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내공100)

말레이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내공100)

작성일 2014.05.3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목과 같이 말레이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

전통의상,전통음식,전통춤,전통가옥 등......

여러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100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제목과 같이 말레이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

전통의상,전통음식,전통춤,전통가옥 등......

여러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 아래는 말레이시아에 대한 정보입니다.

 

 

1. 말레이시아의 전통 의상

1). 말레이시아의 전통 의상

 

말레이시아전통의상은 남녀공히 사롱(sarong) 혹은 카인(kain)이라고 부르는 유색의 스커트를 입었다. 사롱(sarong)은 몸을 감싸는 기다란 천이며, 말레이어로 '통 모양의 옷'이라는 뜻이다. 너비 1m, 길이 2m 전후의 천을 통형으로 꿰매어 그 속에 하반신을 넣고, 남은 부분은 턱을 잡아 허리에 끼우든지 끈으로 맨다. 옷감은 고급 면직에 다양하게 문양을 짜넣거나 염색을 한다.  카인(kain)은 끝단을 서로 이어놨다는 것 외에는 사롱과 비슷하다. 남자들은 허리에는 사롱을 입고 위에는 셔츠를 입었다. 여자들은 사롱이나 카인과 함께 길게 늘어진 블라우스를 입었다. 남자들은 종교적인 목적으로 특유의 모자를 쓰고, 여자들은 어깨나 머리에 숄을 쓰고 다녔다. 여자들이 머리에 숄을 쓰는 이유는 남자들로부터 성적인 대상으로 보이는 것을 막고, 그들의 율법에 그렇게 하라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2). 말레이시아 전통의상

 

 




말레이시아 변화 바람

 


말레이시아 변화 바람

 

 

2. 말레이시아 음식

 

말레이시아의 특징 중의 하나라면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식당에서는 돼지고기를 거의 찾아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향료는 강하지 않아서 한국 입맛에 잘 맞는 편이라고 합니다. 계란 후라이를 얹은 매콤한 볶음밥인 나시고랭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이고 대표적인 말레이시아 아침식사인 나시 르막도 볶음밥에 멸치볶음, 찐게란, 닭고기, 칠리소스를 고명으로 얹어서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1). 노냐(Nonya)요리는 중국과 말레이 음식의 현지 변종으로 중국 조미료와 고추나 코코넛 액 같은 현지 향료를 함께 넣어서 요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노냐, 이름이 참 재미있지요? 노냐 요리는 식당 음식이라기 보다는 집에서 만들어 먹는 요리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때문에 식당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들다는 특징이 있지요. 코코넛을 많이 넣어서 향이 강한 수프인 락사(Laksa)가 고전적인 노냐 요리로 모든 말레이시아인들이 즐기는 음식입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모든 종류의 중국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에서 중국 음식을 먹는다? 상상해보지는 않았겠지만, 중국 여행을 하지 않아도 말레이시아에서 중국음식을 먹을 수 있으니 무척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바나 사라왁 등 말레이시아 동쪽에서의 중국 음식은 주로 쌀과 야채를 섞어 요리한 음식과 해산물을 볶거나 튀겨 만든 음식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말레이시아의 인도 음식은 말레이시아에서 인기 있는 음식이라고 하는데요. 인도 음식은 마부, 무슬림, 북부 음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남인도 음식은 야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매운 것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북인도의 모굴 요리는 값이 비싸서 대중적인 음식이 아니라고 하지요. 무슬림 인도 음식이 좀 순하고 고기를 더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요리로 비르야니를 꼽을 수 있습니다. 닭고기 또는 약고기 카레를 곁들이는 이 음식의 이름은 함께 먹는 노란색 밥에서 연유되었습니다. 매운 인도 음식의 경우에는 우리가 상상하기 힘들정도로 무척 맵다고 하는데, 남인도 음식을 한 번 맛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2. 말레이시아의 주식 나시(Nasi)
말레이시아의 주식은 뭘까요? 바로 우리나라와 같은 쌀밥인데요. 그러나 쌀의 모양이 얇고 길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부슬부슬한 인디카 종의 하나라고 합니다. 이것을 그릇에 담아서 끊는 도중에 물을 버리기도 하고 휘젓기도 하면서 끓이면 말레이시아의 주식인 나시가 된다고 하지요. 이때 물 대신 코코넛 밀크를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그렇다면 반찬은 어떤 것을 먹을까요? 반찬은 주로 생선, 고기 야채를 주재료로 하여 갖가지 양념과 향료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독특한 맛과 향을 낸다는 것이 특징인데요. 기본적인 식사는 삼발이라는 양념과 같이 먹는데, 새우 등을 발효시켜서 브리찬과 고추를 돌절구로 부수어 라임을 짜낸 극히 간단한 약재와 같은 반찬이라고 합니다.



