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의 역사등

포르투갈의 역사등

작성일 2003.11.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포르투갈의 역사,문화, 음식문화, 언어, 지리와 상태, 정부조직, 경제
예술, 문화 종교, 수도
를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포르투갈의 역사

포르투갈의 원주민은 이베리아 반도에 거주하고 있던 이베리아인이며
BC7세기경에는 켈트족이 정작하여 자리를 잡게 됩니다. BC2세기 경에는
약 600여년간 로마의 지배를 받아 현재 포르투갈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라틴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됩니다. 서기 700년경에는 무어인들의
침입을 받아 12세기 포르투갈 왕국이 건국될 때까지 회교도들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이런 경위를 거쳐 지금도 포르투갈의 문화는 무어인들의
문화가 스며들어 스페인과 더불어 유럽내에서 남지중해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은 나라로 꼽히고 있습니다.15세기에는 항해 왕자 Enrique 엔리케
의 아프리카 개척을 필두로, 포르투갈 역사상 가장 화려한 한페이지였던
대항해시대의 역사가 시작됩니다. 바르톨로뮤 디아스의 희망봉 발견,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항로 발견, 스페인 왕실의 지원을 등에 입은
마젤란의 세계일주등, 새로 발견된 땅(유럽인의 기준으로)에 대한
우선권을 바탕으로 대 동방 무역의 가장 중요한 국가로 거듭납니다.
허나, 대동방 교역으로 쌓게된 부를 국가 생산적인 산업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지배층의 분열만 거듭하다가 당시 포르투갈과 대항해시대의 선봉에 섰던
스페인의 지배를 60여년간 받습니다. 이러한 국가적 혼란을 틈타 식민지
개척에 후발주자인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등등 서유럽의 강국들에게
식민지를 빼앗시고, 식민지를 운영할 여력이 없는 본국의 지배하에서
하나둘씩 독립하는 나라가 생겨나지요. 대항해시대의 영광은 끝나고,
지금도 유럽에서는 크게 힘없는 이류나라에 머물고 맙니다.
포르투갈의 역사를 살펴보면 우리와 닮은점이 꽤 많은데, 60여년간의
스페인의 지배, 20세기 중반 독재정권의 득세와 민주화의 열망 등으로
현재의 포르투갈에 이르게 됩니다.

문화

포르투갈 언어와 문화의 보급 확대를 위해 노력
(세계6대 언어중의 하나로 포르투갈, 브라질 포함 8개국 2억여 인구가 사용)

- 외무부 산하 문화외교 전담부서로 까몽이스 문화협력단이 있음
민속음악으로 파두(Fado)는 세계적으로 유명
15-16세기간 전성한 고딕과 바로크 양식의 중간형인 독특한 마누엘
(Manueline)건축양식 발전  
지역 축구가 발달, 지역을 대표하는 클럽 운영

음식문화

포르투갈에는 유럽내에서 쌀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입니다.
아랍인의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어 음식문화에서도 일반적인 유럽의
식습관과는 다른 독특한 음식문화를 가지고 있는데요,
대서양을 접하고 있는 나라인만큼, 해산물 요리를 굉장히 즐겨 먹습니다.
가장 유명한 요리로는 대구를 이용한 Bacalhau 바깔랴우가 있는데
조리 방법만도 천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유럽인이 즐기지 않는
오징어나 문어등을 이용한 요리도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언어

포르투갈어는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등과 함께
라틴어에 속합니다. 이 나라들 대부분이 로마의 지배를 오랜기간 받았기
때문에 로마의 언어인 라틴어를 바탕으로 자기들만의 언어를 발전시켜
왔습니다.(영어, 독어는 라틴어가 아니지만 어휘의 상당수가 라틴어에서
채용한 어휘임) 덕분에 같은 라틴어끼리는 언어가 상당히 비슷하죠.
일례로, 포르투갈인과 스페인인들은 서로 통역 없이도 50% 정도의 회화는
서로 알아듣는다고 합니다.
그 비슷한 정도로는...아침인사를 에로 들면

프랑스 Bonjour 봉쥬르
스페인 Buenos dias. 부에노스 디아스
포르투갈 Bom dia. 봉 디아
이탈리아 Bon jorno 본 조르노

상당히 비슷하죠.

