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마한,변한,진한)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마한,변한,진한)

작성일 2007.03.07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내일까지 숙제인데 빨리여~~~~~~~~~~~~~ 재빨리여~~~~~~~~~~

부여,고구려,옥져동예,삼한 에 대해 조사점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형성: 한강 이남의 진과 고조선 유이민 융합. 유이민 문화와 토착문화의 융합

①마한: 천안, 익산, 나주 중심의 경기, 충청, 전라도 지방에 54개 소국, 10만호

②진한: 대구, 경주 지역 중심. 12개 소국으로 구성, 4 - 5만호

③변한: 김해, 마산 지역. 12개 소국으로 구성, 4 - 5만호

(2)정치: 마한의 목지국왕이 마한 왕, 진왕에 추대되어 삼한전체 영도.

대군장 - 신지, 견지(저수지의 물의 관리권 소유), 소족장 - 읍차, 부례

(3)제정분리: 소도 - 천군이 지배하는 신성지역, 정치적 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못하여 죄인들의 피난처로 이용

천군은 소도에서 농경과 종교 의례 주관

(4)경제

①농경 발달: 철제 농기구 사용, 벼농사 성행(저수지 축조 -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 제천 의림지, 상주 공검지, 의성 대제지)

②철 생산(변한): 낙랑, 왜 등에 수출, 화폐처럼 이용(덩이쇠)

(5)풍습: 초가지붕의 반움집, 귀틀집 거주, 두레(공동 작업체 조직), 제천행사 - 5월 수릿날 10월 계절제

(6)변천: 백제국 성장 - 마한지역 통합, 가야국 등장 - 낙동강유역, 사로국 성장 - 낙동강 동쪽 신라의 기틀

삼한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 한강유역으로부터 중남부지방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던 여러 부족에 대한 통칭.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을 말한다. 삼한의 지리적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마한은 한강유역으로부터 충청·전라도에 걸쳐 있었으며, 진한은 경기·강원도 일부, 변한은 낙동강유역 경상도에 비정된다.

 

------------------------------------------------------------------------------------------------------------

마한

삼한의 하나. BC 1세기∼AD 3세기경 한강(漢 江)유역으로부터 충청·전라도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여러 정치집단의 통칭이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마한지역에 위치한 55개 소국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큰 것은 1만여 가(家), 작은 것은 수천 가였다고 한다. 규모가 큰 곳의 지배자는 신지(臣智), 작은 곳은 읍차(邑借)라고 하였다.

진한

삼한(三韓)의 하나. BC 1∼AD 3세기 무렵 경상도지역에 있었던 여러 정치집단을 이르는 명칭이다. 맹주는 경주(慶州) 사로국(斯盧國)이었다. 12개의 작은 나라로 구성되었는데 큰 것은 4천∼5천 호(戶), 작은 것은 6백∼7백 호의 규모였다.

변한

삼한(三韓)의 하나.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있던 여러 정치집단으로서 <변진(弁辰)>으로도 표기한다. 마한(馬韓)의 동쪽, 진한(辰韓)의 서쪽에 위치하여 12개의 소국(작은 부족국가)으로 형성되었다. 진한과의 구분은 종족적 차이 또는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지역적으로 나누거나 신라·가야 세력권으로 대비하는 등 여러 견해가 있다.

 

------------------------------------------------------------------------------------------------------------

 

삼한 - 벼농사 중심의 농업 발달

           특히 변한에서는 철을 많이 생산하여 마한, 한의군현,일본 등으로 수출도 함

           이를 화폐로도 사용

            삼한은 마한 진한 변한으로 나뉘었는데

             마한에는 54개의 소국이,

             진한과 변한에는 각각 12개 씩의 소국이 있었다고 합니다.

 

------------------------------------------------------------------------------------------------------------


 

삼한

자연환경과 기후 : 만주 지역에 비해서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은 매우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누렸습니다. 큰 강과 넓은평야가 많고 기후도 농사짓기엔 그만이었죠.

주요산업과 특산물 : 그만큼 농업이 발달한 삼한은, 벼농사가 많이 지어졌습니다. 한편 변한 지방은 철이 많이 나서 왜국이나 낙랑에 수출했다고 하는데, 이 철의 문화는 가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백성들의 성격, 국민성 : 거기에 대해서도 잘...

