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vs구미

포항vs구미

작성일 2008.01.0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궁금해서 올리는데요....... 구미가 발전됬나요? 포항이 발전됬나요? 그리고 어디가 돈을 잘벌나요??? 얼마만큼 버는가 적어주시면 더 ㄳㄳ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포항입니다

 

 

 

 산업경제 기본현황
 
 
글로벌 경제성장 모델도시 창출을 위해 철강산업의 고도화와 더불어 국제교역 및 차세대 성장엔진산업의 집중육성으로 지역 산업구조의 다각화 및 기업하기 좋은 도시기반 조성
 
 
 산업구조
   
 
 
 
 공업단지
   
 
구분/단지별 부 지 입 주 가 동 고용인원
6,735천평 296 업체 266 업체 22,169명
POSCO 2,690 1 1 9,750
제1단지 1,189 75 72 4,667
제2단지 1,209 92 92 3,592
제3단지 790 64 64 2,741
제4단지 620 36 11 101
청림지구 178 4 4 978
농공단지 59 24 22 340
 
 
 생산 및 수출
   
  - 2006 생산실적 : 32조 232억원

- 2006 수출실적 : 5,614백만불(2005년 대비 9%증가)

- 2006 수입실적 : 7,892백만불(2005년 대비 8%증가)
 
 
 포항4 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
   
  - 위치 : 남구 오천읍 문덕리,
        대송면 대각·옥명리 일원

- 사업량 : 공단조성 621,692평

- 사업비 : 1,280억원

- 사업기간 : 2002.1~2006.6
 
 
 영일만항 배후단지 조성
   
  - 위치 : 북구 흥해읍 용한리 일원(180만평)
- 제1지방 산업단지 : 30만평(2010년)
- 제2지방 산업단지 : 23만평(2008년)   
  • 용한지구 도시개발사업[현대중공업(주)] : 3만평
  • 용한2지구 도시사업개발 : 4.5만평(2010년)
  • 제3지방 산업단지 : 9.7만평(2010년)
  •  
     
     첨단과학산업 육성
       
     
  • 포항테크노파크 2단지 조성
  •  
     

    - 위치 :  포항시 남구 연일읍 학전ㆍ달전리 일원

    - 사업량 : 88만평

    - 사업비 : 4,181억원

    - 사업기간 : 2006 ∼ 2016

     

       
     
  • 국가나노기술집적센터 건립
  •  
     

    - 위치 : 포항시 남구 효자동 산 31

    - 규모 : 부지 6,440평 / 건물 3,880평

    - 사업비 : 1,129억원

    - 사업기간 : 2004 ~ 2008

       
     
  • 포항지능로봇연구소 건립
  •  
     

    - 위치 : 포항시 남구 지곡동 166-20 외

    - 규모 : 부지 2,500평 / 건물 2,000평

    - 사업비 : 396억원

    - 사업기간 : 2004 ∼ 2009

       
     
  • 로봇체험ㆍ전시관 설립
  •  
     

    - 위치 : 포항지능로봇연구소 내

    - 규모 : 590평정도

    - 사업비 : 20억원

    - 사업기간 : 2007. 1 ∼10

       
     
  • 스틸표면가공 통합기술지원센터 건립
  •  

    - 위치 : 포항공대 철강대학원 부지 내
    - 규모 : 부지 2,382평 / 건물 1,963평

    - 사업비 : 200억원
    - 사업기간 : 2006 ∼ 2008

     
     
     항만
       
     
  • 항만시설
  •  
      물양장 길이 : 2,414m
     
     
    구 분 길 이 수 심 접안능력 하역능력(천톤)
    척수 톤수(천톤)
    9,463   45 1,200 44,542
    신항 8,546 5.5~19.5 37 1,173 42,225
    구항 917 5.5~7.5 8 27 2,317
     
     
  • 항만 물동량 추이
  •  
     
       
     
  • 영일만항 건설
  •  

    ㆍ 21C 동북아 경제권 형성 및 대북방 교역의 전략적 거점항 개발

    ㆍ대구ㆍ경북산업을 주도하는 물류중심항 건설로 환동해 물류중심도시 구현

     

     

    - 위치 : 포항시 북구 여남동 ∼ 흥해읍 용한리 해면

    - 규모 : 부두 15선석 (컨테이 4선석), 방파제 8.8km

    ※ 2015년 → 17선석, 2020년 → 20선석

    - 사업비 : 1조 7,277억원(정부 13,895 민자 3,382)
    - 사업기간 : 1992 ∼ 2011

    - 처리능력 : 1,400만톤(43만TEU)/연

     
     

     

