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김씨 계림군파(계룡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경주김씨 계림군파(계룡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작성일 2021.02.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경주김씨 계림군파(계룡군파)로 알고있는데 , 몇 대손(세손) 인지 알수있을까요.

조부님이 O영(령?녕?)
너무 어릴때 들어서 기억이 흐릿합니다.)

아버지가 학O

제가      O기

제가 아이를 낳으면 진O

이렇게 돌림자를 사용한다고 알고있습니다.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수있을까요.

충북 보은이 시골입니다.

세손과 대손의 차이가 뭔지도 알려주실수있나요.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경주김씨 계림군파(계룡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경주김씨 계림군파(계룡군파)로 알고있는데 , 몇 대손(세손) 인지 알수있을까요.

조부님이 O영(령?녕?) 너무 어릴때 들어서 기억이 흐릿합니다.)

아버지가 학O

제가 O기

제가 아이를 낳으면 진O

이렇게 돌림자를 사용한다고 알고있습니다.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수있을까요.

충북 보은이 시골입니다.

세손과 대손의 차이가 뭔지도 알려주실수있나요.

답변 : 님은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이시군요.

계림군파에서 항렬표에서 찾아본 결과로는,

계림군파에서 분파한 각파 이시나 이런때는 계림군파라고 하시면 됩니다.

​​

조부님 : 시조 61세 / 경순왕 34세 / 중조 32세 / 계림군파 20세 О경(經)자 О식(植)자 돌림이시나, 영자를 쓰셨고,

부친님 : 시조 62세 / 경순왕 35세 / 중조 33세 / 계림군파 21세 학(學)О자 돌림이시며,

님은 : 시조 63세 / 경순왕 36세 / 중조 34세 / 계림군파 22세손 О기(基)자 돌림입니다.

님은 : 시조 64세 / 경순왕 37세 / 중조 35세 / 계림군파 23세손 О호(浩)자 О영(泳)자 О수(洙)자 진(鎭)O자 시(是)O자 돌림입니다.

즉 자식의 돌림자 "예"를 들어 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金 О 浩

金 О 泳

金 О 洙

金 鎭 О

金 是 O 이렇게 다셧자 3자는 끝자가 되도록 쓰시고 2자는 중간자가 되도록 쓰시고, 돌림자 중에 님의 마음에 드시는 한자를 골라 쓰시면 됩니다.

님은 경주 김씨 뼈대 있는 왕가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해서 올려드립니다. 그 만큼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항렬자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아래는 경주 김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에 대(對)하여

1. 경주 김씨(慶州 金氏) 시조(始祖) : 김알지(金閼智)

2. 경주 김씨(慶州 金氏) 유래(由來) :

경주 김씨(慶州 金氏) 시조(始祖)는 김알지(金閼智)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65년(탈해왕 9) 3월 왕(王)이 금성(金城) 서쪽 시림(始林)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날이 밝자 호공을 보내어 살펴보게 하였더니 금색(金色)의 작은 궤짝이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었는데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 보고하자 왕(王)은 사람을 보내어 금궤(金櫃)를 가져온 후 뚜껑을 열어보니, 작은 사내아이가 들어 있었다. 탈해왕(脫解王)은 기뻐하여 “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아들을 보내 준 것이 아니라 하겠는가”하며 거두어 기르니 아이는 자라면서 총명(總名)하고 지략(智略)이 뛰어나 이름을 알지(閼智)라 하고 금궤(金櫃)에서 나왔다고 하여 성을 김(金)으로 하사(下賜)하였으며 시림(始林)을 계림(鷄林)으로 고쳐 나라이름을 삼았다. 이후(以後) 김알지(金閼智)의 7세손 김미추(金味鄒)가 왕위(王位)에 오르는 것을 시작(始作)으로 마지막 왕 경순왕(慶順王)까지 38명의 왕(王)을 배출(輩出)하여 587년 동안 신라(新羅)를 통치(統治)해 왔으며 경주(慶州)를 비롯한 600여 개의 관향(貫鄕)으로 분적(分籍)되었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김명종(金鳴鍾)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영분공(永芬公) 명종파(鳴鍾派), 김은열(金殷說)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대안군(大安君) 은열파(殷說派), 김장유(金將有)를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판도판서공(版圖判書公) 장유파(將有派), 김인관(金仁琯)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태사공(太師公) 인관파(仁琯派), 김문기(金文起)를 일세조로 하는 백촌공 문기파, 김덕재를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병판공 덕재파, 김존일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장사랑공 존일파, 김정백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수문장공 정백파로 크게 분파(分派)되었고, 각(各) 분파(分派)마다 작은 지파(支派)가 여러 개씩 있다. 경순왕(敬順王) 아들 9형제(兄弟)가 각각(各各) 분적(分籍)하여 나갔다. 다만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烈)과 김순웅(金順雄) 장군(將軍) 후손(後孫)들만이 경주 감씨(慶州金氏)를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3. 경주 김씨(慶州 金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紀元前) 57년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古代)국가(國家)를 형성,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 시조(始祖)가 탄생(誕生)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稱)하기도 하였으나, 별칭(別稱)으로 사용(使用)하였다. 307년(기림왕 10)에 최초(最初)로 국호(國號)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新羅) 마지막 임금인 경순대왕(敬順大王)이 왕건(王建)에 항복(降伏)하자 경주(慶州)로 개칭(改稱)하고 식읍(食邑)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名稱)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別稱) 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實施)되자 동경(東京)을 설치(設置)하고 충렬왕(忠烈王)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改編)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慶州) 야별초의 반란(叛亂)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降等)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鷄林府)를 경주부(慶州府)로 개칭(改稱)한 이후(以後) 1415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蔚山)으로 이전(移轉)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分離) 독립(獨立)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慶州郡)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慶州邑)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一部)가 통합(統合)되어 경주시(慶州市)로 승격(昇格)했으며, 경주군(慶州郡)은 월성군(月城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月城郡)이 경주군(慶州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慶州郡)과 통합(統合)하여 시(市)로 승격(昇格)하였다.

