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경주이가 국단공파 43대손 이라

저는 경주이가 국단공파 43대손 이라

작성일 2020.06.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경주이가 국단공파 43대손 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제 이름은 이현"호"이고 아버지의 존함은 이"재"용입니다.
제가 국단공파 43대손인가요? 아니면 ~~대손이 잘못 되었을까요?
정확한 정보 알고싶습니다.
알고 계신분 있으실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저는 경주이가 국단공파 43대손 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제 이름은 이현"호"이고 아버지의 존함은 이"재"용입니다.

제가 국단공파 43대손인가요? 아니면 ~~대손이 잘못 되었을까요?

정확한 정보 알고싶습니다.

알고 계신분 있으실까요?

답변 : 님은 경주 이씨 국단공파가 아닌, 국당공파 이시군요.

조부님 : 석(?)자 ?(?)자 두자 중에 한자가 돌림이라 하셨고,

부친님 : 시조 76세 / 중시조 41세 재(在)O자 돌림이시며,

님은 : 시조 77세 / 중시조 42세손 O호(鎬)자 돌림입니다.

님은 경주 이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한문을 같이 쓰는 이유는 한문은 각기 다른 한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항렬자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아래는 경주 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에 대(對)하여

1. 경주 이씨(慶州 李氏) 시조(始祖) : 이알평(李謁平)

2. 경주 이씨(慶州 李氏) 유래(由來) :

경주 이씨(慶州 李氏) 시조(始祖)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은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誕生) 설화(說話)에 나오는 초기(初期) 신라(新羅)의 6촌 중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 : 급량부)의 촌장(村長)이다. 이알평(李謁平)은 신라(新羅)의 좌명공신(左命功臣)으로 <경주이씨대종보>에 의하면 박혁거세(朴赫居世)가 왕(王)이 된 뒤 아찬(阿粲)에 올라 군사업무를 장악 했으며 32년(신라 유리왕 9년)에 양산촌 이씨(李氏)로 성(性)을 하사(下賜) 받았다고 한다. 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23년 익호(謚號)를 문선공(文宣公)으로 하였고, 무열왕(武烈王) 3년 은열왕(恩烈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後)의 후손(後孫)에 대(對)한 계대(繼代)가 전(傳)해지지 않아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世孫)이며 신라(新羅) 때 소판(蘇判) 벼슬을 지낸 진골(眞骨) 출신(出身)인 이거명(李居明)을 1세조(世祖)로 하고 있다.

3. 경주 이씨(慶州 李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南東)부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紀元前) 57년에 6촌(六村)이 연합(聯合)하여 고대(古代) 국가(國家)를 형성(形成),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 시조(始祖)가 탄생(誕生)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稱)하기도 하였으나, 별칭(別稱)으로 사용(使用)하였다. 307년(기림왕 10)에 최초(最初)로 국호(國號)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新羅)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왕건(王建)에 항복(降伏)하자 경주(慶州)로 개칭(改稱)하고 식읍(食邑)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事審官)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名稱)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改稱)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別稱)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實施)되자 동경(東京)을 설치(設置)하고 충렬왕(忠烈王)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改編)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慶州) 야별초(夜別抄)의 반란(叛亂)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降等)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東京)으로 환원(還元)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鷄林府)를 경주부(慶州府)로 개칭(改稱)한 이후(以後) 1415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蔚山)으로 이전(以前)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屬縣)인 자인현(慈仁縣)이 분리(分離) 독립(獨立)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경주군(慶州郡)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慶州邑)과 내동면(內東面) 전역(全域), 천북면(川北面)과 내남면(內南面) 일부(一部)가 통합(統合)되어 경주시(慶州市)로 승격(昇格)했으며, 경주군(慶州郡)은 월성군(月城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月城郡) 이 경주군(慶州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慶州郡)과 통합(統合)하여 시로 승격(昇格)하였다.

4. 경주 이씨(慶州 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고려(高麗) 말(末)에 크게 세력(勢力)을 떨쳤고 조선(朝鮮)에 들어와서도 문과(文科) 급제자(及第者) 178명, 상신 8명, 대제학(大提學)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功臣)과 많은 학자(學者)와 명신(名臣)을 배출(輩出)하였다.

오성대감(鰲城大監)으로 널리 알려진 조선조(朝鮮朝) 4대 명재상(名宰相)의 한 사람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묘는 경기도(京畿道)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에 있다.

의정부(議政府)에서 포천 가는 43번 도로로 축석령을 넘으면 송우리가 나온다. 하송우리에서 우회전하여 316번 도로를 따라 가산 쪽으로 약 2Km 정도 가다 보면 우측에 "백사 이항복(李恒福) 묘소 입구"라는 표시판이 나온다.

