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의 독특한 문화들에 대해서 꼭좀 가르쳐 주세요~

다른 나라의 독특한 문화들에 대해서 꼭좀 가르쳐 주세요~

작성일 2003.11.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다른 나라 문화를 공부할라구 하는데요 그런 것 중에요, 인사같은거 할때 얼굴에 침 뱉는 것 처럼 독특한 문화를 가진 나라 3나라 선택해서 좀 가르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꼭 좀 가르쳐 주세요


#다른 나라의 특이한 문화 #다른 나라의 발효 식품 #다른 나라의 저출산 극복 사례 #다른 나라의 문화 #다른 나라의 건강한 식습관 #다른 나라의 음식 #다른 나라의 설날 #다른 나라의 도움이 필요한 나라들 #다른 나라의 집 #다른 나라의 식생활 문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하나.

중국에 갔을 때 식당의 그릇들이 이빨이 나가 있는데
그대로 사용하더군요.

일류 레스토랑이었는데
그들은 그런 그릇을 전통있다고 한다네요..

둘.

인도에서는 물을 마실 때 컵을 입에 대지 않고
물을 입안에 부어 넣습니다.

셋.

일본에서는 밥그릇을 들고 밥을 먹습니다.


아래.. 참고하세요..

................................................................

[음식문화 문제제기]


1. 이슬람 음식문화

무슬림들의 식생활은 비이슬람 교도들의 관점에서 볼 때 갑갑하리만치 엄격해 보인다. 특히 돼지고기와 개고기는 하람(haram)에 해당되기 때문에 입에도 대지 않는다. 심한 경우는 돼지고기나 개고기를 자른 칼을 사용한 음식조차 거부한다. 이슬람에서의 하람과 할랄은 무슬림들의 식생활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지침서 역할을 한다. 이 하람과 할랄은 이슬람 경전인 '꾸란(Qu'ran)'과 '하디스(Hadith)'에도 명시되어 있는데, 무슬림들이 몸에 유해한 것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이슬람에서 하람으로 규정된 음식들이 있다.

할랄을 행하지 않고 도살한 동물
동물의 사체와 피
인간에게 해가 되거나 더럽다고 간주되는 육지의 동물 : 돼지, 쥐, 코끼리, 호랑이, 사자, 곰, 개, 고양이, 늑대 등
다른 동물이나 시체를 먹는 조류 : 독수리, 까마귀, 부엉이 등
수륙 이중생활을 하는 동물 : 개구리, 악어, 뱀, 거북이 등
인간의 정신을 혼미하게 하는 것 : 술, 마약, 대마초 등
무슬림들이 즐기는 육류로는 염소고기가 으뜸이다. 닭고기가 그 다음이고, 소고기도 순서에 든다. 이 육류들은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방식인 기름에 튀기거나 약한 숯불에 구워 먹는다. 또 이 짐승을 식용으로 도살할 때는 엄숙한 의식이 따른다. '멈바짜 바스말라(membaca basmallah)'라고 알려진 기도문을 암송하는 것으로 의식이 시작된다. 짐승에 성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데, 똑같이 '비스말라'를 외친 후, 수컷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목을 따고, 암컷의 경우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목을 딴다. 단, 짐승의 피는 절대 먹지 않는다. 그러니 한국에서 해장국으로 좋은 선짓국은 상상할 수도 없다. 또한 짐승(특히 개)의 침을 몹시 싫어한다.

이렇게 거치는 소정의 절차가 바로 '할랄'인 것이다. 무슬림들은 이것을 행한 육류만 먹는다.뷔페식당에 가면 육류 요리접시 앞에 'Halal'이라고 쓴 명함크기의 표지를 볼 수 있다. 밥을 제외한 모든 음식, 국과 모든 반찬도 마찬가지. 기호식품인 라면이나 스낵에도 'Dijamin Halal' '100% Halal' 의 표시를 해놓는다. 즉, 그 음식에 돼지고기가 포함되지 않았고, 돼지 기름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뜻. 이렇게 돼지고기를 '하람'이라고 엄격하게 구분하지만, 도시 지역에 사는 중국인을 비롯한 비무슬림들은 돼지고기를 많이 먹고있다.