나라의 종교와 제례의식 : 삼한은 5월과 10월에 제사 두 번을 지내는데, 이것은 농사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소도가 있어 천군이란 제사장이 관리하는데, 여기는 종교 지역으로 삼한의 소국의 군장들의 세력은 미치지 않았다고 합니다.

 

 

 

 

 

 

중요한것 모았습니다^^*답변확정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부여: 부여는 순장이라는 풍습이 있었죠.종이나 신하를 같이묻는거죠.왕이나 주인이 죽었을때...천제의 이름은 영고 입니다.흰옷을 즐겨입었습니다.

 

고구려: 고구려는 무예를 중시하여 수렵대회나 그런걸 많이 개최하였습니다.또 5부족연맹체여서 왕의 권한이 그리 강하지 않았습니다.데릴사위제 라는 제도가 있었고,천제의 이름은 동맹입니다.

 

옥저: 옥저는 왕이 없고 군장이 통치를했습니다. 민며느리제,가족공동묘라는 풍습이있었고, 고구려에 특산물을 바치는 일종의 번국 비슷한 나라였습니다.

 

동예: 동예또한 왕이없고 군장이 통치했으며, 책화,족외혼등의 풍습이 있었습니다. 천제의이름은 무천입니다.

 

삼한: 삼한은 특별히 제정분리 사회였고, 종교는 천군이라는 제사장이 소도라는 곳에서 신성한 의식을 치뤘다죠.천제는 5월제,10월제가 있습니다.

 

답변확정바랄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소위 고조선의 "8조법금"이라는 것은 '반고'의
가 그 출전(出典)이며, "기자(箕子)"가 제정한 입법이라고 합니다,
그 법 조항은 아래와 같은데 8개조항중에 3조항만이 전해옵니다

1 : 사람을 죽인자는 그 즉시 죽음으로 갚는다(相殺以當時償殺)
2 :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배상한다(相傷以穀償)"
3 : 도둑질한 자는 남자의 경우에는 몰입하여 그 집 종(奴)이 되고 여자는 계집종
을 만든다(相盜者男沒入爲其家奴女子爲婢)속전코자하는 자는 50만전을 낸다(欲
自贖者人五十萬).

"8조 법금"의 "8조항"을 다 기록하고 있는 유일한 책은 뿐인데 기>는 위작(僞作)의 혐의가 걸려있는 책으로 우리나라 정통사학계에서는 아직 그
사료적가치가 인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아래는 그 의 내용인데 참고삼
아 올립니다.

에 의하면 "금8조(禁八條)"는 "기자(箕子)"보다 164년전의
인물인 번조선(番朝鮮)의 시조 "기수(奇首) 서우여(徐于餘)"에 의해 반포된 것이
라하며 그 조항전문을 다음과 같이 수록하고 있습니다.

1, 사람을 죽이면 그 즉시 죽음으로 갚는다(相殺以當時償殺) :
2, 사람을 상해하면 곡식으로 갚는다(相傷以穀償)
3, 도둑질하는 자는 적몰하여 남자는 그 집의 종이되고 여자는 계집종을 삼는다
(相盜者男沒爲其家奴女爲婢)
4, 소도(성역)를 훼손하는 자는 가두어 둔다(毁蘇塗者禁錮)
5, 예의를 잃은 자는 군에 복무시킨다(失禮義者服軍)
6, 근면히 일하지 않는 자는 공공작업에 부역시킨다(不勤勞者徵公作)
7, 음란한 짓을 하는 자는 태형에 처한다(邪淫者笞刑)
8, 사기를 치는 자는 훈방한다(行詐欺者訓放) 스스로 속전코자하는 자는 비록
공표되는 것은 면하지만 백성들의 풍속이 오히려 그를 수치스럽게 여겨 (딸을)
시집보내려 해도 팔려갈곳 조차 없었다(欲自贖者雖免爲公民俗猶羞之嫁娶無所수)

 

부여

BC 2세기 무렵부터 494년까지 북만주지역에 존속하였던 예맥족(濊貊族)의 국가. 북부여라고도 한다. 〔성립〕 부여는 BC 1세기의 중국 문헌에 등장하므로 이미 그전부터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옥저

한국 고대 부족국가의 하나. 그 부족을 일컫기도 한다. 지금의 함경남도 해안지대에서 두만강유역 일대에 걸쳐 위치하였고 함흥지방이 그 중심을 이루었는데, 북쪽은 읍루·부여(夫餘), 남쪽은 동예(東濊)와 접하였다. 함흥지방 일대를 중심으로 거주하던 집단을 동옥저, 두만강유역의 집단을 북옥저(일명 置溝濊)라 하였다.

