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예절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그린란드 예절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작성일 2022.10.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그린란드 예절 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그린란드 예절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그린란드 예절 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답변 : 그린란드 의식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 순록 털가죽으로 만든 짧은 상의 아트쿠크(аткук), 무릎까지 내려오는 가죽 바지와 순록 가죽으로 만든 장화로 이루어졌습니다. 추위에 사는 사람들이라 예절은 못보았으나 내가 잘하면 그들도 잘하는 것이 예절입니다.

답변 : 미국 알래스카의 이누이트족의 전통 음식, 전통복장 전통주택등에 대한 설명과 생활방식 등 삶인 의식주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그린란드(Greenland)에 대(對)하여

1. 그린란드(Greenland) 국기

그린란드(Greenland) 국기

세계에서 가장 큰섬으로 덴마크(Denmark)의 자치령입니다.

2009년자치권의 확대를 선언하여 제한적인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수도는 누크입니다.

그린란드(Greenland)와 북극은 다른 말입니다. 북극은 남극과 달리 대륙이 아니고 바다이기때문에 북극해라고 부릅니다. 그린란드(Greenland)는 북극 부근에 현재 덴마크(Denmark) 자치령으로 되어 있는 땅입니다.

아래는 그린란드(Greenland)에 대한 설명입니다.

사실 그린란드(Greenland) 역사는 조용하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그 넓은 볼모지의 땅에 적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고, 앞서 말했듯이 그 넓은 볼모지에 극악의 자연환경 때문에 정치 활동에 큰 시간을 투자하긴 어려웠을 것입니다.

일단 그린란드(Greenland)의 역사를 설명하자면 그린란드에 최초로 사람이 정착한 시기는 기원전 2천년경으로 알려져 있고, 알다시피 정착한 민족은 스스로를 이누이트(Inuit)라 칭하는 에스키모인들입니다.

그린란드(Greenland)인들은 남부쪽에 사칵(Saqqaq)이라는 부족문화가 발달하였고, 그러다가 나중에는 이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는데, 왜 사라졌는지 그 이유는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진건 없어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다가 10세기에는 툴(Thule)이라는 문명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린란드(Greenland)를 떠오르면 대표적으로 생각나는 카약(kayak)같은 소형 배, 개 썰매 등이 바로 이때 당시의 이들만의 문명으로부터 나온 문화적 산물이라 볼 수 있습니다.

툴 부족은 아까전에 말한 사칵 부족하고는 달리 오랫동안 살아남았는데요, 현대 그린란드(Greenland)의 이누이트의 직계조상이 이들입니다.

그렇게 시간이 더 흘러가고 이제 드디어 바이킹족이 그린란드 쪽으로 이주하게 됩니다.

이 일을 주도한 사람은 바로 노르웨이 왕국에서 태어난 붉은 수염 에리크(Erik Thorvaldsson)라는 인물인데, 이 사람은 새로 정착할 땅을 찾기 위해 그린란드(Greenland) 라는 땅으로 이주하기로 결심합니다, 물론 혼자 갈 수는 없으니까 이주자들을 모집하게 되는데요, 그런데 문제는 그린란드(Greenland)는 앞서 말했 듯이 추운 볼모지의 극한의 땅이라, 솔직히 말하면 누가 가고 싶겠습니까.

그래서 에리크는 숲과 풀이 풍부한 땅.. 즉 녹색의 땅(그린란드)라고 허풍광고를 하여 이주자들을 모집 하는데에 성공하게 됩니다, 우리한테 친숙한 그린란드(Greenland) 라는 이름이 여기서 기원되었습니다.

그린란드(Greenland)에 정착한 바이킹 이주민들은 목재가 필요했고, 이 때문에 북아메리카에 자주 들락거리기도 했는데 이 중에서 아메리카 원주민들하고 직접 충돌한 적도 있었죠. (여기서 좀만 더 추가설명 하자면 우리가 알고 있는 북아메리카의 최초 발견자는 콜럼버스가 아니라 그 이전 시대에 있었던 바이킹들입니다.)

