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시대의 통일 과정좀 갈켜 주세염

후삼국시대의 통일 과정좀 갈켜 주세염

작성일 2008.04.02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회 숙제로 하는 건데 후삼국시대의 통일 과정좀 가르쳐 주세요.

내공 20점

빨리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후삼국 통일과정

10세기로 들어오면서 지방에서 성장하던 견훤과 궁예는 신라 말의 혼란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신라는 그 지배권이 경주 일대로 축소되어 다시 삼국이 정립하는 후삼국 시대가 전개되었다.

견훤은 전라도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웠다(900).

후백제는 차령산맥 이남의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을 차지하여, 그 지역의 우세한 경제력을 토대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 등 국제적 감각도 갖추었다.
 
 그러나 견훤은 신라에 적대적이었고, 농민에게 지나치게 조세를 수취하였으며, 호족을 포섭하는 데 실패하는 등 한계를 갖고 있었다. 궁예는 권력 투쟁에서 밀려난 신라 왕족의 후예로서 처음에는 북원(원주)을 점령하였다. 이어서 예성강 유역의 황해도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다. 그는 세력이 커지자 양길을 몰아낸 다음 송악(개성)에 도읍을 정하고 독립하여 후고구려를 세웠다(901).

그 후 궁예는 한강 유역을 차지한 다음 조령을 넘어 상주 일대로 세력을 확장하였으며, 영주를 차지하여 옛 신라 땅의 절반 이상을 확보하였다. 이와 같이 영토가 확장되고 국가 기반이 다져지자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면서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었다가 다시 태봉으로 바꾸고, 새로운 정치를 추구하였다.

궁예는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고 골품 제도를 대신할 새로운 신분 제도를 모색하였다. 국정을 총괄하는 광평성을 비롯한 여러 관서를 설치하고

9관등제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궁예는 계속되는 전쟁을 위하여 지나치게 세를 거두어들였고, 죄 없는 관료와 장군을 살해하였을 뿐 아니라 미륵 신앙을 이용하여 전제 정치를 도모하였다. 이에 따라 백성과 신하들의 신망을 잃게 되어 신하들에 의하여 축출되었다.
 
 궁예를 몰아낸 뒤 신하들의 추대 형식을 빌려 왕위에 오른 왕건은 고구려 계승을 내세워 국호를 고려라 하고(918),

자신의 세력 근거지였던 송악으로 도읍을 옮겼다.

 

 태조는 궁예와는 달리 신라에 대하여 적극적인 우호 정책을 내세우고, 후백제와는 대립하는 정책을 취했다.  신라에 대한 우호 정책은 신라인들을 회유하는 데 유용하였다. 실로 태조는 후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를 도와 이들을 막아냄으로써 신라인들의 신망을 얻었고, 그 결과 신라 경순왕의 항복을 받아 전쟁 없이 신라를 통합할 수 있었다. 아울러 후백제에 내분이 일어나 견훤이 귀순하자 백제를 정벌하여 후삼국을 통일하였다(936).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후삼국 시대

1. 신라 말기의 형편

(1)
귀족들의 분열과 왕위 쟁탈전이 심해져 155년 동안에 20여 명의 왕이 바뀌기도 하였다. 이러한 중앙 귀족의 싸움과 계속된 지방 반란으로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가 크게 약화되었다.
(2) 김헌창은 아버지 김주원이 원성왕에게 왕위를 빼앗긴 데 원한을 품어 반란을을 일으켰으며, 장보고는 그의 딸을 왕비로 들여 중앙 세력에 진출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난을 일으키는 등 지방 반란이 계속되었다.
(3) 진성 여왕 이후에는 정치가 더욱 문란해져서 수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 여러 곳에서 해적이나 해상 세력이 등장하고 지방 세력이 독립하여 중앙 정부의 지배를 받지 않게 되었다.

