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작성일 2021.02.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희 아버지가 종자 돌림이시고 제가 정자 돌림인데 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저희 아버지가 종자 돌림이시고

제가 정자 돌림인데

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답변 : 님은 무안 박씨 이시군요.

무안 박씨는 대동 항렬표와 각파가 있으나 부친님 종자 → 님은 정자로 이어지는 돌림자가 없어 찾아 드릴 수가 없습니다. 이런 때는 좀더 웃대로 올라가셔서 조부님 증조부님 고조부님도 같이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한문도 모르겠습니다.

조부님 : ?세 ?자 돌림이라 하셨고,

부친님 : ?세 종(종)자 돌림이라 하셨으며,

님은 : ?세손 장(정)자 돌림이라 하셨습니다.

하나!!! 조부님 술자 → 부친님 상자 → 님은 연자로 이어지는 돌림자가 없는 것으로 보아서는 각파 항렬표나 대동 항렬표의 돌림자 위주로 선함을 지으신 것이 아닌듯 합니다. 이런 때에는 좀더 윗대로 올라가 증조부님 고조부님의 존함도 같이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집에 족보를 소장하고 계시면 모르겠으나 족보책을 소장하고 계시지 않는다면 님이 사시는 관할 동사무소나 읍면 사무소에 가셔서 제적등본을 발부받아 보시면 존함과 과거에 사시던 연고지가 상세히 다 나옵니다. 이를 토대로 연고지에 가셔서 수소문 같이 사시던 종친을 찾아 문의해서 찾으시기 바랍니다. 파를 모르시면 밀양 박씨는 파가 많아 찾으시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님은 밀양 박씨 왕가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행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그 만큼 깊은 듯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항렬자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아래는 무안 박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무안 박씨(務安 朴氏)에 대()하여

1. 무안 박씨(務安 朴氏) 시조(始祖) : 박진승(朴進昇)

2. 무안 박씨(務安 朴氏) 유래(由來) :

무안 박씨(務安 朴氏) 시조(始祖) 박진승(朴進昇)은 신라(新羅) 54대 경명왕(景明王)의 여섯째 아들인 완산대군(完山大君) 박언화(朴彦華) 5세손(世孫)으로 고려시대(高麗時代)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지냈으며 공()을 세워 무안(務安)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았다. 후손(後孫)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하고 무안(務安)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3. 무안 박씨(務安 朴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무안(務安)은 전라남도(全羅南道) 무안군(務安郡) 일대(一帶)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백제(百濟) 때 물아혜군(勿阿兮郡)이라 불렸다. 757(신라 경덕왕 16)에 무안군(務安郡)으로 개칭(改稱)하였고 함풍(咸豊) · 다기(多岐) · 해제(海際) · 진도(珍島) 등의 영현(領縣)을 관할하였다. 944(고려 혜종 1) 물량군(勿良郡)으로 고쳤으며, 991(성종 10)에는 다시 무안으로 고치고, 1018(현종 9) 나주(羅州)의 속현(屬縣)이 되었다. 1172(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고, 1391(공양왕 3)에는 성산극포권농방어사(城山極浦勸農防禦使)를 겸()하였다. 1413(태종 13)에 무안현(務安縣)으로 개편(改編)되어 조선시대(朝鮮時代) 동안 유지되었다. 면천(綿川) · 면성(綿城) ()의 별호(別號)가 있었다.

1895(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군()이 되었으며 1897년 무안부(務安府)로 승격(昇格)되었고,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목포부(木浦府)를 독립(獨立)시키고 나머지 지방(地方)은 무안군(務安郡)이 되었다. 1957년에 면성면이 무안면(務安面)으로 개칭(改稱)되고, 1979년 무안면(務安面)이 읍()으로 승격(昇格)하였다. 1983년에 일로면이 읍()으로 승격(昇格)되었고, 1983년에 망운면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으로 승격(昇格)하였다.

