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몇대손?몇세손? 이죠?

저 몇대손?몇세손? 이죠?

작성일 2021.02.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양천허씨이며 아버지는 끝에회자돌림 저는 가운데 행자돌림 입니다 저 몇대손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저 몇대손?몇세손? 이죠?

저는 양천허씨이며

아버지는 끝에 회자 돌림

저는 가운데 행자 돌림 입니다

저 몇대손이죠???

답변 : 님은 양천 허씨 이시군요.

양천 허씨는 각파가 통합된 대동 항렬표를 쓰고 있어 파는 찾아 드릴 수가 없습니다.

양천 허씨는 규정 항렬표 돌림자가 있어 쓰고 있으나 님의 가정에서는대동 항렬표를 쓰셨습니다.

조부님 : 32세 O욱(旭)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 33세 회(會)O자 돌림이라 하셨으며,

님은 : 34세손 O행(行)자 돌림이라 하셨습니다.

님은 양천 허씨 뼈대 있는 왕가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올려드린 항렬표와 족보를 자신을 가지고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양천 허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양천 허씨(陽川 許氏)에 대(對)하여

1. 양천 허씨(陽川 許氏) 시조(始祖) : 허선문(許宣文)

2. 양천 허씨(陽川 許氏) 유래(由來) :

양천 허씨(陽川 許氏) 시조(始祖) 허선문(許宣文)은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비(金首露王妃)의 30세손(世孫)으로 전(傳)하며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공암촌(孔巖村: 현재(現在)의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살았다고 한다. 당시(當時) 많은 양곡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왕건(王建)이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을 정벌할 때 군량미(軍糧米)을 보급해 준 공(功)으로 공암(孔巖)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았다. 이후(以後) 후손(後孫)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하고 양천(陽川)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3. 양천 허씨(陽川 許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양천(陽川)은 경기도(京畿道) 김포시(金浦市) 양촌면 일대(一帶)의 옛 지명(地名)으로 고구려(高句麗) 때의 재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으며,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때 공암현(孔巖縣)으로 고쳤으며 율진군(栗津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改稱)되어 현령을 두었으며 조선시대(朝鮮時代)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1896년(고종 33)에 경기도(京畿道) 양천군(陽川郡)으로 개편(改編)되었으나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에 흡수(吸收)되었고, 1979년 양천군(陽川郡) 관할(管轄)이었던 양동면과 양서면이 서울특별시로 편입(編入)되었다.

4. 양천 허씨(陽川 許氏) 시조(始祖) 유래(由來)

양천 허씨 시조(始祖) 허선문(許宣文) - 공암촌주(孔巖村主), 혹은 대광공(大匡公)

공암현(孔巖縣)에 세거할 때 부농(富農)이었는데, 고려 태조가 견훤(甄萱)과 싸울 때 군량(軍糧)이 떨어져 매우 어려운 처지에 있음을 보고 재곡(財穀)을 공급해 병마(兵馬)의 사기를 높여 후백제군을 격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왕건(王建)으로부터 가부(假父)라는 칭호와 함께 공암촌주(孔巖村主)로 봉해지고 공암현(孔巖縣)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아 관향(貫鄕)을 공암(孔巖)으로 하였다. 공암(孔巖)은 양천(陽川)의 옛 이름이다.

허씨의 본관은 [조선씨족통보]등의 문헌에 59본으로 나타나 있으나 그것은 세거지(世居地)일 뿐이며 현존(現存)하는 본관(本貫)은 양천(陽川)·태인(泰仁)·하양(河陽)·김해(金海) 4본이 관향(貫鄕)으로 되어 있다. 양천 허씨는 조선조(朝鮮朝)에서 20대 명족(名族)으로 손꼽혔으며 비록 많지 않은 인구로서 많은 인물을 배출하여 명문으로서의 지위를 굳혀왔다. 또 인천 이씨(仁川 李氏)도 허씨에서 갈려나온 성씨이다. 신라 경덕왕(756년)때 허기(許奇)가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을 때 마침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자 현종(玄宗)을 호종하여 그 공으로 당나라 황실의 성(姓)인〈李氏〉를 사성받고 소성백(邵城伯:소백성은 지금의 仁川)에 봉해져 인천 이씨의 연원을 이루게 되었다.