이렇게 바이킹 사람들은 오래살기를 바랬지만, 원주민 이누이트족과의 갈등도 만만치 않았고, 또한 이누이트에 비해 척박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딸린데다가, 유럽에서 흑사병이 창궐하여 이쪽에 거주하는 바이킹과의 교류가 단절되서 문제가 점점 커지게 되며 결국 그린란드에 거주하는 바이킹인들은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다가 18세기에 덴마크가 그린란드(Greenland)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탐험대를 파견하면서 대표적인 인물이자 선교사인 한스 에게데(Hans Egede)를 파견하였습니다, 한스 에게데는 1721년 오늘날의 그린란드(Greenland)의 수도인 누크(Nuuk)에 해당하는 지역에 고드호프(Godthåb)를 세우게 됩니다.

19세기에는 덴마크령이 되지요, 그리고 2차 세계대전 당시에 일시적으로 미국이 점령한 적이 있었으며, 미국은 그린란드에 관심이 있기도 해서 1946년에 1억 달러로 덴마크한테 이 그린란드를 사겠다고 제안을 하였으나 결국 거절당하고 맙니다.

1953년에는 덴마크의 헌법 개정으로 인하여 이제 본격적으로 덴마크 왕국의 한 군으로 편입하게 됩니다, 1979년에는 그린란드가 자치권을 획득하며, 현재에는 거의 반독립국 상태에 가깝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린란드(Greenland)의 지도

2. 역사(歷史)

수도 : 누크(Nuuk)

면적 : 2,166,086

인구 : 57,600명

그린란드(Greenland)는 1979년 5월 1일부터 덴마크 국회에 의해 자치권을 획득하지만 국가 원수는 덴마크(Denmark)의 여왕이었으며 외교권과 국방도 덴마크가 맡아왔다. 1985년, 그린란드(Greenland)는 ECC의 상업적 어업 규제와 물개 가죽제품의 금지에 반발해 독자적으로 탈퇴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맞물려 그린란드(Greenland)의 독립에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그린란드(Greenland)는 2008년 11월 25일에 자치권 확대를 위한 투표를 치렀다. 그리고 이 투표에서 75%가 자치권 확대에 찬성하면서 독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마침내 2009년 6월 21일에 누크에서 자치권 확대 발효 기념식을 열고 사실상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다만 자치권이 발효되어도 여전히 덴마크가 국방이나 외교적 사안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권을 가진다. 이 조치로 덴마크로부터 지원받던 연간 보조금 32억 덴마크 크로네(덴마크의 통화)가 중단되기는 하지만, 지구 온난화로 개발 가능성이 생긴 지하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와 사법 및 경찰권을 가지게 되며, 제한적이나마 외교권도 가지게 되었다.

그린란드(Greenland)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500년 무렵으로, 에스키모가 정착해 살기 시작했다. 이후 서기 986년에는 노르만 족인 에리크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자신이 발견한 땅에 많은 사람들이 이주하기를 바랐고, 이에 따라 자신이 발견한 섬의 이름을 '초록의 땅'이라는 뜻의 '그린란드(Greenland)'라 이름 지었다. 이 때부터 그린란드(Greenland)에 노르만 족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은 원주민인 이누이트 족과 충돌이 잦았고, 수천 년간 살아오면서 그린란드(Greenland)의 빙설 기후에 완벽히 적응한 이누이트 족과 달리 기후에 적응하지 못했고, 척박한 환경으로 목재, 철 등 자신들의 문화를 보존할 자원의 부족으로 인구 증가에 큰 어려움을 겪어, 숫적, 군사적으로 이누이트 족에 밀릴 수 밖에 없었다. 대표적인 예로 1379년 이누이트 족의 습격을 받아 노르만 족 남성 18명이 사망했는데, 당시 노르만 족의 인구는 4000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본토와의 교류를 통해 15세기까지 노르만 족은 그린란드에 거주하였으나, 소빙기로 해안에 유빙이 생겨나면서 본토와의 교류에 문제가 생긴데다, 유럽에서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교류가 완전히 중단되었고, 결국 그린란드(Greenland)의 노르만 족 거주지는 소멸되었다. 이후 18세기 초에 그린란드 거주지가 덴마크에 의해 재개척 되면서 덴마크령의 거주지가 되었다

자치권회복

미국은 그린란드(Greenland) 지역에 지정학적 관심을 보여왔으며 1946년미국은 덴마크에서 그린란드를 1억달러에 구입하겠다고 제안하지만 덴마크는 거절했다. 하지만 1950년덴마크는 미국의 툴레 공군 기지건립 제안을 받아들여 1951년건설을 시작한다. 1953년완성된 이 기지는 나토의 방어전략의 일환이 된다.

