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된 우리 문화조사해오기-문화에대한 소개, 우수성, 세계화된사례좀...

세계화된 우리 문화조사해오기-문화에대한 소개, 우수성, 세계화된사례좀...

작성일 2011.12.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 사회 숙제가 세계화된 우리 문화조사해오기-문화에대한 소개, 우수성, 세계화된사례알아오기 라네요...좀가르쳐주세요~급해요!

내공50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세계화된 우리 문화에 대한 질문을 올려주신 덕분에 세계가 인정한 한없이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문화유산‘동의보감’을 올리게 되어 영광입니다. 아는대로 답변하오니 혹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양지해주십시요.

 

 유네스코 세계기록 문화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 

 

유네스코에서 동의보감에 담겨있는 시대정신 독창성, 세계사적 중요성, 기록정보의 중요성, 관련인물의 업적, 역사적 진정성, 문화적 영향력 등의 가치 인정하여 1613년 허준이 직접 집필, 간행에 관여한 초판 완질본 어제본이 2009년 7월 31일 의학서적으로는 처음으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국의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기록유산으로는 7번째 기록유산이다.(동의보감 어제본은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하고 있음)

 

‘동의보감(東醫寶鑑)’ ‘허준’과 동의보감 편찬 당시의 어의(御醫-궁궐 내에서, 임금이나 왕족의 병을 치료하던 의원) 등이 동참하여 1610년(광해군2년)에 완성된 한의학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 17세기 동아시아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에 이르기까지 의학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의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ㅡ. 일본과 중국에까지 전해져 중국판 서문에는‘천하의 보(寶)를 천하와 함 께 한 것’이라 극찬하였고, 일본판 발문(跋文)에서는‘보민(保民)의 단 경(丹經)이요 의가(醫家)의 비급’이라 총평하고 있어,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되었고, 2009년 7월 3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음.

 

ㅡ. 동의보감 편찬 전후 시대에 우리나라 의학이 동양의학을 주도하고 있었 음을 입증하고 있음.

반면 현대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연구개발과 관심결여로 인하여 한의학 이 소외되고 있으며, 중국의 중의학과 일본의 전통의학인 한방의학에 밀리고 있는 현 실정임

 

-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에 따른 파급효과-

21세기 녹색시대에 있어서 동의보감이 사상최초로 과학적인 의학서로 인 정받아 2009년 7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것에 대한 그 의미는 이 시대에 매우 중요하며 우리나라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 향은 매우 크다. 21세기 녹색시대에 딱 떨어 맞은 의학서 동의보감은 적 절한 시기에 세계적으로 대한민국의 입지와 위상확립의 계기로 발전시킬 호기회

 

동의보감편찬과정과 수록내용 및 특징

동의보감은 애민정신에 의해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그 시대에 식물 에 값어치를 미리 알고 식물을 이용한 치료방법을 창조하여 의약을 발전 시켰던 우리선조들의 경험철학(실험과학)에서 우러나온 과학적인 지혜의 산물 세계 전통의학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성과기록되는 우리나라 전통의학서임.

 

1. 25권 25책 개주갑인자본 동의보감 편찬 과정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이 끝난 후 질병 치료와 의학 발전을 위해 선조 왕명에 의해 내의원(內醫院) 편찬국을 두고 의관(醫官) 허준,양예수(楊禮壽),이명원(李命源),정작(鄭碏).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등이 한(漢)나라 때에 체계화를 이룬 한의학을 중심으로 동방의학의 총집성과 더불어 민족의학을 정립시키는 대역사(大役事) 착수➟ 1597년 선조30년 정유재란(丁酉再亂)으로 일시 중단➟ 선조 왕명, 허준 단독 편찬 내의원 편집국 설치 착수➟ 허준 단독집필 진행➟ 14년 후인 1610년(광해군 2 년)8월6일 25권 25책 방대한 의서 완성➟1613년(광해군 5년)11월 내의원 에서 훈련도감의 개주갑인자로 인쇄, 간행➟ 의서(醫書)동의보감 15년간 230여종의 책을 참고하여 총25권 25책으로 정리, 허준은 훌륭한 문학가로, 탁월한 편집능력을 보여준 세계적인 의서 동의보감탄생시킴.

