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고씨 파를 알고싶습니다

제주 고씨 파를 알고싶습니다

작성일 2020.05.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제주 고씨이고 주민번호가 19로 시작 합니다. 제주 태샹은 그렇게 시작한다하더 라구요. 하지만 저의 뿌리인 제주 고씨 파를 모릅니다.
고향은 함경남도 흥남 하덕리이며
할아버지께서는 령자 돌림이시며
아버지께서는 상자 돌림이십니다ㅠㅡㅠ

제발 부탁드립니다. 여러번 찾기 위해서 노력해봤지만 쉽지 가 않네요.
내공드립니다!!!

도움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제주 고씨 #제주 고씨 돌림자 #제주 고씨 족보 #제주 고씨 영곡공파 족보 #제주 고씨 시조 #제주 고씨주택 #제주 고씨 파 #제주 고씨 집성촌 #제주 고씨 친일파 #제주 고씨 문양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제주 고씨 파를 알고싶습니다

저는 제주 고씨이고 주민번호가 19로 시작 합니다. 제주 태샹은 그렇게 시작한다하더 라구요. 하지만 저의 뿌리인 제주 고씨 파를 모릅니다.

고향은 함경남도 흥남 하덕리이며

할아버지께서는 령자 돌림이시며

아버지께서는 상자 돌림이십니다ㅠㅡㅠ

제발 부탁드립니다. 여러번 찾기 위해서 노력해봤지만 쉽지 가 않네요.

점수드립니다!!!

도움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답변 : 님은 제주 고씨 이시군요.

각파 항렬표에서 찾아본 결과로는,

할아버지 령자에서 부친님 상자 님은 ?자 돌림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서는 항렬표 돌림자 위주로 성함을 지으신 것이 아닌듯 합니다. 이런때는 좀더 웃대로 올라가 증조부님 고조부님의 존함으로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문충공파(文忠公派) 항렬표(行列表)에 부친님 상자가 존재하시며,

조부님 : 29세 령(령)자 돌림이라 하셨고,

부친님 : 30세 상(相)자 돌림이라 하셨으며,

님은 : 31세손 광(光)자 병(炳)자 형(炯)자 돌림이라 하셨습니다.

님의 남편은 제주 고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행해서 올려드립니다. 이유는 한문은 여러자로 형성되어 있고 또 뜻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해당 자료와 항렬자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 합니다.

아래는 제주 고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제주 고씨(濟州 高氏)에 대(對)하여

1. 제주 고씨(濟州 高氏) 시조(始祖) : 고을나(髙乙那)

2. 제주 고씨(濟州 高氏) 유래(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고·량·부(髙·良·夫) 삼성(三姓)신화(神話)와 탐라왕국(耽羅王國) 시조(始祖) 고을나왕(髙乙那王)의 역사(歷史)가 있는 자랑스러운 왕손(王孫)이다.

이 삼성혈(三姓穴)에서는 고을나(髙乙那) 이외(以外)에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 등 세 신인(神人)이 출현(出現)하였으며 그 후 제주도(濟州道)로 표류(漂流)해 온 상자에서 세 명의 여자, 오곡종자(五穀種子), 가축이 나와 이들과 함께 섬에 정착(定着)하였다고 한다. 그 중 고을나는 제주목(濟州牧)에 정착(定着)하여 제주고씨(濟州高氏)의 시조(始祖)가 되었다.《고려사(高麗史)》 〈지리지(地理志)〉에 보면 시조(始祖) 고을나(髙乙那)의 15세손(世孫) 고후(高厚)·고청(高淸)·고계(高季) 세 사람이 신라(新羅)에 내조(來朝)하여 성주(星主), 왕자(王子), 도내(徒內)라는 칭호(稱號)를 받고 탐라(耽羅)라는 국호(國號)를 받았으며, 고려 태조(太祖) 때에는 탐라국왕(耽羅國王) 고을나(髙乙那)의 45세손 고자견(高自堅)의 태자 고말노(高末老)가 내조(來朝)하여 성주(星主)·왕자(王子)의 칭호(稱號)를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고말노(高末老)의 세 아들인 고유(高維), 고강(高綱), 고소(高紹)가 모두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고 관직(官職)에 올라서 제주고씨(濟州高氏)가 육지(陸地)에 진출(進出)하게 되었다. 이에 후손(後孫)들은 고말노(高末老)를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시조(始祖)의 발원지(發源地)인 제주(濟州)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면서 가문(家門)을 크게 번창(繁昌)시켰다.