동예

오늘날의 원산(元山)·안변(安邊)일대에서부터 경상북도 영덕(盈德)에 이르는 동해안지역과 강원도 북부지방에 거주하였던 고대 종족.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에 의하면 인구는 2만여 호에 혼인·장례 등의 풍속과 언어가 고구려와 비슷하였다고 한다.

삼한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 한강유역으로부터 중남부지방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던 여러 부족에 대한 통칭.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을 말한다. 삼한의 지리적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마한은 한강유역으로부터 충청·전라도에 걸쳐 있었으며, 진한은 경기·강원도 일부, 변한은 낙동강유역 경상도에 비정된다.

마한

삼한의 하나. BC 1세기∼AD 3세기경 한강(漢 江)유역으로부터 충청·전라도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여러 정치집단의 통칭이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마한지역에 위치한 55개 소국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큰 것은 1만여 가(家), 작은 것은 수천 가였다고 한다. 규모가 큰 곳의 지배자는 신지(臣智), 작은 곳은 읍차(邑借)라고 하였다.

진한

삼한(三韓)의 하나. BC 1∼AD 3세기 무렵 경상도지역에 있었던 여러 정치집단을 이르는 명칭이다. 맹주는 경주(慶州) 사로국(斯盧國)이었다. 12개의 작은 나라로 구성되었는데 큰 것은 4천∼5천 호(戶), 작은 것은 6백∼7백 호의 규모였다.

변한

삼한(三韓)의 하나.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있던 여러 정치집단으로서 <변진(弁辰)>으로도 표기한다. 마한(馬韓)의 동쪽, 진한(辰韓)의 서쪽에 위치하여 12개의 소국(작은 부족국가)으로 형성되었다. 진한과의 구분은 종족적 차이 또는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지역적으로 나누거나 신라·가야 세력권으로 대비하는 등 여러 견해가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부여

자연환경과 기후 : 부여가 위치한 만주 송화강 유역은 비옥한 토지가 많아 곡식은 생산할 수 있지만, 기후는 위도의 관계로 추워서 과일은 생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주요산업과 특산물 : 반농반목의 경제구조이지만, 기후의 관계로 상대적으로 목축업의 비중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부여의 관직 중에 마가, 우가,구가, 저가처럼 가축의이름을 딴 것이 많죠. 특산물로는 말, 주옥, 모피가 있습니다.

백성들의 성격, 국민성 : 중국인들의 입장에서는 부여가 평화를 사랑한다 하여 호의적으로 썼지만, 그것은 부여가 외교적으로 중국과 친밀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나라의 종교와 제례의식 : 부여의 제례의식으로 영고가 있는데, 매해 음력 12월에 거행했다 합니다.  이 때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죄수들을 풀어주기도 하였다지요.

결혼풍습 : 부여는 일부다처제 국가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2. 고구려

자연환경과 기후 : 부여가 평야가 있어 상대적으로 농업이 발달함에도 불구하고, 고구려는 그 위치가 압록강 중류 지역의 험한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농업마저도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기후 역시 만주 지역의 특성상 춥고요.

주요산업과 특산물 : 별로 내세울 만한 산업이 없으니 특산물에 대해서도 별로 할 말은 없습니다.

백성들의 성격, 국민성 : 중국인의 입장에서 쓰여진 위서동이전에서는 고구려인을 흉악하고 급한 성격의 사람들이라 규정했는데, 부여와는 달리 중국에 대항했던 고구려에 대한 평가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라의 종교와 제례의식 : 고구려는 시조신인 주몽과 그 어머니 유화를 신으로 섬겼습니다. 10월에는 동맹제례를 지냈습니다. 이 때에는 황제와 다른 신하들이 국동대혈이라는 큰 굴에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3. 옥저와 동예

자연환경과 기후 : 옥저는 함경도 해안, 그리고 동예는 강원도 동해안에 위치해 있었는데, 그 지역은 산맥의 영향과 해류의 영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여나 고구려보다 기후조건은 좋았습니다.

