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작성일 2019.05.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돌림이라는데 제가 몇대손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돌림이라는데 제가 몇대손이죠??

답변 : 님은 전주 이씨 효령대군파이시군요.

님은 효령대군파 항렬표에서 찾아본 결과로는,

효령대군파 항렬표 돌림자가 가운데 의자가 아닌 끝자 돌림입니다.

조부님 : 시조 38세 / 파조 14대(15세) 회(會)0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 시조 39세 / 파조 15대(16세) 0우(宇)자 돌림이시며,

님은 : 시조 40세 / 파조 16대(17세손) 0의(儀)자 돌림입니다.

참고 : 전주 이씨는 시조는 세(世)이니 그냥 세(世)이고, 파조는 대(代)이므로 파조는 세(世)에서 하나를 뺀 것이 대(代)입니다.

님은 전주 이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문과 한글을 병행하오니 참고하시고 한문을 쓰는 이유는 한문에는 그 깊은 뜻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기 바랍니다. 전주 이씨에 대한 자료를 올려드릴테니 님도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전주 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전주 이씨(全州 李氏)에 대(對)하여

1. 전주 이씨(全州 李氏) 시조(始祖) : 이한(李翰)

2. 전주 이씨(全州 李氏) 유래(由來) :

시조(始祖) 이한(李翰)은 덕망(德望)이 높고 문장(文章)이 탁월(卓越)하여 신라(新羅) 문성왕(文聖王)때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으며 그 후(後) 대대(代代)로 신라(新羅) 시대(時代)에 벼슬을 해왔다.

18세손(世孫)되는 이안사(李安社)는 대대(代代)로 전주(全州)에 살아온 호족(戶族)이었는데 새로 부임(赴任)한 지주의 탐학(貪虐)을 규탄(糾彈)하자 지주가 군사(軍士)를 휘둘러 보복(報復)하려하여 그를 피해 강원도(江原道) 삼척(三陟)으로 피했다가 다시 함경도를 거처 원나라 간동으로가 그곳에서 다루가치 벼슬을 지냈고 증손(曾孫)자 되는 이자춘(李子春)이 고려(高麗) 시대(時代)에 공(貢)을 세워 사복경(司僕卿)에 이르렀다.

이자춘(李子春)의 아들, 즉(卽) 시조(始祖)의 22세손(世孫) 이성계(李成桂)에 이르러 어지러운 국정(國政)을 바로잡고 배극렴(裵克廉)등 52명의 추대로 왕위(王位)에 오르게 됨으로 조선왕조(朝鮮王朝)를 창건(創建),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3. 전주 이씨(全州 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조선(祖先) 500년을 이끌어온 왕가(王家)이므로 가문(家門)의 번성(繁盛)기를 따로 기술(記述)할 필요(必要)가 없다. 전주이씨(全州李氏)의 1백여 파중 으뜸가는 명가(名家)는 밀성군(密城君. 침=세종의 아들)파로써 6명의 정승(政丞)과 3대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했으며,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정종의 아들)파가 부자 대제학(大提學)등 3명의 대제학(大提學)과 영의정(領議政) 1명을 내어 밀성군파(密城君派)에 버금간다.

덕천군파(德泉君派) 다음으로는 3명의 정승(政丞)을 배출(輩出)한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정승(政丞) 2명을 배출(輩出)한 선성군파(宣城君派), 정승(政丞) 1명과 숱한 문신(文臣)과 무신(武臣)을 배출(輩出)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등이 뛰어나다.

아래에 수도군파(守道君派)를 소개(紹介)하기로 하고 여기서 계파(系派)를 소개(紹介)한다.

4. 전주 이씨(全州 李氏) 본관지(本貫地) 연혁(沿革)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全羅北道) 전주(全州)