3). 열대 과일
말레이시아 하면 열대과일이 가장 먼저 생각납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두리안, 망고스틴, 구아바, 람부탄, 파파야, 바나나, 수박 등 적도 지방의 과일이 많이 납니다. 많이 본 과일도 있고, 생소한 과일도 있는데요. 과육이 많고, 맛이 달아서 누구나 좋아한답니다. 특히 망고스틴은 자주색에 꼭지가 달려있으며, 두꺼운 껍질을 벗기면 말랑말랑한 하얀 과육이 들어가 있는데, 무척 맛있다고 하네요. 열대나라에 여행을 간다면 열대 과일을 꼭 먹어봐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기본적인 말레이시아의 음식문화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그렇다면 이런 음식 외에도 어떤 음식을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즐겨먹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



4). 나시 르막(nasi lemak)
나시 르막은 코코넛 밥에 달걀, 튀긴 멸치와 오이, 땅콩, 그리고 삼발 양념을 바나나 잎으로 싸서 먹는 매운 말레이시아 전통음식입니다. 보기에도 무척 매워보이지요? 나시는 밥이라는 뜻이고 르막은 살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시르막은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국민음식으로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특히, 주로 아침 식사에 많이 올라온다고 하지요. 길거리에서도 쉽게 볼 수 있으니, 말레이시아에 가면 꼭 한 번 맛봐야겠습니다!



5). 사태(satay)
이름 한 번 무척 특이합니다. 사태는 쇠고기, 양고기, 닭 등을 꼬치에 꿰어서 숯불에 구운 꼬치구이입니다. 돼지고기로 만들지 않는 이유는 말레이시아 국가종교가 무슬림이기 때문이지요. 돼지고기는 무슬림 국가에서는 먹지 않는다는 것 잘 아시죠? 새태는 주로 오이나 양파 등 다른 야채와 함께 먹어서 느끼함을 없애주고 매콤하면서 달콤한 땅콩 소스에 찍어 먹을 수 있습니다. 땅콩 소스는 말레이시아 음식에서 말레이 요리 특유의 맛을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땅콩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말레이 음식이 잘 맞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태는 한국인이 특히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하는데요. 동남아 레스토랑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고 하니, 한 번 먹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사진을 보니 무척 맛있겠죠?



6). 락사(Laksa)
락사 역시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요리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락사는 말레이시아식 우동으로 닭육수에 생선살과 코코넛 밀크를 넣어 만든 스프에 쫄깃하고 통통한 쌀로 만든 면을 넣어서 먹는 요리라고 합니다. 나시 르막처럼 코코넛 맛이 강하게 난다고 하지요. 향신료 냄새가 싫은 분들이라면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도 하는데요. 그러나 향신료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무척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중의 하나랍니다.



7). 아삼 락사(assam laksa)
아삼 라크사는 두꺼운 쌀국수에 물과 양파, 새우 반죽, 칠리, 으깬 생선 등으로 끓인 육수에 레몬 그래스를 추가하고 그 위에 베트남 고수를 얹어서 요리를 한 음식입니다. 페낭에서 맛볼 수 있는 음식으로 면음식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네요.

이밖에도 나시 칸다르(nasi kandar), 차르 코아이 테오우(char koay teow)등이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음식 중의 하나입니다. 종류가 정말 많죠? 먹어봐야 할 것들이 정말 많이 있네요. 말레이시아 사람들의 종교때문이지, 돼지고기로 만든 음식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돼지고기로 만든 음식은 없지만, 그것 외에도 먹을 것이 무척 많이 있으므로, 먹는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단지 말레이시아 음식이 본인의 입맛에 맞는지 그것이 중요하지요.

아무튼, 이런 말레이 음식을 살펴보고 있으니 말레이시아로 여행을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막 드는 것 같습니다. 만약, 말레이시아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면 위 음식을 꼭 기억하고 가세요.