 

ㅡ. 1차 임진왜란 직후 편찬 착수하여 2차 전쟁 정유재란을 겪으면서도 백 성의 보건증진을 위한 의서편찬의지는 전 세계적인 국민보건정책 표 상

✱ 임진왜란(壬辰倭亂)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부터 시작된 전쟁으로 1592년 임진년 (선조 25년)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정치.문화.경제와 일반 백성들의 생활과 언어, 풍속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전쟁으로 제1차 침략 임진왜란과 1597년의 제2차침략 정유재란(丁酉再亂)은 조선시대 최대의 국가위기사건

 

2. 동의보감 초반 어제본(東醫寶鑑 初版御製本, 1613년 광해군 5년 간행)

2009년7월 31일 그 가치를 인정받아 바베이도스의 수도 브릿지타운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 의해 대한민국의 7번째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ㅡ. <동의보감 초판 어제본>은 궁실 내의원에서 허준이 총책임자로 최상의 활자로 직접 인쇄한 판본으로 자형(字形)이 가장 좋아 조선왕조 귀중 도 서를 보관하는 사고(史庫)에서 직접 보관해왔다. 허준(許浚)이 저술하고 직접 발간한 동의보감의 첫 간행본으로 단 2질(帙)만 남아있는 '동의보 감 초판어제본(東醫寶鑑 初版御製本)'은 현재 보물 제1085호 오대산사고본 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있으며, 제1085-2호 적상산고본은 한국중 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3. 동의보감 내용 기록 방법의 특징

1. 내용 매우 체계적인 짜임새

2.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각 병마다 처방을 구체적으로 풀어놓음

3. 본문이 거의 대부분 인용문으로 되어 있음 

-. 각 소제목별 본문은 편저자가 직접 기술한 내용이 아니라, 당시 사용 하던 여러서적내용 인용

-. 총 25권의 책에 실린 모든 본문에 대해 인용 출처 밝힘

-. 인용을 자신이 편집한 맥락에 맞추어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가치인정

-. 당시 다양한 관점의 의학 저서를 하나의 관점에서 통합정리한 당시 의학 집대 성가치 (好)평가

-. 조선의 의서인 의방유취와 향약집성방을 비롯해, 본초강목 등 중국의 의서 86종과 민간에 내려오던 요법까지 포함하여 내용이 풍부하며, 임상의(臨床醫) 에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15년간 230여종의 책을 참고하여 총25권 25책으로 정리

-. 병증에 따라 병에 대한 해설과 약 처방을 모두 수록하였고, 출전(出典) 과 민간 처방, 본인의 경험방까지 기록하여 의원들의 욕구충족

 

4. 동의보감에 담겨있는 허준의 의학이념과 철학

-. 19세기까지 서양에선 등장하지 않았던 '국민의 보건의료에 대한 책무가 국가에 있다'는 근대적 이념 형성

-. 향약(鄕藥) 정책에 의한 민중의학사상 및 양생법에 의한 예방의학 정신

: 실용성을 중요하게 여겨 쉽게 구할 수 있는 약물재료를 바탕으로 병 이생기기 전에 치료한다는 `양생`의 개념을 적극 제시

양생법(養生法): 몸을 튼튼하게 하고 병이 생기지 않게 해서 오래 살게 하는 데 알 맞게 음식, 운동, 정서, 성생활등 생활준칙을 규칙적으로 하는 방법

 

3. 실용성과 애민정신(愛民) 제시

ㅡ. 종래 의학의 공상적(空想的) 이론을 배격하고 실용성을 중요시하여 임 상의학적방법에 따라 전문과별로 나누어 과병마다 진단과 처방을 내린 동양에서 가장 우수한 의학서