3. 그린란드(Greenland) 기후

냉대기후

최한월 평균 기온 -3도 미만, 최난월 평균기온 10도 이상 겨울이 춥고 길며 여름이 짧지요.

겨울은 한랭건조하고 여름은 고온다우하여 연교차가 가장 큽니다.

봄밀, 호밀, 조, 콩, 옥수수 등이 재배되고 타이가라는 침엽수림을 배경으로 임업이 발달했습니다.

한대기후

-툰드라 기후

최난 평균 기온 0~10도, 짧은 여름 동안 지의류, 선태류 등이 서식 순록 유목이나 수렵과 어로 생활을 하는 이누이트, 사모예드, 라프족 등 소수 민족 분포 교통 및 군사적 요충지이며, 지하자우너 개발과 관련하여 중요성이 증대함.

여름엔 지표면이 녹는 활동층, 활동층 아래엔 영구 동토층이 분포하기 때문에 고상 가옥이 발달함.

- 영구빙설기후

최난월 평균기온 0도 미만인 지역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 내륙에 분포 비거주 지역이나 학술과 자원개발을 위한 각종 연구소가 설치,운영됨. [ 백과사전] 일부인용

그린란드 인사법​ 코를 맞대고 인사를 한다.

북자극(北磁極)은 북위 75°, 서경 100° 부근의 배서스트섬에, 북자축극(北磁軸極)은 북위 78°, 서경 73°의 그린란드 북서단에 위치하는 툴레 부근에 있다. 또한 북위 66°33'선 이북을 북극권(北極圈)이라고 한다.

가. 그린란드 예절 문화(에스키모 문화)

에스키모는 19세기 중엽 이후 탐험가 ·모피상인(毛皮商人) ·북양포경선원(北洋捕鯨船員) 등 백인과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라이플 총 등 문명의 이기(利器)를 입수하였으나, 계속되는 전염병의 유행으로 19세기 말에 와서는 종전 인구의 반수 이하로 줄었다. 백인과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자급자족의 채집 ·수렵보다는 임금노동과 모피 등의 상품생산의 비중이 점점 커져, 지금은 예외 없이 화폐경제의 소용돌이 속에 살고 있다.

나. 그린란드 예절 에스키모 예절

열대 등의 저위도 지방에 비하여 동물의 종류는 많지 않지만, 그 수량에 있어서는 풍부하다. 그 결과 이뉴잇(Innuit) 사회에서는 직능적 ·계층적 분화가 눈에 띄지 않고 추장(酋長) 등을 두지도 않았으며, 동질적 ·단층적 사회를 형성해왔다.

그 주거지는 위도와 관계없이 삼림지대의 바깥쪽에 있다. 따라서 수렵과 어로 가운데 하나를 주된 생업으로 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결과 골각기문화(骨角器文化)를 형성해왔다. 물론 배 ·썰매 등의 도구나 가옥에는 목재가 필요하고 그것을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그 목재는 대개 유목(流木)을 채집한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하여 밴드사회이고 동질적 단층적 사회이며 채집수렵(어로를 포함하여)사회라는 것이 이뉴잇(Innuit)의 기본적 특징이다. 이뉴잇(Innuit)의 밴드는 대개의 경우 5∼10의 핵가족으로 구성되어 왔다. 전통적 혼인 거주방식이 처가살이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아내의 아버지, 딸의 남편에다 자매의 남편, 아내의 형제 등이 밴드를 구성하는 핵심이 되었다. 어린이에게 이름을 붙이는 데도 가까운 과거에 죽은 근친의 이름을 붙이는 관습이 있는데, 특히 처가쪽의 근친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1.동물의 혼을 믿는 애니미즘입니다. 일종의 무속신앙이죠. 무당 같은....

그걸 무교라고 하면 안됩니다. 물론 지금은 개신교도 많이 믿어요.

2. 얼음으로 만든 이글루 라고 하면 보편적으로는 통해요.

정확히는 미국에서 캐나다 북부에 사는 에스키모 중에서 겨울에 사는 용도이고,'

에스키모가 사는 곳도 여름엔 얼음이 녹기에 천막이나 나무판자집에서 삽니다.

물론 지금은 대부분 현대식 집에 살죠.