전주(全州)는 전라북도(全羅北道)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고대(古代)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由來)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900년(효공왕 4)에 견훤(甄萱)이 무주(武州: 光州)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後百濟)의 도읍(都邑)을 옮겨 백제(百濟)(百濟) 부흥(復興)의 노력(努力)을 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후백제(後百濟)가 망(亡)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設置)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全州)로 회복(回復)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全州牧)이 설치(設置)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改稱)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두었다. 995년에는 강남도(江南道) 관하의 전주순의군절도사(全州順義軍節度使)가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남대도호부로 승격(昇格)되고, 1022년에 전주목(全州牧)으로 개칭(改稱)되어 1곳의 속군(屬郡)과 11곳의 속현(屬縣)을 포함하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전주(全州)로 강등(降等)되고, 1355년(공민왕 4)에는 부곡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이듬해에 완산부(完山府)로 복구(復舊)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전주이씨(全州李氏)의 본향지(本鄕地)라 하여 완산부유수(完山府留守)로 승격(昇格)되었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부(全州府)로 개칭(改稱)되어 조선시대(朝鮮時代)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전주부(全州府) 전주군(全州郡)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全羅北道) 전주군(全州郡)으로 개편(改編)된 이래 1935년 전주면(全州面)이 부(府)로 승격(昇格)하여 독립(獨立)하고 1949년 전주시(全州市)로 개칭(改稱)되었다.

5. 전주 이씨(全州 李氏) 제왕(帝王) 각파(各派)와 파조(派祖)

궁진(宮進)

시중공파(侍中公派) 이단신(李端信)

용부(勇夫)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이거(李琚)

양무(陽茂)

주부공파(主簿公派) 이영습(李英襲)

목조

안천대군파(安川大君派) 이어선(李於仙)

안원대군파(安原大君派) 이진(李珍)

안풍대군파(安豊大君派) 이정(李精)

안창대군파(安昌大君派) 이매불(李梅拂)

안흥대군파(安興大君派) 이구수(李球壽)

익조

함녕대군파(咸寧大君派) 이안(李安)

함창대군파(咸昌大君派) 이장(李長)

함원대군파(咸原大君派) 이송(李松)

함천대군파(咸川大君派) 이원(李源)

함릉대군파(咸陵大君派) 이고태(李古泰)

함양대군파(咸陽大君派) 이전(李腆)

함성대군파(咸城大君派) 이응거(李應巨)

도조

완창대군파(完昌大君派) 이자흥(李子興)

완원대군파(完原大君派) 이자선(李子宣)

완천대군파(完川大君派) 이평(李平)

완성대군파(完城大君派) 이종(李宗)

환조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 이원계(李元桂)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이화(李和)

태조

진안대군파(鎭安大君派) 이방우(李芳雨)

익안대군파(益安大君派) 이방의(李芳毅)

회안대군파(懷安大君派) 이방간(李芳幹)

의안대군파(宜安大君派) 이방석(李芳碩)

정종

의평군파(義平君派) 이원생(李元生)

순평군파(順平君派) 이군생(李群生)

선성군파(宣城君派) 이무생(李茂生)

종의군파(從義君派) 이귀생(李貴生)

진남군파(鎭南君派) 이종생(李終生)

수도군파(守道君派) 이덕생(李德生)

임언군파(林堰君派) 이녹생(李祿生)

석보군파(石保君派) 이복생(李福生)

덕천군파(德泉君派) 이후생(李厚生)

임성군파(任城君派) 이호생(李好生)

도평군파(桃平君派) 이말생(李末生)

장천군파(長川君派) 이보생(李普生)

정석군파(貞石君派) 이융생(李隆生)

무림군파(茂林君派) 이선생(李善生)

태종

양녕대군파(讓寧大君派) 이제(李禔)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이보(李補)

성녕대군파(誠寧大君派) 이종(李種)

경녕군파(敬寧君派) 이비(李裶)

함녕군파(咸寧君派) 이인(李裀)

온녕군파(溫寧君派) 이정(李裎)

근녕군파(謹寧君派) 이농(李襛)

혜녕군파(惠寧君派) 이지(李祉)

희녕군파(熙寧君派) 이타(李袉)

후녕군파(厚寧君派) 이간(李衦)

익녕군파(益寧君派) 이치(李袳)

세종

임영대군파(臨瀛大君派) 이구(李璆)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이여(李璵)

금성대군파(錦城大君派) 이유(李瑜)

영응대군파(永膺大君派) 이염(李琰)

화의군파(和義君派) 이영(李瓔)

계양군파(桂陽君派) 이증(李璔)

의창군파(義昌君派) 이공(李玒)

한남군파(漢南君派) 이어(李)

밀성군파(密城君派) 이침(李琛)

수춘군파(壽春君派) 이현(李玹)

익현군파(翼峴君派) 이연(李璭)

영풍군파(永豊君派) 이전(李瑔)

영해군파(寧海君派) 이당(李瑭)