이 표시판을 따라 우측(右側)으로 구불구불한 마을길을 따라 가보면 정면2칸 측면 1칸의 아담한 사당이 나오는데 사당 뒤 야트막한 동산에 이항복(李恒福) 묘(墓)와 부인(夫人)인 권율(權慄) 장군(將軍) 딸 안동권씨(安東權氏) 묘(墓)가 나란히 쌍묘로 있다.

8대파 중 상서공파(尙書公派)의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집안에서 가장 많은 인물(人物)을 배출(輩出)하였고, 세칭 8별(鼈) 집으로 불리 우는 익재공파와 이완(李浣) 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가 조선(朝鮮)에 배출(倍出)한 상신·문형 가운데 백사(白紗)집에서 영의정(領議政) 4명, 좌의정(左議政) 2명, 대제학(大提學) 2명이 나왔고, 8별집에서 좌의정(左議政)과 대제학(大提學) 각 1명, 국당공파 중의 정순공(靖順公) 이성중(李誠中) 후손(後孫)에서 좌의정(左議政) 1명이 나와 이들 3파가 사실(事實)상 경주 이씨(慶州 李氏)의 주축(主軸)을 이루었다.

25세 : 이항복(李恒福) 백사(白紗) 영의정(領議政)

26세 : 성남(星男) 증판서공(贈判書公), 정남(井男) 贈左承旨公), 규남(奎男), 기남(箕男)

26세 : 정남(井男) 贈左承旨公),

27세 : 시술(時術), 시득(時得),

28세 : 세장(世長) 정랑공(正郞公), 세필(世弼) 구천공(龜川公), 세희(世熙) 효우당(孝友堂), 세춘(世春),

28세 : 세필(世弼) 구천공(龜川公),

29세 : 태좌(台佐) 아곡공(아곡공) 좌의정(左議政), 정좌(鼎佐) 성재공(醒齋公), 형좌(衡佐), 초천공(椒泉公), 경좌(景佐),

29세 : 경좌(景佐),

0세 : 종원(宗垣),

28세 : 세희(世熙) 효우당(孝友堂)

29세 : 양좌(良佐) 참봉공(參奉公), 한좌(漢佐) 현령공(縣令公),

30세 : 종해(宗海), 종택(宗澤),

29세 : 한좌(漢佐) 현령공(縣令公),

30세 : 종주(宗柱), 종우(宗우), 종강(宗講), 종모(宗模) 통덕랑공(通德郞公),

31세 : 경신(敬身), 경환(敬歡), 경래(敬來), 경용(敬庸), 경율(敬율)

28세 : 세춘(世春),

29세 : 성좌(成佐), 현좌(鉉佐)

29세 : 현좌(鉉佐),

30세 : 종남(宗南), 종호(宗皓),

http://blog.daum.net/009448/16141544

5. 경주 이씨(慶州 李氏) 계파(系派)

중시조(中始祖)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慶州)이씨는 중시조(中始祖) 이거명의 17~21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70여개 파로 분파(分派)된다.

-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손 이인정(李仁珽)을 파조(派祖)로 한다

-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손 이관(李琯)을 파조(派祖)로 한다.

-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손 이제현(李齊賢)을 파조(派祖)로 한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손 이지정(李之正)을 파조(派祖)로 한다.

-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손 이천을 파조(派祖)로 한다.

-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손 이매(李邁)를 파조(派祖)로 한다.

-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손 이과를 파조(派祖)로 한다.

-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손 이수(李蓚)를 파조(派祖)로 한다.

-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손 이강을 파조(派祖)로 한다.

-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손 이지수(李之秀)를 파조(派祖)로 한다.

-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손 이양오(李養吾)를 파조(派祖)로 한다.

-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손 이존오(李存吾)를 파조(派祖)로 한다.

-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손 이양중(李養中)를 파조(派祖)로 한다.

-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派祖)로 한다.

6. 경주 이씨(慶州 李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4백여년 전 세거)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면 성덕리

- 경상북도 포항시 일원

- 경상북도 경주시 일원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오룡동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동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면 일원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관하동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동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일원

-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소전리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문곡리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풍계리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 충청남도 서산시 남면 달산리

7. 경주 이씨(慶州 李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시조(始祖)는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

중시조(中始祖)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

국당공파(菊堂公派) 이천

경주 이씨(慶州 李氏) 대동(大同) 항렬제차(行列第次)

始祖

70

71

72

73

74

75

世 

中祖

35

36

37

38

39

40

항렬자

(行列字)

○榮

圭○

鍾○

○雨

相○

○熙ㆍ炯

영화 영

홀 규

쇠북 종

비 우

서로 상

빛날 희

빛날 형

()

始祖

76

77

78

79

80

81

() 

