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의 특징은 뭔가요??

돌고래의 특징은 뭔가요??

작성일 2005.04.10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돌고래의 특징을 알고 싶포

가르쳐주세요

빨리빨리 아리켜 주시면 이뽀할끄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큰돌고래 *****
(고래류 중 가장 온순하고 친화력이 있어 돌고래쇼나 TV광고에 자주 출현하는 종류이다)
*형태적 특성:
-돌고래류 중 가장 큰 대형 돌고래로 등과 옆면에서는 밝은 흑색 혹은 어두운 흑색이며 배쪽은 약간 밝은색이다. 복부가 약간 분홍색인 것이 있으며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몸통은 길고 전체적으로 통통하다. 부리는 두텁고 비교적 짧은 편이다.
-상/하 좌우 약18~26개의 이빨이 있고 나이가 든 개체들은 닭아 있거나 소실되어 있다.
*생태적 특성:
-최대 체장 3.9cm, 체중 600kg의 기록이 있으나 보통 2.7~3.3cm, 30kg 이하이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크며 지역별로 개체 차이가 크다. 출산시 체장은 1.0~1.3m 수컷은 10~12세(2.2~2.4m), 암컷은 5~12세(2.4~2.6m)에 성숙하고 성숙한 암컷은 2~3년에 1회 출산한다. 임신기간 12개월이다. 새끼는 1년 이상 어미의 보호를 받는다. 최대 수명 약40년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의 북위 60도, 남위 45도 사이의 온대와 열대 수역의 연안, 내만, 강구 및 하구 등에 분포하는 연안성이며
연안 정착성도 있다. 우리나라에는제주도 연안과 내만을 비롯하여 서해, 남해, 동중국에 주로 분포한다.
-다른 종류와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타 종과의 잡종이 야생과 수족관에서 관찰되고 있다. 봄과 가을에 주로 번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식할 때와 먹이를 먹을 때는 매우 활동적이서 점프, 공중 곡예등 다향한 행동을 연출한다. 먹이는 잡식성이며 분포 수역에 많은 종을 기회적으로 먹는다. 협동하여 어군을 공격하고 함정으로 몰아가기도 하며 트롤 등에서 뻐져나오거나 연승에 걸려잇는 먹이를 대항으로 하기도 한다.
-고래류 중 가장 온순하고 친화력이 있어 돌고래쇼나 TV광고에 자주 출현하는 종류이다.
http://www.whalekorea.com/korea/world4-13.html

***** 짧은 부리참돌고래 *****
*형태적 특성:
-체형은 날렵하고 강하게 돌고래류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체측에 황토색과 회흑색의 모래시계 무늬가 가장 큰 특징이다.
-등은 흑청색이며 복부는 회백색이다. 눈과 항문사이가 황토색이고 그 사이에 회백색띠가 아치형으로 꼬리지느러미까지 연결되어 있다.
-긴부리참돌고래에 비해 몸체는 비교적 땅딸막하고 비교적 짧은 부리를 가졌다.
-아래위턱의 좌우에 각각 41~54개의 이빨이 있다.
*생태적 특성:
-암컷은 2.3m, 수컷은 2.6cm, 체중 135kg에 달하며 지역에 따라 다르다. 출생시의 체장은 80~85cm이다. 암수 모두7~12세에 성숙하고 그 때의 체장은 1.9~2m정도이다. 2~3년에 1회 봄과 가을 사이에 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위 50도~남위 50도 사이 열대와 온대의 외해에 주로 분포하는 근해성이다. 무리성(수천두)과 밀집성이 강하다.
-활동적이고 빠른 속도로 유영할 때는 시끄러운 소리를 낸다. 공중을 뛰어오르기, 공중회전, 가슴 및 꼬리지느러미로 물튀기기, 선수전방을 따라가기 등 다양한 곡예를 한다.
-먹이는 밀집어군과 오징어류, 갑각류, 밀집한 플랑크톤류 등 다양하다. 협동으로 어군 몰이를 하는 기술이 있다. http://www.whalekorea.com/korea/world4-12.html