 

3. 말레이시아 전통춤

 

말레이시아 전통춤을 감사하시면서 말레이시아 전통 음식을 먹고 싶으시다면 Saloman restaurant 추천이에요 (KL 시내 르네상스 호텔 앞 위치) 바로 옆엔 요즘 제일 잘 나가는 zouk이란 나이트도 있으니 식사후, 한번 들러보시는것도 괜찮겠네요

말레이시아 문화의 여러 요소에 강하게 널리 영향을 받았으며, 촛불춤(CandleDance)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예술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그만 쟁반에 받쳐진 촛불을 각 손에 들고 춤을 추는데 무용수의 동작으로 우아한 곡선과 호가 그려집니다.

 

네이트판>말레이시아 전통춤 : 네이트판
말레이시아 전통춤 김시호 2009.08.20 00:34동영상기타 출처 http://minihp.cyworld.com/26653410/360137881 조회26 묵었던 Sutera Harbour Resort에서 서비스차원에서 해주던 공연(?) 발 빠르게 잘하더라..... ......
pann.nate.com/video/209142233

 

4. 말레이시아 전통가옥

 



말라카 전통가옥

 

말레이시아 (수상가옥)

 

말레이시아는 온난 다습하며 열대의 낙원이다. 고무아 주석이 가장 많이 나는 곳으로 말레이시아 반도는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으며 교통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일년 내내 여름만 있는 나라로 말레이시아 사바주 원주민은 강이나 바다에서 고기를 잡고 집단 생활을 하며 살았기 때문에 수상가옥의 특징을 보인다.

 

 

5. 말레이시아의 기타 문화

 

 말레이시아(MALAYSIA) 국기

               

국기의 뜻과 의미

초승달과 별은 이슬람교의 상징이고, 파랑·하양·빨강의 3색은 영국국기인 유니언 잭에서 취했다. 별과 달의 노란색은 왕실의 색깔이며, 별의 빛살과 줄무늬의 수는 연방을 이룬 13주와 말레이시아연방지역(쿠알라룸푸르,푸트라자야,라부안섬으로 구성된 연방지역)을, 파랑 직사각형은 국민간의 단합 또는 이 나라가 영국연방에 속한 국가임을 나타낸다. 그후 2년후 1965년에 싱가포르가 연방을 이탈하고 분리독립한 이후부터는 13주가 되었다. 그러나 국기를 고치지 않았으며, 이후 1965년부터는 13주와 연방정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징했다. 그러다가 1974년에 수도 쿠알라룸푸르가 연방지구로 승격되면서 13주와 수도 쿠알라룸푸르를 상징하는것으로 해석되어오다가 지금의 13주와 말레이시아연방지역(쿠알라룸푸르,푸트라자야,라부안섬으로 구성된 연방지역)을 상징하는것으로 해석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가로세로 비율은 2:1이다. 1963년 9월 16일 제정하였다. 1997년 8월 31일 독립 40주년을 맞아 ‘영광스러운 스트라이프(stripes)’라는 뜻의 ‘Jalur Gemilang’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7년에 말라야연방으로 독립할 때 제정 그후 1963년 말레이시아연방이 성립할 때 새롭게 제정

  

말레이시아(말레이어: Malaysia)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국이다. 말레이시아는 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고, 남중국해로 나누어진 말레이 반도지역과 보르네오 섬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이, 인도네시아, 브루나이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해상국경은 싱가포르와 베트남, 필리핀과 맞대고 있다. 연방정부는 푸트라자야에 있지만, 수도는 쿠알라룸푸르이다.