中祖

41

42

43

44

45

46

항렬자

(行列子)

在○

○鎬ㆍ鍵

濟ㆍ濬○

○東

丙ㆍ心○

○敎ㆍ世

있을 재

빛날 호

자물쇠 건

건널 제

깊을 준

동녘 동

남쪽 병

마음 심

가르칠 교

인간 세

()

始祖

82

83

84

85

86

87

() 

中祖

47

48

49

50

51

52

항렬자

(行列字)

鎭○

○求

根○

○燮

埈○

○善

진정할 진

구할 구

뿌리 근

불꽃 섭

높은 준

착할 선

()

始祖

88

89

90

91

92

93

() 

中祖

53

54

55

56

57

58

항렬자

(行列字)

泰○

○模

炫○

○均

鎔○

○淳

클 태

법 모

밝을 현

고를 균

녹일 용

맑을 순

()

始祖

94

95

96

97

98

99

() 

中祖

59

60

61

62

63

64

항렬자

(行列字)

秉○

○杰

基○

○鈺

洛ㆍ永○

○植

잡을 병

호걸 걸

터 기

보배 옥

강이름 락

길 영

심을 식

()

始祖

100

101

102

103

104

105

() 

中祖

65

66

67

68

69

70

항렬자

(行列字)

德○

○周ㆍ○起

鎰○ㆍ鏞○

○浩ㆍ洙

柱ㆍ綵○

○熏ㆍ燁

큰 덕

두루 주

일어날 기

중량 일

종 영

클 호

강이름 수

기둥 주

비단 채

연기낄 훈

빛날 엽

8. 경주 이씨(慶州 李氏) 항렬(行列) 글자의 뜻

35세 : 榮(영화로울 영),

36세 : 圭(서옥 규),

37세 : 鍾(술잔 종, 모을 종),

38세 : 雨(비 우)

39세 : 相(서로 상)

40세 : 熙(빛날 희), 炯(빛날 형)

41세 : 在(있을 재)

42세 : 鎬(냄비 호), 鍵(자물쇠 건)

43세 : 濟(건널 제). 濬(깊을 준)

44세 : 東(동녁 동)

45세 : 丙(남역 병), 心(마음 심)

46세 : 敎(가르칠 교), 世(대 세)

47세 : 鎭(진압할 진)

48세 : 求(구할 구)

49세 : 根(뿌리 근)

50세 : 燮(화할 섭)

51세 : 埈(가파를 준)

52세 : 善(착할 선)

53세 : 泰(클 태)

54세 : 模(법 모)

55세 : 鉉(솥귀 현)

56세 : 均(고를 균)

57세 : 鎔(녹일 용)

58세 : 淳(순박할 순)

59세 : 秉(잡을 병)

60세 : 炅(빛날 경) 杰(뛰어날 걸)

61세 : 基(터 기)

62세 : 鈺(보배 옥)

63세 : 洛(물 락). 永(길 영)

64세 : 植(심을 식)

65세 : 德(큰 덕)

66세 : 周(두루 주), 起(일어날 기)

67세 : 鏞(큰 쇠북 용)

68세 : 浩(넓을 호), 洙(물이름 수)

69세 : 住(살 주), 綵(비단 채)

70세 : 熏(불길 훈), 燁(빛날 엽)

9. 경주 이씨(慶州 李氏) 시조(始祖) 및 중시조(中始祖) 항렬표(行列表)

시조(70세손)

중시조(35세손)

영(榮)

71세손

36세손

규(圭)

72세손

37세손

종(鍾)

73세손

38세손

우(雨)

74세손

39세손

상(相)

75세손

40세손

희(熙)

형(炯)

76세손

41세손

재(在)

77세손

42세손

호(鎬)

건(鍵)

78세손

43세손

제(濟)

준(濬)

79세손

44세손

동(東)

80세손

45세손

심(心)

병(丙)

81세손

46세손

교(敎)

세(世)

10. 경주 이씨(慶州 李氏) 대동(大同) 항렬(行列)을 최초(最初)로 만든 시기(時期)

1865년경 고종(高宗) 황제(皇帝) 초기(初期)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께서 섭정(攝政)을 하고 계실 때 전국(全國)에 왕명(王命)으로 각(各) 성씨(姓氏) 들은 각기(各己) 항렬자(行列字)를 이에 따라 작명(作名)하고 장파(長派)의 항렬자(行列字)를 따라 통일(統一)해서 성명(姓名)만보더라도 그 관향(貫鄕)과 항렬(行列)을 단번에 알아보고 서로 돈목(敦睦)하고 위 아래 차서(次序)를 혼동(混同)해서 망발(妄發)하는 일이 없게 하라고 하셨다.