포르투갈어는 15세기 대항해시대의 영향으로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는데요
현재는 세계 곳곳에 2억여명 정도의 화자를 가지고 있는 세계6대 언어입니다.
사용국으로는 포르투갈, 브라질, 상투메 프린시페, 기니비사우, 앙골라,
모잠비크, 동티모르, 인도의 고아, 중국의 마카오 등등이 있습니다.

포르투갈어는 문법적으로는 스페인어와, 발음면에서는 불어와 가장 유사합니다.


지리와 상태

포르투갈은 지리적으로 이베리아 반도의 서쪽 끝, 유럽의 최서단에
대서양을 끼고 있습니다. 기후는 따뜻한 지중해서 기후를 나타내구요.
나라는 작지만 상당히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는 나라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만해도 국토의 70%이상이 산지이고 그만한 크기의 다른나라들 또한
근간을 이루는 지형이 있습니다만, 포르투갈은 평야 산지 분지 등등을 아주
골고루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조직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를 가미한 내각책임제

ο 국가원수 : Jorge Sampaioeo 조르지 쌍빠이우 대통령 2001.1년 재선출 사회당
- 대통령은 직선으로 선출되며, 임기 5년, 2회한 연임 가능


ο 행정수반 : Jose Manuel Durao Barroso 총리(2002. 3.17 총선에서 선출, 사민당)

ο 국회의장 : Joao Bosco Mota Amaral(2002.4.10 임명)

ο 헌법재판소장 : Luis Nune de Almeida (2003.4.23 임명)

ο 대법원장 : Jorge Alberto Aragao Seia(2001.3.27 임명)

ο 외무장관 : Maria Teresa Pinto Basto Gouveia (2003.10.9 임명)


ο 의회제도 : 단원제(임기 4년, 230석,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선출)


ο 주요정당 및 의석수(2002.3.17) 
- 우익(119석) : 사민당(PSD) 105석, 국민당(PP) 14석
- 좌익(11석) : 사회당(PS) 96석, 공산당(PCP) 12석, 좌익블럭(BE) 3석


ο 주요헌법기관 : 국가평의회, 헌법재판소

경제

ο G D P (2002): 1,293억유로
ο 1인당 GDP (2002): 12,820유로)
ο G D P성장 (2002): 0.5%
ο 산업분포 (2002): 농업 4%, 공업 30%, 서비스 66%
ο 노동인구분포(2002): 농수산 13%, 공업 35%, 서비스 52%
ο 대외 무역 (2002)(전년대비)
- 수출: 270.89억유로 (+1.4%)
- 수입: 406.55억유로 (-4.1%)
- 수지: -135.66억유로(-13.4%)
ο 외환보유(2002): 101.6억유로
ο 대외채무(2002): 500.4억유로
ο 정부 부채(2002): GDP의 약 58%
ο 인 플 레율(2002): 3.6%
ο 실 업 율(2002): 5.1%
ο 화 폐 단 위 : 유로

종교

국민의 90% 이상이 카톨릭
카톨릭 전통하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기질 (종교 축제 및 휴일 엄수)

수도

출처: 엔싸이버 백과사전

리스본

인구는 55만 6797명(2001)이다. 포르투갈어로는 리스보아(Lisboa)라고 한다. 테주강(타호강)의 삼각 하구 우안(右岸)에 위치한다. 이 나라 최대의 도시이며, 유럽대륙 대서양 연안 굴지의 양항(良港)이기도 하다. 일찍이 페니키아·그리스·카르타고 시대부터 항구도시로서 알려져 왔으며, BC 205년에는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714년 이래 다시 이슬람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리사보나로 불리다가, 1147년 알폰소 1세에 의해 해방되었다. 1255년 코임브라로부터 천도한 뒤 수도로서 현재까지 이르렀으며, 15∼16세기 해외진출시대에는 유럽 유수의 상공업 도시가 되었다. 1755년의 지진과 그에 따른 화재·해일로 시가지의 2/3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의 역사적인 건조물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동부의 알파마 지구에는 성(聖)조지성(城)이, 서부의 벨렘 지구에는 본래 성채였던 벨렘의 탑, 바스코 다 가마를 기념한 고딕양식의 수도원 및 아주다 궁전(현재의 외무성)·박물관 등 역사적인 건축물이 남아 있고, 1290년에 창립된 대학이 있다. 시가지는 3개 부분으로 나뉜다.