말레이시아의 역사는 18세기부터 대영 제국의 식민지가 된 말레이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영국의 식민지가 된 곳은 해협식민지로 불리었고, 다른 곳들은 보호령이 되었다. 1946년, 말레이 반도의 주들이 연합하여 말라야 연합을 세웠다. 1948년, 연방은 재편성되어 말라야 연방이 설립되었고, 1957년 8월 31일 독립을 하게 되었다. 1963년 9월 16일, 말라야 연방은 사바 주, 사라왁 주, 싱가포르와 연합하면서 Malaya란 이름에 si를 추가해 Malaysia가 되었다. 그러나 2년도 채 지나지 않은 1965년, 싱가포르는 연방에서 탈퇴하게 되었다. 말레이시아는 독립 이후 아시아에서 최고의 경제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 거의 50년동안의 GDP 성장률이 평균 6.5%라는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천연 자원에 거의 의존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과학, 관광, 무역, 의료관광등의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입헌군주국이며, 국가 원수는 9개 주의 세습군주들이 5년마다 투표를 해서 그들 가운데 선정하며, 지금 군주는 양 디 페르투안 아공이다. 정부의 장은 수상이다. 정부체제는 웨스트민스터 체제에 가깝고, 법체계는 영국의 법에 기초한다. 말레이시아는 민족과 문화가 다양하고 그 다양성이 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국교는 이슬람교이지만, 헌법상 종교의 자유는 인정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는 유라시아의 최남단 지역인 탄중피아이가 있고, 적도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열대 기후의 국가이다. 다양한 동식물군이 있어 생물 다양성이 큰 국가이다. ASEAN, 이슬람 회의 기구의 창립멤버이며, APEC, 영국연방, 비동맹 운동의 회원국이다.


1.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말레이시아의 역사입니다.

 

인도양과 남지나해 사이의 말레이 반도는 옛부터 동서양 무역상 및 여행객들의 장소였다. 5-6세기 유입된 힌두 문화와 불교 문화는 말레이시아 북서 지역에 빠르게 보급되었고, 14세기 무렵 아랍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소개하였다.말라카 해협(Straits of Malacca)을 중심으로 13세기까지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한 말레이시아는 식민 열강들이 향료가 풍부한 말라카에 침범하기 시작하면서 외세의 지배를 받기 시작했다. 16세기 포르투갈의 침공 이후 네덜란드의 말라카 점령을 거쳐, 18세기 영국이 페낭(Penang)을 점령하면서 말레이시아 지역은 20세기 초까지 외세의 지배를 받았다. 바다 건너 보루네오 섬에 있는 사라왁주는 1841년 이후 영국 모험가인 제임스 브룩(James Brooke)과 후손들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1888년 사라왁주와 북 보루네오(추후 사바로 개칭됨)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연방(Malayan Union)이 대영제국에서 독립하였다. 사바 주, 사라왁 주는 싱가포르와 함께 1963년 9월 16일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현재의 말레이시아 연방을 성립하였다.2년 후인 1965년 8월 9일에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탈퇴(분리, 독립)하였다.

2011년 현재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 회원국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다.

 

2. 자연 환경

1) 지리

말레이시아는 남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크게 말레이 반도의 서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 북부의 동 말레이시아 두 부분으로 나뉜다. 국토는 329,758km2로, 3/4가 밀림 및 습지대로 구성된다.

  • 말레이시아 또는 말레이 반도는 북쪽으로는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싱가포르가 조호르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지역은 11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 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 섬(Pulau Borneo)의 북쪽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와 브루나이와 내륙국경을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은 2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2) 기후

말레이시아는 적도와 가까워서 4계절이 없고 우기와 건기가 있는 고온다습한 열대성 기후에 속한다. 열대지역에 속하는 말레이시아의 기후는 연중 고온 다습한 편이다. 연평균 기온이 21~32℃로 연평균 강우량 2,000~2,500mm, 평균 습도는 63~80%이다.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의 기온 차는 9~12℃ 전후로 낮에는 30℃를 웃돌다가도 저녁과 밤에는 매우 선선한 기후를 유지한다. 건기와 우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며, 우기라도 일시적인 열대성 소나기의 횟수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여행에는 불편함이 없다.

3) 정치

말레이시아는 입헌 군주국으로서 페낭, 말라카, 사바, 사라왁을 제외한 9개 각 의 술탄(Sultan) 중에서 교대로 선출되어 5년의 임기를 가진 헌법상 국가원수인 국왕(Yang Di-Pertuan Agong)직을 수임한다. 그리고 실권은 국민이 선출한 의회와 총리가 쥐고있다. 말레이시아 국왕은 총리와 내각을 임명할 권리와 군대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통솔권 등을 갖는다.

말레이시아의 정당으로는 민중운동의 성과인 말레이시아 사회주의당(PSM) 등이 있다.

4)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말레이시아의 행정 구역입니다.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지구(혹은 연방직할령)로 구성되어 있다. 1959년 14개 주로 독립한 후, 1965년 싱가포르가 탈퇴하여 13개로 줄어들었다. 연방지구로는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 라부안이 있다.

