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한씨 문정공파 항렬표 돌림자 몇대손, 몇세손인가요?

청주한씨 문정공파 항렬표 돌림자 몇대손, 몇세손인가요?

작성일 2022.11.2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청주한씨 문정공파 입니다.

저는 문정공파에서 중간에 상(相)돌림을 쓰고

위에 아버지는 (순) 돌림을 쓰는데

항렬표를 찾아보니

돌림자로는 30세손에 아버지 돌림자 순이 있고, 32세손에 저의 돌림자인 상이 있는데

2세대 차이가 말이 안되는데, 어찌된건가요ㅠㅠ  


#청주한씨 문정공파 족보 #청주한씨 문정공파 #청주한씨 문정공파 항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청주한씨 문정공파 항렬표 돌림자 몇대손, 몇세손인가요?

안녕하세요.

청주한씨 문정공파 입니다.

저는 문정공파에서 중간에 상(相)돌림을 쓰고

위에 아버지는 (순) 돌림을 쓰는데

항렬표를 찾아보니 돌림자로는 30세손에 아버지 돌림자 순이 있고, 32세손에 저의 돌림자인 상이 있는데 2세대 차이가 말이 안되는데, 어찌된건가요ㅠㅠ

답변 : 님은 청주 한씨(淸州 韓氏) 문정공파(文靖公派)이시군요.

그리고 부친님의 세대수를 잘못 알고 계셨네요. 30세가 아닌 31세입니다.

청주 한씨 문정공파 항렬표를 본다면,

그리고 한문을 모르겠습니다. 이런 것으로 보아서는 항렬표 돌림자 위주로 성함을 지으신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조부님 : 30세 ?자 돌림이라 하셨고,

부친님 : 31세 기(基)자 동(東)洙(洙) 석(晳) 돌림이시나, 순자를 쓰셨으며,

님은 : 32세손 상(相)​​ 돌림입니다.

님은 청주 한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청주 한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청주 한씨(淸州 韓氏)에 대(對)하여

1. 청주 한씨(淸州 韓氏)시조(始祖) : 한란(韓蘭)

2. 청주 한씨(淸州 韓氏) 유래(由來) :

청주 한씨(淸州 韓氏)의 유래(由來)는 후조선(後朝鮮)인 기자조선(箕子朝鮮)에서 기원(起源)한다.

마한(馬韓) 원왕(元王)의 아들 3인이 있어 우평(友平), 우량(友諒), 우성(友誠)이니, 나라가 쇠(衰)하자 우평(友平)은 고구려(高句麗)에 입사(入仕)하여 북원선우씨(北元鮮于氏)가 되고, 우량(友諒)은 신라(新羅)에 입사하여 상당 한씨(上黨 韓氏) 즉(卽) 청주 한씨(淸州 韓氏)가 되었고, 우성(友誠)은 백제(百濟)에 입사하여 덕양기씨(德陽奇氏)가 되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한씨(韓氏)는 모두 기자(箕子)의 후예(後裔)가 되는 것이다. 기자는 은(殷)나라의 종실(宗室)로서 주왕(紂王)의 숙부(叔父)가 된다. 주왕((紂王)이 잔인(殘忍)하고 포악(暴惡)하여 국정(國政)이 쇠퇴(衰頹)함으로 주(周)나라 무왕(周. 武王)이 이를 토멸(討滅)하고 기자(箕子)에게 치국(治國)하는 대도(大道)를 청문하기로 홍범(洪範)을 자문하여 주고. 의리상(義理相) 신복(臣僕)이 될 수는 없다하여 고조선(古朝鮮)에 망명(亡命)하였는데 때마침 단군조선(檀君朝鮮)이 종말(終末)을 고하게 되자 백성(百姓)들의 추대를 받아 후조선(後朝鮮)을 건국(建國)하고 예의(禮儀)로 교화(敎化)하여 예의군자국(禮義君子國)이 되었다고 한다.

청주 한씨(淸州 韓氏) 시조(始祖) 한란(韓蘭)은 지금의 충청북도(忠淸北道)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에서 탄생(誕生)하여 향학(鄕學)을 일으키고 청주(淸州) 방정리에 무농정(務農亭)을 세우고 농업(農業)을 권장(勸獎)하여 마침내 부농(富農)을 이루었는데 이때에 왕건(王建)이 고려(高麗)를 창업(創業)하는 공(功)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 이 되었으니 벼슬은 삼중대광 태위(三重大匡 太尉)이다