담양군파(潭陽君派) 이거(李璖)

세조

덕원군파(德源君派) 이서(李曙)

창원군파(昌原君派) 이성(李晟)

덕종

월산대군파(月山大君派) 이정(李婷)

예종

인성대군파(仁城大君派) 이분(李糞)

제안대군파(齊安大君派) 이현(李琄)

성종

계성군파(桂城君派) 이순(李恂)

안양군파(安陽君派) 이항(李行)

완원군파(完原君派) 이수(李)

회산군파(檜山君派) 이념(李恬)

봉안군파(鳳安君派) 이봉(李逢)

견성군파(甄城君派) 이돈(李惇)

익양군파(益陽君派) 이회(李懷)

이성군파(利城君派) 이관(李慣)

경명군파(景明君派) 이침(李忱)

전성군파(全城君派) 이변(李忭)

무산군파(茂山君派) 이종(李悰)

영산군파(寧山君派) 이전(李恮)

운천군파(雲川君派) 이인(李寅)

양원군파(楊原君派) 이희(李憘)

중종

복성군파(福城君派) 이미(李嵋)

해안군파(海安君派) 이희(李晞)

금원군파(錦原君派) 이영(李岭)

영양군파(永陽君派) 이거(李岠)

덕양군파(德陽君派) 이기(李岐)

봉성군파(鳳城君派) 이완(李岏)

덕흥대원군파(德興大院君派) 이초(李岹)

선조

영창대군파(永昌大君派) 이의(李口)

임해군파(臨海君派) 이진(李珒)

신성군파(信城君派) 이후(李珝)

순화군파(順和君派) 이보(李)

인성군파(仁城君派) 이공(李珙)

경창군파(慶昌君派) 이주(李珘)

흥안군파(興安君派) 이제(李瑅)

경평군파(慶平君派) 이늑(李玏)

인흥군파(仁興君派) 이영(李瑛)

영성군파(寧城君派) 이계(李㻑)

원종

능원대군파(綾原大君派) 이보(李俌)

인조

소현세자파(昭顯世子派) 이왕(李)

인평대군파(麟坪大君派) 이요(李㴭)

용성대군파(龍城大君派) 이곤(李滾)

숭선군파(崇善君派) 이징(李澂)

낙선군파(樂善君派) 이숙(李潚)

숙종

연령군파(延齡君派) 이훤(李昍)

장조

은언군파(恩彦君派) 이인(李裀)

은전군파(恩全君派) 이찬(李禶)

고종

의친왕파(義親王派) 이강(李堈)

6. 전주 이씨(全州 李氏) 효령대군(孝寧大君)에 대(對)하여

1396년(태조 5)∼1486년(성종 17). 조선(朝鮮) 초기(初期)의 종실(宗室). 본관(本貫)은 전주(全州). 이름은 보(補). 초명(初名)은 호(祜). 자는 선숙(善叔), 호(號)는 연강(蓮江).

태종(太宗)의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이다.

1407년(태종 7) 효령군(孝寧君)에 봉(封)해지고, 1412년에 효령대군(孝寧大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30년(세종 12)에 왕명(王命)을 받아 어용(御容)과 《선원록 璿源錄》을 새로 조성한 선원전(璿源殿)에 봉안하고, 그해 윤12월에 문소전(文昭殿)의 친제(親祭)에 종헌관(終獻官)으로 참여(參與)하였다.

1432년 한강에서 7일간 수륙재(水陸齋)를 개최(開催)하였고, 1434년 1월에 친형(親兄) 양녕대군(讓寧大君)과 함께 계달문서(啓達文書)에 이름을 쓰지 않도록 조처(措處)하였다. 그해 4월 회암사(檜巖寺)의 중수를 건의(建議)하고, 1435년 회암사에서 불사를 개최(開催)하였다. 그해 5월 흥천사탑전(興天寺塔殿)의 수리를 관장하였다.

1452년(단종 즉위) 용문산 상원사(上元寺)에 종(鐘)을 주조(鑄造)하여 봉안하고, 1460년(세조 6) 4월 왕세자빈의 책봉사가 되었으며, 1464년 5월 회암사에서 원각법회(圓覺法會)를 개최(開催)하고 그해 5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원각사 조성도감도제조로 활동하였다.