5. 양천 허씨(陽川 許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이곳은 각 파를 정리해 본다면.모든 파를 망라하지는 못했습니다만 줄기에서 중복된 파를 제외하면 대부분 정리된 것 같습니다.이 외에도 많은 지파가 더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동주사공파

(東州使公派)

낭천공파. 참의공파. 참판공파. 사직공파. 도사공파. 판관공파. 증제학공파. 범매당공파. 등

판도좌랑공파

(版圖佐郞公派)

충정공파. 동돈영공파. 제양군파. 사과공파. 부호군공파. 승지공파. 생원공파. 첨정공파. 청산공파. 교위공파. 문정공파. 함양공파. 징와공파.지추공파. 부사공파. 현감공파. 처사공파. 어은공파. 첨정공파. 담양공파. 합천공파. 양애공파. 학역재공파. 관설공파. 미수공파. 송화공파. 숙천공파. 조산공파. 군수공파. 상호군파. 영월공파. 첨정공파. 별제공파. 정랑공파. 묵재공파. 승사랑공파. 유수공파. 선략공파. 내금위공파. 자산공파. 봉례공파. 도사공파. 수색공파. 감사공파. 증참판공파. 노촌공파. 죽촌공파. 충장공파. 악록공파. 동강공파. 승지공파. 장령공파. 하곡공파. 평사공파. 교산공파. 좌랑공파. 정간공파. 복정공파. 용진공파. 사정공파. 진사공파. 직장공파. 수사공파. 생원공파. 도령공파. 개성윤공파. 등

대제학공파

(大提學公派)

이천공파. 진사공파. 사인공파. 도사공파. 교위공파. 현령공파. 장사랑공파. 양천군파. 부정공파. 참의공파. 승지공파. 무안공파. 참판공파 등

6. 양천 허씨(陽川 許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세(世)

31

32

33

34

35

36

항렬자

(行列字)

만(萬)○

○욱(旭)

회(會)○

○행(行)

무(茂)○

○범(範)

세(世)

37

38

39

40

41

42

항렬자

(行列字)

강(康)○

○재(宰)

정(廷)○

○규(揆)

학(學)○

○병(秉)

세(世)

43

44

45

46

47

48

항렬자

(行列字)

연(演)○

○경(卿)

진(振)○

○용(龍)

남(南)○

○수(洙)

세(世)

49

50

51

52

53

54

항렬자

(行列字)

창(暢)○

○상(商)

국(國)○

○곤(袞)

-

-

7. 양천 허씨(陽川 許氏) 가문(家門)의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양천 허씨(陽川 許氏) 가문(家門)의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로는 선문(宣文)의 손자(孫子) 원(元)이 고려 목종(穆宗) 때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여 내사사인(內史舍人)^지제고(知制誥) 태자사의(太子司議) 등을 지냈으며, 증손(曾孫) 정(正)은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낸 후 태자태보(太子太保)에 이르렀다.

정(正)의 아들 재(載)는 일찌기 병마사(兵馬使)에 재임시 여진의 정세를 파악하여 변경수비의 방책을 왕에게 올려 답변확정되기도 하였다.

후손(後孫) 공(珙)은 고종(高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주요(主要) 관직(官職)을 두루 역임(歷任)한 후 1284년(충렬왕 10) 수국사(修國史)를 겸(兼)하여 원부(元傅) 등(等)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찬술(撰述)하고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올랐다.

조선조(朝鮮朝)에 와서는 재령 군수(載寧郡守) 손(蓀)의 아들로 우의정(右議政)에 오른 종(琮)과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침(琛) 형제가 뛰어났다.

종(琮)은 일찌기 세조(世祖) 때 이시애(李施愛)의 난(亂)과 도적(盜賊) 장영기(張永奇)의 난(亂)을 평정(平定)하는데 공(功)을 세워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장신(長身)으로 궁마(宮馬)에 뛰어났고 문명(文名)이 높아 문무(文武)를 겸전(兼全)한 명신(名臣)으로 이름났다.

종(琮)의 동생(同生) 침(琛)은 1475년(성종 6)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여 학문(學問)과 덕행(德行)으로 세자(世子)의 총애를 받았으며, 「삼강행실(三綱行實)」을 산정(珊定‥쓸데없는 글의 글자와 글귀를 깎고 다듬어서 잘 정리함) 했다.