또, 라마단 행사를 빼놓을 수 없다. 무슬림들이 이슬람력으로 9월인 라마단(Ramadan)에 행하는 한달 간의 단식도 이 나라 음식문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슬람 5가지 계율의 하나인 단식은 비무슬림들의 선입견과 달리 알라(Allah)가 인간에게 고통을 주려는 것이 아닌, 인간 스스로가 욕망에서 나 자신을 제제하고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극기 훈련이자, 신의 축복을 받고 싶어한다는 표현 행위다.

무슬림은 이 기간동안 단식을 수행하면서 없는 자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자선을 베풀며, 욕망으로부터 자신을 자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고 믿는다. 그러면서 알라의 경외스러움을 깨닫고 모든 허물을 용서받으며, 내세까지도 신의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금식이라고 알려진 이슬람 종교의 계율은 단식으로 표현해야 옳다. 무슬림들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지, 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식을 하면, 해뜨기 전부터 해지는 시간까지 어떤 음식도 섭취하거나 담배를 피울 수 없다. 심지어 물 마시는 것도 금해야 한다. 또 단식하는 동안, 일체의 나쁜 행동이나 남녀 관계는 물론, 경건함과 거리가 있는 생각조차 멀리 한다. 해지는 시간이 되면 단식을 멈추고, 식사를 한 다음, 다음날 해뜨기 전에 일어나 하루 활동을 위해 간단한 음식을 먹는다. 단식기간 동안 무슬림들은 하루 중 최소 13시간 이상을 단식하고 나서야 음식을 먹을 수 있다. 장시간의 공복 후에 식사를 하므로 위에 부담이나 자극이 가지 않도록 매우 주의를 기울인다.

2. 인도 음식문화

대표적인 음식

1) 볶음밥

풀라우(pulau 또는 pulao) : 향신료를 알맞게 섞어서 지은 밥으로, 우리의 볶음밥과 비슷하다.

비리야니(biriyani) : 양고기 비리야니나 닭고기 비리야니가 일반적이다.

2) 빵

난(nan) : 정제한 하얀 밀가루를 발효시켜 만든 것이어서 조금 부풀어 있다. 난은 반죽을 탄두르(진흙 화덕)안쪽 벽면에 넓은 잎사귀 모양으로 얇게 늘여 붙여서 굽는다.

차파티(chapati): 밀기울이 든 밀가루를 물로 개어 얇게 만들어 구운 빵이다. 차파티는 통밀로 빻은 밀가루에 소금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키지 않고 1∼2mm 두께에 20cm 정도의 원판형으로 얇게 밀어서 달군 돌판이나 철판 위에서 굽는다. 난이나 차파티는 양고기, 채소, 과일을 얹어서 반으로 접거나 작게 뜯어 커리와 함께 먹는다.

파라타(paratha) : 기이(정제한 버터)를 발라서 토막 내어 구운 것으로 값이 조금 비싸다.

푸리(puri) : 반죽을 기름에 튀겨서 부풀린 것으로 인도식 스낵이다.

3) 커리(curry)

인도에는 약한 불에서 은근하게 가열하여 향신료가 잘 스며들어 깊은 맛이 나는 음식이 특징인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커리이다. 인도에서는 채소와 고기에 향신료를 넣고 걸쭉하게 끓인 음식을 모두 커리라고 하며, 인도 어느 지방에서나 맛볼 수 있다. 인도에서 커리를 만들 때에는 고기와 야채 중에 한 가지만을 사용한다. 커리는 밥에 얹어 먹거나 차파티나 난과 함께 먹는다. 우리가 먹는 카레보다 매운맛이 훨씬 강하고 자극적이지만 버터를 넉넉히 넣어 깊은 맛을 지닌다. 커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향신료는 심황과 고추인데, 심황 때문에 인도의 음식은 노란색을 띤 것이 많다.

4) 탄두리 치킨(tandoori chicken)

북부 인도에서는 큰항아리처럼 생긴 탄두르(tandoor)라는 진흙화덕을 이용하여 요리를 한다. 탄두르의 깊은 바닥에 장작불을 피워 충분히 달군 다음 그 안에 식품을 넣어 굽는다. 탄두리 치킨은 닭을 요구르트와 여러 가지 향신료에 재웠다가 쇠꼬챙이에 꿰어서 탄두르에 넣어 구운 요리로, 향신료가 속까지 잘 배어서 맛이 아주 향기롭다.