     

    구미입니다 ㅎ

    구미국가산업단지

    2007년 09월 기준
    조성목적 및 특징 전자산업 중점 육성을 위한 입지제공, 전자·반도체 섬유업종 중심산업단지
    사업시행자
    / 관리기관
    1단지 한국전자공업공단(1,550천㎡), 경상북도(4,330천㎡) 1, 2, 3, 4단지 한국수자원공사(11,598천㎡)/한국산업단지공단
    위치 대구 북쪽 33㎞ 지점의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산동면, 칠곡군 일원
    지형 및 지반 구릉지, 야산, 전답, 공유수면, 잡종지로 구성된 북고남저형의 비교적 평탄지
    기 후(연 평균) 온도 : 13.6℃ 강수량 : 1,287㎜ 강우일수 : 86일 습도 : 59% 최다풍향 : 서북풍
    추진경위 1973. 8. 25 지방공업개발장려지구 지정(건설부고시 제85호)
    1977. 4. 22 산업기지개발구역 지정(건설부고시 제72호)
    1998. 3. 13 제4단지실시계획 승인(부산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1998-49호)
    조성기간 1968. 3 ∼ 1996. 9. 30(1, 2, 3단지)
    1998. 3 ∼ 2006. 12. 31(4단지)
    분양가격 산업시설구역:13,0,0,00(,05)(원/㎡)
    납부방법 산업/지원시설구역(4단지) : 2년 ~ 5년 분할상환
    지원시설구역(3단지) : 계약금 20%, 중도금(3개월) 30%, 잔금(6개월) 50%
    입주절차 입주신청서 제출 → 사업계획서 검토 → 입주승인 → 입주계약
    입주가능일 즉시
    입주신청서류 입주계약신청서(소정양식), 사업계획서(소정양식)
    입주신청,
    입주기업체
    정보문의 등
    관리기관 : 한국산업단지공단 중부지역본부 창업지원팀
    주소 (우 730 - 030)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164
    전화 054) 467 - 0741/5 FAX 054) 463 - 2491

    면적

    2007년 09월 기준
    면적현황 총면적:21,876천㎡
    산업시설구역:15,767천㎡
    지원시설구역:1,163천㎡
    공공시설구역:3,685천㎡
    녹지구역:1,261천㎡
    기타:0천㎡
    산업용지
    분양현황
    분양대상면적:14,559천㎡
    분양면적:13,828천㎡
    미분양면적:731천㎡

    지가

    2007년 09월 기준
    공시지가 산업시설구역 : 106천원/㎡정도, 지원시설구역 : 580천원/ ㎡정도
    거래지가 산업시설구역 : 136천원/㎡정도, 지원시설구역 : 640천원/ ㎡정도

    입주업체현황

    2007년 09월 기준
    업체수 입주업체:972개사, 가동업체:786개사
    고용인원 74,093명(남 50,617명, 여 23,476명)
    연간 생산,수출 >생산:209,369(억원), 수출:17,730(백만불)
    업종구분 섬유의복(75), 목재종이(30), 석유화학(48), 비금속(91), 철강(15), 기계(232), 전기전자(266), 운송장비(6), 기타(21), 음식료(2)
    배후지역 산동논공단지 14개사 350명
    고아농공단지 31개사 1,400여명
    해평농공단지 13개사 250명

    입지여건

    2007년 09월 기준
    도로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남구미 IC(1㎞) 이용(서울 257㎞, 부산 180㎞, 대구 33㎞)

    국도 :
    5번(마산↔구미↔중강진)
    25번(진행↔구미↔청주)
    33번(고성↔구미)
    67번(칠곡↔구미)

    지방도 :
    33번(구미↔평창)
    68번(서천↔구미↔경주)
    철도 경부선 구미역(3.5㎞), KTX(동대구,대전환승) 이용
    서울 227㎞(3시간 10분)
    부산 167㎞(2시간)
    대구 46.4㎞(30분)
    항공 대구공항(40㎞) 이용(김포 16회/주, 인천 7회/주, 제주 58회/주)
    항만 부산항(150㎞) 이용. 접안능력 169척, 화물하역능력 9,100만톤/연
    용수 낙동강을 수원으로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공급, 낙동강이 산업단지 중앙을 지나고 있어 수원보존량이 풍부하여 양질의 지하수 개발 용이

    공업용수 : 공급능력 300천㎥/일
    생활용수 : 공급능력 200천㎥/일
    오 · 폐수 단지내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전량처리
    용량 : 330천㎥/일
    처리량 : 245천㎥/일
    유수지 : 218천㎥
    전력 인입경로 : 울진원자력발전소, 단지내열병합발전소 → 단지변전소(4개소) → 입주업체