4.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 경주 김씨(慶州 金氏)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를 총망라한 신라 김씨의 대종으로 그 파계가 복잡하여 전모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나 대충 1세조를 딜리하는 5개 파로 대별되어 있다. 신라김씨는 경순왕 이전에 이미 왕계를 중심으로 무수히 분관되었고, 경순왕의 아랫대에서도 많은 성씨로 분적 하였다. 그리고 경순왕의 아들 9형제 중 셋째 영분공(永芬公) 명종(鳴鍾),

넷째 대안군(大安君) 은열(殷說)의 계통만이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므로 신라 김씨의 종통이라고는 할 수 없고 경순왕 계통에서도 종파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경주 김씨는 자손이 제일 번창 하였고 또 세도를 이어왔기 때문에 신라 김씨의 중추세력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 파계는 경순왕의 셋째아들 명종을 1세조로 하는 영분공파(永芬公派),

넷째아들 은열을 1세조로 하는 대안군파(大安君派), 경순왕의 후예이면서도 중간 세계가 실전되어 순웅(順雄)을 1세조로 하는 대장군파(大將軍派), 은열의 후손인 인관(仁琯)을 1세조로 하는 태사공파(太師公派), 같은 은열의 후손인 장유(將有)를 1세조로 하는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로 대표된다. 이 외에도 문헌에는 호장(戶長) 위영(魏英)을 파조로 하고 《고려사(高麗史)》에 등장하는 근(覲)과 부필(富弼)·부일(富佾)·부식(富軾)·부의(富儀) 형제로 이어지는 파가 있다고 전하지만 이 파의 전후 세계는 상고할 수 없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대보공 알지의 7세손이자 김씨로서 첫 왕위에 오른 미추왕(味鄒王)의 셋째동생 말구(末仇)로부터 갈리었는데, 그 직계에서 왕위에 오른 분이 17대 내물왕(奈勿王), 22대 지증왕(智證王), 38대 원성왕(元聖王), 45대 신무왕(神武王), 46대 문성왕(文聖王), 56대 경순왕(敬順王)으로 신라 왕조에서 왕위에 오른 38분의 김씨 왕 중 여섯 왕이 경주 김씨 계통이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신라조에서는 왕족으로서 영화를 누렸으며, 고려조에 들어와서는 경순왕이 태조의 맏딸 낙랑공주를 아내로 맞이하고 딸을 태조의 손자 주(주 : 景宗)의 비로 들여보내는 등 국혼을 잇따라 하여 삼한갑족(三韓甲旋)으로서 세력을 떨쳤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고려조(高麗朝)에서 숱한 인물(人物)을 배출했지만 그 중 특히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저자로 인조 때 묘청(妙淸)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고려조에 업적을 남긴 문열공(文烈公) 김부식(金富軾)과 그의 아우로서 당대의 문장가인 문의공(文懿公) 김부의(金富儀), <12공도(公徒)>의 하나인 양신공도(良愼公徒)를 육성한 양신공(良愼公) 김의진(金義珍),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저자로 고려조에 이름을 남긴 도승 보각국존(普覺國尊) 일연(一然) 등이 유명하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되는 격동기에는 고려에 충성을 다한 절신이 있는가 하면 이성계(李成桂)의 혁명을 도운 개국공신도 있어 희비가 엇갈린다.