5) 대외 관계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시수교국이다.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 총리에게 정권을 넘겨주기 전 총리였던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Mahatir Bin Mohammad)가 주도한 향동학습정책(向東學習政策, Look East Policy)을 통해 말레이시아 정부가 장학생을 대한민국에 있는 대학으로 보내고 있다.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은 사바 주 일부 지역에 관한 분쟁을 외교문제화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브루나이와는 분쟁 중인 대륙붕 지역에서 가스 및 석유채굴 작업을 중단하기로 2003년에 합의하였다. [5]

6) 대 타이 관계

라마 1세(재위 1782년 - 1809년)는 타이 세력을 크게 확장해 말레이반도의 켈란탄까지 지배하였다.

7) 경제

주로 주석, 팜유, 석유를 생산.수출하며, 제조업과 관광업을 주요 산업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 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으나 자체적으로 극복하였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1998년 9월 초 환율을 고정시키는 조처와 함께 자본통제에 들어갔다. 자기나라 통화인 링깃화의 달러화 환전을 못하게 하고, 나라 밖에 있는 링깃화는 2달 안에 모두 국내로 갖고 들어오도록 하여, 외국에 그냥 놔 둔 링깃화는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또 국내 증권을 산 외국인이 그 증권을 다시 팔려면 1년을 기다리도록 했다. 자본통제는 국내경제를 해외 금융·외환시장과 차단한 뒤 경기부양 정책을 펴기 위한 사전조처였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런 조처 뒤 통화량 확대공급, 금리인하, 공공지출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경기부양 정책들을 단계적으로 취해 나갔다.

IMF의 통계에 의하면, 말레이시아의 2008년 국내총생산(GDP)은 2216.06억 달러이다. 영국의 식민지 시대부터 고무의 플렌테이션과 주석의 채굴, 천연가스의 채굴 등 특정한 농작물과 광물의 생산이 번성하였으나,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전 총리가 내세웠던 "와와산 (말레이어로 비젼의 뜻) 2020"(비젼 2020, Vision 2020) 정책에 따라, 종래의 농작물과 광산물의 수출, 관광업에 의존하였던 체질로부터 탈피하여 2020년까지 말레이시아의 정치.경제.문화 각 방면을 선진국 대열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0년 6월, 경제발전과 현대화를 위해인프라 프로젝트에 700억달러 규모의 자금 투입과 연 경제성장률 6% 달성 등을 핵심으로 하는 향후 5년간의 제10차 말레이시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나지브 총리는 “말레이시아는 해외 투자자들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면서 “재능있는 말레이시아인들이 싱가포르나 홍콩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현지에서 일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8) 통화

말레이시아의 통화 단위는 말레이시아 링깃(RM)으로, 1링깃은 약 300원 정도이다. 보조통화는 센(SEN)이라고 하며, 1링깃은 100센에 해당한다. 지폐는 100링깃, 50링깃, 10링깃, 5링깃, 2링깃의 5종류가 있고, 동전은 50센, 20센, 10센, 5센, 1센의 5종류가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공항이나 시중 은행, 호텔에서 환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수 500ml의 경우 약 1링깃(300원 정도), 택시의 기본 요금은 2링깃(600원 정도)이다.

9) 산업

경제는 전적으로 농업, 광업 등 1·2차 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 주석, 천연 고무, 팜유 생산국으로 1960년대 만 해도 주요수출품이 주석과 팜유였다. 이후 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으로 말레이시아는 동남아국가 중 3번째로 국민소득이 높은 나라가 되었으며, 주요 산업도 관광업과 제조업으로 전환되었다. 농업에 있어서는 주산물이 쌀, 고무, 코프라 등이다. 쌀은 국민의 주식이지만, 쌀 자급률이 30%에 불과해, 자급자족하지 않고 매년 다량의 쌀을 수입한다. 따라서 정부는 관개사업 실시, 벼의 품종 개량 등을 통해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의 고무 생산국으로, 수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합성고무의 발달, 고무 농원 노동자 등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그 외에도 열대과일 재배, 도시근교 채소, 원예농업이 발달되어 있다. 광업에서는 주석광(錫鑛)과 철광이 압도적으로 중요하다. 말레이시아는 세계 최대 주석 생산국으로 주석광은 서해안 몬타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충적토를 준설(浚渫)하여 채굴하며 주석을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되어있다. 철광은 동해안에 있으며 그 대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된다.  그리고 석유산업도 사라와크주에서 소량 산출되었으나, 그 후 사바주·사라와크주에서 대규모 해양유전이 개발되면서 석유채취, 가공산업도 주요산업이 되었다. 제조업은 1970년대 말부터 개발하기 시작해 지금은 동남아시아에서 제조업이 발달한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주로 전기·통신기계와 수송기계 생산을 하고 수출을 하고 있다. 그리고 관광업도 이 나라의 주 수입원이다. 고무, 주석광, 철광석은 수출하며 식량과 공업제품을 수입한다. 따라서 경제는 고무, 주석, 철의 국제가격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약간의 1차 산품만을 생산하는 산업구조는 식민지 경제의 유산이다.

