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김씨 파 확인과 촌수 계산

광산김씨 파 확인과 촌수 계산

작성일 2020.10.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 어머니는 광산김씨 이시고,
돌아가신 장인도 광산김씨 이십니다.
족보 볼줄 모르다 보니 문득 걱정이들어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1.외가 광산김씨 파 문의
외할아버지 돌림자 : O현
외삼촌 돌림자 : 영O
외사촌 돌림자 : O수

2.처가집 광산김씨 파 문의
아내의 할아버지 돌림자 : 두O
돌아가신 장인의 돌림자 : 영O
아내의 형제자매 돌림자 : O수

3.이런 경우 뭐라고 부르나요?
(예를 들어 내외종OOO)

4.8촌이내 혈족 또는 6촌이내 인척 등에 해당 되나요?


#광산김씨 파 #광산김씨 파종류 #광산김씨 판군기감사공파 #광산김씨 판관공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광산김씨 파 확인과 촌수 계산

제 어머니는 광산김씨 이시고,

돌아가신 장인도 광산김씨 이십니다.

족보 볼줄 모르다 보니 문득 걱정이들어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1.외가 광산김씨 파 문의

외할아버지 돌림자 : O현

외삼촌 돌림자 : 영O

외사촌 돌림자 : O수

2.처가집 광산김씨 파 문의

아내의 할아버지 돌림자 : 두O

돌아가신 장인의 돌림자 : 영O

아내의 형제자매 돌림자 : O수

3.이런 경우 뭐라고 부르나요?

(예를 들어 내외종OOO)

답변 : 외조부이시니, 외할아버지라고 부르시면 되시고.

장인 어른이라고 부르시며.

외사촌은 : 나이가 많으면 큰처남 작으면 작은처남 그리고 여자측은 나이가 집사람보다 많으면 처형 작으면 처제 라고 부르시면 됩니다.

4.8촌이내 혈족 또는 6촌이내 인척 등에 해당 되나요?

답변 : 예를 들어 사촌 관계라면, 큰처남 작은처남 여성은 처형 처제라고 칭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좀더 가까워 보입니다.

답변 : 님은 광산 김씨(光山 金氏) 시조(始祖)는 김흥광(金興光)공(公)이시고 문정공파에서 분파한 양간공파 이시군요.

광산 김씨(光山 金氏) 문정공파와 양간공파 항렬표를 본다면,

문정공파 항렬표 돌림자에 외조부님 36세 O현(鉉)자 장인 어른 37세 영(永)O자, 외사촌 38세 O수(洙)자 돌림입니다. 쓰지 않습니다.

좀더 웃대로 올라가셔서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존함으로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외조부님 : 36세 O현(鉉)자 돌림이시고,

장인 어른님 : 37세 영(永)O자 돌림이시며,

외사촌님 : 38세손 O수(洙)자 돌림입니다.

님은 광산 김씨 뼈대 있는 왕가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한문에는 여러가지 글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님도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광산 김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광산 김씨(光山 金氏) 에 대(對)하여

1. 광산 김씨(光山 金氏) 시조(始祖) : 김흥광(金興光)

2. 광산 김씨(光山 金氏) 유래(由來) :

광산 김씨(光山 金氏) 시조(始祖) 김흥광(金興光)은 신라(新羅) 왕실(王室)의 후손(後孫)으로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이다. 그는 고려(高麗)가 삼한(三韓)을 통일(統一)하자 신라(新羅)의 비운(悲運)을 미리 알고 경주(慶州)를 떠나 무진주(武珍州) 서일동(西一洞, 지금 전라남도(全羅南道)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에 은거(隱居)함으로서 광산 김씨(光山 金氏)의 시초(始初)가 되었다고 한다. 그 후(後)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그를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封)하였으며 후손(後孫)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삼고 광산(光山)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김흥광(金興光)이 서일동에 터를 잡은 후(後) 고려조(高麗朝)에 와서 그의 후손(後孫)들 가운데 8명의 평장사(平章事)가 배출(輩出)되자 사람들이 그곳을 “평장동”이라 불렸다. 시조(始祖)의 아들 김식(金軾)은 각간(角干)을 지냈으며, 손자 김길(金佶)은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高麗) 창업(創業)에 공(功)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다. 김준(金峻)은 좌복야(左僕射)에 이르렀으며, 김책(金策)은 964년(광종 15)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시(實施)한 과거제도(科擧制度)에 급제(及第)하여 평장사(平章事)를 역임(歷任)하였다. 고려초기(高麗初期)부터 명문의 기틀을 다지기 시작(始作)한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김위(金位)와 김주영(金珠永) 형제(兄弟) 대(代)에서 크게 두 갈래로 나뉘어져 김광세(金光世)와 김광존(金光存)의 양대산맥(兩大山脈)으로 분파(分派)되었다.

