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양씨 익산파 항렬

남원양씨 익산파 항렬

작성일 2017.12.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남원양가 진사공파 34대손인데요 익산파로도 불리는데 찾아보니 별다른 정보가 나오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할아버지는 태○자 돌림이시구요 아버지와 저는 돌림자를 쓰지 않습니다. 익산파에 족보와 항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남원양가 진사공파 34대손인데요 익산파로도 불리는데 찾아보니 별다른 정보가 나오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할아버지는 태○자 돌림이시구요 아버지와 저는 돌림자를 쓰지 않습니다. 익산파에 족보와 항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답변 : 님은 남원 양씨(南原 梁氏) 대방군파(帶方君派)에서 분파한 진사공파(進士公派)이시군요.

 

남원 양씨(南原 梁氏) 진사공파(進士公派)는 대방군파(帶方君派) 항렬표를 쓰고 있습니다.

 

조부님 : 31세 태(泰)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 32세 ?자 돌림이시며,

님은 : 33세손 ?자 돌림입니다.

 

님은 남원 양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래에 대동 항렬표를 올러드릴테니 님도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해당 항렬자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아래는 남원 양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남원 양씨(南原 梁氏)에 대()하여

 

1. 남원 양씨(南原 梁氏) 시조(始祖) : 양을나(良乙那)

2. 남원 양씨(南原 梁氏) 유래(由來) :

 

 

남원 양씨(南原 梁氏)의 시조(始祖)는 양을나(良乙那)이고 전라북도(全羅北道)의 남동부(南東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본래(本來) 백제(百濟)의 고룡군(古龍郡)인데 뒤에 대방군(帶方郡)으로 고치었으며 신라(新羅) 신문왕(神文王)4(0684)에 소경(小京)을 두었고 경덕왕(景德王)때에 남원(南原)으로 고치어 소경(小京)을 삼았다.

고려(高麗) 태조(太祖)23(940)에 남원부(南原府)로 하였다가 충선왕(忠宣王) 2(1310)에 다시 대방군(帶方郡)으로 하였으며 뒤에 남원군(南原郡)으로 고치고 공민왕(恭愍王)9(1360)에 다시 남원부(南原府)로 승격(昇格)하였으며 이조(李朝) 태종(太宗)13(1413)에 도호부(都護府)로 고치고 세조조(世祖朝)에 처음으로 진()을 설치(設置)하였다.

 

중종(中宗)경오(庚午1510)에 강등(降等)하여 현()으로 삼았다가 기묘(己卯 중종14)에 다시 남원부(南原府)로 승격(昇格)하고 고종(高宗) 을미(乙未 고종32)에 남원부(南原府)를 고치어 남원군(南原郡)으로 삼았다.

 

남원 양씨(南原 梁氏)의 시조(始祖)는 양을나(良乙那)이니 태초(太初)에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羅山)의 북록(北麓) 모흥혈(毛興穴)[세칭 삼성혈(三姓穴)이라 함]에서 종지용출(從地湧出)하여 탐라국(耽羅國)을 창업(創業)하시었으니 단군(檀君)과 같은 시대(時代)였다.

 

뒤에 양탕(良宕)이 광순사(廣巡使)로 신라(新羅)에 입조(入朝)하여 중상의관(重賞衣冠)하고 사작성주왕자(賜爵星主王子)하고 개양성위량(改良姓爲梁)하였으며 후예(後裔) 양우량(梁友諒)이 신라(新羅) 경덕왕조(景德王朝)에 왕실(王室)에 공훈(功勳)을 세워 남원부백(南原府伯)에 책봉(冊封)되어 이로부터 남원(南原)으로 분적(分籍)하였다.

 

그러나 문헌(文獻)의 실전(失傳)으로 그 이하(以下)의 선계(先系)를 상고(詳考) 할 수 없고 다만 능양(能讓)으로 부터 계대(系代)하는 병부공파(兵部公派)와 주운(朱雲)으로 부터 계대(系代)하는 용성군파(龍城君派)가 있다.