캐나다, 미국은 물론 러시아도 소수민족이라고 여러가지로 지원해줍니다.

3. 우리가 하는 스포츠는 없어요.

주로 축제 같은 때 개썰매 경주나 카약(배)경주를 합니다.

4. 아래 첨부한 백과사전을 보면 됩니다만,

그린란드 에스키모라는 말은 유럽사람들이 비꽈서 부르는 말이고,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에 사는 이누이트(innuit)족과 유라시아대륙과 아메리카대륙 사이의 베링해협알래스카 및 러시아 추콧카 동부에 거주하는 유피크(юпик, Yupik)족으로 나눌 수 있어요.

원래 지구가 따뜻할 때 시베리아에 살던 종족들이 살곳을 찾아 동북쪽으로 이동하며 생겨난 게 에스키모입니다. 시베리아쪽에서는 순록 등 사냥을 하면서 사는 종족들이 아직도 있어요.

원래는 물고기와 고래, 바다표범 등 북극지방의 동물들을 잡아서 얼리거나 말려서 1년내내 먹고, 그것들로부터 가죽이나 기름, 말린 고기를 남쪽지방 사람들에게 주고 대신 곡식과 순록고기 등을 바꿔가곤 했답니다. 그리고 백과사전엔 안나오는데, 형사취수라고 해서 형이 죽으면 형의 부인을 동생이 데리고 살기도 하고, 손님이 오면 잠자리에 부인을 빌려주기도 했답니다. 종족을 보존하는 수단이죠

위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현재 전세계에 17만명 밖에 안남았기에 에스키모가 있는 나라마다 정부에서 집과 학교도 지어주고, 교통수단도 마련해주고, 생활지원금도 줘서 지나친 동물포획을 금지시키고 있으며, 그 사람들의 생활터전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죠.

에스키모인

혹독한 북극의 자연과 맞선 에스키모인 에스키모인 거주지

에스키모는 누구인가? 진실과 오해

에스키모인(Eskimo, Эскимосы)이라고 하면 흔히 알래스카에 사는 민족으로 이글루와 개썰매로 유명하다. 그러나 에스키모인이 러시아 시베리아에도 살고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에스키모는 그린란드와 캐나다, 미국의 알래스카와 러시아의 추콧카 반도 동부에 이르는 지역에 사는 원주민 전부를 가리킨다.

에스키모인은 자신을 지칭하는 이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에 사는 이누이트(innuit)와 알래스카 및 추콧카 동부에 거주하는 유피크(юпик, Yupik)이다. 사실상 여기서 다루게 될 에스키모인은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유피크인이다. ‘이누이트’라는 민족 명칭이 ‘인간’이란 의미를 가지듯, ‘유크’(юк), ‘유이트’(юит), ‘유기트’(югыт), ‘유피크’(юпик) 역시 ‘인간’, ‘참인간’이란 뜻이다.

그런데 ‘에스키모’라고 익히 알려진 명칭은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작 이누이트인과 유피크인은 에스키모라고 불리는 것을 거부한다. 어원을 보면 이들이 왜 이렇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아메리카 인디언의 말로 에스키마트식(eskimatsic) 또는 아스키메그(askimeg)는 ‘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란 뜻인데, 유럽인들이 이를 왜곡하여 사용하면서 퍼지게 됐다. 이처럼 ‘에스키모’라는 명칭은 조소와 비하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이들은 이 명칭을 거부하고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이누이트와 유피크를 통틀어 에스키모로 불리는 것은 이들을 에스키모라고 부르는 것이 유럽에서 일반화되면서 오랫동안 그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1. 그린란드 의(衣) 의상

원래는 물고기와 고래, 바다표범 등 북극지방의 동물들을 잡아서 얼리거나 말려서 1년내내 먹고,

그것들로부터 가죽이나 기름, 말린 고기를 남쪽지방 사람들에게 주고 대신 곡식과 순록고기 등을

바꿔가곤 했답니다. 그리고 백과사전엔 안나오는데, 형사취수라고 해서 형이 죽으면 형의 부인을 동생

이 데리고 살기도 하고, 손님이 오면 잠자리에 부인을 빌려주기도 했답니다. 종족을 보존하는 수단이죠

그들의 읹사법은 코를 맞다고 인사를 합니다.