5) 달(dhal)

부드럽게 삶은 콩에 마살라(혼합향신료)를 가미한 수프이다. 달을 만드는 콩에는 큰 것과 작은 것, 황색과 검은빛이 도는 것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콩의 종류에 따라 맛과 모양이 다르다. 밥이나 차파티에 달을 섞어서 먹는 것이 식사의 기본이다.

식사예절

ㅇ 식사 때 낮은 걸상을 사용하거나 바닥에 앉는다.
ㅇ 좌석배치에 규칙이 있다.
오른쪽에 주인, 왼쪽으로 가면서 연령 순서로 앉는다.
노인과 소년, 소녀는 조금 떨어져 앉는다.
ㅇ 식사 전에 반드시 물로 양손을 씻는다.
보통 손가락으로 집어먹지만, 음식이 뜨거운 경우에는 나무 스푼을 사용하기 도 한다.
ㅇ 반드시 오른 손으로 식사를 한다.
ㅇ 물을 마실 때 컵을 입에 대지 않고 물을 입안에 부어 넣는다.
ㅇ 식사 후 물로 양치한 후 물을 뱉어 버린다.
ㅇ 식사 중에 이야기하는 것을 무례하다고 여기므로 식사가 끝나면
손을 씻고 양치한 후에 이야기를 시작한다.


3. 프랑스 음식문화

음식문화의 특징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7-2.htm

대표적인 음식과 식품

① 포도주

프랑스의 포도주 산지는 크게 나누어 보르도(Bordeaux), 부르고뉴(Bourgogne), 론느(Rhone), 루와르(Loire), 알자스(Alsace), 상파뉴(Champagne) 등으로 볼 수 있다.

② 프랑스 빵

프랑스의 식탁에서 빵은 빼 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프랑스 인들은 매끼니 모든 음식을 빵과 함께 먹는다. 아침 식사가 아니면 바게뜨와 시골빵과 같은 담백한 빵을 곁들이고 아침 식사에서는 이들 빵에 버터나 잼을 발라먹거나 크로와쌍을 까페올레(cafe au lait)에 담가 먹는다.

③ 치즈

프랑스의 치즈의 종류는 400여종 이상으로 매우 다양하다.

④ 달팽이(Escargot)

달팽이를 데쳐서 껍질 속에 넣고 마늘과 파슬리로 향을 낸 버터를 입구에 듬뿍 얹어 오븐에 구워낸 것이다.

⑤ 프와그라(Foie gras)

살찐 거위나 오리의 간을 뜻하며 다른 재료들과 섞어서 빠떼(pate)나 떼린(terrine)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고 그대로 구워먹기도 한다.

⑥ 송로버섯 튀르플 : 식탁위의 다이아몬드라 불리는 버섯으로 떡갈나무 숲의 땅 속에서 자라 숲과 흙의 그윽한 향이 배어있다.

⑦ 스테이크 샤또브리앙(Chateau brian) : 샤또브리앙이란 소에서 가장 고급의 질을 갖는 고기부위를 부르는 말로서 안심 중에서도 가장 부드러운 부분이다. 스테이크는 대개 매콤한 프랑스 디종 지방의 겨자와 함께 먹는다. 스테이크에는 곡류나 채소를 곁들이며 'french fry'로 알려져있는 감자튀김을 곧 잘 곁들인다.

⑧ 부르기뇽과 꼬끄오뱅 : 프랑스 사람들이 즐겨하는 요리 중 적포도주의 향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요리는 부르기뇽(쇠고기 사태살에 적포도주를 듬뿍 넣고 조리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사태찜과 상당히 비슷하다), 꼬끄오뱅(닭에 포도주를 넣어 찐 것) 등이며 포도주는 후식을 만들 때도 이용한다.

⑨ 쁘띠푸르(les petits fours)

한 입에 들어 갈 크기의 전채나 후식류, 과자류를 통칭하는 말로서 손으로 집어먹을 수 있도록 파이의 껍질 속에 짭짤한 맛이나 단 맛을 갖는 속을 채워넣는다. 뷔페나 다과상, 술 안주 등으로 먹기 좋으며 보기에 화려하여 파티음식으로도 이용된다.