10) 교통

육상교통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잘 발달해 있다. 특히 서해안을 따라 포장도로와 철도가 잘 정비되어 있다.  말레이시아의 도로망은 98,721㎞에 달한다. 그 중 1,821㎞는 고속도로이다.

11) 철도

말레이 반도 지역에는 말레이 철도의 노선망이 있다. 일반 철도(고속 철도 포함), 경전철(LRT), 모노레일 그리고 케이블 카가 있다. 일반 철도는 대부분 도시간 승객 수송과 화물 운송, 그리고 일부 시내 대중교통으로 사용된다. 긴 반도의 서해안 끝의 조호바르(Johor Bahru)에서 타이 접경의 파당 베사르(Padang Besar)까지 서해안 950km를 연결하고 있으며 동해안선은 쿠알라룸푸르와 싱가포르의 중간지점에 자리잡은 게마스에서 타이 동해안쪼 접경 툰팟까지 528km를 잇고 있다. 서해안선과 동해안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의 고산지대와 열대우림지대를 버스가 연결시켜 주고 있다.  경전철은 시내 대중교통이나 공항 내 청사 간의 승객 수송과 같은 특별한 용도로 사용된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과 쿠알라룸푸르 시내를 잇는 고속철도 노선도 있다. 이 노선에는 2가지 열차편이 운행 중이다.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한 모노레일 노선은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으로 이용되는 것이고, 유일한 케이블 카는 페낭에 있다. 쿠알라룸푸르 주변에는 모노레일을 위시한 각종 통근 철도가 발달해 있다.

12) 도로

영국의 식민 통치 시기부터 도로가 정비되어 왔다.

13) 항공

이 부분의 본문은 말레이시아의 공항입니다.

말레이시아 항공과 에어아시아 등에서 국내외 항로에 취항하고 있다. 특히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은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항로의 주요 경유지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파이어플라이가 합세하였다.

14) 인구

말레이시아의 인구는 약 2,500만 명으로 인구의 60% 이상이 말레이 반도에 살고 있다. 다민족 국가인 말레이시아는 여러 종교를 축으로 각각의 국민성을 지니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인(부미푸트라, Bumiputra)이 인구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이슬람교에 기반을 둔 계율을 따른다. 중국계가 약 25%, 인디아계가 약 8%, 전통 가옥에 살면서 각 부족들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며 독특한 전통 문화를 지키고 보존하는 원주민들인 오랑아슬리(Orang Asli)들을 포함한 기타가 약 10% 정도이다. 중국인과 말레이인의 혼혈 인종인 페라칸인, 그리고 유럽계의 다양한 인종들이 살고 있다. 유럽계는 주로 포르투칼, 네덜란드, 영국의 후손들이며 대부분 말라카에 있는 주거 지역 내에 살고 있다. 각각의 지역 사회를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말레이시아 만의 조화로운 공존을 도모한다.

15) 언어

말레이시아의 공용어는 말레이어(Bahasa Melayu, Bahasa Malaysia)이며 영어가 널리 통용된다. 중국어, 타밀어, 아랍어, 이반어(사라왁의 원주민인 이반족의 언어)도 사용된다. 말레이시아는 적어도 70여 개의 다른 어족(語族)에서 생성된 다양한 언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국어인 ‘바하사 멜라유(Bahasa Melayu)’ 외에도, 영어는 말레이시아의 공용어로써 상업과 공업에서 널리 쓰이며 말레이시아 학생들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영어 교육을 받는다. 말레이시아에서의 영어는 말레이어와 함께 말레이시아 국민들이 능숙하게 사용하는 언어이며, 집에서 자라날 때부터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영어를 구사한다면 의사소통에 별다른 불편함 없이 말레이시아를 여행할 수 있다. 말레이어와 영어 이외에도 만다린(중국어), 타밀어(인도어)가 사업, 여행, 산업, 라디오, TV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 등에서 쓰이고 있어 최근 말레이시아를 자녀들의 유학 목적지로 선택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16) 문화

말레이시아는 다민족국가이다. 주류 민족인 말레이족 뿐만 아니라, 중국계 말레이인, 인도계 말레이인도 거주한다.