 

 

3.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남원(南原)은 오늘날 전라북도(全羅北道) 남원시(南原市) 일원(一圓)의 지명(地名)으로 16(백제 온조왕(溫祚王) 34) 무렵에 고룡군(古龍郡)이라 불렸다가 196(초고왕 31)에 백제(百濟) 5방 중 대방군(帶方郡)이 되었다. 685(신라 신문왕 5) 9 5소경의 하나로 남원소경이 설치(設置)되었고, 757(경덕왕 16)에는 남원군(南原郡)으로 개칭(改稱)하였다. 940(고려 태조 23) 5현을 관할(管轄)하는 남원부(南原府)로 개편(改編)되었다. 1018(현종 9) 지부사(知府事)로 고쳤다. 1310(충선왕 2) 대방군(帶方郡)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1360(공민왕 9) ()로 승격(昇格)되었다. 1413(태종 13) 남원도호부로 승격(昇格)되었으며, 1457(세조 3)에는 남원진영(南原陣營)을 두었고, 1654(효종 5)에는 전라좌영을 설치(設置)하였다. 1740(영조 16) 일신현으로 강등(降等)되었으나 이듬해 환원(還元)되었다. 1895(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전라(全羅) 4부 중 하나인 남원관찰부(南原觀察府)가 되었다가 1910년 남원 48방을 22개 면()으로 통폐합(統廢合)하고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남원군(南原郡)으로 개칭(改稱)하였다. 1931년 남원면(南原面)이 남원읍(南原邑)으로 승격(昇格)되었고, 1981년에는 남원읍(南原邑)이 시()로 승격(昇格)하여 남원시(南原市)와 남원군(南原郡)으로 분리(分離)되었다가, 1995년 남원군(南原郡)이 남원시(南原市)에 통합(統合)되었다.

 

 

4. 남원 양씨(南原 梁氏)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로는 병부공파(兵部公派)에 고려(高麗)때 견()은 광정대부(匡靖大夫)에 올라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를 거쳐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역임(歷任)하였으며 동국(東國)의 백이 숙제(伯夷叔齊)라고 불리는 우()는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에 올라 가문(家門)을 빛냈다.

 

조선조(朝鮮朝)에서는 실학자(實學者)요 경륜가(經綸家)로서, 세종(世宗)의 총애(寵愛)를 받은 성지(誠之)가 유명(有名)하였으니 그는 세종(世宗23)조 때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及第)하여 세조조(世祖朝)에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대사헌(大司憲) 대제학(大提學)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아들 찬()은 무과(武科)에 올라 사부일목(四府一牧)을 거쳐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랐으며 손자(孫子) ()은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及第)하여 병 이조판서(兵吏曺判書) 대제학(大提學) 좌찬성(左贊成)에 올라 복상(卜相)에 올랐으나 미급대배(未及大拜)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그치었고 증손(曾孫) 윤신(允信)은 학행(學行)으로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에 올라 명종조(明宗朝)의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걸리어 유배(流配)되었다가 방면(放免)되어 사천현감(泗川縣監)때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 아들 사원(思遠)과 의병(義兵)을 일으켜 많은 공()을 세우고 부자(父子)가 순절()하였으며 병인양요(丙寅洋擾)때 프랑스군을 격파(擊破)하고 어영대장(御營大將)과 형공조판서(,工曺判書)를 역임(歷任)한 헌수(憲洙) ()이 가문(家門)을 빛냈다.

 

근대(近代)에 와서는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締結)되자 분연히 일어나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 의병장(義兵將) 한규(漢奎)가 있다.

 

 

5. 남원 양씨(南原 梁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병부공파(兵部公派), 예성군파(蘂城君派), 청주파(淸州派), 대방군파(帶方君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용성군파(龍城君派), 문절공파(文節公派), 장영공파(章榮公派), 평리공파(評理公派), 진산공파(珍山公派), 이판공파(吏判公派), 병판공파(兵判公派) 로 계파(系派)가 나뉘어져 있다.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안에 있는 문양공파(文襄公派)가 전체(全體) 80%를 차지하고 있다.

아마도 님께서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문양공파(文襄公派) 양성지(梁誠之) 입니다.

(정식 명칭(名稱)은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 문양공파(文襄公派))

양능양(梁能讓) 은 병부공파(兵部公派) 파조(派祖) 입니다.

문양공파(文襄公派)의 파조(派祖)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13세이신 양성지(梁誠之) () 입니다.

문인(文人) () 최고(最高)의 명예(名譽)인 홍문관(弘文館) 대제학(大提學)까지 역임(歷任)하신 분이십니다. 남원 양씨(南原 梁氏)에서 가장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입니다.

그리고 친척(親戚) ()에서 가승보(족보)가 있는지 살펴보시고 아버님 이름이나 본인 이름이 있는지 살펴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正確)하게 알 수 있는 방법(方法)입니다.

 

족보는

제주 양씨 전체를 담는 "대동보"

문양공파(文襄公派) 안에 있는 모든 분파내용을 담은 "세보"

문양공파(文襄公派) 안에 분파들(수사공파 병마공파 등)의 각각의 내용을 담은 "파보"

각 세부 분파의 안에서 가까운 친척들만 담는 "가승보"가 있습니다.

 

계파(系派) 분파(分派) 지파(支派)를 본다면,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문양공파(文襄公派) 삼등공파(三等公派)입니다.