식사예절

● 식사전 예절

- 손님들이 모이면 주인은 아뻬리티프를 권한다. 준비된 술의 종류를 주인이 말해 주므로 원하는 술을 골라 받아 마신다. 두 번 째 잔은 다른 것으로 마셔도 되지만 더 이상은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안주도 주인이 권하면 들도록 한다.

- 프랑스인들의 식사는 매우 길다. 포도주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많이 하며 먹기 때문에 다른 집에 초대되었을 때는 이야기에 동참하여 분위기를 맞추어 주어야한다. 그러나 입에 음식을 넣고 이야기하지는 않도록 한다.

● 식사시 예절

- 아뻬리티프를 마셨으면 주인은 식탁에 앉기를 권한다. 주인이 개인의 취향, 화술 등을 고려하여 전체가 대화에 참여하도록 자리 배치를 한다. 사람이 많을 경우 이름표가 미리 놓여져 있기도 한다. 자리 배치는 상석인 남자 주인의 오른편에 주빈이나 최연장자를 앉고, 남녀가 번갈아 앉으며, 한 가족이 연이어 나란히 앉지 않는다. 자리 배치를 받으면, 곧바로 앉지 말고, 주인과 주빈이 앉은 후에 앉도록 한다. 앉을 때는 식탁을 향해서 섰을 때 의자의 왼쪽에서 앉고 식탁과 너무 멀리 떨어 지지 말고, 의자 등받이에 기대지 않는다.

- 의자에 앉아 식사를 하기 전에는 손은 자연스럽게 식탁 위에 놓거나 무릎 위에 올려 놓는다.

- 냅킨은 요리가 나오기 시작 할 때 펴는데, 이등분해서 접은 후 접힌 끝단이 밖을 향하게 놓고 입을 닦을 때는 냅킨의 안쪽을 사용한다. 냅킨은 식사 후 커피를 마실 때까지 무릎에 두며, 다 사용한 후에는 접시 왼쪽에 가볍게 접어둔다.

- 안주인이 식사를 시작하면 손님이 시작하고 모든 사람이 끝날 때까지 식사를 한다.

- 포크와 나이프는 요리가 나올 때마다 바깥쪽부터 좌우 한 개씩을 사용하는데, 한번 사용한 것은 접시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는다. 사용 중인 것은 포크는 아래를 향하게 하고 나이프는 칼날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팔(八)자로 걸쳐놓고, 식사가 끝나면 포크는 위를 향하게 하고 나이프의 칼날을 안쪽으로 향하게 해서 접시 중앙의 오른편에 나란히 놓는다.

-샐러드는 기호에 따라 드레싱을 적당히 얹어 한입에 들어갈 정도로 떠서 먹는다. 샐러드를 나이프로 잘라서 먹지는 않는다.

-수프는 왼손으로 수프접시를 잡고 수프스푼을 자기 앞쪽에서 반대쪽으로 향하게 해서 떠서 소리나지 않게 먹는다. 이 것은 매우 어려운 기술로서 프랑스인들은 수프 스푼을 가볍게 이로 물다시피 하면서 수프를 입에 흘려넣는다고 한다. 수프가 조금 남으면 접시 앞쪽을 들어서 살짝 기울인 다음 떠먹는다.

- 빵은 샐러드나 수프 등과 함께 먹기 시작하는데 손으로 알맞은 크기로 떼어서 먹는다. 고기요리나 생선요리를 먹는 사이사이에도 먹는다.

- 생선요리는 뒤집어 먹지 않는다. 윗면의 살을 먹은 다음 뼈를 발라내고 나머지 부분을 먹는다. 곁들인 레몬은 포크로 누른 후 나이프의 넓은 면으로 살짝 눌러 즙을 낸다.

- 포도주는 식사와 함께 마시는데, 백포도주는 생선요리에, 적포도주는 고기 요리에 제공된다. 포도주와 같이 차갑게 마시는 경우에는 잔의 목 부분을 잡는다. 만일 목을 감싸듯이 잡으면 체온으로 인해 술의 온도가 변해서 포도주의 제 맛을 잃게 된다

- 후식이 제공되기 전에 핑거보울이 나오는 경우는 손가락을 서너개 물에 담갔다가 냅킨으로 닦은 후, 후식으로 제공되는 과일이나 케이크를 먹는다. 핑거보울에는 양손을 넣지 않는다.