***** 큰머리 돌고래 *****
*형태적 특성:
-명료한 부리는 없고 뭉퉁한 머리를 가지고 있다. 이마는 수직으로 솟아있고 전방에서 보면 흠이 있다.
-해상에서 식별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채색과 이빨에 긁힌 흔적이다. 성숙 개채는 흑회색 혹은 백색이며 특히, 흰색의 이빨에 긁힌 흔적과 오징어 등에 의해 생긴 반점 및 얼룩으로 희게 보인다.
-아래턱의 좌우에만 약2~7개의 이빨이 있다.
*생태적 특성:
-체장 최대 4m, 체중은 약500kg에 달한다. 출생시는 약1.5m 이며 성숙시의 체장은 약3m이다.
-온대에서 열대의 전 대양의 심해 및 대륙붕 경사면 수역에 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참돌고래류, 낫돌고래류, 상괭이와 더불어 가장 흔한 종이다. 주로 순온 13~28。C의 동, 서, 남해에 출현한다.
-통상 50두 이하, 가끔100두 이상의 무리를 이룬다. 유영속도는 시속 35~40km로 빠른 편이다. 가끔 수면으로 몸체 뛰기, 선수파타기, 지맥질 등을 힘있게 하는편이나 행동은 느리다.보통 선박에 접근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오징어류와 갑각류를 먹이로 한다. http://www.whalekorea.com/korea/world4-11.html

***** 까치돌고래 *****
*형태적 특성:
-몸통의 중앙은 체고가 높은 데 비해 머리와 부리, 지느러미가 매우작아 등지느러미를 정점으로 하는 긴 삼각형이다. 몸 전체의 검은 색에 대비하여 가슴과 복부, 등지느러미 선단,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가 흰색이 뚜렷하다.
-아래위턱 좌우에 직경1mm 정도의 23~28개의 삽모야의 이빨이 있다. 대부분의 개체들이 이빨이 마모 소실되어 있다.
*생태적 특성:
-최대 체장 2.4m, 체중 220kg으로 수컷이 암컷에 비해 약간크다. 수컷4~6세, 암컷은 3~4세에 성숙하고 성숙시의 체장은 수컷이 1.7m, 암컷이 1.8m정도이다. 성숙한 암컷의 임신기간은 10~11개월이며 1~2년에 1회, 6~8월에 출산하고 출생시 체장은 약 1m 정도이다. 참돌고래류에 비해 번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명은 약 15~20년으로 알려져 있다.
-북태평양의 고유 종으로 북위 도와 도 사이에 넓게 분포하고 주로 연안에분포한다. 동해에는 35도 이북에 분포한다.
-보통 느리게 움직이고 수면에 뒹굴며 놀지만 빨리 유영할 때는 소형고래류 중 순간 유영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에 솟아 오르지 않고 수면을 가르며 유영하므로 닭꼬리와 갇은 물결을 일으킨다.
선수타파기를 즐기고 신속히 전후 좌후로 움직이며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신출귀몰하게 유영한다. 점프나 수면에 튀어오르기 등은 거의 하지 않는다.
-표층 및 중층의 어류, 오징어, 특히 앨퉁이류 등 소형 발광어류를 선호하는 기회적인 잡식성이다. http://www.whalekorea.com/korea/world4-14.html

***** 쇠돌고래 ****
*형태적 특성:
-고래류 중 가장 소형이며 체장에 비해 머리와 지느러미가 작다.머리는 무디게 생겼고 부리가 매우 짧아 거의 없어 보인다. 등지느러미 부분은 체고가 높은 반면 머리가 작고 꼬리자루가 가늘어 땅딸하게 보인다.
-직경 약2mm인 끝이 무딘 주걱 모양의 이빨이 위턱좌우에 각각22~28개, 아래컥 좌우에 각각 21~25개가 있다.
*생태적 특성:
-체장은 보통 1.5m, 최대 약2m, 체중은 45~55kg, 최대 90kg에 달한다.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크다. 출생시 체장은 약 70~90cm이며, 4~6세에 성숙한다. 임신기간 11개월이며 성숙암컷은 1~3년에 1회, 봄과 여름에 걸쳐 출산한다.
-북반구의 한 대와 아극지방의 연안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수온 2~16。C의 동해의 냉수대에 분포한다.
-2마리 혹은 십마리 이내의 무리를 이루며 선수파를 타지 않고 선박의 접근을 매우 꺼리는 편이다. 점프나 수면에 튀기 등의 행동을 보이지 않고 때때로 수면에 떠 있기도 하다.
-다양한 식성을 가져서 어류와 오징어를 먹고, 특히 가시가 없는 소형 군집성 어류 및 저서 어류를 주로 먹는다. http://www.whalekorea.com/korea/world4-15.html