(정식(定式) 명칭(名稱)은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후 문양공파 후 삼등공파)

 

그리고 정확(正確)하게 문양공파(文襄公派) 23 대손 또는 병부 공파 35 대손 입니다.

 

처음부터 말씀을 드리면

 

남원 양씨(南原 梁氏)에는 병부공파, 용성군파, 대방군파 3개가 있습니다.

그리고 병부공파 안에는 또 다시 12개 파로 나누어 지구요.

그중에 문양공파(文襄公派)가 있습니다.(전체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문양공파(文襄公派)에서도 분파(分派)한 지파(支派) 22개 파로 나눠져 있습니다.

 

병부공파(兵部公派)의 후손(後孫)이며 13() 파조(派祖) 양성지(梁誠之) 문양공파(文襄公派)

 

서천에 세거(世居)하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는 크게 두 파가 있다.

 

문산과 화양에 거주(居住)하는 양씨(梁氏)들은 남원백(南原伯) 양우량(梁友諒)의 후손(後孫)으로 고려때 정당문학(政堂文學) 진현관(進賢館)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양윤위(梁潤渭)의 시호(諡號)가 장영(章榮)임으로 그를 1세조(世祖)로 하는 장영공파(章榮公派)가 있고 마서면(馬西面) 송석리(松石里)에 거주하는 양씨(梁氏)들은 역시(亦是) 남원백(南原伯) 양우량(梁友諒)의 후손(後孫)들로 고려(高麗) 성종(成宗)때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증손녀(曾孫女) 사위로 병부랑(兵部郞) 중동궁(中東宮) 시강학사(侍講學士)를 지낸 양능양(梁能讓) 1세조(一世祖)로 하는 병부공파(兵部公派)의 후손(後孫)이며 13() 문양공(文襄公) 양성지(梁誠之)가 조선조(朝鮮朝) 세종~성종대의 훈구파 중진이며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 대사헌(大司憲)을 역임(歷任)하고 팔도지리지(八道地理誌)등 많은 저서(著書)를 남겼으며 문물제도(文物制度)와 국방농경 등 그가 남긴 업적(業績)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이로써 남원군(南原君)과 문양(文襄)의 시호(諡號)를 받았으며 그 후손(後孫)들이 문양공파(文襄公派)이다.

 

 

용성군파(龍城君派)에서 분파(分派)한 지파(支派) : 문절공파

 

부사공파

평리공파

참봉공파

이판공파

부사공파

정국공파

군수공파 등 많은 파가 존재합니다.

 

남원 양씨(南原 梁氏) 용성군파(龍城君派) - 이판서공(吏判書公) 세계도(世系圖)

 

1 : 양주운(梁朱雲)

2 : ()

3 : 중규(仲奎)

4 : ()

5 : ()

6 : 사도(思道)

7 : 의생(宜生)

8 : ()

9 : 계조(戒祖)

10 : ()

11 : 지손(智孫)

12 : 취강(就江)

13 : 윤하(允河)

14 : ()

15 : ()

16 : 호준(豪俊)

17 : 시택(時澤)

18 : 응해(應海)

19 : 도철(道喆)

20 : 석희(錫禧)

21 : 택홍(宅泓)

22 : (槿)

23 : 두영(斗永)

24 : 재학(在學)

25 : ()

 

6. 남원 양씨(南原 梁氏) 집성촌(集成村)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일원

- 전남 화순군 도곡면 일원

 

 

7. 남원 양씨(南原 梁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

14

15

16

17

18

19

항렬자

(行列字)

배돈감

(培墩堪)

()

홍윤사

(洪潤泗)

()

()

()

()

20

21

22

23

24

25

항렬자

(行列字)

거화

(擧華)

기대세

(基大世)

진태응

(鎭泰應)

덕한동

(德漢東)

근수종

(根秀宗)

환엽수

(煥燁壽)

()

26

27

28

29

30

31

항렬자

(行列字)

재하용영석

(在河龍永錫)

영수

(泳洙)

병동상

(秉東相)

섭만희

(燮萬熙)

준규준재배욱

(埈圭埈載培旭)

용현

(鏞鉉)

()

32

33

34

35

36

37

항렬자

(行列字)

호우종진

(鎬雨鍾鎭)

준 철 택

(準澈澤)

세모식주

(世模植枓)

-

-

-



 

1). 병부공파(兵部公派)

()

 

 

 

 

 

 

 

28

29

30

항렬자

-

-

-

-

-

-

-

行列字

-

-

-

-

-

-

-

()

()