ㅡ. 탕액편 향약 중 640가지의 이름을 한글로 표기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 하게 하여 백성의 건강증진과 민족의학을 부흥시키고자 하였음

ㅡ. 인간의 생활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약물보다 곡물 우 선사상

 

4. 동의보감내용의 특징과 가치

ㅡ. 과학적 입장에서 당시 의학계의 전 지식을 정리하여 단순한 임상의서 가 아니라, 본래의 학술적 가치 이외에, 실용적 가치 역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ㅡ. 중국 의학의 기본 이론과 금(金).(元)의학을 참조하고 우리나라 전통 의술 및 약재를 연구하여 합한 독자적인 전통의서로서 우리나라 전통 의학의 총합서

ㅡ. 당시 일본과 중국에 까지 전해져 동아시아 전통 의학 발전에 크게 기 여 의학서적으로 중국과 일본에서도 여러 차례 간행되었으며, 우리 민족저술 의학서적으로는 가장 많은 외국 구독자층 확보함으로써 우리 나라 의학수준 세계입증과시

ㅡ. 향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용과 보급을 강조하여 민족 의학을 부흥 시키고자함

ㅡ. 우리나라 전통의학을 하나의 독립된 의학으로 독자적 전통의학 확립.

중국 중심의 의학에서 우리나라 전통의학의 독립성과 차별성을 강조하 기위해 중국의학을 북의(北醫)와 일본의학을 남의(南醫)로 나누고 우 리나라 전통의학이 독자적으로 연구한 의학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허준 은 우리나라 전통의학을 동의(東醫) 지칭하고 우리나라 의학이 중국 과 대등한 전통과 수준을 지니고 있음을 제시관철

ㅡ. 실사구시(實事求是) 실증적 학구의 자세 명민한 관찰력, 그리고 고 전에 대한 해박한 학식을 토대로, 풍부한 임상경험을 살려 기본학리가 임상에 직결되기까지 일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의술의 구체 화 이룩

ㅡ. 동아시아의 보편적 의학지식의 카테고리 안에서 새로운 세계전통의학 새로운 체계 제시

 

5. 기존 임상서와의 차별성

ㅡ. 내경과 외형, 잡병, 탕액, 침구편 등으로 나뉘어 만든 점 치료 부분 을 탕액, 음식, 침구, 도인(수양법)으로 정리하여 활용가치가 뛰어남. 동의보감 이후의 임상서적들은 동의보감을 간추려 보는 방식 유행

✱ 치료부분에 수록된 도인법(導引法)이란 도가(道家)에서 선인(仙人)이 되기 위한 양생법 의 하나로 정좌, 마찰, 호흡으로 온몸의 근육과 관절을 조절하여 모든 병을 물리치는 방법이다.

ㅡ. 동의보감이 편찬되기 전 조선 시대의 의학은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의림 촬요를 주로 활용되었으나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는 내용이 방만 하여 활용하기 어렵고, 의림촬요는 너무 간단하여 치료처방응용에 미흡 하여, 이들의 미비함을 보완하여 동의보감완성

 

6. 편집특징

ㅡ. 각 병증 등을 중심으로, 한 병문(病門)으로만 나뉘어 구성된 <향약집성 방>이나 <의방유취>, <의림촬요>등 동의보감 편찬 이전에 주로 사용되 었던 의서들과는 다르게 체계적이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편집

ㅡ. 현대 임상 의학의 분류 방법과 비슷하게 크게 5개 부문으로 나누었다. 내과학인 내경편(內景篇), 외과학인 외형편(外形篇), 잡병편, 약방관계의 탕액편(湯液篇), 침구편 등으로 구성

ㅡ. 각 편마다 여러 항목이 있으며, 각 항목마다 소제목들과 약방관계의 액 액편, 침구편등, 단방(單方), 침구법(針灸法)으로 구성

ㅡ. 병증의 증상, 원인, 진단, 처방을 손쉽게 참고할 수 있는 배열과 자세 한 처방

ㅡ. 출전(出典)을 소상히 밝혔고, 곳에 따라서는 민간의 속방(俗方)이나 자신 이 체험한 비방(秘方)을 붙여서 치료 효과를 높이게 하였다.