그린란드(Greenland)의 전통 의상 아노락(Anorak)

그린란드(Greenland)의 전통 의상 아노락(Anorak)

그린란드(Greenland)의 전통 의상 아노락(Anorak)

그린란드(Greenland)의 전통 의상 아노락(Anorak)

사슴 가죽 장화

여름에는 습기를 막기 위해 옷 위에 물범 내장으로 만든 모자 달린 비옷을 걸쳤다. 겨울에 먼 여행을 떠날 때는 무릎까지 내려오면서 폭이 넓고 모자가 달린 털가죽 외투를 입었다. 여기에 가죽으로 만든 긴 양말과 물범 가죽으로 만든 장화(камгык)를 신었다. 방수용 신발은 털이 없는 물범 가죽으로 만들었다. 발바닥 모서리는 위로 올려서 말렸다. 가죽 모자와 장갑은 이동할 때만 착용했다.

19세기 여름 신발

여성은 남성용 바지보다 폭이 더 넓은 가죽 바지를 입었고, 그 위에 상 · 하의가 붙어 있고 무릎까지 내려오면서 역시 폭이 넓은 가죽옷인 칼리바기크(к’алъывагык)를 입었다. 에스키모 여성은 옷에 자수를 넣거나 가죽을 덧대어 장식했다.

18세기까지 에스키모인은 코걸이를 하거나 아랫입술을 뚫어 바다코끼리 이빨, 뼈로 만든 반지나 유리구슬을 걸고 다녔다. 이들은 문신을 즐겼는데, 남성은 입가에 무늬를 넣은 문신을 했으며, 여성은 이마, 코, 턱에 직선이나 곡선 문신을 했다. 뺨에는 더 복잡한 기하학적인 문양을 넣기도 했다.

2. 그린란드 식(食) 음식

에스키모인 아이스크림 아쿠타크

물범, 바다코끼리와 고래 고기가 주식

이들의 전통 음식은 물범, 바다코끼리와 고래의 고기와 기름이다. 고기는 날것으로 먹거나, 말리거나 얼리고, 또 구워서 먹었다. 겨울에는 구멍을 파서 그 안에서 발효시켜 기름과 함께 먹었고, 때때로 절반쯤 구워서 먹기도 했다. 익히지 않고 얼린 고래 비계인 마크타크(мактак)를 별미로 여겼다.

얼린 고래 비계 마크타크

생선은 주로 볕에 말렸고 겨울에는 얼린 것을 먹었다. 이들은 축치인과 교류를 활발히 했는데, 축치인의 순록고기를 바다 동물 가죽과 교환했다. 여름과 가을에는 대부분 미역, 다시마, 열매, 나물과 뿌리를 섭취했다.

이들의 특별한 고기 음식 중 하나로는 이구나크(игунак)가 있다. 이구나크는 느가나산인, 축치인, 네네츠인, 에네츠인, 한티인의 전통 음식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은 이를 코팔헨(Копальхен)이라고 불렀다. 이구나크는 바다코끼리, 물범, 순록, 오리, 고래의 날고기를 발효하여 만든 것이다. 에스키모인의 경우, 주로 고래 고기로 만들었다.

색다른 음식으로는 에스키모인이 아이스크림이라고 하는 아쿠타크(акутак)가 있다. 이는 딸기나 블루베리와 같은 산열매에 동물 기름, 생선 살, 설탕을 섞어서 만든다. 아쿠타크는 유피크어로 ‘섞은 것’이란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온대의 나라 육지에서 오는 사람들에 의해 채소도 얻어 먹었 삶니다. 그래서 점차적으로 수명도 길어집니다.

3. 그린란드 주(住) 주거

에스키모인

혹독한 북극의 자연과 맞선 에스키모인

에스키모인 거주지

에스키모는 누구인가? 진실과 오해

에스키모인(Eskimo, Эскимосы)이라고 하면 흔히 알래스카에 사는 민족으로 이글루와 개썰매로 유명하다. 그러나 에스키모인이 러시아 시베리아에도 살고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에스키모는 그린란드와 캐나다, 미국의 알래스카와 러시아의 추콧카 반도 동부에 이르는 지역에 사는 원주민 전부를 가리킨다.