그 후(後) 이조판서(吏曹判書) 우참찬(右參贊)과 우의정(右議政)을 거친 그는 좌의정(左議政)에 이르러 항상 연산군(燕山君)의 폭정(暴政)을 바로 잡으려고 애썼으며 학문(學問)이 깊고 문장(文章)이 뛰어났다. 뿐만 아니라 상신(相臣)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가난한 선비 생활로 주위의 칭송(稱頌)을 받았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한편 선조(宣祖) 때 좌의정(左議政)에 오른 욱(頊)은 종(琮)의 현손(玄孫)으로 광해군(光海君) 때 능창군(綾昌君‥선조의 손자이자 원종의 아들) 추대사건에 관련, 원주에 유배되었다.

8. 허준(許浚)에 대(對)하여

허준 본관(本貫) 양천(陽川), 자 청원(淸源), 호 구암(龜岩). 선조 때 내의(內醫)가 되어 왕실(王室)의 진료(診療)에 공(功)을 세웠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어의(御醫)로 왕을 끝까지 호종(扈從)하고 돌아와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冊錄)되고, 1606년 양평군(陽平君)에 봉해졌다. 후에 대간의 반대로 직위가 취소되고, 1608년 선조가 서거하자 치료를 소홀히 했다는 죄로 한때 파직 당했다.

1611년(광해군 3) 15년의 연구 끝에 완성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조선 한방의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18세기에는 일본과 청(淸)나라에서도 간행될 만큼 높이 평가되었으며 지금도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고 있다.

작가 이은성은 1937년 경북 예천 출생으로,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 <녹슨 선>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하였습니다.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면서, 주로 사극을 많이 썼습니다.

동의보감은 선조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질병 치료와 의학 발전을 위 해 1596년에 허준을 비롯하여 정작, 양예수, 김응탁, 이명원, 정예남 에게 명하여 편찬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정유재란이 일어나 의서 편찬이 중단되자 선조는 허준에게 단독으로 편찬하도록 명하여, 그는 내의원에 편집국을 설치하고 착수한지 14년만인 광해군 2년(161 0년) 8월에 모두 25권 25책을 완성하였다.

조선조(朝鮮朝)에서 허씨 가문(許氏 家門)을 빛낸 인물(人物)로는 초당(草堂) 엽(曄)과 미수(眉첤) 목(穆)에 빠뜨릴 수 없다.

엽(曄)은 군자감 부봉사(軍資監副奉事) 한(澣)의 아들로 태어나 일찌기 당대(當代)에 이름난 석학(碩學) 서경덕(徐敬德)의 문하(門下)에서 글을 배워 여러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한 후(後), 선조(宣祖) 때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소용돌이 속에서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어 조광조(趙光祖)의 신원(伸췦)과 허자(許磁) 구수담(具壽聃) 등(等)의 무죄(無罪)를 논(論)하다가 한때 파직(罷職)되기도 했으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그의 슬하에 성(筬)·봉(?)·균(筠)·난설헌(蘭雪軒) 4남매가 있었는데 모두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특(特)히 난설헌(蘭雪軒)은 규수시인(閨秀詩人)으로 이름이 나서 황진이(黃眞伊) . 신사임당(申師任堂)과 함께 「삼대여류(三大女流)」로 꼽혀왔다.

늦게 결혼(結婚)하여 금슬이 원만치 못했던 그녀는 친정의 겹친 화액에 따른 고뇌를 시작(試作)으로 달래며 독특(獨特)한 시세계(詩世界)를 이루었다.

조선(朝鮮)의 봉건적 사회제도(社會制度)의 개혁(改革)을 부르짖은 사회소설(社會小說) 「홍길동전(洪吉童傳)」의 작가(作家)로 유명한 균(筠)은 서얼(庶蘖)을 차별대우(差別待遇)하는 당시(當時)의 「서얼금고법(庶孼禁錮法)」 철폐(撤廢)와 반계급적(反階級的) 평등사상(平等思想)을 주장하여 한국사상사(韓國思想史)에 있어 근대화(近代化)의 시발점(始發點)을 이룬 것으로 평가(評價)되고 있다.