3. 광산 김씨(光山 金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광산(光山)은 전라남도(全羅南道) 북서부(北西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본래(本來) 백제(百濟)의 무진주(武珍州)이다. 신라(新羅)시대(時代)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都邑)을 정(定)하기도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太祖)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武珍州)를 광주(光州)로 개편(改編)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도(海陽道) 소속(所屬)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일명 冀陽州)라 고쳤으며, 충선왕(忠宣王) 때 이르러 화평부(化平府)로 강등(降等)되어 공민왕(恭愍王) 때 광주목(光州牧)이 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광산현(光山縣)으로 강등(降等)되었고, 연산군(燕山君) 때 주(州)로 환원(還元)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管轄)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910년 광주면(光州面)이 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昇格)됨에 따라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88년 송정시와 함께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에 편입(編入)되었고, 1995년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광산구(光山區)로 개편(改編)되었다.

4. 광산 김씨(光山 金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세(世)

항렬

(行列)

세(世)

항렬

(行列)

세(世)

항렬

(行列)

세(世)

항렬

(行列)

세(世)

항렬

(行列)

31

진(鎭) ○

32

○ 택(澤)

33

상(相) ○

34

○ 기(箕)

35

재(在) ○

36

○ 현(鉉)

37

영(永) ○

38

○ 수(洙)

39

용(容) ○

40

○ 중(中)

41

선(善) ○

42

○ 순(淳)

43

동(東) ○

44

○ 환(煥)

45

규(奎) ○

46

○ 용(鏞)

47

연(淵) ○

48

○ 식(植)

49

형(炯) ○

50

○ 곤(坤)

4-1. 광산 김씨(光山 金氏) 각파(各派) 항렬표(行列表)

문정공파

양간공파

36世 鉉(0현)

37世 永(영0)

38世 洙(0수)

39世 容(용0)

40世 中(0중)

41世 善(선0)

42世 淳(0순)

43世 東(동0)

44世 煥(0환)

45世 奎(규0)

46世 鏞(0용)

47世 淵(연0)

48世 植(0식)

49世 炯(형0)

50世 坤(0곤)

문숙공파

36世 鎬錫(호석)

37世 源漢(원한)

38世 植榮(식영)

39世 熙(희광)

40世 中聲(중성)

41世 善(선0)

42世 淳(0순)

43世 東(동0)

44世 煥(0환)

45世 奎(규0)

46世 鏞(0용)

47世 淵(연0)

48世 植(0식)

49世 炯(형0)

50世 坤(0곤)

낭장공파

36世 鳴(0명)

37世 致 (치0)

38世 鉉(0현)

39世 洪(홍0)

40世 植(0식)

41世 熙(희0)

42世 圭(0규)

43世 鐘(종0)

44世 浩(0호)

45世 東(동0)

46世 默(0묵)

47世 載(재0)

48世 錫(0석)

49世 泰(태0)

50世 柱(0주)

사온직장

공파

36世 鎬(0호)

37世 淳泳(순영)

38世 洙(0수)

39世 榮(영0)

40世 均圭(균규)

41世 鎰鍾(일종)

42世 承(0승)

43世 東(동0)

44世 然(0연)

45世 基(기0)

46世 善(0선)

47世 漢(한0)

48世 來(0내)

49世炳(병0)

50世 培(0배)

"문정공파_(후) → 문민공파. (시조공 할아버지로 부터) 40세손(= 40대손) 이신듯 하십니다."

종친님께서 속한 파는, 대파는 문정공파 이고, 직계파는, 문민공파 이시라는 것입니다. 문정공파(후) : 후 자가 붙은 이유는, 문민공파가 문정공파에서 분파됨을 의미 합니다.