에스키모인은 자신을 지칭하는 이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에 사는 이누이트(innuit)와 알래스카 및 추콧카 동부에 거주하는 유피크(юпик, Yupik)이다. 사실상 여기서 다루게 될 에스키모인은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유피크인이다. ‘이누이트’라는 민족 명칭이 ‘인간’이란 의미를 가지듯, ‘유크’(юк), ‘유이트’(юит), ‘유기트’(югыт), ‘유피크’(юпик) 역시 ‘인간’, ‘참인간’이란 뜻이다.

그런데 ‘에스키모’라고 익히 알려진 명칭은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작 이누이트인과 유피크인은 에스키모라고 불리는 것을 거부한다. 어원을 보면 이들이 왜 이렇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아메리카 인디언의 말로 에스키마트식(eskimatsic) 또는 아스키메그(askimeg)는 ‘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란 뜻인데, 유럽인들이 이를 왜곡하여 사용하면서 퍼지게 됐다. 이처럼 ‘에스키모’라는 명칭은 조소와 비하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이들은 이 명칭을 거부하고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이누이트와 유피크를 통틀어 에스키모로 불리는 것은 이들을 에스키모라고 부르는 것이 유럽에서 일반화되면서 오랫동안 그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1894년 에스키모 가족

시베리아에서 아메리카로

에스키모가 어떻게 발생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지만, 기원전 2000년 말까지 베링 해 연안에서 민족이 형성되었고, 기원전 1000년에 몽골 인종인 에스키모 선조가 동북아시아 북부에서 베링 해협을 지나 아메리카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과정에서 이들은 시베리아와 아메리카에 이르는 북극 지역에 분포해 살게 되었다.

특히 추콧카 반도에 머무르게 된 시베리아 에스키모인은 고아시아족, 즉 축치인, 코랴크인, 이텔멘인과 문화적 유사성을 보이는데, 이는 아메리카 인디언과 북아메리카에 거주하고 있는 또 다른 에스키모인 이누이트에게서도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의 선조가 시베리아에서 현재의 북아메리카로 이주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그린란드 이글루(얼음집)

그린란드 이글루(얼음집)

바다 동물 - 에스키모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기원전 1000년, 베링 해협 연안에는 야생순록을 사냥하는 대륙문화와 바다짐승을 사냥하는 문화가 공존하고 있었다. 8세기부터 추콧카 반도의 북동 연안에서 베링 해 문화가 퍼지고 있었다. 베링 해 문화의 특징은 바다 포유류 사냥, 가죽으로 만든 바이다라(좌석이 많은 사냥용 배)의 이용, 복잡한 형태의 작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베링 해 문화는 푸누크 문화(пунукская культура, Punuk Culture, 600-1100년의 고대 에스키모 문화)로 옮겨간다. 이때 추콧카 반도 내 바다 동물 사냥과 고래 사냥이 최고조로 발전하게 됐다. 7세기부터 13세기 또는 15세기까지는 고래잡이 산업, 작은 지느러미 동물 사냥(특히 알래스카와 추콧카 반도의 최북부)이 발전하게 됐다.

바다 동물은 에스키모인이 사는 데 모든 것을 제공해 주면서, 이들이 혹독한 북극의 자연환경에 적응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들은 바다 동물의 고기, 내장, 기름을 먹고, 그 기름으로는 불을 지피고 집을 밝혔다. 바다 동물의 뼈로 농기구, 무기, 식기, 집의 골조를 만들었고, 그 가죽으로는 집을 덮고 바이다라와 카약, 그리고 옷과 신발도 만들었다.

바다 동물의 뼈는 에스키모인이 북극의 강렬한 햇살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도구가 되어 주기도 했다. 에스키모인은 빛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 바다 동물의 뼈에 구멍을 만들어 안경처럼 눈에 끼고 다녔다.

에스키모의 회전 작살

바다 동물 뼈로 만든 눈 보호대

바다 동물의 뼈로 만든 집

에스키모인의 주거 문화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눈으로 만든 집인 이글루일 것이다. 그러나 이글루는 주로 북아메리카 지역에 거주하는 이누이트인의 거주 문화에 속한다.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에스키모인은 18세기 전후 동물 뼈로 만든 반지하 집인 닌류(нын’лю)에서 살았다. 고래의 긴 턱뼈나 떠내려온 통나무는 집을 떠받치는 기둥이 되었고, 이 기둥 위에 고래 턱뼈로 만든 들보를 가로로 놓았다.