***** 돌고래 [dolphin] *****
분 류 : 포유류 고래목
분포지역:태평양·대서양·인도양
서식장소:연안의 얕은 곳이나 외양
크 기 : 몸길이 4m 이하

포유류 고래목에 속하는 작은 이빨이 있는 고래의 총칭.
물돼지라고도 하며, 참돌고래과·쥐돌고래과·강돌고래과·일각과·쇠말향고래과가 포함된다. 아래턱과 위턱에 많은 이빨이 있으며, 주둥이 부분은 매우 가늘고 길다. 전두부(前頭部)로부터 구별되는 종류를 돌핀이라고 하고, 전두부가 둥글고 주둥이가 눈에 잘 띄지 않는 종류를 포르포이스라고 하기 때문에 혼동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참돌고래과와 쥐돌고래과의 작은 이빨이 있는 고래를 가리킬 때가 많다.

돌고래의 이빨은 각 열마다 20개 이상이며, 60개에 달하는 종류도 있다. 비도(鼻道)는 좌우를 합해 전두부의 1개의 외비공(外鼻孔)으로 되어 있다. 크고 작은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무리를 이루며, 후궁(後宮)을 만들기도 하지만 1마리의 수컷이 큰 무리를 지배하는 일은 없다. 주로 오징어와 물고기를 즐겨 먹으며,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들은 6~18개월 동안 어미의 젖으로 양육된다. 대부분의 개체는 6개월 이상 지나면 어미의 젖과 어미가 먹는 것을 혼식하며, 3∼6년 정도 지나면 성숙한다.

뇌는 주름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수중음향(水中音響)의 발신과 수신이 발달되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해 돌고래를 바다의 목양견(牧羊犬)으로 훈련시켜 보려는 구상도 하고 있지만, 현단계로서는 어려운 일이다. 돌고래류에는 연안성이 강한 쥐돌고래·쇠물돼지 등과 난해성(暖海性)인 줄무늬돌고래·참돌고래·낫돌고래 등이 있는데, 난해성 돌고래류는 수족관에서 사육하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기 때문에 기르기가 어렵다.

사람이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한 돌고래는 대개 물 속에서 사람과 함께 놀며 사람으로부터 먹이를 받아 먹는 것을 좋아하지만, 종류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참돌고래(Delphinus spp.)는 몸길이가 약 2m인 전형적인 돌고래로,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며, 태평양·대서양·인도양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위턱뼈 구개부(口蓋部)에 대나무를 쪼갠 것과 같은 홈이 있는 것이 특징이고, 몸빛깔이 선명하다.(사전)