()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항렬자

영 승 태

동 모 식

병 희 헌

수 규 중

호 현 련

순 원

수 병

섭 경

기 배

용 용

行列子

泳 承 泰

東 模 植

炳 熙 憲

壽 奎 重

鎬 鉉 鍊

淳 源

秀 秉

燮 慶

基 培

鎔 容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항렬자

한 연

근 상

덕 훈

선 세

진 전

택 영

근 빈

영 용

의 원

호 석

行列子

漢 淵

根 相

悳 薰

善 世

鎭 銓

澤 永

根 彬

榮 容

義 遠

鎬 奭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항렬자

해 호

권 락

지 광

주 희

상 균

하 제

동 화

렬 혁

효 정

-

行列字

海 浩

權 樂

志 光

周 喜

商 鈞

河 濟

東 和

烈 赫

孝 廷

-



 

2). 대방군파(帶方君派)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항렬자

영호승태

동상모식

병희헌

수규규중

호현련

순 원

수 병

行列子

泳浩承泰

東相模植

炳熙憲

壽圭奎重

鎬鉉鍊

淳 源

秀 秉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항렬자

섭 경

기 배

용 용

한 연

근 상

덕 동

-

-

-

-

行列子

燮 慶

基 培

鎔 鏞

漢 淵

根 相

悳 董

-

-

-

-



 

3). 용성군파(龍城君派)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항렬자

용 태

기 목

호 희

해 규

식 종

병 순

철 근

종 열

수 기

상 재

行列子

容 泰

基 穆

鎬 熙

海 圭

植 鍾

炳 淳

喆 根

鍾 烈

洙 基

相 栽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항렬자

환 훈

교 준

-

-

-

-

-

-

-

-

行列子

煥 焄

敎 埈

-

-

-

-

-

-

-

-



   

4). 예성군파(蘂城君派)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항렬자

行列子



 

8. 남원 양씨(南原 梁氏) , , 영당, 서원, 정려, 행의원 위치

용장서원

양능양

전북 남원군 주생면 상동리

용장서원

양주운

전북 남원군 주생면 상동리

용장서원

양대박

 전북 남원군 주생면 상동리

구천서원

양희

경남 함양

월곡서원

양우

전남 담양

대포서원

양성지

경기도 김포

월곡서원

양성지

전남 담양

심근서원

양원달

강원도 삼척

경문서원

양서

평북 영변군 독산면

경문서원

양우경

평북 영변군 독산면

문헌서원

양우준

평북 영변군 영변면 용추동

구암사

양성지

충남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충민사

양지

충남 청양군 운곡면 모곡리

삼절사

양지

부산짓할시

삼절사

양조한

부산직할시

삼절사

양통한

부산직할시

충민사

양진국

평북 안천

충의문

양대박

전북 남원군 남원읍 화정리

충의문

양경우

전북 남원군 남원읍 화정리

충의문

양형우

전북 남원군 남원읍 화정리



 

 

 

9. 남원 양씨(南原 梁氏) 인구수(人口數)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원 양씨(南原 梁氏)는 남한(南韓)에 총 52,230가구, 219,911명이 나타남.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남원 양씨(南原 梁氏) 67,691가구 총 218,546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남원양씨 항렬 질문

... 남원양씨 항렬 질문 안녕하세요! 들보양자 쓰는 남원양씨 사람입니다 할아버지 아마도 태자를 돌림으로 쓰시는 것 같구요 아부지는 모자 돌림 저는 희자 돌림입니다...

남원양씨 항렬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남원양씨 항렬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저희 할아버님은 만자 돌림이시고 저희 아버님은 석자 돌림이고 저희 형제는 용자 돌림입니다. 혹시 몇대손 어디 공파인지 알수...

남원 양씨인데 어느파인지 항렬은 또...

남원양씨 항렬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저희 아버님은 석자 돌림이고 저희 형제는 성자 돌림입니다. 혹시 몇대손 어디 공파인지 알수 있을까요? 님의 질문에 답변을...

남원양씨 한림공파 항렬문의합니다 남편

... 남원 양씨 각파 항렬표 돌림자에서 이어져 일치하는 돌림자가 없습니다. 시조부님 : 석자 돌림이라 하셨고, 시부친님 : 동자 돌림이시며, 님의 남편 : 호자 돌림이라...

남원 양씨 족보(무슨파, 몇대손)...

... 남원 양씨의 경우, 성은 양씨이며, 항렬에서 승자돌림을 사용하고 계층이 승자, 석자, 재자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가끔씩 특이한 경우로 승자, 석자, 재자의...

남원양씨 무슨파, 몇대손인지 궁금 합니다.

... 또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 대방군파(帶方君派) 항렬표... (齋洞公派)) 익산파(益山派) 어은공파(漁隱公派)... 의하면 남원 양(楊)씨는 남한에 총 9,703가구, 40,993명이 살고...