2. 후삼국의 성립

(1)
신라 왕실의 힘이 약해지자, 견훤이 후백제를 일으키고 궁예도 후고구려를 세워 우리 민족이 다시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의 삼국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2) 후백제의 성립 : 견훤은 지방의 군사력을 배경으로 완산주(지금의 전주)에 도읍을 정하였다(900년). 후백제는 전라도 전 지역과 충청도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남중국의 오월, 일본과 외교 활동 전개하기도 하였다.
(3) 후고구려의 성립 : 왕족 출신의 궁예는 북원(원주)을 거점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처음에는 도읍을 송악에 정하여 후고구려를 세웠다(901년). 나중에 국호를 태봉으로 바꾸고 도읍을 철원으로 옮겨 중국과 친선 관계를 맺으면서 신라와 후백제를 침략하였다.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1.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1)
후고구려의 궁예는 이름을 태봉으로 바꾸고 새 시대의 주인이 되고자 하였으나 가혹한 정치로 백성들의 민심을 잃었다. 그러자 많은 사람들이 덕이 높고 지혜로운 왕건 을 새 왕으로 추대하였다.
(2) 태봉(후고구려)의 궁예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왕건은 고구려를 이어받는 뜻에서 나라 이름을 고려라 하고, 도읍지를 철원에서 개경으로 옮겼다.
(3) 후백제의 견훤은 통일을 이루기 위해 신라를 계속 공격하였고 고려와도 충돌하였으나 왕위 계승 문제로 아들 신검에 의해 금산사에 갇혀 있다 고려에 투항하였다. 견훤은 왕건에게 신검의 토벌을 요청하였다.
(4) 고려는 항복한 견훤을 극진히 대접하자 신라의 경순왕도 스스로 고려에 항복하여 신라를 합병하고 후백제와의 싸움에서 최후의 승리를 거두어 셋으로 나뉘었던 민족을 다시 통일하였다.



고려의 발전

1. 달라진 고려의 사회 모습

(1)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고자 했던 태조 왕건의 뜻에 따라 고려 사회는 신라와는 여러 면에서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2) 학식과 능력에 따라 관리를 뽑는 과거 제도가 실시되어 귀족이 아니어도 누구나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었다.
(3) 신라 때보다 세금이 크게 줄어들었고 백성들의 생활을 보호하는 기관도 생겼다.
(4) 지방 제도가 정비되었으며 관리가 지방에까지 파견되어 왕명이 전해졌고, 지방의 호족은 향리가 되어 지방관을 도왔다.
(5) 고장마다 학교가 세워져 유학의 정신이 널리 보급되었다.

2. 문벌 귀족 사회의 형성

(1)
고려의 사회는 지방 호족의 중앙 관료화와 문벌 형성을 기초로 문벌 귀족 사회가 성립되었다.
(2) 귀족 사회를 이끈 중심 세력인 문벌 귀족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첫째, 중앙 집권화 정책에 의해 지방 호족 세력이 중앙 관리로 진출한 경우이고, 둘째, 개국 공신들이 정치를 주도하면서 주요 세력을 이룬 경우이며 셋째, 유교 정치 이념 답변확정으로 신라 들이 과거를 통해 정치 세력으로 들어온 경우이다.
(3) 고려 사회에서는 지방 호족과 유교적 들이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되어 신라에서와 같은 진골 중심 체제에서 벗어나 보다 개방적인 사회로 발전하게 되었다.



고려의 무역 활동

1. 고려의 무역 활동

(1)
예성강의 하류에 있었던 벽란도는 수도인 개경에 가깝고 비교적 물이 깊어 배가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어서 무역항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2) 개경에서도 수백 명의 송나라 상인들이 거주하면서 무역 활동을 하였다.
(3) 고려는 요나라(거란), 금나라(여진)와는 육로를 이용해서, 송, 아라비아, 동남 아시아, 일본과는 바닷길을 통해 교역하였다.
(4) 아라비아는 동양과 서양의 중간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서 동서 문화 교류에 큰 공헌을 하였다. 아라비아 상인들은 송나라를 거쳐 고려까지 왔는데 이들의 왕래와 소개에 의해 고려라는 이름이 서방 세계까지 알려져 외국에서는 우리 나라를 코리아라고 부르게 되었다.
(5) 고려의 무역품
나라
수출품
수입품
송나라
금, 은, 인삼, 나전 칠기, 화문석, 종이 등 비단, 약재, 서적, 악기 등
요나라(거란)
곡식, 문방구, 구리, 철 등 털가죽, 말 등
금나라(여진)
곡식, 철제, 농기구, 무기, 포목 등 은, 모피, 말
아라비아
고려라는 이름이 알려짐 수은, 향료, 산호 등

고려의 무역 활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 민족을 다시 통합한 고려

(1) 고려의 건국으로 달라진 정치

≪후삼국 시대와 고려≫

1) 후삼국 시대

▶ 통일 신라 : 왕위 쟁탈전, 지방귀족등장, 농민들의 봉기

▶ 후백제 : 견훤이 전주지방을 중심으로 세움

▶ 후고구려 : 강원도 철원에 궁예가 국호를 태봉으로 건국

2) 고려 건국

○왕건이 궁예의 자리를 차지하므로 왕위에 오름

○후백제와 신라를 고려에 통합

○의의 : 통일신라 이후 민족을 뭉치게 함

3) 고려를 발전시킨 지도자들

○태조 : 민생 안정, 융화 정책, 북진 정책, 불교 장려

○최승로 : 나라의 기틀 마련, 백성을 위한 헌신적 노력 실천 (시무 28조)