김광철(金光轍)(문정공파/문민공) ? ∼ 1349 (忠定王 乙丑六月十七日丙子卒). 고려(高麗) 후기(後期)의 문신(文臣). 호(號)는 둔헌(鈍軒), 문정공(文正公) 태현(台鉉)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개성군 대부인 왕씨(開城君 大夫人 王氏)로 증호부상서(贈戶部尙書) 정조(丁朝)의 딸이다.

1305년(충렬왕 3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1345년(충목왕 2) 서연(書筵)이 설치(設置)되자 그 시독관(侍讀官)이 되었고, 1349(충정왕 2)에 정치도감(整治都監)을 설치(設置)하여 여러 도(道)의 경전(耕田)을 고찰(考察)케 하였다.

기황후(奇皇后 : 원나라 順帝의 第2皇后)의 족제(族弟)인 기삼만(奇三萬)이 황후(皇后)의 세력(勢力)을 의지하여 불법(不法)으로 사람을 해치고 재산(財産)을 탈취(奪取)하는 등(等) 만행(萬行)을 자행(自行)함으로 안렴사(按廉使)로서 기삼만을 장형(杖刑) 끝에 옥사(獄死)케 하니 원(元)나라가 사신(使臣)을 보내어 정치도감 등을 국문 하였으나 병으로 사면되었다. 삼중대광밀직사사(三重大匡密直司事) 화평군(化平君)에 봉작(封爵)되었고, 시호(諡號)는 문민공(文敏公)이며 묘(墓)는 실전(失傳)되어 광주시(光州市) 광산구 신창동에 설단하였다. (見高麗史)

배(配)는 원주 원씨(原州 元氏) 父 찬성사(贊成事) 관(瓘), 祖 첨의중찬(僉議中贊) 부(傅), 曾祖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진(瑨), 外祖 밀직우승지(密直右承旨) 경주 김신(慶州金信) (依氏族源流)

5. 사온직장공파(司醞直長公派)에서 분파(分派)한 문경공파 세계도를 만들어 본다면,

사온직장공파(司醞直長公派)

시조(始祖) : 김흥광(金興光)

2세 : 식(軾)

3세 : 길(佶)

4세 : 준(峻) 삼중대광좌복사(三重大匡左僕射)

5세 : 책(策) 문정공(文貞公)

6세 : 정준(廷俊)

7세 : 양감(良鑑) 문안공(文安公) 수태보 문하시중 감수국사

8세 : 의영(義英), 약온(若溫), 의원(義元)

8세 : 의원(義元) 충정공(忠貞公)

9세 : 광중(光中) 간의대부(諫議大夫) 비서감(秘書監)

10세 : 체(滯) 순안 현령(順安縣令)

11세 : 위(位), 주영(珠永)

11세 : 주영(珠永), 차남 1세(世)

12세 : 2세(世)

13게 : 3세(世)

14세 : 4세(世)

15세 : 5세(世)

16세 : 6세(世)

17세 : 영(英) 사온직장공파(司醞直長公派)

18세 : 석재(碩財)

19세 : (華)

20세 : 소(遡)

21세 : 인몽(仁蒙), 의몽(義蒙) 참의공(참의공), 예몽(禮蒙) 문경공(文敬公) 지몽(智蒙), 신몽(信蒙)

21세 : 예몽(禮蒙) 문경공파(文敬公派)

22세 : 덕원(德源), 성원(性源) 출계(出系)

23세 : 중문(仲文) 사지공

24세 : 회(繪) 장사랑공(장사살공), 연(緣) 죽연공(죽연공)

24세 : 연(緣) 죽연공(죽연공)

25세 : 몽석(夢奭) 몽서(夢瑞)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호(鎬)

37세 : 순(淳)○, 영(泳)○

38세 : ○수(洙)

39세 : 영(榮)○

40세 : ○균(均), ○규(圭)

41세 : 일(鎰)○, 종(鍾)○

42세 : ○승(承)

43세 : 동(東)○

44세 : ○연(然)

45세 : 기(基)○

46세 : ○선(善)

47세 : 한(漢)○

48세 : ○내(來)

