의 고대 왕조(BC 1122?∼BC 256). 주(周)왕조는... 이러한 혼란의 와중에 공자, 노자, 맹자 많은 사상가들이...

[넘넘 급해요]중국 역대 왕조(나라별)...

... 저의 질문은 제목 그대로 중국 역대 왕조(나라별)... 각 왕을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 특징이 자세히 알고... 청동기 귀중하기 이를 대 없는 사료와 문물을 남겼습니다......

중국 역대 왕조의 자세한 변천과정이...

중국 역대 왕조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을 자세히 알고싶어요... ) 중국 문명 ①... 154) ⇒ 평정 ⇒ 무제 때 강력한 황제권 확립, 군현제 실시 무제 : 흉노토벌 대외정복에...

춘추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좀...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변화에 대해 알고 싶어요^-^ 조금 자세히 알려주세요 [경제/사회/문화/정치] 또... 각국의 군주는 스스로 왕을 자칭하고 광대한 영역을 통치할 관료기구를...

신라 하대 정치, 경제, 사회 모순이란?

신라 하대시기에서 정치, 경제, 사회 모순에 대해... 그리하여 정부에 독립적인 행동을 취하였으며, 중국 등과... 갖추고 영역을 확대해 나가자, 왕을 자칭하고 국가의 성립을...

역사 수행평가 도와주실분?(내공 100)

... 역사적 의의 *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대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 정치 체제, 경제 시스템, 문화 다양한 분야에서 후대 왕조들에게 모델이 되었습니다....

영조와 정조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영조와 정조의 정치, 경제, 사회, 문와에 대하여 (표로) 좀... 1736년에는 조선왕조의 근본법전인 《경국대전》을 수명... 발간하는 성관(盛觀)을 이루게 되어 중인문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