4. 중국 음식문화

중국 음식 문화의 일반적 특성

중국의 음식문화를 포괄적으로 설명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중국 음식의 몇 가지 공통된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ㅇ 중국 음식에는 거의 모든 일반적인 식품이 재료로 이용된다.

ㅇ 녹말 물을 사용하여 조리하는 음식이 많다.

ㅇ 조리 기구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다.

훠궈(중국 냄비), 사궈(볶음, 튀김 냄비), 러우사오(그물 조리), 정룽(찜통) 외에 식칼, 뒤집게, 국자 등이 조리 기구의 전부이다.

ㅇ 익혀 먹는 숙식(熟食)을 기본으로 한다.

ㅇ 기름을 사용하여 조리한다.

중국 음식은 대부분 기름에 튀기거나, 조리거나, 볶거나, 지진 것이다. 따라서 고온에서 짧은 시간에 음식을 만들 수 있어서 재료의 고유한 맛이 유지되고 영양소의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ㅇ 시각적으로 외관이 풍요롭고 화려하다. 채소, 해산물, 육류 등을조화시켜 만든 음식을 한 그릇에다 모두 담고 장식을 한다.

ㅇ 향신료와 조미료의 향을 잘 활용한다.

마늘, 생강, 고추, 파, 양파, 팔각, 굴소스, 두반장 등의 향을 충분히 이용하기 때문에 중 국 음식의 독특한 맛과 향이 결정된다.

4대 요리의 특징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3-2.htm

1) 북경 요리(베이징 요리)

♥ 대표적인 북경 요리-통오리 구이

북경 통오리구이는 특수하게 사육한 오리를 재료로 하여 만든다. 부화한 후 50일이 지나면 오리를 어둡고 좁은 곳에 집어넣어 강제로 먹이를 준다. 약 반달 동안 먹이면 과잉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2배로 자라난다. 이 오리의 깃털과 물갈퀴, 내장을 빼고 껍질과 살 사이에 공기를 넣어 부풀어오르게 한 후, 몸 표면에 엿을 발라서 햇볕에 쪼인 다음 아궁이에서 표면이 다갈색이 될 때까지 굽는다. 먹을 때는 얇은 밀전병에 벗겨낸 껍질, 채 친 파와 양념을 함께 싸서 먹는다.

2) 광동 요리

광동 요리는 부드럽고 담백하며, 기름지지만 느끼하지 않다. 뱀, 쥐, 개, 원숭이 등을 이용한 요리가 유명하다. 달착지근한 맛이 있으며 해산물을 이용한 요리가 많다.

광동 요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구운 돼지고기인 차사오(叉燒)와 어린 통돼지구이인 피옌피루주(片皮乳猪), 광동식 탕수육인 구라오러우, 상어지느러미찜이 있다.

♥ 광동요리의 귀한 재료 - 상어 지느러미

상어지느러미는 색깔, 부위, 형태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흰 것은 백시(白翅), 검은 것은 흑시(黑翅)라 하고, 형태가 온전하게 있는 것은 배시(排翅), 흩어져 있는 것은 산시(散翅), 흩어진 것을 성형한 것은 시병(翅餠)이라 한다. 통지느러미는 고급품으로 찜이나 조림에 쓰이며, 하급품으로는 수프나 볶음 등을 만든다. 지느러미의 흰 살은 특별한 맛은 없지만, 특유의 향이 나고 씹히는 촉감이 독특하다. 마른 상어 지느러미를 불릴 때는 찬물에 담가 어느 정도 부드러워지면 끓는 물에 1시간 정도 삶은 뒤 그대로 하룻밤을 둔다. 다음날 검은 막을 벗겨내어 깨끗이 씻은 다음 다시 더운물에 넣어 30분 정도 끓여 뼈와 이물질을 없앤다. 이와 같은 작업을 3회 반복하면 부드럽게 불어난다.