1465년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을 언해하고, 1465년 《원각경》을 수교(讐校)하였다. 정역(鄭易)의 딸인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과의 사이에 6남 1녀, 측실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효성(孝誠)과 우애(友愛)가 지극(至極)하였고, 세종(世宗)·문종(文宗)·단종(端宗)·세조(世祖)·예종(睿宗)·성종(成宗)의 연고존친(年高尊親)으로서 극진(極盡)한 존경(尊敬)과 대우를 받았으며, 불교(佛敎)를 숭상(崇尙)하고 선가(禪家)에 적을 두면서 많은 불사를 주관하였기 때문에 유학자(儒學者)들로부터 비판(批判)이 많았지만, 불교(佛敎)의 보호(保護)와 진흥(振興)에 공헌(貢獻)한 바 크다.

묘소(墓所)는 경기도(京畿道) 과천(果川) 임산원(壬山原)에 있다.

1736년(영조 12) 묘하(墓下)에 청권사(淸權祠)가 건립(建立)되고, 1789년(정조 13) 사액(賜額)되었으며, 1865년(고종 2) 양녕대군(讓寧大君)과 함께 세종(世宗)묘에 추가로 배향(配享)되었다. 시호(諡號)는 정효(靖孝)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은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朝鮮) 제3대왕(大王)인 태종(太宗)대왕(大王) 이방원(李芳遠)의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여흥 민씨(驪興 閔氏)인 원경왕후입니다. 1396년에 태어나 1486년에 별세(別歲)하셨습니다.

◎. 전(傳)해 오는 이야기

-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관악산 연주봉 남쪽 기슭에는 연주암(戀主庵)이라는 사찰이 있는데 관악산의 최고봉인 연주봉(629m) 절벽 위에 연주대(戀主帶:경기도 기념물 제20호)가 자리하고 있다.

- 그곳에서 남쪽 과천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연주암이 있다.

-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로 나한도량(羅漢道場)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사찰이다.

- 나한은 6신통(神通)과 8해탈을 모두 갖추어 인간과 천인들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복전(福田)이기 때문에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 있다.

- 연주대는 이성계(李成桂)가 무학대사의 권유로 의상대 자리에 석축을 쌓고 30㎡ 정도의 대를 구축하여 그 위에다 암자를 지은 것이라 한다.

- 이곳에 특이하게도 효령각을 만들어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영정(경기도 문화재 제81호)을 봉안하고 있다.

- 찾는 등산객의 점심을 무료(無料)로 제공하는 것으로 소문이 나있는 곳이기도 하다.

- 1411년(태종 11), 동생인 충녕(세종)에게 보위를 양보하고 전국(全國)을 떠돌던 양녕과 효령이 이곳에 머무르면서 관악사를 현 위치로 옮기고 연주대의 이름을 따서 연주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위치를 바꾼 이유는 관악사의 원래 위치에서는 왕궁이 바로 내려다보였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아래는 효령대군파 종친회에서 제공된 세(世)로된 항렬표임.

13世.

우(遇)○

23世

○학,○존

(學. 存)

33世.

○성(成)

43世.

방(邦)○

53世.

창(暢)

14世.

○범(凡)

24世

용○,병○

(庸. 秉)

34世.

○원(遠)

44世.

제(齊)○

54世.

서(西)

15世.

회(會)○

25世.

연(演)○

35世.

○만(萬)

45世.

교(敎)/

55世.

무(茂)

16世

○우(宇)

26世.

○경(卿)

36世.

○욱(旭)

46世.

경(慶)

56世.

현(玄)

17世.

○의(儀)

27世.

진(振)○

37世.

병(炳)○

47世.

인(寅)

 

18世.

기(起)○

28世.

○범(範)

38世.

종(宗)○

48世.

동(東)

 

19世.

강(康)○

29世.

○년(年)

39世.

성(盛)○

49世.

근(根)

 

20世.

○재(宰)

30世.

○래(來)

40世.

○희(凞)

50世.

용(龍)

 

21世

수○,정○

(秀. 廷)

31世.

중(重)○

41世.

광(廣)○

51世.

남(南)

 

22世.

규(揆)

32世.

유(楢)○

42世.

○장(章)

52世.