49세 : 병(炳)○

50세 : ○배(培)

양간공파(良簡公派)에서 분파한 문경공파(文敬公派) 세계도를 만들어 본다면,

14세 연(璉) 양간공파(良簡公派) → 17세 영리(英利) 판군기감사공파 → 19세 약채(若采) 관찰사공파 → 22세 국광(國光) 의정공파 → 23세 극뉵(克忸) 대사간공파 → 28세 집(集) 문경공파(文敬公派) →

시조(始祖) : 김흥광(金興光)

2세 : 식(軾)

3세 : 길(佶)

4세 : 준(峻)

5세 : 책(策)

6세 : 정준(廷俊)

7세 : 양감(良鑑)

8세 : 의영(義英), 약온(若溫), 의원(義元)

8세 : 의원(義元)

9세 : 광중(光中)

10세 : 체(滯)

11세 : 위(位), 주영(珠永)

11세 : 주영(珠永) 1세(世)

12세 : 광존(光存)

13세 : 대린(大麟)

14세 : 연(璉) 양간공(良簡公)

15세 : 사원(士元)

16세 : 진(稹)

17세 : 광리(光利) 전리판서공(전리판서공),

17세 : 영리(英利) 판군기감사공(판군기감사공)

18세 : 정(鼎)

19세 : 약채(若采) 관찰사공(관찰사공)

20세 : 문(問)

21세 : 철산(鐵山)

22세 : 국광(國光) 의정공(의정공)

23세 : 극뉵(克忸) 대사간(대사간)

24세 : 종윤(宗胤)

25세 : 석(錫) 종(鍾) 별제공(별제공), 호(鎬) 증 좌찬성(좌찬성)

25세 : 호(鎬) 증 좌찬성(좌찬성)

26세 : 계휘(繼輝) 대사헌(大司憲)

27세 : 장생(長生) 문원공(문원공)

28세 : 은(檃), 집(集) 문경공(文敬公) 신독재(愼獨齋)선생(先生)

28세 : 집(集) 문경공(文敬公) 신독재(愼獨齋)선생(先生)

29세 : 익형(益炯) 선교랑공(선교랑공)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현(鉉)

37세 : 영(永)○

38세 : ○수(洙)

39세 : 용(容)○

40세 : ○중(中)

41세 : 선(善)○

42세 : ○순(淳)

43세 : 동(東)○

44세 : ○환(煥)

45세 : 규(奎)○

46세 : ○용(鏞)

47세 : 연(淵)○

48세 : ○식(植)

49세 : 형(炯)○

50세 : ○곤(坤)

1. 문정공파(후) → 문민공파(후) → 해양군공파 → 부호군공파

2. 양간공파(후) → 전리판서공파(후) → 사은공파 → 교리공파 → 부호군공파

3. 양간공파(후) → 판군기감사공파(후) → 의정공파(후) → 상호군공파 → 부호군공파

4. 양간공파(후) → 판군기감사공파(후) → 의정공파(후) → 부호군공파

5. 양간공파(후) → 판군기감사공파(후) → 의정공파(후) → 경력공파(후) → 부호군공파.

6. 양간공파(후) → 판군기감사공파(후) → 총제공파(후) → 직장공파(후) → 부호군공파.

7. 사온직장공파(후) → 참봉파공(후) → 판윤공파(후) → 부호군공파.

6. 광산 김씨(光山 金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청양리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덕산리

-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보동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광동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화양리

-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상두리

- 경기도 양주시 주내면 마전리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척영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강정리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정리

-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완화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방두리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면 난전리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남성촌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회현리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서호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금성리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태백리

-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모정리

-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옥곡리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일원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삼덕리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내동리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

-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 시목리

-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 가배리

-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세천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신성리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동천리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 난산리

- 황해도 봉산군 서종면 대한리 등

7. 광산 김씨(光山 金氏) 중요(重要) 인물(人物)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고려초기(高麗初期)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른 3세손(世孫) 길(佶)로부터 8대에 걸쳐 평장사(平章事)를 배출(輩出)하여 명문(名文) 가문(家門)의 기반(基盤)을 이루었으며, 15세손으로 대광(大匡)에 오른 정(鼎)의 아들인 약채(若采)·약항(若恒)·약시(若時) 3형제(兄弟)대(代)에서 더욱 번창(繁昌)하기 시작(始作)하였다.