ㅡ. 가능한 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병증 우선으로 한 항목 배정

 

7. 목차내용

5편으로 구성된 의학백과전서(百科全書)로서 오늘날까지 애용되고 있다.

1. 내경편(內景篇) 4권: 내과관계 편

2. 외형편(外形篇) 4권: 외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3. 잡병편(雜病篇) 11권: 병리학, 진단학, 대증 치료, 급성병, 구급법, 유 행성병, 전염병, 부인과, 소아과등

4. 탕액편(湯液篇) 3권: 임상 약물학, 약제학 등 약물을 다루는 편(篇)

✱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탕액편 향약(鄕藥)중 640가지 약재명 한글표기

5. 침 구편(針灸篇) 1권: 경혈 부위와 침구 요법등

6. 목차편 2권 - 총 25권-

4. 탕액편(湯液篇) 3권: 임상 약물학, 약제학등 약물이용

✱ 향약(鄕藥)중 640가지 약재명 한글 표기

ㅡ. 탕액 서례문에서 약물 총론을 다루며, 약물의 세가지 등급, 약물의 채 취와 가공, 약의 처방방법, 약을 달이고 먹는 방법, 약리 이론, 오장 육부와 경락 각각에 상응하는 약물의 군신좌사(君臣佐使)등이 포함되어 있는 약물이용 탕액편은 동의보감 내용 중에 전통산업에 활용가치와 상품가치가 가장 높고 경제활성화 및 대중화에 효율성이 매우 탁월

 

✱ 탕액편에 수록된 약재내용: 수부(水部): 33가지 물, 토부(土部): 18가지 흙, 곡부(穀 部): 107가지 곡식, 인부: 23가지 사람 몸에서 나온 약, 금부(禽部): 107가지 새(주변 에서 구하기 쉬운 동물부터 날짐승을 포함), 수부(獸部): 236가지 짐승, 어부(魚部): 53가지 물고기, 충부(蟲部): 95가지 벌레와 동물, 과부(果部): 91가지 열매(과일이 열 리는 나무와 풀), 채부(菜部):122가지 나물, 초부(草釜): 267가지 풀, 목부(木部):156 가지 나무, 옥부(玉部): 4가지옥돌, 석부(石部): 55가지 돌, 금부(金部): 33가지 금속

 

8. 동의보감 판본(목판으로 인쇄한 책)

현재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으며, 1986년에 태학사에서(조선시대에 홍문관과 예문관, 조선후기 홍문관)1613년의 활자본 및 그 이후의 중간본을 탕액편만 모아 영인(인쇄물의 원본을 사진으로 복사하여 인쇄하는 일) 한 적이 있다.

가. 한국 간본 : 내의원활자 초간본(초판 완질 어제본1613), 호남관찰영 전주장본, 영남관찰영 대구장본, 갑술 내의원교정 영영개간본(嶺營改刊 本 1814년), 갑술 내의원 교정 완영중간본

나. 중국 간본(간행본)

동의보감 초간본(1763년), 재간본(1796, 江寧, 敦化堂), 광서번각본(1890, 일 본번역판 저본), 민국상해석인본, 대만영인본

다. 일본간본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에 의가(醫家)들 반드시 읽어야할 방서로서 널리 전파, 동의보감 초간본(梱井藤兵衛, 京都書林, 1724), 동의보감(1799), <원원 통> 훈점 재간본(大阪書林, 1799)

 

9. 번역본

'내경' 편의 1· 3· 5권만 존재

궁중에서 쓰던 19세기에 번역된 궁체풍의 반흘림체로 풀어 쓴 한글본은 현재 전하는 조선시대의 유일한 한글 번역본으로 1권 앞부분에 전체 25 권의 목차가 실려 있다.(한국학 중앙연구원 소장)

이 책은 되었다.