고씨 왕세기(王世紀)는 당요갑자(唐堯甲子)에 탐라국(耽羅國)이 건국(建國)되어 제45대 고자견왕(髙自堅王)까지 왕치시대를 통치하고, 고려(태조 21年)에 병합됨에 제46대 왕자 고말로공(髙末老公)이 초대 성주(星主)로 작위(爵位)를 받고 탐라민정을 조선태종(朝鮮太宗 2年)때 제17대 성주 고봉례 공(髙鳳禮 公)까지 다스렸다.

이 처럼 고씨는 상고시대부터 유구한 전통의 기반위에 고을나왕 제46세(世) 고말로공(髙末老公)을 중시조(中始祖)로 모시고 아홉 계파의 관향(貫鄕)으로 분파(分派)되고 있는데 각 파조(派祖)님의 역사적(歷史的) 인물(人物)을 조감해 볼때 최초(最初)에 고려국(高麗國) 재상(宰相)반열(班列)에 출사한 중시조(中始祖) 제2세 장자 고 유는 우습유(右拾遺), 차자 고 강은 좌복야(左僕射), 삼자 고 소는 도총독(都總督)을 하였으며 제3세손 고조기는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제4세손 고공익은 검교장소감(檢校將少監), 고영신은 이부상서(吏部尙書), 제10세손 고인단은 운휘 상장군(雲麾 上將軍), 고중연은 호종공신(扈從功臣), 제11세손 고 경은 국자감(國子監), 고인비는 병부시랑(兵部侍郞), 제13세손 고 택은 판춘추관사(判春秋館事), 고신걸은 호조전서(戶曹典書), 제15세손 고득종은 세종조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선조(宣祖 25年)때 임진란에 순절한 의병장(의병장) 충열공 고경명 삼부자공은 일문삼강(一門三綱)충효의 귀감이고, 또한 제주 삼성사(三姓祠)을 비롯한 각 파조신위를 봉안한 사묘(祠廟)와 서원(書院)이 경향 각지에 36처소가 있으며,

특히 중시조(中始祖)를 비롯 13위(位) 조상님과 배위(配位)의 제향(祭享)을 군산 숭모사(崇慕祀) 에서,그리고 제주 재궁지(齋宮址) 탐라원성지(耽羅苑聖地)에 왕위전(王位殿)과 성주전(星主殿)을 창건하여 역대(歷代) 선왕(先王)위를 봉안 매년 종묘 대제향(宗廟大祭享)을 봉행하고 있다.

3. 제주 고씨(濟州 高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제주(濟州)는 한반도(韓半島)의 남서 해상에 위치한 우리나라 최대의 섬이다. 명칭도 도이(島夷)·주호(州胡)·탐모라(耽牟羅)·섭라(涉羅)·탁라(乇羅)·탐라(耽羅)·제주(濟州) 등 시대에 따라 다르게 불려왔다. 신라의 속국이었던 탐라국(耽羅國)은 938년(태조 21) 고려의 속국이 되었고, 1105년(숙종 10)부터는 군을 설치하여 직접 다스리다가, 1153년(의종 7) 군을 현으로 고쳤으며, 1211년(희종 7)에 탐라군을 제주로 개편하였다. 1271년(원종 12)에 삼별초(三別抄)가 제주도에 웅거하면서 몽골에 마지막까지 항쟁을 벌이다가 1273년에 패한 후 제주도는 원나라의 직할지가 되어 목마장(牧馬場)이 설치되었다. 그 후 약 1세기 동안 제주도는 고려와 원나라 사이에 소속이 여러 차례 바뀌는 복잡한 과정을 겪다가 1367년(공민왕 16)에 완전히 고려에 회복되었다.

조선 태종(太宗) 때 오랫동안 전래되어 온 성주(星主)·왕자(王子)의 칭호가 폐지되고 실질적인 행정력 속에 포함되었다. 1416년(태종 16) 한라산을 경계로 산북(山北)을 제주목(濟州牧), 산남(山南)을 양분하여 동쪽에 정의현(旌義縣), 서쪽에 대정현(大靜縣)을 설치하고 전라도(全羅道)에 소속시켜 통치하였다. 1864년(고종 1) 대정·정의 양현을 군으로 승격시켜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관할(管轄) 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23부제(府制)를 실시함에 따라 제주부를 설치하여 정의군·대정군을 관할하도록 했다. 1896년에 다시 13도제(道制) 실시로 전라남도(全羅南道) 제주군·정의군·대정군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정의군·대정군과 완도군 추자면(楸子面)이 제주군에 병합되어 제주군(濟州郡)은 제주도(濟州道) 전역(全域)을 관할(管轄)하게 되었다. 1915년 도사제(島司制)로 개편되어 제주도(濟州島)가 되었고, 1946년 도제(道制) 실시로 전라남도(全羅南道) 관할(管轄) 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1946년에 비로소 전라남도(全羅南道)에서 분리되어 제주도(濟州道)로 승격(昇格)하고 북제주군 및 남제주군을 신설했다. 1955년에 제주읍(濟州邑)을 시(市)로 승격(昇格)하였고, 1956년에는 서귀면·대정면·한림면을 각각(各各) 읍(邑)으로 승격(昇格)하고 한경면을 신설하였다. 1980년에 애월면·구좌면·남원면·성산면을 읍으로 승격했으며, 1981년에 서귀읍과 중문면을 합하여 서귀포시(西歸浦市)로 승격(昇格)하였다. 1985년에 조천면을 읍(邑)으로, 1986년에 구좌읍 연평출장소를 우도면으로 승격(昇格)하였다.