    공급능력 : 전압 22.9㎸, 용량 840㎿/h, 전압 154 ㎸, 용량 1,200㎿/h
    통신 60,400회선
    정보 한국산업단지공단 인터넷 URL http://www.kicox.or.kr
    경북권산학연통합정보망 인터넷 URL http://gb.e-cluster.net
    구미시 인터넷 URL http://www.gumi.go.kr
    산업폐기물 2단지 인근의 EK산업에서 처리 및 4단지내 폐기물처리장 부지 지정
    에너지 공급시설 열병합발전소 : 공급능력 증기 시설용량 850톤/h, 전기 97,100kw/h
    도시가스 : 공급능력 700,000㎥/일(구미도시가스)
    산업가스 : 공급능력 340톤/일(한국산업가스 등 2개사)
    노동력 배후도시 : 구미시 인구 371천명(남 189천명, 여 182천명)

    교육기관 :
    중학교 23개교 16,927명,
    고등학교 13개교 9,539명
    전문대학 2개교 4,211명
    대학교 2개교 10,092명

    산업인력 양성기관 :
    실업계 고교 7개교 5,455명
    산업체 특별학급 2개교 322명
    구미기능대학 700명
    방송통신대학 335명

    주부인력활용기반시설 :
    유치원 71개소 7,488명
    보육시설 259개소
    유통물류 3단지내 구미공구상가
    재래시장 정기시장 2개소, 일반시장 17개소,대규모 소매점 3개소
    주요지원 기관 산업활동지원기관 : 한국산업단지공단, 세관, 세무서, 등기소, 근로복지공단, 구미지방노동사무소, 소방서, 경북 중소기업지원센터

    교육기관 : 경상북도립도서관, 경상북도교원연수원, 한국표준협회

    금융기관 : 한국은행,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을 비롯한 전 시중은행
    도시생활환경 의료 : 종합병원 2개소, 병원 2개소, 의원 179개소, 치과병원 75개소, 한방병원 2개소, 보건소 10개소, 보건진료소 12개소

    복지시설 : 근로복지회관, 부녀복지회관, 종합경기장, 실내체육관, 올림픽회관,문화예술회관, 금오산 자연학습원, 극장 10개소 등

    주택 : 단독30,279세대, 아파트 67,216세대, 기타 16,309세대 등 총 113,804세대 (주택보급률 : 96.7%)

    기 타 : 호텔 7개소, 골프장 1개소
    지역경제 경상북도 중부권 산업도시로 발전, 경북 내륙과 부산항을 잇는 낙동강변 고속화 도로 건설계획이 추진되고 있음. 안정된 경제활동 기반 형성(구미시재정자립도 : 62.9%)

    입주조건

    2007년 09월 기준
    입주업종 한국표준산업분류상(중분류 기준) 전 제조업
    4단지는 15개 해당업종으로 제한
    입주자격 『산업집적활성화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시행령 제6조의 자격을 갖춘 자
    입주제한 공해, 용수, 기타의 사정으로 특정업종 제한가능

    입주혜택

    2007년 09월 기준
    세제 취득세, 등록세 전액면제(3년간)
    재산세, 종합토지세 50% 감면(최초 취득시 5년이내)
    금융 한국산업단지공단 지원자금
    〔문의 : 산단공 산학협력담당 02) 6300-5621/3
    - 산업기반기금 지원한도 20억원이내, 3년거치 5년 분할상환, 금리 연 4.4-5.0%

     

     

    포항이 생산실적이 32조이고 구미가 20조인것을 보아 포항이 돈을 더 잘벌수 있음 거기다가 수출실적등 여러실적을봐도 포항이 압도적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포항역...........그게뭐니? 구미역정도는되야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포항과구미..

    일단 님께서 가려는직종이 무엇인지가 궁금하네요..^ ^ ㅎㅎ

     

    한마디로 말씀드릴께요..

    장기적으로 보신다면 포항이구요..

    단기간으로짧게 얼마안대는돈 버실려면 구미가 좋을듯싶네요..

     

    구미에소재하고있는 공단동..

    그곳에있는 모든기업들은 중소기업들..

    한마디로 자그만한공장에 얼마안대는인력을투입해서..

    3D업종을 주야간으로돌리는..

    힘든일이라고봅니다..3D업종이 어떤건지는 아시지요??

     

    구미에삼성과 엘지.. 물론 돈은 어느정도 줍니다..

    하지만 그곳에는 대부분 고등학교 갓졸업하고 올라온 취업생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들한테있어서..돈100~200은 엄청큰돈이죠..