중앙부는 바이샤라고 부르는 저습지로 거의 전지역이 지진 후에 재건되어 상업·행정기관이 이곳에 집중한다. 동부는 본래 페니키아인·로마인의 거리였던 옛 시가지, 서부는 신 시가지이고 또 최근의 시가지 확장은 북부로 펼쳐 나가고 있다. 독·부두 등 항만시설은 테주강 우안을 따라 30km에 걸치고, 그 북동부에 곡물·냉장창고 및 시멘트·정유·철강·코르크제품 등 공장이 자리한다. 어항은 벨렘 서쪽에, 대서양 각지를 잇는 여객항은 시 중심부에 위치하나, 1966년에 테주강에 가로놓인 현수교(懸垂橋:2.3km)가 완공되어 강의 좌안(左岸)에도 철강·화학·조선 등 대공장이 건설되어 발전하고 있다. 유럽공동체(EC)는 1994년도의 유럽문화도시로 이곳을 지정했다.


연평균 기온

표가 붙여넣기가 안되는군요.
http://info2.hanatour.co.kr/homepage/manual/explan2/europe/HH360.html

여기 가시면 스페인 밑쪽에 포르투갈의 연평균 기온 표가 나와 있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포르투갈의 역사등

포르투갈의 역사,문화, 음식문화, 언어, 지리와 상태, 정부조직, 경제 예술, 문화... 외무성)·박물관 역사적인 건축물이 남아 있고, 1290년에 창립된 대학이 있다....

포르투갈의역사 요약좀...

... 항로발견 포르투갈 역사를 다룬것이다. 1578년 세바스티안왕(王)이 북아프리카 원정에서 전사한 뒤, 1580년부터 60년 동안 에스파냐의 지배하에 들어갔다가 1640년...

포르투칼의 기본정보 예술 문화 자원...

포르투칼에ㅠㅠㅠㅠㅠㅠㅠㅠ역사 기본정보 문화 자원 예술에 대해ㅅ서ㅠㅠ 제발요 급해요ㅠㅠ 포르투갈 기본정보 공식명칭 : 포르투갈공화국(Portuguese Republic) 인구 : 10,649...

16세기이후 스페인과 포르투칼의 역사에...

최근들어 유럽역사에 관심이 부쩍 많아졌습니다 그와중에... 국가에 밀렸는지, 그리고 1차, 2차 세계대전 당시의 포르투칼과 스페인의 상황이 궁금합니다. 1. 포르투갈...

포르투갈의 무역과 정치와 역사 등등...

... 포르투갈의 무역,경제의 역사 5.미래에 포르투갈과... 포르투칼에 대한 정보는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kr) : 주요 교역국 관세, 수입규제 해외무역정보...

포르투칼의 역사 간단하게

역사를 간단하게 최대한빨리 카스티아-레온 왕국의 아폰수 6세가 자신의 사위 '엔히크... 오늘날의 포르투갈 영토인 '포르투칼레' 를 양도. ㅣ 포르투칼레 백작령, 국토회복운동...

포르투갈(내공,.)

... 아마 포르투갈의 역사를 살펴보면 왜 이러한 의미를 지닌 파도가 포르투갈... 주로 유리제품, 도자기, 보석, 가구 옛날 포르투갈 귀족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포르투갈의 음식.옷 문화에 대해서...

포르투갈의 음식.옷 문화에 대해서.. 빨리 답해주세여..ㅠ_ㅜ 제가 숙제가 잇어서... 외무성)·박물관 역사적인 건축물이 남아 있고, 1290년에 창립된 대학이 있다....

포르투갈 에 대해서

... 출 처 : [인터넷] 주한 포르투칼 문화원 <포르투갈... 1418~1427 - 포르투갈의 마데이라섬과 아쏘레스 군도 ... 후 포르투갈 역사상 마리아 2세로 알려진 딸 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