고려조(高麗朝)에 충절(忠節)을 바친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로는 상촌(桑村) 김자수(金自粹)가 있다. 그의 충절은 비단 경주 김씨뿐만 아니라 후대에 내려오면서 충의의 표본으로 추앙을 받고 있다. 그는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으로 들어갔다가 태조가 그곳을 불질러 태워버리자 안동으로 가서 은거했다. 뒤에 태종이 형조판서로 불렀으나 이를 거절, 경주의 추령(秋嶺)에서 <절명사(絶命詞)>를 지어 놓고 자결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조선 개국에 동참한 인물로는 개국공신 3등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진 균(균), 개국공신 1등으로 익화군(益和君)에 봉해진 인찬(仁贊), 개국에 협조하여 병조판서가 된 덕재(德載) 등을 꼽을 수 있다.

조선조(朝鮮朝)에서는 특별히 권문세도를 형성하지는 못했지만 왕비 3명, 상신 6명, 호당 3명, 청백리 4명, 공신 5명, 장신 5명, 문과 급제자 202명을 배출했다.

왕비의 인맥을 살펴보면 고려 말의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김천서(金天瑞)는 딸이 정종의 비인 정안왕후(定安王后)가 되어 월성부원군( 城府院君)에 봉해지고, 효간공(孝簡公) 김주신(金杵臣)은 딸이 숙종의 계비인 인원왕후(仁元王后)가 되어 경은부원군(慶思府院君)에 봉해지고, 충헌공(忠憲公) 김한구(金漢耉)는 딸이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貞純王后)가 되어 오흥부원군(鰲興府院君)에 봉해졌다.

상신으로는 충익공(忠翼公) 김명원(金命元)이 선조조에 좌의정, 정헌공(靖獻公) 김흥경(金興慶)이 영조조에 영의정, 문익공(文翼公) 김관주(金觀柱)가 순조조에 우의정, 경헌공(敬獻公) 김사목(金思穆)이 역시 순조조에 좌의정, 효헌공(孝憲公) 김도희(金道喜)가 헌종조에 좌의정, 충헌공(忠憲公) 김홍집(金弘集)이 고종조에 총리대신을 지냈다.

이 밖의 인물로는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유명한 문간공(文簡公) 김정(金淨), 금석학(金石學)의 거성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유명하다. 김정은 중종대의 학자요, 경주 김씨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실현을 위해 많은 업적을 남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와 함께 투옥되었다가 제주도의 배소에서 사사되었다. 추사 김정희는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특히 예서와 행서의 전무후무한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그림에 있어서도 난죽(蘭竹)과 산수(山水)에 뛰어났는데, 선미(禪味)가 풍기는 남종화(南宗畵)의 전통을 이었다.

☞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크게는 영분공(명종)파(永芬公(鳴鍾)派),

대안군(은열)파(大安君(殷說)派),

판도판서공(장유)파(版圖判書公(將有)派),

태사공(인관)파(太師公(仁琯)派),

장군공(순웅)파(將軍公(順雄)派),

만호공(도보)파(萬戶公(道輔)派)로 나뉘어지고,

작게는 영분공파(명종)에서 두계공파(杜溪公派), 수은공파(樹隱公派), 시어사공파(侍御史公派), 참찬공파(參贊公派), 밀직공파(密直公派), 병조판서공파(兵曹判書公派), 판삼사사공파(判三司事公派),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월성부원군파(月城府院君派), 강릉공파(江陵公派), 옥구참공파(沃溝參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로,

대안군(은열)파에서 시랑공파(侍郞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호정공파(昊亭公派), 평창파(平昌派)·성천파(成川派)·청원파(淸原派)·부산파(釜山派)·경파(京派)·예조판서공파(禮曹判書公派)·병판공파(兵判公派), 백촌공파(白村公派), 차호공파(車湖公派), 익화군파(益和君派)로

판도판서공(장유)파에서 참교공파(參校公派), 김제공파(金堤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장암공파(壯菴公派), 충암공파(冲菴公派), 식암공파(息菴公派), 감사공파(監司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공조판서공파(工曹判書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로,

태사공(인관)파에서 전서공파(典書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사승공파(司丞公派), 공평공파(恭平公派), 우재공파(愚齋公派), 송재공파(松齋公派)로,

장군공(順雄)에서 계림군(균파)(鷄林君(稛派), 감사공파(監司公派),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공호공파(恭胡公派), 동지이판공파(同知吏判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연동파(蓮洞派), 봉산파(鳳山派), 춘고공파(春皐公派)로 만호공(도보)파에 망주헌공파(望主軒公派), 경재공파(敬齋公派)로 나뉘어졌다.