천지(天地)는 신묘(神妙)한 위광(威光)으로 강산(江山)의 기이(奇異)함을 만들고 영웅(英雄)의 자품을 타고나서 나라의 훈업(勳業)을 이루었으니 한란(韓蘭) 그의 시호(諡號)는 위양(威襄)이라 하였다. 속리 산맥(山脈)을 타고 내려와 황간(黃澗) 땅에 이르러 우뚝 솟은 지장영봉(芝庄靈峰)은 사위(四圍)를 거느리고 멀리 백리에 뻗쳐 영기(靈氣)가 모였으니 이곳에서 당대(當代)의 위인(偉人) 한란(韓蘭)이 탄생(誕生)하셨다. 옛부터 전(傳)하는 말에 의하면 태조(太祖)가 견훤(甄萱)을 정벌하려 청주(淸州) 고을에 당도하자 태위공(太尉公)께서 군례(軍禮)을 갖추고 이를 맞이하여 창고에 비축한 곡식을 풀어 10만 군사를 배불리 먹이고 참전(參戰)하여 전공(戰功)을 세워 고려 왕조(王祖)의 터전을 다졌으니 참으로 위대한 분이다.

이세(二世) 영(穎)의 벼슬이 용호군 교위(龍虎軍 校尉) 이고 삼세(三世) 상휴(尙休)는 별장 동정(別將同正)이다. 그리하여 여음(餘蔭)이 후세까지 끼쳐 공경대부(公卿大父)가 이어 왔으니 묘(墓)는 충북 청원군 남일면 가산리에 안장하였고 묘비· 신도비 (神道碑)와 청주시 방서동의 무농정(務農亭)과 방정(方井) 제단비(劑壇碑)는 후손(後孫)들의 정성의 표상이다. 특(特)히 충북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 입구(入口)에는 태위공(太尉公)의 탄생지(誕生地) 유허비(遺墟碑)가 세워졌으며 공(公)의 묘하(墓下)에는 세일재 (歲一齋)가 세워져 있다.

3. 청주 한씨(淸州 韓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청주(淸州)는 충청북도(忠淸北道) 도청(道廳) 소재지(所在地)이다. 삼한(三韓)시대(時代)에 마한(馬韓)의 땅이었다가 백제시대(百濟時代)에는 상당현(上黨縣), 일명 낭비성(娘臂城) 또는 낭자곡(娘子谷)이라고도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昇格)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地名)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淸州牧)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設置)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淸州牧)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所屬)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주(州)로 강등(降等)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牧)으로 복구(復舊)되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도 청주목(淸州牧)을 유지하면서 충청도(忠淸道)의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1651년(효종 2)에는 충청도(忠淸道)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영이 청주(淸州)로 이전(移轉)되어 충청도(忠淸道)의 군사적(軍事的)인 중심지(中心地)도 겸(兼)하였다. 그러나 역모사건(逆謀事件) 등(等)으로 1656~1667년, 1681~1689년, 1804~1813년, 1826~1834년, 1862~1871년 등 여러 차례 서원현(西原縣) 등(等)으로 강등(降等)되기도 하였다.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공주부(公州府) 청주군(淸州郡)이 되었고, 1896년에 충청북도(忠淸北道) 청주군(淸州郡)이 되었다. 1906년 관찰사(觀察使)를 충주(忠州)에서 청주(淸州)로 이전(移轉)함으로써 충청북도(忠淸北道)의 주도(主都)가 되었다.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청주면(淸州面)이라 개칭(改稱)하였고, 1931년에는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에 따라 읍으로, 1946년에는 청주부(淸州府)로 승격(昇格)하였다. 1949년 지방자치법(地方自治法)에 따라 청주시(淸州市)로 개칭(改稱)하였고 1983년 전국(全國) 행정구역(行政區域) 조정(調整)으로 청주시(淸州市) 지역(地域)이 크게 확대(擴大)되었다. 1995년 동부(東部)·서부(西部) 출장소(出張所)가 동부(東部)는 상당구로, 서부(西部)는 흥덕구로 승격(昇格)하여 현재(現在) 상당구·흥덕구 2개 구가 있다.

4. 청주 한씨(淸州 韓氏) 계파(系派)

- 서제공파

- 문열공파

- 충성공파

- 이양공파

- 문간공파

- 천령공파

- 문양공파

- 문정공파

- 참판공파

- 양평공파

- 충간공파

- 찬성공파

- 절제공파

- 안양공파

- 첨추공파

- 절도공파

- 판사공파

- 정당공파

- 서원군공파

- 감사공파

- 양절공파

- 참의공파

- 이조정랑공(이랑공)파

- 학사공파

- 정혜공파

- 예빈윤공파

- 평장공파

- 전교공파

- 등제공파

- 중랑장공파

- 몽계공파

- 장열공파

- 문절공파 등이 있다.