4) 그 밖의 지도자들

- 김부식 : ‘삼국사기’ 편찬

- 공민왕 : 원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고 노력

- 최충 : ‘해동공자’라고 불리움, 학교(9재 학당)를 설립

(2) 역경을 이겨 내며 꽃피운 고려 문화

≪고려 초의 대외 관계≫

1) 북진 정책

○ 고구려 옛 땅의 회복을 위해 북진 정책 추진

○ 천지 장성으로 거란, 여진족과의 침입 대비

○ 송나라와 친분 유지 : 발달된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2) 거란족의 침입과 고려의 항쟁

▶ 1차 침입 : 소손녕이 이끄는 거란 대군을 서희의 외교로 무력없이 끝남.

강동 6주 획득

▶ 2차 침입 : 친송 정책에 불만을 가진 거란의 성종이 침입하여 고려의 장군 양규가 대응

▶ 3차 침입 : 귀주 대첩⇒ 거란의 장군 소배압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했을 때, 고려의 장군 강감찬이 귀주에서 무찌름

4) 윤관의 여진 정벌

○ 별무반 조직 ⇒ 여진 정벌을 위해 특수 부대인 별무반 조직

(신기군 → 기병부대, 신보군 → 보병부대, 항마군 → 승병 부대)

5) 삼별초 항쟁

○ 삼별초 지도자 : 배중손

○ 삼별초 근거지 : ‘강화도 → 진도 → 제주도’ 로 옮기면서 몽고군에 대항

6) 고려의 문화재

○고려의 3대 보물 : 팔만대장경판, 고려청자, 금속활자(‘직지심체요절’)

후삼국시대의 통일 과정좀 갈켜 주세염

사회 숙제로 하는 건데 후삼국시대의 통일 과정좀 가르쳐 주세요. 내공 20점 빨리염 후삼국 시대 1. 신라 말기의 형편 (1) 귀족들의 분열과 왕위 쟁탈전이 심해져 155년 동안에...

후삼국통일과정 좀 갈켜 주세염.

후삼국통일과정 좀 가르쳐 주세염. 내공 마니 마니 드릴께요. 후삼국 통일 과정♡ 900년... 우리 나라가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로 나누어진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고 한다....

후삼국시대 성립과통일과정 내공30

... 알려 주세염! 제가 내공이 별로 없지만 조금이라도... 후삼국 통일과정 10세기로 들어오면서 지방에서 성장하던... 정립하는 후삼국 시대가 전개되었다. 견훤은 전라도 지방의...

우리나라 역사의 순서좀 갈켜주세염!

... 우리나라의 역사순서좀 갈켜주세여! 단, 이중에서여...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통일신라 발해... 신라(후삼국시대니까 신라라고 하겠습니다)에 대해서는...

생활의 길잡이 138, 139쪽 좀 갈켜 주세염~

5-2학기 (도덕) 생활의 길잡이 138쪽, 139쪽 좀 갈켜주세염... 그러나 일본의 고대 국가 문명의 탄생과 전개 과정에서... 들여왔고통일신라 시대에는 당과 이슬람의 상인들이...

삼국통일 과정의 여러 문제점좀 가르쳐...

... 제발 가르쳐 주세염! 과정:나*당 연합-백제 멸망-고구려 멸망-나*당 전쟁-삼국 통일 문제점:당나라의 힘을 빌려 이룬 통일이다. (그런 점에서 후삼국시대때 왕건이 이룬통일은...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 좀...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좀 알려주세염 내 공 냠 냠 올려도 뭐 상관 안합니다만...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 부른다. 이후 궁예가 실정을 거듭하여, 민심을 잃고 쫓겨났다. 이에...

통일신라멸망 과정좀

통일신라 멸망과정좀 갈켜 주세요 오늘까지ㅜ,ㅠ 부탁합니다. 1번째, 통일신라는... 부터는 후삼국시대 [고려,[후고구려], 후백제, 신라]가 되었습니다, 신라 56대 왕 경순왕은...

빛낸 사람들 좀 갈켜주세염~~ 내공 10드림

... 석사 과정에 응모하여 입학 허가를 받아냈다. 독일에 도착한 56년에는 백남준은 뮌헨... 풀고 통일을 일구어낸 단결력, 순수 게르만 민족의 자부심 가득한 그곳에서 성공을...

통일에 대한 자료~~!!

님들~~ 통일에 대한 자료좀 갈켜 주세여ㅠ.ㅠ;; 내용은... 해주세염~ 또 홈페이지 주소 올리지 마시구 님들이... 교과과정통일과목을 신설 , 기본교육과정(이수단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