☞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식(植)

경(經)

학(學)

관(冠)

지(知)

종(鍾)

탁(鐸)

기(基)

식(式)

호(浩)

수(洙)

진(鎭)

영(榮)

동(東)

주(柱)

수(洙)

호(浩)

우(友)

환(煥)

현(炫)

상(相)

주(胄)

규(奎)

치(致)

환(煥)

훈(勳)

소(韶)

진(鎭)

호(鎬)

규(奎)

재(在)

영(迎)

도(道)

영(泳)

순(淳)

현(鉉)

후(후)

해(海)

근(根)

걸(杰)

태(泰)

☞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계림군파(鷄林君派)

파조

중조

경순왕

시조

중파(仲派)

경파(京派)

順雄

閼智

부제학공파

휘 신민

공절공파

휘 당

송애공파

휘 경여

판윤공파

휘 인민

공호공파

휘 종순

부사공파

휘 종효

순웅

알지

星성О

О集집

О集집

星성О

О集집

星성О

О集집

星성О

О集집

О鎰일

16세

28세

30세

57세

О遠원

О熙희

О熙희

О遠원

О熙희

О遠원

О熙희

О遠원

О熙희

永영О

О熙희

17세

29세

31세

58세

О商상

敎교О

敎교О

О商상

載재О

敎교О

О商상

敎교О

О商상

敎교О

敎교О

相상О

18세

30세

32세

59세

正정О

正정О

正정О

正정О

正정О

正정О

19세

31세

33세

60세

О植식

О經경

О經경

О植식

О經경

О經경

О經경

О經경

20세

32세

34세

61세

學학О

知지О

知지О

學학О

時시О

冠관О

知지О

學학О

知지О

О榮영

知지О

О榮영

21세

33세

35세

62세

О基기

О式식

О式식

О基기

О銖수

О鍾종

鍾종О

鐸탁О

О式식

О基기

О式식

丙병О

О基기

О式식

22세

34세

36세

63세

鎭진О

是시О

是시О

鎭진О

О洪홍

О泳영

О洙수

О浩호

是시О

時시О

是시О

時시О

是시О

鎭진О

23세

35세

37세

64세

О洙수

О友우

О洙수

相상О

東동О

東동О

株주О

О友우

О洙수

О友우

О善선

О友우

О善선

24세

36세

38세

65세

相상О

胄주О

相상О

О烈열

О煥환

О煥환

О炫현

胄주О

相상О

胄주О

О洛락

胄주О

О洛락

25세

37세

39세

66세

О煥환

О煥환

奎규О

中중О

奎규О

致치О

О煥환

О韶소

相상О

О韶소

相상О

26세

38세

40세

67세

奎규О

奎규О

О鎭진

О鎬호

奎규О

道도О

光광О

道도О

光광О

27세

39세

41세

68세

О鉉현

О鉉현

泳영О

淳순О

О鉉현

О厚후

О奎규

О厚후

О奎규

28세

40세

42세

69세

海해О

海해О

О根근

海해О

О鎬호

О錫석

О鎬호

О錫석

29세

41세

43세

70세

О杓표

О杓표

容용О

О杓표

洪홍О

洪홍О

30세

42세

44세

71세

炳병О

О老노

炳병О

根근О

根근О

31세

43세

45세

72세

О培배

善선О

О培배

容용О

容용О

32세

44세

46세

73세

錫석О

О雨우

錫석О

О在재

О在재

33세

45세

47세

74세

О漢한

榮영О

О漢한

鐘종О

鐘종О

34세

46세

48세

75세

株주О

О然연

株주О

О求구

О求구

35세

47세

49세

76세

예의판서공파

수성

백파

연동파

현령

공파

정숙

공파

충문

공파

송강

공파

파조

중조

경순왕

시조

禮儀判書公派

隨城

伯派

蓮洞派

縣令

公派

貞肅

公派

忠文

公派

松岡

公派

派祖

順雄

閼智

남기

파조

순웅

알지

О

善선

相상

О

20세

호浩

19세

17세

廷정

16세

집集

16세

應응

16세

성聲○

16세

28세

30세

57세

О

炳병

О

魯노

О

燮섭

21세

경景

20세

熙희

18세

基기

17세

희熙

17세

澤택

17세

종宗○

17세

29세

31세

58세

奎규

О

圭규

О

憲헌

О

22세

식植

21세

교敎

19세

九구

18세

교敎

18세

桓환

18세

재載○

18세

30세

32세

59세

О

晉진

О

釣조

О

鎭진

23세

명明

22세

정正

20세

洪홍

19세

정正

19세

О

烈열

19세

양良○

19세

31세

33세

60세

泳영

О

洛낙

О

澈철

О

24세

현賢

23세

경經

21세

植식

20세

식植

20세

瑀우

20세

려麗○

20세

32세

34세

61세

О

樂낙

О

東동

О

植식

25세

용鎔

24세

지知

22세

炳병

21세

學학

21세

鍾종

21세

규奎○

21세

33세

35세

62세

熙희

О

炳병

О

煥환

О

26세

연淵

25세

식式

23세

均균

22세

基기