11. 경주 이씨(慶州 李氏) 계파(系派)

- 평리공파(評理公派)

- 이암공파(怡庵公派)

- 익재공파(益齋公派)

- 호군공파(護軍公派)

- 국당공파(菊堂公派)

- 부정공파(副正公派)

- 상서공파(尙書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12. 경주 이씨(慶州 李氏) 지손(支孫) 계통(系統)은,

- 판전공파(判典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석탄공파(石灘公派) 등이 있다.

한편 경주 이씨(慶州 李氏) 분파도(分派圖)에는 전술한 10본의 분적(分籍) 중(中) 성주이씨와 우계이씨는 거명의 윗대에서 분파되었으며 나머지는 그 아랫대에서 분파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경주이씨(慶州李氏)는 고려말(高麗末)에 크게 세력(勢力)을 떨쳤고 조선(朝鮮)에 들어와서도 문과(文科) 급제자(及第者) 178명, 상신 8명, 대제학(大提學)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功臣)과 많은 학자(學者), 명신(名臣)을 배출(輩出)하였다. 8대파 중 상서공파의 백사(白沙:李恒福)집이 가장 많은 인물(人物)을 배출(輩出)하였고, 익재공파의 세칭 8별(鼈) 집과 완(浣) 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경주이씨(慶州李氏)가 조선(朝鮮)에 배출(輩出)한 상신·문형 가운데 백사집에서 영의정(領議政) 4명, 좌의정(左議政) 2명, 대제학(大提學) 2명이 나왔고, 8별집에서 좌의정(左議政)과 대제학(大提學) 각 1명, 국당공파 중의 정순공(靖順公:誠中) 후손(後孫)에서 좌의정(左議政) 1명이 나와 이들 3파가 사실상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주축을 이루었다. 고려말(高麗末)의 대(大)학자(學者)이자 외교가, 문장가, 충신이기도 했던 익재(益齊)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고려(高麗) 때의 경주 이씨(慶州李氏)를 대표(代表)한다. 이제현(李齊賢)은 충선왕(忠宣王)부터 공민왕(恭愍王)까지 다섯 임금을 섬기며 여러 방면에 공적(功績)을 남겼고 문장(文章)가였을 뿐만 아니라 탁월(卓越)한 외교(外交)가였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8형제(兄弟)가 모두 문장(文章)에 뛰어나 8문장(文章)으로 꼽히는 박팽년(朴彭年)의 사위인 이공인(李公麟)의 아들들과 임진왜란(壬辰倭亂)이 터지자 유성룡을 도와 병참(兵站) 책임(責任)을 맡는 등(等) 큰 활약(活躍)을 한 이시발(李時發)을 비롯하여, 오성과 한음의 일화로 유명(有名)한 오성대감 이항복(李恒福)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5차례나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역임하여 국난을 수습, 전후(前後) 정승(政丞)에 올라 당쟁(黨爭) 을 막는데 힘쓴 조선시대(朝鮮時代) 4대 명재상(名宰相)의 한 사람으로 청백리(淸白吏)에 올랐다.

13.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인구조사에서 446,598가구 총 1,424,86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저희 집안이 경주이가 국단공파인데

... 경주이가 국단공파인데 저의 아버지쪽은 이상x 상자돌림이시구 저는 재자돌림인거 같아요. 그러면 몇대손일... (繼代)가 전(傳)해지지 않아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

경주이가 국당공파 항렬 문의 드립니다.

... -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派祖)로 한다. 6. 경주 이씨(慶州 李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4백여년 전...

경주이씨고 저희집안이 익재공파23대손...

... 저보고 경주이씨고 저희집안이 익재공파23대손이라는... (繼代)가 전(傳)해지지 않아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 의정부(議政府)에서 포천 가는 43번 도로로 축석령을...

저는 경주이씨 익재공파로 알고있습니다.

... 예전에 십오년전에 익재공파 24대손인가라고 들은거... (繼代)가 전(傳)해지지 않아 이알평(李謁平)의 36세손... net/kungjuleemini0B0/ 경주이씨익재공파 43세 후손 모임...

경주이씨 관련 공파 문의 드립니다.

... -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派祖)로 한다. 5. 경주 이씨(慶州 李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4백여년 전 세거)...

경주이씬데요..

돌림자에서 우(雨)를 이름에 넣었는데[ 그럼 전 몇대손이 되야하나요? 온갖방법을... 하여튼) 저랑 같네요!!!익재 공파에다가 경주 이씨면,, 제가 43대 손인데..그런거 부모님께...

제가 경주이씨 백사공파대손인가요?

... 제가 경주이씨 백사공파의 몇대손인지 알려고... 42대손 이구요 제 밑이 준, 제 43 대구요 41대손이 재 40대손이... 그들은 한일합방이 되자 전 가산을 정리해 만주로 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