주요산업과 특산물 : 옥저는 소금과 어물이 특산물로, 이는 해안가의 지리적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보겠습니다. 동예는 단궁, 반어피, 과하마인데, 단궁이란 활을 의미하고 반어피는 바다표범의 가죽, 과하마는 작은 조랑말 정도로 보입니다.

백성들의 성격, 국민성 : 그에 대해서는 제가 알고 있는 자료가 없어서...

나라의 종교와 제례의식 : 옥저의 경우에는 실체를 알 수 없으나, 동예의 경우 고구려와 비슷한 시기인 10월에 무천이라는 제례의식을 거행합니다.

 

4. 삼한

자연환경과 기후 : 만주 지역에 비해서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은 매우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누렸습니다. 큰 강과 넓은평야가 많고 기후도 농사짓기엔 그만이었죠.

주요산업과 특산물 : 그만큼 농업이 발달한 삼한은, 벼농사가 많이 지어졌습니다. 한편 변한 지방은 철이 많이 나서 왜국이나 낙랑에 수출했다고 하는데, 이 철의 문화는 가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백성들의 성격, 국민성 : 거기에 대해서도 잘...

나라의 종교와 제례의식 : 삼한은 5월과 10월에 제사 두 번을 지내는데, 이것은 농사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소도가 있어 천군이란 제사장이 관리하는데, 여기는 종교 지역으로 삼한의 소국의 군장들의 세력은 미치지 않았다고 합니다.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마한,변한...

... 재빨리여~~~~~~~~~~ 부여,고구려,옥져동예,삼한 에 대해... 옥저 한국 고대 부족국가의 하나. 그 부족을 일컫기도...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을 말한다. 삼한의...

부여,고구려,옥저,동예,마한,변한,진한...

부여,고구려,옥저,동예,마한,변한,진한 이름은 이게 맞는지는모르겠는데... 마한 [馬韓]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한 삼한(三韓) 중의 하나로 대체로 BC 1세기~AD 3세기에...

부여,고구려,옥저,동예,마한,변한,진한...

부여,고구려,옥저,동예,마한,변한,진한 이름은 이게 맞는지는모르겠는데... 마한 [馬韓]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한 삼한(三韓) 중의 하나로 대체로 BC 1세기~AD 3세기에...

부여,고구려,옥저,동예,마한,변한,진한...

부여,고구려,옥저,동예,마한,변한,진한 에 대해서 간단하게 3.4줄 정도로 알려주세요.... 언어가 고구려와 비슷하였다고 한다. 삼한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 한강유역으로부터...

부여,고구려,삼한,옥저,동예,진한,변한...

학교 숙제인데요~ 제발 고조선이후 생견난 나라 부여,고구려,삼한,옥저,동예,진한,변한,마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아주 빨리요~!!! 아까 님이 말한 나라들은 작은 나라이에요.....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마한.진한....

... 부여 [간단] 옥저 [간단] 동예 [간단] 마한 [간단] 변한 [간단] 진한 [간단] 하게 조사를 좀 해주세욤!!! 간단하면서도... 고구려: 고구려는 무예를 중시하여 수렵대회나 그런걸...

고구려,옥저,동예,마한,진한,변한(삼한)...

고구려,옥저,동예,삼한의 건국이야기,성장지역,풍습,법 좀... ②진한: 대구, 경주 지역 중심. 12개 소국으로 구성, 4 - 5만호 ③변한: 김해, 마산 지역. 12개 소국으로 구성, 4...

부여,옥저,삼한,동예,마한,진한,변한...

... 부여에 대하여 2~4줄 정도 삼한에 대하여 2~4줄 정도 옥저에 대하여 2~4줄 정도 동예에 대하여 2~4줄 정도 마한에 대하여 2~4줄 정도 진한에 대하여 2~4줄 정도 변한에 대하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