22세

基기

22세

경庚○

22세

34세

36세

63세

О

埰채

О

周주

О

基기

27세

상相

26세

시是

24세

鐘종

23세

진鎭

23세

鎭진

23세

○준濬

23세

35세

37세

64세

О

О

28세

병炳

27세

우右

25세

海해

24세

수洙

24세

洙수

24세

동東○

24세

36세

38세

65세

О

準준

О

湜식

О

漢한

29세

규圭

28세

주周

26세

榮영

25세

동東

25세

相상

25세

○섭燮

25세

37세

39세

66세

柱주

О

模모

О

30세

선善

29세

27세

烈열

26세

환煥

26세

煥환

26세

중重○

26세

38세

40세

67세

О

勳훈

О

燦찬

31세

수洙

30세

28세

在재

27세

규奎

27세

奎규

27세

○균均

27세

39세

41세

68세

喆철

О

在재

О

32세

주柱

31세

29세

鎬호

28세

현鉉

28세

鉉현

28세

현鉉○

28세

40세

42세

69세

О

鍾종

О

鎔용

33세

열烈

32세

30세

俊준

29세

해海

29세

海해

29세

○해海

29세

41세

43세

70세

河하

О

濟제

О

34세

재宰

33세

31세

相상

30세

표杓

30세

杓표

30세

표杓○

30세

42세

44세

71세

О

根근

О

林림

35세

진鎭

34세

32세

南남

31세

병炳

31세

炳병

31세

○병炳

31세

43세

45세

72세

焞돈

О

炯형

О

36세

홍洪

35세

33세

炫현

32세

배培

32세

培배

32세

배培○

32세

44세

46세

73세

埴식

О

埈준

О

37세

동東

36세

34세

錫석

33세

용鎔

33세

錫석

33세

○석錫

33세

45세

47세

74세

鉦정

О

鎬호

О

38세

구求

37세

35세

泰태

34세

낙洛

34세

漢한

34세

한漢○

34세

46세

48세

75세

О

О

39세

곤坤

38세

36세

明명

35세

의義

35세

35세

○주柱

35세

47세

49세

76세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경주김씨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누가 물어봤을때 제가 정확히 경주김씨 무슨파 몇대손 이라고 말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제가 장손이구요 할아버지...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제가 경주김씨 계림군파 78대손이라는데 다른애들은 거의다 3~40대던데 78대손인것도 정상인가요?? 답변 : 님은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이시군요....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저는 경주김씨 계림군파인데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저희 아버지는 동자 돌림이고 저는 열자돌림입니다. 그리고 제 자식은 주자 돌림인데 몇대손인가요?...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경주김씨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저희 할아버지는 김창0 창자돌림 저희 아버지는 김재0 재자돌림 저는 김泰0로 태자돌림입니다 제가 몇대손인지...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알고있습니다. 아버지 종자는 모르고 저는 아마 빛날 혁일겁니다. 기억하는것은 경주김씨 계림군파, 은열공... 계림군파 몇대손, 은공의 몇대손이다 이렇게 배웠었는데...

경주김씨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 경주김씨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 싶습니다. 할아버지는 덕자 돌림이시구요. 아버지는 무자 돌림이시구.. 저는 O根 돌림 입니다. 저는 몇대손 일까요? (빠른...

김씨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몇대손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본관 과 시조도 알수 있을까요? 경주김씨 계림군파입니다. 시조는 김알지이고, 파조는 휘 균 입니다. 윗분이 뭘 모르시고 하신말씀입니다....

계림군파 몇대손인지 알고 싶습니다.

... 어렸을때 아버지께 경주김씨 계림군파라고 늘 듣고 자랐는데요 (혹시... 제 기억이 맞다면 계림군파가 확실합니다.) 지금와서 생각하니 몇대손이라는 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