4. 무안 박씨(務安 朴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개성파(開城派) : 박한정, 박한침, 박한충, 박춘수

한산파(韓山派) : 박원악, 박원산

장단파(長湍派) : 박원

지평파(砥平派) : 박원성, 박원겸, 박원눌, 박원근, 박원상

함양파(咸陽派) : 박대춘, 박세언

개부파(開府派) : 박대년

노성파(魯城派) : 박증, 박호, 박한

무안파(務安派) : 박익경

군수공파(郡守公派) : 박항경

경파(京派) : 박진경

우후공파(虞候公派) : 박숭인

첨사공파(僉使公派) : 박숭의

적성파(積城派) : 박숭례

해남파(海南派) : 박종정

진도파(珍島派) : 박화

영암파(靈巖派) : 박종원

음죽파(陰竹派) : 박원근, 박숙근

영해파(寧海派) : 박지수, 박지몽, 박지승

양주파(楊州派) : 박지겸

공주파(公州派) : 박춘량

홍산파(鴻山派) : 박영준

당진일파(唐津一派) : 박곤, 박경, 박수

당진이파(唐津二派) : 박윤신

당진삼파(唐津三派) : 박경근, 박사길, 박권

당진사파(唐津四派) : 박영

당진오파(唐津五派) : 박연, 박순환

5. 무안 박씨(務安 朴氏) 인물(人物)

시조 박진승 : 완산 박씨 8세 은견(銀堅)의 아들, 국학전주 또는 국자좨주 역임, 국속을 순화한 공으로 무안군에 봉해지고 무안을 식읍으로 하사받음.

2세 박섬 : 중시조 박진승의 아들, 고려 현종 때 공신으로서 벼슬이 우복야에 이르렀으며 명신.

7세 박문오 : 박섬의 5대손, 정승을 지냈다.

10세 박의룡 : 박문오의 증손, 조선 때 병조판서를 지냈다.

14세 박임경 : 박의룡의 5대손, 황주목사 역임, 1456년 병자사화에 장인 성삼문과 사육신시신 노량에 매안 사육신묘 근원 제공자로 민몰위기에 있음.

14세 박익경 : 박의룡의 5대손, 병자사화에 무안 고절리(지명유래)에 은둔.

15세 박증 : 박임경의 아들, 성삼문 외손(외손봉사유훈), 노형 김시습과 지기를 트고 남효온과 교유, 부모 3년상을 마치고 1492년 니산에 은거 평생 절의를 지켰으며, 유허지에 보인당(輔仁堂, 율고 기)이 운영되고 모곡서원에 배향됨.

15세 박호 : 박임경의 아들, 성삼문 외손(서울에서 외손봉사), 무안박씨 중 조선시대 최초로 문과에 급제 시호 정간 참찬 역임.

박의장 : 현감 박세렴의 아들로 조선에서 문무를 겸비했으며, 임진왜란 때 경주부윤으로 50여회의 전투에서 한 번도 패한 일이 없었다.

박홍장 : 박의장의 아우, 대구부사로 황신과 더불어 일본에 사신으로 가 갖은 굴욕을 받으면서도 뜻을 굽히지 않았던 현신이었다.

박창하 : 조선 숙종 때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고, 고율시 5~6백편을 남겼다.

박정걸 : 조선 학자

박두성 : 한말에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하여 맹인들의 세종대왕으로 추앙을 받았다.

과거급제자(科擧及第者) 조선시대(朝鮮時代)

박혼원(朴渾元) : 文科 明宗10(1555) 式年 丙科

박전(朴全) : 文科 明宗1(1546) 增廣試 丙科

박간(朴澗) (1560 庚申生) : 文科 光海君2(1610) 式年 丙科

박선장(朴善長) (1555 乙卯生) : 文科 宣祖38(1605) 增廣試 丙科

박돈복(朴敦復) (1584 甲申生) : 文科 仁祖2(1624) 增廣試 丙科

박원눌(朴元訥) (1584 甲申生) : 文科 中宗11(1516) 別試 丙科

박안복(朴安復) (1601 辛丑生) : 文科 仁祖17(1639) 式年試 甲科

박징(朴澄) (1648 戊子生) : 文科 肅宗7(1681) 式年試 丙科 等 모두 157名의 科擧 及第者가 있다.