수고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뇌의 크기는 사람의 크기와 비슷하며, 몸의 크기에 대한 뇌의 비율은 사람의 3분위 1정도 됩니다. 동물들 중 돌고래는 앵무새와 함께 가장 똑똑한 동물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돌고래는 초음파를 비롯해 약 700종의 발음을 할 수 있어요. 이처럼 다양한 발음능력이 있기 때문에 돌고래끼리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사람도 나라마다 언어가 다르듯이 돌고래도 살고있는 바다 위치에 따라 '언어'가 다릅니다. 그래서 다른 지역의 바다에서 태어난 돌고래와는 대화가 불가능해집니다. 그런데 여기서 더 재미나는 건 돌고래 세계에도 바우링걸이라고 우리로 말하면 통역하 역할을 하는 돌고래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태평양 한복판에 사는 돌고래는 극동 해역과 미국연안 해역 돌고래의 언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이 돌고래가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포유류 고래목에 속하는 작은 이빨이 있는 고래의 총칭. 물돼지라고도 한다. 참돌고래과·쥐돌고래과·강돌고래과·일각과·쇠말향고래과가 포함된다. 아래위 양 턱에 많은 이빨이 있으며, 몸길이는 약 4m 이하이고, 주둥이 부분은 매우 가늘고 길며 전두부로부터 구별되는 종류를 돌핀이라고 한다. 전두부가 둥글고 주둥이가 눈에 잘 띄지 않는 종류를 포르포이스라고 하므로 혼동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참돌고래과 및 쥐돌고래과의 소형의 이빨이 있는 고래를 가리킬 때가 많다. 돌고래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빨은 각 열마다 20개 이상이며, 60개에 달하는 종류도 있다. 비도는 좌우 합쳐서 전두부의 1개의 외비공으로 되어 있다. 대소의 차이는 있지만 무리를 이루며 후궁은 만들지만 한 마리의 수컷이 큰 무리를 지배하는 일은 없다. 오징어·물고기를 즐겨 먹으며 한번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들은 6~18개월 정도 바다에서 어미젖으로 양육된다. 대부분의 개체는 6개월 이상 지나면 어미젖과 어미가 먹는 것을 혼식하며, 3~6년 정도 지나면 성숙한다. 돌고래의 뇌는 주름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수중음향의 발신·수신이 발달되어 있어 이들을 이용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돌고래를 훈련시켜 바다의 목양견으로 이용하는 구상도 하고 있지만 현단계로서는 어려운 일이다. 돌고래류에는 연안성이 강한 쥐돌고래·쇠물돼지가 있지만 줄무늬돌고래·참돌고래·낫돌고래와 같은 것은 난해성인데, 사람이 포획하여 수족관에서 사육하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기 때문에 사육하기가 어렵다. 사람이 무섭지 않다는 것을 이해한 돌고래는 물 속에서 사람과 함께 놀며 사람으로부터 먹이를 받는 것을 좋아하지만, 종류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참돌고래는 몸길이가 약 2m인 전형적인 돌고래로,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는데, 태평양·대서양·인도양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위턱뼈 구개부에 대나무를 쪼갠 것과 같은 홈이 있는 것이 특징이고 몸빛깔은 선명하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돌고래란?]
돌고래는 '고래'라는 포유 동물 군 중의 한 종류, 일반적으로 고래는 입 속에 고래수염이 있는 '수염고래'와 이빨이 있는 '이빨고래'로 나뉘는데, 돌고래는 이빨고래 중에서도 몸길이가 5m 정도보다 작은 '소형 이빨 고래'에 속한다.
돌고래 중에서도 이빨과 주둥이의 모양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는데 주둥이 부분이 가늘고 길며, 톱날처럼 뵤족한 이빨을 가진 종류를 'Dolphin'이라 부르고 삽날처럼 둥근 이빨을 가지고 주둥이가 눈에 잘 띄지 않는 종류를 'Porpoise'라고 한다.

[돌고래의 생김새]
위턱뼈 구개부(口蓋部)에 대나무를 쪼갠 것과 같은 홈이 있는 것이 특징이고, 몸빛깔이 선명하다.
몸길이 4m 이하이다. 물돼지라고도 하며, 참돌고래과·쥐돌고래과·강돌고래과·일각과·쇠말향고래과가 포함된다. 아래턱과 위턱에 많은 이빨이 있으며, 주둥이 부분은 매우 가늘고 길다. 전두부(前頭部)로부터 구별되는 종류를 돌핀이라고 하고, 전두부가 둥글고 주둥이가 눈에 잘 띄지 않는 종류를 포르포이스라고 하기 때문에 혼동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참돌고래과와 쥐돌고래과의 작은 이빨이 있는 고래를 가리킬 때가 많다.

돌고래의 이빨은 각 열마다 20개 이상이며, 60개에 달하는 종류도 있다. 비도(鼻道)는 좌우를 합해 전두부의 1개의 외비공(外鼻孔)으로 되어 있다. 크고 작은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무리를 이루며, 후궁(後宮)을 만들기도 하지만 1마리의 수컷이 큰 무리를 지배하는 일은 없다. 주로 오징어와 물고기를 즐겨 먹으며,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들은 6~18개월 동안 어미의 젖으로 양육된다. 대부분의 개체는 6개월 이상 지나면 어미의 젖과 어미가 먹는 것을 혼식하며, 3∼6년 정도 지나면 성숙한다.
뇌는 주름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수중음향(水中音響)의 발신과 수신이 발달되어 있다

[돌고래의 지능]
돌고래류의 지능지수를 사람의 지능지수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기는 어렵다. 지능의 척도로서 흔히 사용되는 뇌의 크기는 사람의 크기와 비슷하며, 몸의 크기에 대한 뇌의 비율은 사람의 경우 평균 1.93%, 돌고래는 0.6% 정도이며, 뇌표면의 굴곡도 역시 사람 다음으로 높다고 한다.