3) 상해 요리

이 지역의 특산물인 장유(醬油, 간장)를 써서 만드는 요리는 매우 독특하다. 돼지고기에 진간장을 써서 만드는 요리, 한 마리의 생선을 가지고 머리에서 꼬리까지 조리와 양념을 달리해서 맛을 내는 생선 요리가 일품이다.

4) 사천 요리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중국음식은 사천요리라고 하는데, 마늘, 파, 매운 고추, 생강 등의 향신료를 사용하는 요리가 많다. 맵고 짜지만 느끼하지는 않아 우리의 입맛에도 가장 잘 맞는다.

중국의 식사예절

중국 음식은 한 식탁에 둘러앉아서 큰 접시에 나온 음식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먹는 방식이므로, 동석한 사람들이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좌석은 주빈이 되는 손님이 가장 안쪽인 상좌(上座)에 앉도록 배치하고, 주인은 시중을 드는 사람이 드나드는 문 쪽의 하좌(下座)에 앉는다. 주빈의 좌우에는 주빈 다음으로 중요한 손님을 앉게 하고, 주인의 좌우에는 가까운 친지나 친구들을 앉게 한다. 음식이 나오면 주빈 앞에 놓아 먼저 먹도록 배려하고, 마실 술의 종류도 주빈에게 물어서 정하도록 한다.

중국 식탁에서 스푼은 탕을 먹을 때만 사용하고, 다른 음식을 먹을 때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밥이나 국수는 젓가락을 사용한다. 양손으로 먹을 때는 왼손에 스푼을 들고 음식을 덜어 담은 다음 오른손에 쥔 젓가락을 사용해서 먹는다. 밥이나 탕이 담긴 그릇은 손에 들고 입 가까이 대고 먹는다. 사용하고 난 수저를 남에게 보이는 것은 실례이므로, 탕을 먹은 뒤 스푼을 뒤집어 놓는다.

껍질이 있는 새우 요리는 우선 젓가락으로 몸통을 누르고 머리를 잡아떼어 안쪽에 들어 있는 내장을 먹고 난 다음, 몸통의 껍질을 벗겨 살을 떼어먹는다. 이때 입 속에 들어간 껍질은 손으로 꺼내도 상관없다. 껍데기 째 만든 게 요리를 먹을 때는 개인 접시에 다리 부분과 몸통을 한두 깨씩 덜어다놓고 먹는다. 살은 젓가락으로 발라서 먹지만 작은 토막은 껍데기 째 입안에 넣고 먹어야 소스의 맛을 충분히 음미할 수 있다

5. 일본 음식문화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스시(초밥), 사시미(회), 야키모노(구이), 돈부리(덮밥), 우동, 소바(메밀국수), 미소지루(된장국), 아게모노(튀김), 나베모노(냄비요리) 등이 있다. 몇 가지 일본 음식에 대하여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1) 스시(초밥)

니기리즈시(생선초밥)·마끼즈시(김초밥)·이나리즈시(유부초밥)·지라시즈시(비빔초밥) ·하꼬즈시(상자초밥) 등 스시의 종류는 다양하다.

2) 시루모노(국)

국물요리에는 맑은 다시(맛국물)을 그대로 써서 재료 자체의 향기와 풍미를 나타내는 스마시지루(맑은 국물)와 된장을 풀어서 끓인 미소지루(된장국)가 있다.

3) 사시미(회)

신선도를 자랑하며 자연 그대로의 담백함을 느낄 수 있는 음식으로, 관서 지방에서는 츠구리라고도 한다. 회를 접시에 담을 때는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게 하고, 생선의 맛을 돋우기 위해 부재료를 곁들인다.

4) 야키모노(구이)

야키모노는 고기, 생선, 채소를 모두 이용하며 재료의 원래 모양을 잘 살리기 위해 꼬치에 굽는 경우가 많다.

· 수야키 : 아무것도 바르지 않고 그냥 불에서 열을 가하여 구워 내는 요리

· 시오야키 : 소금 구이

· 데리야키 : 간장 양념 구이

일본의 식사예절

일본은 식사 예절이 엄격하고 복잡하다. 식사하기 전에 반드시 잘 먹겠다는 인사를 한다. 식사 전반에 걸쳐 자세를 바르게 하고 음식 먹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해야하며 다음과 같은 예절을 지켜야 한다.