숙종(肅宗) 때 우의정(右議政)에 오른 목(穆)은 정 구(鄭 逑)에게 학문을 배워 당대의 석유(碩儒)인 송시열(宋時烈)과 쌍벽을 이루었던 이름난 학자(學者)로 학문(學問)·문장(紋章)·그림·서예(書藝)에 뛰어났으며 특(特)히 전서(篆書)에 능(能)하여 동방(東方)의 제일인자(第一人者)로 일컬어졌다.

그가 세상(世上)의 이치를 생각하여 읊은 시(詩)가 다음과 같이 전한다.

無可無不可吟(무가무불가음)

一往一來有常數

일왕일래유상수

한 번 가고 오는 것이 이치가 있나니

萬殊初無分物我

만수초무분물아

온갖 이치도 처음에는 둘이 아닌 것

此事此心皆此理

차사차심개차리

이 일 이 마음도 같은 것

孰爲無司孰爲司

숙위무사숙위사

누가 그르고 누가 옳단 말인가

영의정(領議政) 적(積)은 1678년(숙종 4) 재정의 고갈을 막기 위해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여 이를 사용케 했으며, 궤장(?杖)을 하사(下賜)받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그외 선조(宣祖) 때 명의(名醫)로 호성삼등공신(扈聖三等功臣)에 오른 준(浚)은 16년의 긴 세월 동안 연구 끝에 25권의 방대한 의서(醫書)인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하여 한의학(漢醫學) 발전에 크게 공헌했으며 양평군(陽平郡)에 봉(封)해졌고, 숙종(肅宗) 때 화가(턛家)인 숙(첻)과 과학자(科學者) 원(遠)은 한말(韓末)의 의병대장(義兵隊將) 재욱(在旭)과 함께 양천 허씨(陽川許氏)의 가문(家門)을 자랑되게 하였다.

9. 양천 허씨(陽川 許氏) 봉군록(封君錄)

양천 허씨 봉군록(封君錄)

번호

휘 (諱)

봉군 (封君)

세(世)

시대 (時代)

비고

1

허숭(許嵩)

양천군陽川君

11世

高麗 忠宣王충선왕

2

허종(許悰)

정안부원군

定安府院君

12世

高麗 忠肅王충숙왕

3

허백(許伯)

양천군陽川君

12世

高麗 恭愍王공민왕

4

허순(許順)

양천군陽川君

12世

高麗 恭愍王공민왕

5

허유(許猷)

양천군陽川君

12世

高麗 恭愍王공민왕

6

허시(許時)

양천군陽川君

13世

高麗 隅王 우왕

7

허형손(許亨孫)

양천군陽川君

15世

朝鮮 世宗(세종)

8

허징(許徵)

공암군孔岩君

15世

朝鮮 世宗(세종)

9

허손(許蓀)

양천부원군

陽川府院君

17世

太宗 태 종

10

허유례(許惟禮)

길성군吉城君

17世

世祖 세 조

11

허종(許琮)

양천부원군

陽川府院君

18世

世祖 세 조

12

허확(許確)

양천군陽川君

19世

中祖 중 조

13

허광(許礦)

제양군齊陽君

19世

中祖 중 조

14

허상(許磉)

양산군陽山君

19世

中祖 중 조

15

허준(許浚)

양평군陽平君

20世

光海 광 해

16

허잠(許潛)

양창군陽昌君

20世

宣祖 선 조

17

허방(許昉)

양천군陽川君

20世

中宗 중 종

18

허순(許淳)

제양군齊陽君

20世

成宗 성 종

19

허적

양릉군陽陵君

21世

仁祖 인 조

수색공(水色公)

20

허계(許禊)

양평군陽平君

21世

仁祖 인 조

허적의 弟

21

허응(許凝)

양원군陽原君

21世

明宗 명 종

22

허겸(許謙)

파릉군巴陵君

21世

光海 광 해

許浚의 아들

23

허선(許選)

양원군陽原君

22世

仁祖 인 조

허계의 아들

24

허욱(許頊)

양릉군陽陵君

22世

宣祖 선 조

25

허진(許瑱)

파춘군巴春君

23世

肅宗 숙 종

浚의 曾孫

26

허흡(許흡)

양은군陽恩君

23世

仁祖 인 조

허계의 孫

27

허제(許堤)

양녕군陽寧君

24世

顯宗 현 종

허계의 曾孫

28

허육(許堉)

양흥군陽興君

24世

肅宗 숙 종

浚의 玄孫

29

허선(許銑)