5. 청주 한씨(淸州 韓氏) 문정공파(文靖公派)

한계희(韓繼禧:문정공)는 관찰사(觀察使) 혜(惠)의 아들이다. 그는 세종(世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세조(世祖) 때에는 세자(世子)를 가르쳤으며, 성종 때에는 좌찬성에 이르렀다. 그는 '기내 훈구파(畿內勳舊派)'의 유학자로서 《경국대전(經國大典)》 《의방유취(醫方類聚)》 등을 편찬하였다. 형 계미(繼美), 아우 계순(繼純)도 모두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좌의정을 지낸 효순(孝純)은 계희의 현손이다. 당대(當代)의 이름난 학자(學者)로서 《동국지리지》를 저술(著述)하여 실학에 선구적(先驅的) 업적(業績)을 남긴 백겸(百謙)은 효윤(孝胤)의 아들이다. 그리고 석학 원진(元震)은 계희의 9대손이다.

6. 청주 한씨(淸州 韓氏) 문정공파(文靖公派) 휘(諱) 계희(繼橲 14世 항렬표(行列表)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鎭(진)○

應(응)○

○用(용)

○源(원)

○會(회)

○履(이)

○東(동)

百(백)○

○敎(교)

○愚(우)

○澤(택)

○錫(석)

基(기)○

東(동)○

○洙(수)

晳(석)○

萬(만)○

○鉉(현)

相(상)○

○燮(섭)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九(구)

○熙(희)

在(재)○

丙(병)○

○奎(규)

○鏞(용)

○寧(녕)

○大(대)

○鐸(탁)

成(성)○

○元(원)

○熙(희)

○玉(옥)

-

참판공파(叅判公派) () 계선(繼善14)

27

28

29

30

31

32

()

()

()

()

○履()

()

○會()

○敎()

○東()

()

()

○愚()

○澤()

○愚()

○洙()

()

()

○鉉()

33

34

35

36

37

○熙()

○悳()

()

()

○鍾()

○鐸()

()

○植()

文靖公派(문정공파)

(문정공)

14世諱

繼禧(계희)

조선 세종 5~ 성종 13

(1423 ~1482)

參判公

(참판공)

18世諱

天賚(천뢰)

조선 중종 30~ 선조 1

(1535 ~ 1568)

(율헌공)

19世諱

明勖(명욱)

명종 22~ 효종 3(1567 ~ 1652)

(판서공)

26世諱

致應(치응)

영조 36~ 순조 24(1760 ~ 1824)

(문익공)

19世諱

浚謙(준겸)

명종 12~ 인조 5(1557 ~ 1627)

(좌윤공)

20世諱

會一(회일)

선조 13~ 인조 20(1580 ~ 1642)

(판서공)

世 諱

致範(치범)

선조 17~ 효종 3(1584 ~ 1651)

(판서공)

26世諱

致肇(치조)

순조 8~ 고종 26(1808 ~ 1889)

(판서공)

27世諱

鎭庭(진정)

정조 23~ 철종 27(1799 ~ 1862)

(판서공)

28世諱

敦源(돈원)

순조 20~ 고종 19(1820 ~ 1882)

(판서공)

28世諱

敬源(경원)

순조 17~ 고종 27(1817 ~ 1890)

(찬정공)

29世諱

耆東(기동)

헌종 11~ 광무 6(1845 ~ 1902)

(참판공)

20世諱

必遠(필원)

선조 11~ 현종 1(1578 ~ 1660)

아래 청주 한씨 사이트입니다.

http://www.cheongjuhan.net/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청주한씨 돌림자로 제가몇대손인지알수...

... 제가몇대손인지알수잇을가요 ? 답변 : 님의 글을 읽어보고 청주 한씨 각파 항렬표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청주... 문양공파 - 문정공파 - 참판공파 - 양평공파 - 충간공파...

청주한씨 파와 몇대손인지 궁금합니다

... 지어 돌림자가 없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셔서 청주한씨 무슨파인지 몇대손이지 알수가없습니다 알수있는... (헌) - 문정공파(文靖公派) 휘(諱) 계희(繼橲 14世) 27세...

청주한씨 공파와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

... ○돈 입니다.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청주한씨 공파와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저는 돌림자가없... (헌) - 문정공파(文靖公派) 휘(諱) 계희(繼橲 14世) 27세...

청주한씨 무슨파에 몇대손인지...

... 몇대손인지 알려주시면 감사겠습니다. 답변 : 님의 글을 읽고 청주 한씨 충성공파 항렬표에서 찾아 보았습니다.... 문양공파 - 문정공파 - 참판공파 - 양평공파 - 충간공파...

청주 한씨 무슨 파 몇 대손

... 몇대손인지 어떻게 따지는지.... 답변 : 님은 청주 한씨... 한자가 돌림자입니다. 한글과 함문을 병용합니다.... 부터는 항렬표를 참고하세요. 현령공파(縣令公派) 휘(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