· 뚜껑이 있는 경우에는 밥그릇, 국그릇, 조림그릇의 순서로 뚜껑을 벗긴다. 상의 왼쪽에 있는 것은 왼손으로 뚜껑을 쥐고 오른손을 대어 물기가 떨어지지 않게 뒤집어서 상 왼쪽 타타미에 놓는다.

· 밥- 양손으로 밥공기를 들어 왼손 위에 올려놓고, 그대로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위에서 집어 왼손 가운뎃손가락 사이에 끼운다. 그런 다음 다시 오른손으로 쓰기 좋게 잡고 젓가락 끝을 국에 넣어 조금 축인 뒤 밥을 한입 먹는다.

· 국- 국그릇을 두 손으로 들어 앞에서와 같이 젓가락을 들고 건더기를 먹고 국물을 한 모 금 마신다. 이 때 젓가락으로 건더기를 누르고 마신 후에 놓는다.

· 반찬- 조림은 그릇째로 들거나, 국물이 없는 것은 뚜껑에 덜어서 먹는다.

회는 나눔 젓가락으로 접시에 가장자리에서부터 차례로 작은 접시에 덜어 와사비(고추냉이)를 곁들인 간장에 찍어 먹는다.

생선은 머리 쪽에서 꼬리 쪽으로 먹고, 뒤집지 않는다.

자왕무시(달걀찜)는 젓가락으로 젓지 않고 앞에서부터 떼어먹는다.

· 차- 찻잔을 두 손으로 들어 왼손은 찻잔 밑에 받치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쥐고 마신 다음 뚜껑을 도로 덮는다.

· 식사 후 그릇에 뚜껑이 있는 경우 덮어두고, 젓가락은 상위에 가지런히 놓는다.

6. 이탈리아 음식문화

음식문화의 특징

(1) 이탈리아인들은 대식가이다. 음식코스로는 깔빠치오+스프+파스타+메인디쉬+후식 등이다.

(2) 파스타가 발달하였다.

(3) 해산물을 다양하게 조리할 줄 안다.

(4) 올리브 사용량이 많다.

(5) 다양한 향신료와 포도주로 만드는 식초를 사용한다.

이탈리아 식사코스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6-4.htm

식사예절

- 손의 청결에 주의한다.: 감자튀김이나 뼈를 빼지 않은 고기, 빵 등은 손으로 먹기 때문에 손의 청결에 주의해야한다.

- 식사 도중 식탁에서 손을 식탁 밑으로 내리지 않으며 팔꿈치를 식탁 위에 올려놓지 않는다.

- 공동의 큰 접시에 담겨져 나온 음식에서 원하는 부위를 고르기 위해 뒤적거리며 가져오는 것은 큰 실례이다.

- 이탈리아인들의 식탁위에는 기본적으로 오일과 소금이 놓여있는데 필요할 때는 본인이 직접 가서 가져다 먹는 것이 예의있는 행동이다. 옆 사람에게 달라고 하지 않는다.

- 샐러드는 반드시 각자의 접시에 덜어서 소스를 첨가하여 먹는다. 각자의 소스에 대한 취향을 존중해주기 때문이다. 소스가 따로 안나오는 경우에는 식탁위에 놓여있는 올리브 오일과 소금, 후추 등을 자기 입맛에 맞게 넣어 먹는다.

- 식탁이나 식탁을 떠나서도 트림을 하는 것은 예의에 크게 어긋난다.

7. 영국 음식문화

음식문화의 특징

① 영국식 아침식사는 푸짐하다.

영국은 하루에 아침과 오후의 티타임을 매우 중시하는 나라이다. 대륙식 아침식사는 커피와 빵 종류로만 때우는데 비해 영국식 아침식사에는 과일주스, 시리얼, 베이컨과 달걀 혹은 소시지와 달걀프라이, 훈제 청어와 토마토 등 매우 실속있는 상을 차려먹는다. 그로부터 'English breakfast'라는 말이 유래된다.

② 빵은 베이킹파우더로 부풀린다.

영국의 빵은 주로 베이킹 소다를 이용하여 부풀림으로 공정이 간단하다. 그래서 영국에서는 빵이나 케이크, 쿠키, 크래커 등을 통칭하여 '비스킷' 이라는 단어를 쓴다.