4. 제주 고씨(濟州 高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제주 고씨(濟州 高氏)의 본관(本貫)은 제주(濟州)를 비롯하여 장흥(長興), 개성(開城), 횡성(橫城), 연안(延安), 용담(龍潭), 담양(潭陽), 의령(宜寧), 고봉(高峰), 옥구(沃溝), 상당(上黨), 김화(金化), 면산(免山), 회령(會寧), 안동(安東) 등이 있는 것으로 전(傳)하나 모두가 동원(同源)이므로 현재 제주를 단본(單本)으로 하고 있다.

고씨의 계파(系派)는 중시조(中始祖) 고말노공(髙末老公)의 4세 고공익(高恭益)과 고영신(高令臣)을 각각(各各) 파조(派祖)로 하는 상당군파(上黨君派)와 양경공파(良敬公派)가 있고, 10세 고인단(高仁旦)과 고중연(高仲)을 각각 파조로 하는 성주공파(星州公派)와 장흥백파(長興伯派)가 있고, 13세 고신걸(高臣傑)과 고택(高澤)을 각각 파조로 하는 전서공파(典書公派)와 문정공파(文禎公派)가 있고, 15세 고득종(高得宗)을 파조로 하는 영곡공파(靈谷公派)가 있다.

문헌에는 고씨의 본관이 제주를 대종으로 하여 장흥. 연안. 용담. 담양. 의령. 고봉. 옥구. 상당. 개성. 김화. 토산. 회령 등 10여 본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모두 제주에서 분적한 지파이므로 오늘날에는 제주도 삼성혈에서

솟아나온 3신인의 한사람인 고을나(高乙那)를 시조로 하고 제주 단일본으로 환원하여 종전의 장흥 고씨는 장흥백파, 상당 고씨는 상당군파, 개성 고씨는 양경공파 등으로 공칭하고 있다.

<제주 고씨 세보>에 의하면 탐라는 고을나부터 45세 자견왕까지 대대로 고씨가 세습 통치해 오다가 46세 말로가 고려에 입조하였으니 이가 곧 모든 고씨의 중시조라고 밝히고 있다.

고씨의 파계는 중시조 고말로(高末老)의 4세에서 상당군파,양경공파,

10세에서 성주공파, 장흥백파,

11세에서 문충공파, 화전군파,

13세에서 전서공파, 문정공파,

15세에서 영곡공파 등 9개파가 주류를 이루는데,

그 중에서 특히 영곡공파가 가장 많아서 오늘날 전 고씨의 약 5분의 1이 이 파에 속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뛰어나기로는 장흥백파를 들 수 있는데 전남 담양군 창평 일대에 사는 고경명(高敬命)의 후손 일문이 특히 유명하여 전남 지방에서는 이 일문을 창평 고씨라 부르며 <호남 4족>의 하나로 꼽고 있다.

5. 제주 고씨(濟州 高氏) 역대(歷代) 중요(重要) 인물(人物)

고조기 : 고려, 시호 문경, 평장사.

고대기 : 고려, 문하시중.

고영신 : 고려, 시호 양경, 이부상서.

고 경 : 고려, 시호 문충, 태학사.

고용현 : 고려, 시호 문영, 대사성.

고 순 : 고려, 시호 효의 제학.

고득종 : 조선, 시호 문충, 한성판윤.

고형산 : 조선, 시호 익장, 우찬성.

고경명 : 조선, 시호 충열, 의병장.

고종후 : 조선, 시호 효열, 의병장.

고인후 : 조선, 시호 의열, 학유.