수(洙)

 

8. 전주 이씨(全州 李氏)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에서 세(世)로된 항렬표(行列表)

13()

14

15

16

17

18

19

20

시조36

37

38

39

40

41

42

43

遇○

○凡

會○

○宇

○儀

起○

康○

○宰

21

22

23

24

25

26

27

28

시조44

45

46

47

48

49

50

51

秀○

廷○

○揆

○存

○學

秉○

庸○

演○

○卿

振○

○範

29

30

31

32

33

34

35

36

시조52

53

54

55

56

57세손

58세손

59세손

○年

○來

重○

楢○

○成

○遠

○萬

○旭

37

38

39

40

41

42

43

44

시조60

61

62

63

64

65

66

67

炳○

宗○

盛○

○凞

廣○

○章

邦○

齊○

아래는 대(代)를 기준으로 하는 항렬표임.

시조(世)

선계

시조에서:世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제왕

파조에서:代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3

태종

太宗

효령대군

孝寧大君

우○

○범

회○

○우

○의

기○

강○

○재

정○

○규

○학

용○

연○

○경

○진

愚○

○凡

會○

○宇

○儀

起○

康○

○宰

廷○

○揆

○學

庸○

演○

○卿

振○

9. 전주 이씨(全州 李氏) 집성촌(集成村)

- 경기도 연천군 중면 도연리

- 충청남도 부여군 초천면 추양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완곡리

-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왕릉리

-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연봉리

- 평안북도 정주군 고덕면 관해리

- 함경남도 북청군 평산면 용전리

- 함경북도 길주군 동해면 석성동

10.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인구수(人口數)

1985년 인구조사에서는 2,379,537명이 있었다.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전주 이씨는 808,511가구 총 2,609,890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정보가 부족하여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우선, 효령대군파 17세손의 항렬자(돌림자)는 '○의(○儀)'자로 가운데에 항렬자가 들어가는 '의○'자 형태가 아닙니다. 간혹 항렬자의 위치를 착각하거나 몰라서 위치를 반대로 쓰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경우는 소수이며, 항렬자를 따라 작명하셨다면 제 위치에 쓰는 분들이 훨씬 더 많습니다. 위 답변자께서는 효령대군파 17세손의 항렬자가 '의'자를 사용한다고 해서 거기에 끼워 맞춘 답변을 하셨으나, 항렬자의 위치가 맞지 않은데 한글 음만 일치한다고 해서 다른 것은 고려하지 않고 결론내리는 것은 위험한 접근 방법입니다. 질문자가 잘못된 정보를 후세에 대물림할 수도 있으므로 답변자에게는 신중한 답변 자세가 필요합니다.

연세가 어떻게 되시는지 모르겠으나 현시대를 살고 있는 효령대군파 후손의 대부분은 20세손을 전후한 세대에 가장 많은 수가 분포되어 있습니다. 17세손은 다소 앞세대의 항렬자이기 때문에 연세가 어리신분이라면 가능성이 크게 줄어듭니다. 기축보(가장 최근에 발간된 효령대군파의 족보로 기축년인 2009년에 발간됨)에 등록된 효령대군파 후손들 가운데 1990년생 이후 출생자 중 17세손에 해당하는 후손의 수는 총 200명이 되지 않습니다. 족보 기준으로 현재 생존되어 있는 후손의 수가 2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그 중 200명 미만이라면 전체의 0.1% 이하의 극소수에 불과하죠. 족보에 등록된 인원 가운데 '의'자를 가운데 쓴 가정은 딱 1군데가 있는데, 그마저도 '儀'자가 아닌 '宜'자를 사용했으며, 성별은 여성이었습니다. 1396년생인 효령대군으로부터 17세손이라면 16명의 조상분들이 모두 평균 30대 중반의 비교적 늦은 나이에 아들을 낳아 대를 이어내려와야 하므로 가능성이 그만큼 낮습니다.

물론 질문자님이 족보에 등재되지 않으신 가정 가운데 17세손에 해당하는 분이실 수도 있으나... 그 전에 '의'의 한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아버지와 할아버지 등 부계 어르신들의 존함을 먼저 확인하고 대조한 후에 판단해야 좀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선행해야만 17세손이 맞으신지 아니면 다른 세대에 해당하시는지, 혹은 효령대군파가 아닌 다른 파의 항렬자와 일치하므로 다른 파일 가능성은 없을지... 다양한 추론도 가능할 것입니다.

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돌림이라는데 제가 몇대손이죠??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전주이씨 효령군파 이고 가운데 의자 돌림이라는데 제가 몇대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