    하지만 그공장들또한 모두다 생산직 공장이며 어린취업생들을 주로 다루는회사들이라보니..

    복지후생이나..연봉..모든 능력에서 대기업의 본사가있는곳만 못하죠..

     

    좋은점은 3D업종이다보니 그리고 중소기업들이 많다보니 일할려고 마음먹는다면..

    어느공장이든 쉽게 취업할수있다는겁니다..

    하지만 정말 힘들게 번만큼의 수입이 안들어온다는거죠..^ ^ ㅎㅎ

    그리고 구미는 아직 도시인프라에는 마니뒤쳐져있어서..

    유흥이나 돌아다니면서 놀고그러기엔 부족한도시입니다..ㅎㅎ

     

    포항은일단 위에자료에서보시다시피..

    굴지의 기업 포스코본사가있습니다..

    그리고 첨단시대를대비해서 테크노벨리조성 나노분야와 포스텍을연계한 여러연구소들과..

    포항신항만과 배후단지 어마어마한 공장단지를 조성하죠..

    한마디로 구미공단처럼..그런공장단지를 신항만쪽에다가 조성한다고 보시면대요^ ^

    그신항만일대에는 현대중공업 조선단지가 들어옵니다..

    대한민국최고의 기업이라고 불리는 포스코 현대.이두기업이 포항에 버티고있다는것만으로도..

    엄청난 포스라고보이네요..

    포항의 미래또한보장이되는거구요...만약 포스코와 현대가 망한다면..

    대한민국경제가 무너지는것이니까요..ㅎㅎ이두기업이 차지하는비중이란 어마어마하거든요..

    그리구 포항은 10년전부터 도시인프라 조성에 엄청난심혈을쏟고있습니다..

    도시슬로건또한누구나 살고싶은도시 기업하고싶은도시에서볼수잇듯이..

    포항밤에돌아다녀보면..정말아름다운곳이많습니다..

    그리고 놀곳도많구..경치좋은곳도많구요..

    더이상길게얘기하지않겟습니다..

    제가 님이라면..전무조건 포항으로 가겠습니다..

    그도시의 미래와..

    어떠한기업이있으며..도시환경이 어떤지..그리고 어떠한 산업형태의 조건을따져본다면..

    포항에서 돈버는게 훨씬더부자되는지름길이라고보이네요^ ^

    포항vs구미

    ... 구미가 발전됬나요? 포항이 발전됬나요? 그리고 어디가 돈을 잘벌나요??? 얼마만큼 버는가 적어주시면 더 ㄳㄳ 포항입니다 산업경제 기본현황 글로벌...

    포항 VS 구미, 어느 쪽이 더...

    ... 현재 포항구미를 서로 비교했을 때 경제력(산업발전)및 문화적 요소 등을 종합해서 어느 쪽이 더 높은 발전을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경상북도 지역에 살고...

    포항vs구미

    포항이 낫나요 구미가 낫나요? 포항에서 배출한 유명인물 구미에서 배출한 유명인물 어느곳이 더 발달되었는지 그리고 무엇이 더 좋은지 쫌 가르처주세요 ^^ 글고 도청후보지는...

    포항 vs 구미 vs 울산

    ... 포항이 가장 살기 좋고 발전했다고 생각되네요. 2. 전쟁시 가장 필요한 도시는 현대중공업이 있는 울산과 포스코가 있는 포항이 될 것...

    구미1대학VS포항대학 비교해주세요~

    ... 전 포항대학 컴퓨터 응용과 구미1대학정보통신과 이렇게 넣었는는데요~ 두학과 중에 어떤게 좋은지ㅋㅋ 가르쳐주세요~ 어떤게 좋다고 말할수없으연...

    구미1대학VS포항대학VS동주대학

    ... 구미1대학(호텔관광과),포항대학(사회복지과),동주대학(사회복지과) 이렇게3군대 합격했습니다. 부모님들은 사회복지쪽으로 가라고하시는데 안정적이고 졸업후 관리직을...

    구미1대학 VS 포항대학

    구미1대 전기과랑 포항대학 전기과 중에 어디가 좋을까요 8282답변좀 당연히 구미1대학입니다. 한국전력의 인력양성사업, 그린에너지기초인력양성산업등으로 재정지원을...

    구미에서 포항에 가는방법좀...

    ... 2번.버스 vs 기차 포항에서 동대구까지 기차로만 무려 2시간이 걸립니다. 거기다가 구미까지 추가로 시간이 더 걸리겠죠? 님이 구미분이시면 차라리 버스를 타고 오세요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