18세기 이전 고래 뼈로 만든 반 지하 집

고래 갈비뼈나 나무 각재로는 천장을 만들었다. 천장에는 마른 풀을 깔고 그다음 잔디나 모래층을 깔았다. 지붕에 난 구멍은 집안을 밝게 하며 환풍기 역할을 했다. 바닥에는 고래 머리뼈와 어깨뼈를 깔았다. 닌류에는 출구가 두 개였는데, 여름에는 땅에 출구를 만들어 땅 아래로 들락거렸으며, 겨울에는 지하 복도를 따라 출입했다.

17~18세기에 추콧카 원주민의 겨울용 가옥인 야란가(яранга)와 유사한 만티그아크(мын`тыг`ак)가 등장했다. 만티그아크 내부는 차가운 부분 나티크(натык)와 따뜻한 부분인 아그라(агра)로 나뉜다. 길고 얕은 점토 그릇 형태의 등잔에 이끼로 만든 심지로 불을 밝히고 집 안을 데웠다.

여름 집은 사각형 피라미드를 연상시키는 천막인 필육(пылъюк)으로, 입구가 있는 벽이 맞은편보다 높은 게 특징이다. 통나무와 장대로 골조를 만들고 그 위를 바다코끼리 가죽으로 덮었다. 19세기 말부터 양면이 경사진 지붕과 창문이 있는 얇은 널빤지 집이 나타났다.

1915년 야랑가와 유사한 에스키모 천막집

순록과 물범 가죽으로 옷을 지어 입었던 에스키모인

시베리아 에스키모인의 옷은 순록과 물범의 가죽으로 만들었다. 남성 의상은 물범 가죽으로 만든 통이 좁은 가죽바지, 순록 털가죽으로 만든 짧은 상의 아트쿠크(аткук), 무릎까지 내려오는 가죽 바지와 순록 가죽으로 만든 장화로 이루어졌다. 겨울 상의의 안과 겉에는 가죽이 대어 있다. 이들은 여름에도 털가죽 옷을 입었는데, 이중으로 된 겨울 상의와 달리 홑겹이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그린란드 예절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그린란드 예절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그린란드 예절 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답변 : 그린란드 의식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 순록 털가죽으로 만든 짧은 상의...

그린란드대해서

... 그린란드대해서 알려주세요. 누가 언제 발견했는지를 가장 알고 싶어요.... 자신들의 문화를 보존할 자원의 부족으로 인구 증가에 큰 어려움을 겪어, 숫적, 군사적으로...

그린란드의 전통집

... 그린란드의 전통집 그린란드의 의식주 중 주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사진도 부탁드립니다 답변 : 아래는 그린란드문화 일부 정보입니다. 그린란드(Greenland)에 대(對)...

한국과 일본의 교육문화

일본의 교육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되도록이면 유치원 관련으로 쓰고싶어서... 말씀해주신 질문에 답변드려봐요 부드럽고 편안한 일본 유치원: 자율성, 예절 중요하게 여겨져.

중국전통예절 알려주세요

학교 숙제인데 중국전통예절대해서 알려주세요 중국의 예절은 크게 행동 예절과 식사... 중국의 예절은 중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중국을 방문하거나...

한대기후 의식주 (그린란드)

... 의식주 알려주세요 답변 : 아래는 그린란드문화 일부 정보입니다. 그린란드... 다만 자치권이 발효되어도 여전히 덴마크가 국방이나 외교적 사안에 대해서는 최종...

일본문화예절대해서 궁금한데요 ~

일본 문화예절대해서알려주세요 일본어 수행평가 땜에요 ㅠㅠ 급해용 ~ 내공 팍팍 ~! 일본문화예절이라고 질문하셨는데 도대체 어떤 부분의 어떤 때의 문화예절을...

대해 알려주세요 사진도...

... 대해 알려주세요 사진도 부탁드립니다. 답변 : 아래는 그린란드문화 일부 정보 중 수도 누크(Nuuk) 입니다.... 사안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권을 가진다. 이 조치로...

일본 장례식 예절,절차 알려주세요

외할아버지 일로 일본 장례식에 가게 되었습니다 꼭 알아야 하는 예절이나 장례식 절차... 장례식 문화에 대해서 네이버와 유튜브를 통해서 알아봤습니다. 대체로 한국 문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