17) 종교

말레이시아의 국교는 이슬람교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종교가 혼재하는 다종교 국가이다. 일반적인 종교는 이슬람교, 불교, 도교, 힌두교, 그리고 기독교 등이 있다. 2000년의 정부 인구조사 통계에 따르면 전체의 60.4%가 무슬림 (수니파, 시아파 전부)이며, 불교 신자가 19.2%, 힌두교 신자가 6.3%, 기독교인이 9.1%(이 가운데 대부분은 동 말레이시아에 거주)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종교의 자유는 허용되지만, 국민, 특히 이슬람 교도에 대한 선교활동은 할 수 없다. 이슬람을 위한 모스크, 불교신도를 위한 절, 힌두교의 힌두사원, 그리고 교회와 성당까지 쉽게 찾아볼 수 있음은 물론 각 종교의 축제마다 타종교인들은 물론 관광객들도 함께 초대하여 즐기는 ‘오픈 하우스(Open House)’라는 행사를 개최한다. 종교 관련 축제 시기에 말레이시아를 방문하는 여행객들은 말레이시아 특유의 성숙된 관용의 문화를 실제로 관찰할 수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B%A7%90%EB%A0%88%EC%9D%B4%EC%8B%9C%EC%95%84


 

전통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내공100)

... 내공100겁니다!!!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제목과 같이 말레이시아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 전통의상,전통음식,전통춤,전통가옥 등...... 여러가지...

전통문화에대해서

... 우리나라의전통문화에대해서알려주세요,(밑에질문) 1.... 2.전통문화의 종류 3.전통문화를 지켜야하는 참고 내공15... 한국의 전통문화 상징 100개를 올려드립니다 태극기...

한국전통문화에 대해서 상세히 ~~~!(내공...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 음식, 전통 놀이 등등.. 5~8가지 정도로 나누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ㅜ_ㅜ... 수비측은 100자를 얻으며, 못 받았을 때는 새끼자가...

충주 전통 문화가 뭐뭐 있나요?

... 학교에서 충주 전통 문화에 대해서 알아 오래요... 우륵... 이왕이면 자세히 알려주세요. (언제 탄생했는지, 왜 충주의 전통 문화제 인지등등...) 내공은 없지만, 완벽한 답변...

대해서 알려주세요(음식,전통문화등)

중국의 최고 부자도시인 중국 북경 온주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음식,전통문화등) 내공100드릴게요 먼저 온주(温州/원저우)지역은 북경이 아니라 상해 인근 절강성에 있는...

전통 문화 축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축제에 대해서 옛날의 축제의 대해서 오늘날의 축제에... 갈켜주세요!!! * 지역별 충청북도 옥천군 * 축제 영문명 Jungbong festival * 주최/주관기관...

안녕하세요?우리나라 전통문화에 대해서...

... 우리나라 전통 문화 에 대해서 질문하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전통문화 놀이,음식에 대한 소개,특징 ..을 좀 알려주세요.!!! 되도록 빨리 알려주세요 이상한글,이상한 답변...

전통 우리문화에대해서 알려주세요?? '''

전통 우리문화에대해서 알려 주세요.'' 지금 수업시간 이니까 제발 빨리점 내공 10드림 전통문화란 그 나라에서... 한국의 전통문화 상징 100개를 올려드립니다 태극기, 독도...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음식,놀이,행사...

... '신라의 전통문화(놀이, 음식, 행사, 작품 등)에 대해서 올려주세요!!! <**인터넷뒤져서 그냥나오는거 그런거말고... ㅎㅎ 그렇게 해주시면 더 감사하고요^^ !!내공냠냠같은거...

우리나라 전통 문화

... 전통문화알려주세요.ㅠㅠㅠ 그리고, 사진도 같이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ㅡㅡ) ( _ _ ) 내공드립니다!!!... 이 민속무의 유래에 대해서는 3가지 설이 있는데,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