6. 제주 고씨(濟州 高氏) 각파(各派) 항렬표(行列表)

장흥백파 (長興伯派)

세世

10世

11世

12世

13世

14世

15世

16世

17世

항렬자

敬○

○厚

傅○

○斗

世○

應○

萬○

○謙

세世

18世

19世

20世

21世

22世

23世

24世

25世

항렬자

時○

○鎭

濟○

○柱

光○

在○

○錫

永○

세世

26世

27世

28世

29世

30世

31世

32世

33世

항렬자

秉○

○熙

基○

○鉉

洞○

○植

燦○

○奎

세世

34世

35世

36世

37世

38世

39世

40世

41世

항렬자

鐘○

○源

東○

○烈

均○

○鍊

海○

○柄

문충공파(文忠公派)

세世

26世

27世

28世

29世

30世

항렬자

겸謙

시時

진鎭

제濟

용容

문汶

주柱

상相

세世

30世

31世

32世

33世

항렬자

모模

광光

병炳

형炯

재在

곤坤

규奎

종鍾

세世

33 世

34世

35世

항렬자

석錫

현鉉

윤潤

영永

수洙

병秉

동東

락樂

세世

36世

37世

38世

항렬자

열烈

희喜

로魯

기基

경坰

균均

선銑

용鎔

세世

38世

39世

40世

41世

항렬자

옥鈺

한漢

순淳

호浩

근根

정禎

송松

찬燦

세世

41世

42世

43世

항렬자

엽燁

조照

중重

준埈

규圭

일鎰

련鍊

건鍵

세世

44世

45世

46世

항렬자

원源

해海

하河

권權

병炳

영榮

훈薰

훤煊

세世

46世

47世

48世

49世

항렬자

현炫

배培

타타

증增

용鎔

윤鈗

은銀

종淙

세世

49世

50世

51世

항렬자

연淵

황滉

환桓

식植

동棟

섭燮

환煥

후煦

상당군파(上黨君派)

세世

25世

26世

27世

28世

항렬자

환煥

희熙

재在

규圭

종鍾

진鎭

제濟

영永

세世

29世

30世

31世

32世

항렬자

식植

병秉

병炳

로魯

기基

중重

용鏞

옥鈺

세世

33世

34世

35世

36世

항렬자

원源

윤潤

주柱

근根

혁爀

훤煊

준준

준埈

영곡공파(靈谷公派)

세世

28世

29世

30世

31世

32世

33世

34世

항렬자

진鎭

제濟

주柱

광光

재在

종鍾

윤潤

세世

35世

36世

37世

38世

39世

40世

41世

항렬자

병秉

열烈

기基

현鉉

한漢

근根

연然

7. 제주 고씨(濟州 高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제주 고씨는 100,954가구 총 325,951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제주 고씨 파를 알고싶습니다

... 제주 고씨 파를 알고싶습니다 저는 제주 고씨이고 주민번호가 19로 시작 합니다.... 제주 고씨(濟州 高氏) 유래(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고·량·부...

제주고씨 무슨파에 몇대손인지

... 호적을 떼어보니 제주고씨라는것만 확인을 했는데 무슨파에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조부 고재만 부 고영* (영 돌림)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님께서 좀더 정확하고...

제주고씨 파와 돌림자

...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답변 : 님의 글을 읽어보고 제주 고씨 대동 항렬표 및 각파... 제주 고씨(濟州 高氏) 유래(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량...

제주고씨 파와 대손 족보

제가 집안문제로 친가와 어렸을적 연을 끊고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본관은 제주고씨알고 있는데 무슨파인지 모르겠습니다 할아버지 성함이 장자 성자 셨던걸로...

1대1 질문드립니다.제주고씨 입니다 ...

제주고씨 입니다 와 제가 몇대손인지 알수있을까요? 장흥백파로 알고 있는데 기억이 잘 나질않네요 조상님께... (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량...

제주고씨 종파 몇대손인지 알고 싶어요.

...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돌림은 길 영 -> 뿌리 근 -> 윤택할 윤 -> 잡을 병 순 입니다. 답변 : 님은 제주... (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량·부...

제주고씨 족보

안녕하세요 제주고씨에 파가 많던데 알고싶습니다 할아버지:고순배 아빠:고병원 무슨파 몇세인지 알수있나요? 제주고씨제주도에 사는 고씨 성씨입니다. 고씨제주도에서...

제주고씨 족보를 알고 싶습니다.

... 제주고씨 족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버지는 진 돌림이고, 저는 석... 제주 고씨(濟州 高氏) 유래(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량·부(髙...

제주고씨 돌림자좀 정확하게

... 몇대손인지 알고싶습니다.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저희엄마가 제주고씨인데 외할아버지가 재... (由來) : 제주(濟州) 고씨(高氏)는 제주도(濟州道) ·량·부(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