일부 학자들은 지구생태의 이용 측면에서 인간보다 뛰어나다고 말하는 이도 있다. 지구 역사 45억년중, 고래류는 약 2억년 전에 메소쿠니스라는 원시포유류로부터 진화하여 약 60만년전에 물고기 형태인 고래(whales and dolphins)로 형태학적 진화와 생태학적 적응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3차례의 혹독한 빙하기의 지구환경 변화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육지 동식물이 멸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래는 환경의 변화가 적은 바다속에서 생존이 가능하였다.

현생고래류는 지구에 나타난 가장 큰 동물(몸길이 30m, 몸무게 160톤 -코끼리 32마리, 열차 차량 4대와 같음)로서 현존하고 있다. 인간이 지구상에 나타난 것은 약 30만년전이다. 오늘날 인간에 의한 문명의 발달은 지속적인 환경의 황폐로 지구 생태계를 크게 위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풍부한 먹이와 더 넓은 바다공간을 생활 터전으로 선택한 지구생태계의 이용 능력은 사람에 비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돌고래의 초능력]
돌고래는 몇 km 앞에 있는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를 강력한 음파로 실신시켜 잡아 먹는다. 또한 그 음파는 다른 동물의 골격이나 근육의 상태까지도 판단할 수 있다고 한다. 눈을 가려도 사물의 형태나 거리를 아는 경우도 있다.
즉, 돌고래는 소리를 듣는다기 보다는 소리를 '본다'라고 하는 것이 어울릴 것이다. 돌고래의 이런 발달된 감각과 부드러워 보이는 외모, 웃고 있는 듯한 얼굴로 인해 인간에게 인기가 좋은 것이 아닐까?

[돌고래의 종류]
돌고래의 종류는 약 70여 종으로 모양이나 색깔, 성격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들과 친한 것은 병코 돌고래(Bottlenose Dolphin), 스피너 돌고래(Spinner Dolphin), 아열대 알락 돌고래(Pantropical Spottde Dolphin)의 3종류이다.
병코 돌고래는 길들이기 쉬워 세계 곳곳의 수족관에서 많이 기르며, 돌고래 쑈에서도 맹활약한다. 스피너 돌고래는 수면 위로 높이 솟아 올라 여러 번 회전하는 점프로 유명하고 아열대 알락 돌고래는 전, 후방 공중 돌기나 뱃머리의 파도를 올라타는 재주도 유명하다.