양원군陽原君

25世

英祖 영 조

浚의 5世孫

30

허흡(許潝)

양은군陽恩君

26世

英祖 영 조

浚의 6世孫

* 봉군(封君) : 종2품 이상의종친 또는 훈신(勳臣)을 군(君)으로 봉함

청 백 리(淸白吏)

번호

휘(諱)

직위(職位)

세(世)

시대(時代)

비 고

1

허종(許琮)

우상(右相

18世

成宗朝

忠貞公

2

허침(許琛)

좌상(左相)

18世

燕山朝

文貞公

3

허세린(許世麟)

좌윤(左尹)

19世

明宗朝

大提學公派

4

허잠(許잠)

찬성(贊成)

20世

宣祖朝

忠貞公

5

허엽(許曄)

대사헌(大司憲)

20世

宣祖朝

草堂公/

민족문화대사전

6

허욱(許頊)

좌상(左相)

22世

宣祖朝

정목공(貞穆公)

7

허정(許晶)

수사(水使)

26世

英祖朝

절도사(節度使)

* 청백리(淸白吏) : 의정부.육조.경조(京兆)의 정종(正從)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선정한 청렴한 벼슬아치.* 휘(諱) : 돌아가신 분의 이름.

10. 양천 허씨(陽川 許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경기도 장단군 대강면 독정리

- 강원도 이천군 안협면 지전리, 퇴탄리

- 경기도 파주군 고하면 일원

- 평북 구성군 동산면 남산동

- 충북 청원군 부용면 일원

-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삼악리

- 평북 구성군 사기면. 방현면 창동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

- 전남 승주군 해충면 일원

-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산 일원

- 함북 학성군 학서리 일원

- 충남 논산시 양촌면 양촌1리

-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상삼리

-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쌍동리

- 함북 길주군 덕산면. 장백면. 양사면 일원

11. 양천 허씨(陽川 許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양천 허씨는 40,260가구 총 130,286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무슨파 몇대손인지 부모님께여쭤보면알려주십니다

저 몇대손?몇세손? 이죠?

... 저 몇대손?몇세손? 이죠? 저는 양천허씨이며 아버지는 끝에 회자 돌림 저는 가운데 행자 돌림 입니다 저 몇대손이죠??? 답변 : 님은 양천 허씨 이시군요. 양천 허씨는 각파가...

김녕군파 76세손몇대손인가요?...

김녕군파 76세손몇대손인가요? 아빠가 75세손 섭자 돌림입니다. 말 그대로 76세손몇대손인가요? 김녕군파 76세손몇대손인가요? ㅡ 대손은 단어/다름~ 기준이...

몇세손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몇세손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세손대손차이는뭔가요? 님의 질문에... 아래는 나를 포함하여 몇 세손입니다.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님은 김해 김씨 왕가의...

경주 김씨 족보 몇 세손, 몇 대손, 진짜파

... 친척들은 김정호 호자돌림 김태호 호자돌림 김민호 호자돌림 김윤호 호자돌림 제가 몇 세손이고 진짜 몇 대손과 파를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아버지한테 들은 것은...

김해 김씨 족보 몇 세손,몇 대손,진짜 파

... 김해 김씨 족보 몇 세손,몇 대손,진짜 파 안녕하세요. 저희 집에 족보책이 한권이 있는데 제가 한자를 몰라서 읽지를 못했습니다.근데 아빠한테 들은 것은 제가 김해...

저는 연주 현씨 몇대손인가요?

... 몇대손 인가요? 근데 제 성이 친할머니 성입니다 (왜... (文獻)에 전(傳)해지나 현존(現存)하는 본관(本貫)은 30여... 9세손 규(珪)가 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몇 대손 몇 세손

... 제다.김해김씨 중에 우록딤씬가 뭐 글타는데 몉 대손 몇 세손 인진 어캐.아는거죠?? 족보를 보고 몇세손인지 세어보는 방법이 있고, 이름의 항렬을 따져서 헤아려 보는 방법이...

세손이라고악고있고요 몇대손인가요

... 님을 칭하실때에는 대손이라 칭하시면 안되시고 세손이라 칭해야 옳습니다. 조부... 중○ ○전 순○ ○동 勉學 達遠 象○ 建○ ○夏 殷○ ○周 鎔○ ○淵 楨○ ○煥 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