③ 감자가 많이 생산되어 다양한 요리가 개발되었다.

기후가 적합하지 않아 프랑스나 남유럽의 여러나라 처럼 달고 맛있는 과일은 별로 생산되지 않는다. 오히려 서늘한 기후로 인하여 감자농사가 발달하였으며 감자는 스튜와 파이(shepherd's or sottage pie), 팬케이크, 튀김, 으깬감자 등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④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조리방식

'자연스로움'을 강조하여 음식자체의 맛과 향을 중요시하므로 남부 이하의 유럽 여러나라들에서와 같이 향신료를 많이 쓰지 않는다. 육류는 알맞게 잘라 가볍게 양념을 한 후 주로 굽거나 지져서 조리하며 우스터 소스(woscesteshire sauce;앤쵸비, 식초, 간장, 마늘, 각종 향신료를 섞어 만듬)를 고기위에 뿌려 먹는다.

⑤ 커피보다 차를 즐기는 사회

영국 음식문화의 특징 한 가지는 차문화이다. 오후 4시에 하던 일을 모두 그만두고 30분 정도를 tea break로 철저히 지켜나가는 관습으로 보아 차는 영국인들의 음식문화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영국의 차문화가 번성하게된 요인 중의 하나는 식민지로 통치하던 인도의 역할이 크다. 영국에서 주로 마시는 차는 인도산 차와 실론차이다. 상류 계층에서는 고급의 중국산 차를 마시는 경우도 잇지만 대개 아삼, 다아질링, 닐기리 등의 인도산 차를 주로 마신다.

다른 나라의 독특한 문화들에 대해서...

다른 나라 문화를 공부할라구 하는데요 그런 것 중에요... 처럼 독특한 문화를 가진 나라 3나라 선택해서 가르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꼭 좀 가르쳐 주세요 하나. 중국에...

다른 나라의 문화좀 가르쳐주세요...

미국이나 프랑스 할튼 아무나라 한곳에 문화좀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그런 문화가 형성된 배경도 좀 가르쳐주세요..... 미국인의 독특한 기질을 형성하였다. 1. 독립성과 평등성...

김치문화대해서 가르쳐주세요

... 모르겟는데 가르쳐주세요. 답까지 가르쳐주시면... 우리나라 식생활에는 주,부식의 구분과 밥상 차림이... 그러나 지역이나 지방의 독특한 김치문화는 또 다른 차원에서...

세계여러나라의 음식문화대해서

세계여러나라의 음식문화대해서 알려주세요... 미국인들의 독특한 음식이다. Peanut Butter는 1890년 미국 남부... 서로 다른 음식 습관이 형성되어있다. 오래 전부터 황하강...

티벳의 관혼상제+ 독특한 문화

티벳의 관혼상제와 독특한 문화대해서 자세히 ... 또한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경(尊敬)을 많이 받을수록, 하다... 불교의 나라(인도)로 같이 보낸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음식 문화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 분 꼭 좀 가르쳐 주세요. 청소년 음식문화, 음식 종류... 중요한건 청소년들이 우리나라 음식을 맛볼 기회가 별로 없다는 거죠. 패스트 푸드점은 길거리에 널렸지만, 다른...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대해서 알고 싶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대해서 알고 싶어요 ㄷ 제가... [개설] 혼례(婚禮)는 성이 다른 남녀가 치르는 일생에서... 맛이 독특하면서도 매우 좋다고 한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여러가지 세계의 문화좀 가르쳐주세요

... 세계의 문화좀 가르쳐주세요 부탁합니다 + 식문화 + 프랑스...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식단은 프랑스인 입장에선 싸구려같아 보일 수 있겠죠. 그거야 뭐 문화는 상대적인...

다른 나라 들의 문화 알려주세용!

저는 문화대해서 알고 싶어요 빨리 말해 주세요. 저는... 그래서, 우리나라의 식단은 프랑스인 입장에선 싸구려같아 보일 수도 있다. 문화가 다르기 때문. 다만...

영국문화대해서 알려주세요.....

저희 학교 방학 숙제에는 내가 가고싶은 나라대해서... 영국 문화대해서만 못찾았어요.. 좀 가르쳐 주세요..... 각 지방에는 제각기 다른 액센트가 있는 영어를 사용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