돌고래에 대한 자료 입니다~
                                                                    숙제 잘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뇌의 크기는 사람의 크기와 비슷하며, 몸의 크기에 대한 뇌의 비율은 사람의 3분위 1정도 됩니다. 동물들 중 돌고래는 앵무새와 함께 가장 똑똑한 동물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돌고래는 초음파를 비롯해 약 700종의 발음을 할 수 있어요. 이처럼 다양한 발음능력이 있기 때문에 돌고래끼리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사람도 나라마다 언어가 다르듯이 돌고래도 살고있는 바다 위치에 따라 '언어'가 다릅니다. 그래서 다른 지역의 바다에서 태어난 돌고래와는 대화가 불가능해집니다. 그런데 여기서 더 재미나는 건 돌고래 세계에도 바우링걸이라고 우리로 말하면 통역하 역할을 하는 돌고래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태평양 한복판에 사는 돌고래는 극동 해역과 미국연안 해역 돌고래의 언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이 돌고래가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포유류 고래목에 속하는 작은 이빨이 있는 고래의 총칭. 물돼지라고도 한다. 참돌고래과·쥐돌고래과·강돌고래과·일각과·쇠말향고래과가 포함된다. 아래위 양 턱에 많은 이빨이 있으며, 몸길이는 약 4m 이하이고, 주둥이 부분은 매우 가늘고 길며 전두부로부터 구별되는 종류를 돌핀이라고 한다. 전두부가 둥글고 주둥이가 눈에 잘 띄지 않는 종류를 포르포이스라고 하므로 혼동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참돌고래과 및 쥐돌고래과의 소형의 이빨이 있는 고래를 가리킬 때가 많다. 돌고래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빨은 각 열마다 20개 이상이며, 60개에 달하는 종류도 있다. 비도는 좌우 합쳐서 전두부의 1개의 외비공으로 되어 있다. 대소의 차이는 있지만 무리를 이루며 후궁은 만들지만 한 마리의 수컷이 큰 무리를 지배하는 일은 없다. 오징어·물고기를 즐겨 먹으며 한번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들은 6~18개월 정도 바다에서 어미젖으로 양육된다. 대부분의 개체는 6개월 이상 지나면 어미젖과 어미가 먹는 것을 혼식하며, 3~6년 정도 지나면 성숙한다. 돌고래의 뇌는 주름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수중음향의 발신·수신이 발달되어 있어 이들을 이용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돌고래를 훈련시켜 바다의 목양견으로 이용하는 구상도 하고 있지만 현단계로서는 어려운 일이다. 돌고래류에는 연안성이 강한 쥐돌고래·쇠물돼지가 있지만 줄무늬돌고래·참돌고래·낫돌고래와 같은 것은 난해성인데, 사람이 포획하여 수족관에서 사육하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기 때문에 사육하기가 어렵다. 사람이 무섭지 않다는 것을 이해한 돌고래는 물 속에서 사람과 함께 놀며 사람으로부터 먹이를 받는 것을 좋아하지만, 종류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참돌고래는 몸길이가 약 2m인 전형적인 돌고래로,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는데, 태평양·대서양·인도양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위턱뼈 구개부에 대나무를 쪼갠 것과 같은 홈이 있는 것이 특징이고 몸빛깔은 선명하다.

돌고래의 특징은 뭔가요??

돌고래의 특징을 알고 싶포 가르쳐주세요 빨리빨리 아리켜 주시면 이뽀할끄야^-^ ***** 큰돌고래 ***** (고래류 중 가장 온순하고 친화력이 있어 돌고래쇼나 TV광고에 자주...

돌고래의 특징뭔가요?

제가 내일까지 과학 숙제를 해야 하는데 돌고래의 특징좀 아려 주세요ㅠㅠ 돌고래는 새끼를 키우는 포유류이다. 돌고래는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돌고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돌고래의 특징뭔가요???

돌고래의 특징좀 빨리 빨리 간략하게 알려주세요^^*내공15 포유류동물 ,IQ있다,초음파 언어&신호,무리를 지어다닌다,질투가 심하다

돌고래의 특징

돌고래의 특징은 뭔가요?????? 내공 10 걸어요 최대한 자세하게...... 물돼지라고도 한다. 학명은 Delphinus delphis이다. 몸의 길이가 4m 이하이고 주둥이 부분이 매우 가늘고 길며...

핑크 돌고래 생김새 좀 알려주세요~내일...

핑크 돌고래 생김새가 뭔가요~?저가 아는건 원래 바다에서 살고 있었는데 자연 현상으로... 돌고래 모양에 핑크빛을 띠고 있으며 등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둥이가...

몰디브의 지역적 특징

몰디브의 지역적 특징뭔가요?? 산호초 지대의 특징도 궁금해서ㅎㅎ 몰디브의 지형... 거북이, 돌고래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 해는 계절풍이 부는 두 기간으로 나뉘어진다...

포유동물만 가지고 있는 특징뭔가요?

... ㅋ 바로 본론 으로 들어가겠습니다 포유동물들만 있는 특징은 네 다라가있고 털이있고 새끼를 낳고 젖을 먹입니다 오리너구리나 돌고래는 표유류죠..ㅋ 이상...

알을 낳는 동물의 특징이 뭐예요??

알을 낳는 동물의 특징뭔가요?? 학교 숙제라서요........ 좋은 답변 기대하겠습니다.... 강아지,햄스터,고양이,소,돼지,사자,호랑이,코알라,캥거루,기린,양,염소,돌고래,사슴...

이 폰트 이름이 뭔가요?

궁금합니다 ㅂ 이 흘림체같은게 특징인데 못찾겠네요 폰트명 -> Sandoll 둥굴림2... HU안녕돌고래, TS맑은비 채택 부탁드려용♥ https://www.sandollcloud.com/font/Sandoll/184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