장생(長生)은 예학(禮學)의 태두로서 그의 학문(學文)은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아들 집(集)에게 계승되어 부자가 문묘(文廟)에 배향(配享)되는 전무후무한 영광(榮光)을 누리기도 하였다. 집의 아우 반(槃)의 여섯 아들은 모두 출중하고, 후손(後孫)이 크게 번창(繁昌)하여 ‘광김’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청구영언》을 낸 가인(歌人) 천택(天澤), 영의정(領議政) 상복(相福), 우의정(右議政) 희(喜), 이조판서(吏曹判書) 상휴(相休)·기만(箕晩)·기은(箕殷), 대제학 만기(萬基)·만중(萬重) 형제(兄弟) 등이 모두 이들의 후손(後孫)이다. 이 가운데 총융사(摠戎使)를 지낸 만기와 《구운몽》 《사씨남정기》의 작가(作家)로 유명(有名)한 만중의 후손(後孫) 중(中)에서 많은 인물(人物)이 나와 ‘사계 자손’의 주축(主軸)을 이루었다.

예조판서(禮曹判書)·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진규(鎭圭)는 만기의 아들이며, 대제학(大提學)·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양택(陽澤)은 진규의 아들로서 3대 대제학(大提學), 형제(兄弟) 대제학(大提學)의 진귀(珍貴)한 기록(記錄)을 남기기도 하였다. 시문집(詩文集) 10권을 남긴 문인 춘택(春澤), 고종 때 이조판서(吏曹判書)·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영수(永壽)는 진규의 형(兄)이며, 판서(判書)·참찬(參贊)을 지낸 진구(鎭龜)의 후손(後孫)이다.

8. 광산 김씨(光山 金氏) 대표적(代表的) 인물(人物) 간편하게 정리해본다면,

김정(鼎) : 시조(始祖)의 18대손(代孫)으로 고려(高麗)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올랐으며, 아들인 김약채(金若采), 김약항(金若恒), 김약시(金若時) 3형제 대에서광산 김씨(光山 金氏)가 번창(繁昌)하기 시작(始作)하였다.

김국광(國光) : 광산 김씨(光山 金氏)의 첫 정승(좌의정)을 지냈다.

김극성(克成) : 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

김장생(長生) : 김국광(金國光)의 5세손(世孫). 예학(禮學)의 태두로서 그의 학문(學文)은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아들 김집(集)에게 계승(繼承)되어 부자가 문묘(文廟)에 배향(配享)되는 전무후무한 영광(榮光)을 누렸다.

김천택(天澤) : 가인(歌人). '청구영언'을 내었다

김만기(萬基) : 대제학(大提學), 총융사(摠戎使)를 지냈다.

김만중(萬重) : 김만기(金萬基)의 동생. '구운몽', '사씨남정기'의 작가이다.

김진규(鎭圭) : 김만기(金萬基)의 아들. 예조판서(禮曹判書),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김양택(陽澤) : 김진규(金鎭圭)의 아들. 대제학(大提學), 영의정(領議政)을 지내며 3대 대제학(大提學), 형제(兄弟) 대제학(大提學)의 진귀(珍貴)한 기록(記錄)을 남겼다.

김춘택(春澤) : 시문집(詩文集) 10권을 남긴 문인(文人)이다.

김영수(永壽) : 김진규(金鎭圭)의 형(兄). 고종 때 이조판서(吏曹判書),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총 265명의 문과급제(文科及第)자(者)를 배출(輩出)했고 정승(政丞)이 5명, 대제학(大提學)이 7명, 청백리(淸白吏)가 4명, 왕비(王妃)가 1명이다.

9. 광산 김씨(光山 金氏) 문정공파(文正公派)의 인물(人物)

김광세 : 고려 중랑장. 12세

김경량 : 고려 대장군. 13세

김주정 : 고려 동지밀직사사. 14세

김예몽 : 조선(朝鮮) 세종(世宗)대(代)에 공조판서(工曹判書).

김 진 : 대제학(大提學).

김약채 : 대사헌(大司憲).

김국광 : 좌의정(左議政), 광산부원군.