(文科22,武科24,司馬試72,譯科24,醫科13,陰陽科1,籌學1)

6. 무안 박씨(務安 朴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

()

()

()()

()

()

()

()

()

()

()

()

()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

-

-

-

-

-

-

-

-

7. 무안 박씨(務安 朴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항렬이 있어 이름에 규칙을 부여해 위 아래를 알기 쉽게 하였다.

()

중조(中祖)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파평

元謙(14)

元謹(14)

元諶(14)

自○

○大

萬○

時○

載○

泰○

慶○

履○

朝○

夢○

聖○

○孝

亮○

致○

英○

○憲

宗○

○瑞

○欽

○周

基○

○欽

永○

○植

熙○

○在

鎔○

昌○

함양

世彦(16)

景○

文○

思○

天○

昌○

致○

東○

○善

琮○

圭○

啓○

泰○

○炳

○秀

○基

노성

大成(16)

大鵬(16)

大德(16)

(15)

尙○

鴻○

忠○

貴○

○遠

壽○

○龜

壽○

○徵

始○

來○

○赫

○慶

○慶

東○

○玉

鎭○

○永

○和

榮○

在○

種○

○海

무안

益卿(14)

東○

○文

世○

○初

○吾

敏○

重○

昌○

○震

淇○

○相

○和

○植

炳○

熙○

縣○

○載

○在

○培

錫○

鍾○

○洙

○澤

○浩

군수공

(15)

仁弼(16)

(17)

○元

命○

信○

道○

盛○

世○

○周

時○

以○

○文

弼○

○龜

世○

希○

思○

處○

重○

○榮

景○

處○

昌○

昌○

大○

昌○

○鎭

○鎭

○震

昌○

○鎭

○河

淇○

淇○

載○

淇○

○采

○相

○和

○煥

炳○

炳○

在○

○壽

○載

○在

○載

鍾○

○錫

○錫

○鐘

海○

海○

海○

○洙

경파

(15)

(15)

昌○

履○

○文

載○

思○

○彬

處○

○勳

○鎭

奎○

○河

鏞○

○采

永○

○煥

○植

在○

熙○

鐘○

○錫

○培

○海

○洙

鍾○

해남

從貢(15)

○孝

而○

○祖

必○

思○

世○

泰○

東○

聖○

○瑞

○尙

○允

○源

處○

秉○

相○

○烈

○煥

錡○

○海

○洙

8. 무안 박씨(務安 朴氏) 집성촌(集成村)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보룡리

-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

- 충남 논산군 상월면 일원

- 충남 당진시 우두동(당진군 당진읍 우두리)

- 전남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 연구리

- 전남 무안군 청계면 일원

- 경북 영양군 석보면 답곡동

- 경북 영덕군 영해면 원구동

- 경북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

9. 무안 박씨(務安 朴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무안박씨는 24,746가구 총 78,817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 돌림인데 무안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파(派) 중조(中祖)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파평 元謙...

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고 싶습니다!

... 제가 무슨파 몇대손인지 알 수 있을까요? 내공 90 드립니다.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밀양박씨 파를 알고싶은데요 할아버지는 가운데 용자 돌림을 쓰셨고, 아버지는...

함양박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궁금합니다

함양박씨무슨파인지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아버지 성함은 박재*이구 형이랑 저는 박영* 입니다 할아버지 성함은 박두*입니다 안녕하세요? 덕수이씨 문정공종회...

무슨파 몇대손 인지 알고싶습니다.

어릴적 들었던거 같은데 나이가 들어서 알고싶은데... 무슨파 몇대손인지 찾을수 있을까요??? 내공100... 호적등본, 제적등본 찾는 법 (tistory.com) 밀양박씨규정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