 

8. 동의보감에 대한 편견과 오해

   동의보감 유네스코 기록문화유산 등재에 있어 한의사협회의 동의보감에 대한 폄하발언으로, 투명인간이 되는 법, 귀신을 보는 법등이 게재 되어 있다고 해석하여 비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비판과 오해의 소지가 될 수 있는 내용들을 포함하여‘도인법’등은 현대 의학에 견주어 손색 없는 그 시대의 사회정서에 맞는 심신단련과 심리치료방법으로 많은 사람들의 심신의 안정과 정신건강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선조들에 지혜에 대한 비판과 불신보다는 올바른 이해, 우수성과 가치를 평가하고 발전노력이 요구된다.

   우수한 우리나라 전통의학과 동의보감 국제화 및 저변활성화를 위한 선구자적 자세 필요하며 동의보감을 불신 하는 태도지속은 결국 한의원 불신을 초래하여 한의업계에 불황과 우리나라 한의학에 대한 국제적 이미지저해 우려된다.

 

- 동의보감때문에 를 사항하게되다 -

   의서인 동의보감을 세계가 인정하여 기록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되었는데도 대대적으로 이 기쁜일을 전국민이 함께 하지 못했다. 그 사실조차도 잘 알지못했기때문이다. 관심이 없었기때문이라고 탓할일은 아닌듯싶다. 언론매체에서 아주 미흡하게 도리상하는 형식으로 알리고 있는 것 같아 무척 안타까웠다.

   세계기록문화유산에 2007년 등재된 이 기쁜사실이 대대적으로 알려지지않았을뿐만아니라 2010년이 편찬된지 400년되던 해인데 이 또한 관심밖에 있었다. 자신들의 기득권을 위하여 아주 작은 기념일들은 동의보감에 비하면 '새발의 피'인 햇수를 자랑하면서 역사성(?)을 요란하게 내세운다.

   이러한 현실이 못내 아쉽고 섭섭하고 안타까웠다. 그런 내마음을 가 위로해주었다. 2010년 동의보감 출판 400년 된날에 창 최상단에 동의보감 탄생400년을 알리고 동의보감생일날임을 알리고 있었다. 그 뒤로 난 를 사랑하게되었다.

와의 끈끈한 인연을 맺게 해준 우리나라기록문화유산 동의보감에 감사한다.

이기회를 통해 에도 감사드린다.  



조사해오기-문화에대한 소개, 우수성...

학교 사회 숙제가 세계화된 우리 문화조사해오기-문화에대한 소개, 우수성, 세계화된사례알아오기 라네요...좀가르쳐주세요~급해요! 내공50검! 세계화된 우리 문화대한...

세계화 가능성이 있는 우리 문화 상품 좀...

세계화 가능성이 있는 우리 문화 상품좀 적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문화상품이름과,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과학적은 우수성을 연구하여, 과학적인 입장에서 독자들에게...

세계화의 가능성이 있는 우리문화 좀...

세게화의 가능성이 있는 우리문화조사해오는게 숙제인대요 ㅠㅠ 이거3가지도 꼭 가르쳐주세요 ㅠㅠㅠㅠㅠ!!! * 소개하는이유. *문화우수성. *구체적인 세계화 방법....

우리문화세계화 방안, 문화 상품...

... 세계화 방안,문화 상품 수출에 대한 구체적 사례 뭐... 있는 우리 문화우수성과 과학성을 소개한다.... 한 조사에 따르면 의사들의 오진률이 무려 50%에 이른다는 것을...

세계화된 우리문화

... 한국문화가 자리하고 있다. 평범한 젊은 한국여성의 하루를 통해 생활 속에 배어 있는 우리 문화우수성과 과학성을 소개한다. 띠리리리리~ 문자 메시지가 왔다. ‘9시 30분...

우리 문화세계화 방한을 가르쳐 주세요

우리 문화세계화 방한좀 알려 주세요 딱히 꼭 집에서... 만듦 -김치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림. 한복 우리의 전통... 한복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야함 또 한복이 현대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