김경광 : 이시애의 난(亂)을 평정(平定), 광성군.

김극뉴 : 대사간.

김극복 : 찬성.

김 개 : 호조판서.

김계휘 : 호조판서, 대사헌.

김장생 : 형조참판, 성리학의 대가(호는 사계).

김 반 : 이조참판.

김익겸 : 광원부원군.

김만기 : 인선왕후(숙종의 비)의 부.

김만중 : 구운몽의 저자.

김덕령 : 임진왜란의 의병장.

김양택 : 영의정.

김상복 : 영의정.

​10. 조선시대(朝鮮時代) 계파별(系派別) 문과급제(文科及第) 현황표(現況表)

문정공파

(文正公派)

의랑공파

1명

문민공파

6명

문간공파

5명

록사공파

2명

문숙공파

(文肅公派)

화평부원군파

3명

삼사좌사공파

10명

상호군공파

1명

예조판서공파

6명

밀직사사공파

3명

판도판서공파

4명

양간공파

(良簡公派)

전리판서공파

8명

의정공파

허주공파

91명

공안공파

19명

판교공파

2명

총제공파

5명

퇴촌공파

5명

척약재공파

7명

직제학공파

29명

사온승장공파

1명

밀직부사공파

10명

낭장공파(郎將公派)

6명

사온직장공파(司醞直長公派)

25명

감찰어사공파

3명

비순위낭장공파

4명

현령공파

3명

미확인

10명

총 합계

269(265)명

11. 광산 김씨(光山 金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광산 김씨는 258,936가구 총 837,008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http://www.kwangsankim.or.kr/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광산김씨 파 확인과 촌수 계산

... 광산김씨 파 확인과 촌수 계산 제 어머니는 광산김씨 이시고, 돌아가신 장인도 광산김씨 이십니다. 족보 볼줄 모르다 보니 문득 걱정이들어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1....

광산김씨 촌수계산

... 광산김씨 촌수계산 안녕하세요 저는 광산김씨 광절공파인... 별 감찰어사공파 3명 비순위낭장공파 4명 현령공파 3명 미확인 10명 총 합계 269(265)명 11. 광산 김씨(光山...

광산김씨 동성동본 촌수 질문드립니다.

... 만약 같은 파라고 한다면 촌수가 어떻게 되는거죠?? -**- 질의하신일가님, "광산김씨 대종회" 홈피가 잇지요?... 집안에 족보가 없어, 확인불가하다하면, 동사무소등에가서...

광산김씨 촌수따지기.. [내공 100]

... 한번더 확인하시고요. 세(世) 항렬(行列) 세(世) 항렬(行列)... 대충 비용계산이 되시겟지만, 족보_비용관계는, "허주공파 싸이트" 또는 "광산김씨 대종회"에 문의 하시고...

광산김씨 문정공파 (38대손)의 딸과...

... 저희 남자친구는 광산김씨 문정공파의(40대손)중\자돌림의 장남이에요. 혼자 촌수를 따지고 따저봐도 .. 8촌 이내의... 그렇게 안타깝다면 굳 이 확인을 안할 이유도 없어...

광산김씨 문숙공파 몇대손인지좀...

광산김씨에 아빠가 중자 돌림이고 저의 가족이 선자 돌림인데 문숙공파에... 님의 촌수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님 족보를 첨부터 하나하나 지워가면서 확인해도 알기쉽지는...

광산김씨 상호군파 입니다..

... 상호군파는 광산김씨에서 어느정도에 세력을 가지고... 파조님들과도 계산이 안맞습니다. "문숙공파의... 계속 확인차 누르면, 대보공_김알지님 까지 나올것이면...

저와여자친구의촌수계산좀해주세요ㅜㅜ

... 몇세대인지 확인하여야 촌수를 알수가 있읍니다 한마디로 촌수는 양쪽의 조상님을 정확히 알아야 계산이 가능합니다 촌수는 친척의 거리를 따져보는것으로 촌수보다,,, 더...

동성동본 촌수

남자친구랑 결혼 할라하는데 같은 광산김씨 쓰는데 - -;; 8촌 이상이면 결혼할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 남친이랑 저랑 몇촌인지 알켜주세요 머리가 나빠서 봐도 계산이 안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